115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52년은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되었으며, 켈스-멜리폰트 공의회가 열리고 니달로스 대교구가 설립된 해이다. 프랑스 왕 루이 7세와 이혼한 엘레오노르 아키텐이 잉글랜드의 헨리 2세와 결혼했고, 프리드리히 1세가 신성 로마 황제에 즉위했다. 고려의 강종, 고종 등이 태어났으며, 콘라트 3세, 마틸다 드 불로뉴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152년 | |
---|---|
기본 정보 | |
연도 | 1152년 |
세기 | 12세기 |
달력 | |
율리우스력 | 1152 |
로마 숫자 | MCLII |
사건 | |
프리드리히 1세 |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즉위함. |
아일랜드 | 카셸 회의에서 교황의 권위를 인정함. |
탄생 | |
이사악 2세 앙겔로스 |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
가모노 나가미쓰 | 일본 무장(사망: 1203년) |
루이 9세 | 프랑스 왕(사망: 1270년) |
아녜스 드 프랑스 | 프랑스의 공주이자 비잔티움의 황후 |
사망 | |
콘라트 3세 | 독일의 왕 |
마티외 1세 드 몽모렌시 | 몽모렌시 영주 |
2. 연호
3. 기년
4. 사건
4. 1. 서양
- 5월 18일 - 헨리 2세와 엘레오노르가 결혼했다.[4]
- 2월 15일 - 콘라트 3세가 14년간의 통치 후 밤베르크에서 사망했다. 3월 9일 그의 조카 프리드리히 1세가 아헨에서 독일 왕으로 즉위했다. 콘라트 3세의 아들 프리드리히 4세는 슈바벤 공작이 되었다.
- 3월 21일 - 루이 7세는 엘레오노르와의 결혼을 무효화했다. 엘레오노르는 땅과 작위를 반환받았고, 6주 안에 헨리 2세와 재혼했다. 헨리 2세는 엘레오노르의 영토를 통해 셰르부르에서 바욘까지 영토를 확장했다.[4]
4. 1. 1. 레반트
봄 – 예루살렘 왕국의 왕 발두인 3세와 그의 어머니 멜리센드 여왕은 발두인의 이모인 오디에르나와 그녀의 남편 트리폴리 백작 레이몽 2세 사이의 분쟁에 개입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오디에르나는 긴 휴가를 결정하고 예루살렘 왕국으로 여행을 떠났고, 레이몽은 그녀를 남쪽 길로 에스코트했다. 트리폴리로 돌아오는 길에, 한 무리의 암살자들이 도시 남쪽 문에서 그를 암살했다. 수비대는 무기를 들고 거리로 쏟아져 나와 길을 막는 모든 무슬림을 살해했지만, 암살자들은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그들의 행동 동기는 알려지지 않았다.[1]여름 – 알레포의 셀주크 통치자 (''아타베크'')인 누르 앗딘은 오론테스 계곡의 십자군 영토 대부분을 재점령하여 안티오크 공국을 지중해를 따라 좁은 해안 지대 이상으로 축소시켰다. 트리폴리 백국은 변화가 없었고, 예루살렘 왕국은 동쪽으로 확장하려는 야망을 가지고 있으며, 중세 이집트의 파티마 칼리파국을 지배하려고 노력하면서 잠재적인 위협으로 남아 있었다.[3]
4. 1. 2. 유럽
- 5월 18일 - 헨리 2세와 엘레오노르가 결혼했다.[4]
- 2월 15일 - 콘라트 3세가 14년간의 통치 후 밤베르크에서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29세의 조카 프리드리히 1세가 며칠 후인 3월 9일 아헨에서 독일 왕으로 즉위했다. 콘라트 3세에게는 6살 된 아들 프리드리히 4세가 있었지만, 프리드리히 1세가 슈바벤 공작이 되고 독일 왕국의 단독 통치자가 되어 왕위를 계승받았다.
- 3월 21일 - 루이 7세가 엘레오노르와의 결혼을 부당 행위와 혈족 결혼을 이유로 파기하고 무효화했다. 엘레오노르는 땅과 작위를 반환받았다. 6주 안에 엘레오노르는 전년도에 아버지 죠프리 2세의 사망 후 앙주 백작령, 메인 백작령, 투렌 지방을 주장했던 헨리 2세와 재혼했다. 엘레오노르의 땅이 추가됨으로써 헨리 2세는 셰르부르에서 바욘까지 끊임없이 뻗어나가는 영토를 장악하게 되었다.[4]
4. 1. 3. 잉글랜드
- 5월 18일 - 헨리 2세와 아키텐의 엘레오노르가 결혼했다.[5]
- 4월 6일 - 영국의 왕 스티븐은 귀족들이 자신의 아들 외스타스에게 충성을 맹세하도록 강요했다. 외스타스는 영국 왕위의 정당한 상속자였다. 그러나 테오발드 캔터베리 대주교와 다른 주교들은 앙주의 헨리를 지지하며 외스타스의 왕위 계승을 거부했다. 스티븐은 주교들의 재산을 몰수했고, 테오발드는 플랑드르로 망명했다.[5]
- 스티븐은 뉴베리 성을 포위하고, 존 마셜에게 성을 넘기라고 요구하며 그의 아들 펨브룩 백작 윌리엄 마셜을 인질로 잡았다. 존 마셜이 항복을 거부하자 스티븐은 어린 윌리엄을 투석기로 성벽 너머로 던져버리겠다고 위협했다. 윌리엄은 이후 몇 달 동안 왕의 인질로 잡혀 있었다.[5]
4. 1. 4. 아프리카
알모하드 왕조가 마그레브 중부(지금의 알제리)를 정복하였다. 베자이아(Béjaïa)는 알모하드 왕조의 주요 해군 기지 중 하나가 되었다.[6]4. 1. 5. 메소아메리카
마틀라코아틀이 멕시코 계곡(Valley of Mexico)에 위치한 도시국가 아스카포찰코(āzcāpōtzalco|아스카포찰코nah)의 지배자가 되었다(1222년까지).4. 2. 동양
고려 강종이 고려의 제22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1]5. 탄생
- 고려 강종: 고려의 22대 국왕.[1]
- 5월 10일 - 고종: 고려의 국왕. (사망 1213년)[2]
- 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스코틀랜드 왕자. (사망 1219년)[3]
- 디에고 로페스 2세: 스페인 귀족. (사망 1214년)[4]
- 제프리: 헨리 2세의 서자. (사망 1212년)[5]
- 한탁주: 중국 정치가. (사망 1207년)[6]
- 이마이 카네히라: 일본 장군. (사망 1184년)
- 자메 드 아브네: 프랑스 귀족. (사망 1191년)
- 마리아 콤네나: 비잔티움 공주. (사망 1182년)
- 패트릭 1세: 스코틀랜드 귀족. (추정 날짜)
- 로제르 4세: 아풀리아 및 칼라브리아 공작. (사망 1161년)
- 로만 Mstislavich: 키예프 공작. (사망 1205년)
- 다이라노 토모모리: 일본 귀족. (사망 1185년)
- 고여려: 금나라의 정치가. (사망 1224년)
- 치부경국: 평지성의 아내. (사망 1231년)
- 성장무: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사망 1201년)
- 평지성: 헤이안 시대의 무장, 공경. (사망 1185년)
- 두르세 베렌게르 데 바르셀로나: 포르투갈 왕 산초 1세의 왕비. (사망 1198년)
- 겐 기요시: 헤이안 시대의 무장. (사망 1180년/1182년)
6. 사망
- 1월 8일 - 콘라트 1세, 찰링겐 공작, 독일 귀족 (* 1090년)
- 1월 18일 - 알베로 드 몽트뢰유, 독일 대주교
- 1월 29일 - 헤르만 2세, 마이센 변경백, 튀링겐 방백 (* 생년 미상)
- 2월 15일 - 콘라트 3세,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신성 로마 제국 초대 황제 (* 1093년)
- 2월 26일 (仁平|인표일본어 2년 1월 19일) - 진공춘(秦公春), 헤이안 시대의 관인 (* 생년 미상)
- 3월 3일 - 마틸다 드 부로뉴, 부로뉴 백작 부인, 잉글랜드 왕 스티븐의 왕비 (* 1105년?)
- 5월 3일 - 마틸다 드 불로뉴, 잉글랜드 왕비
- 6월 12일 - 헨리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자
- 8월 1일 - 알브레히트 1세, 마이센의 독일 주교 (드레스덴-마이센 로마 가톨릭 교구)
- 9월 13일 - 기야스 알딘 마수드, 셀주크 술탄
- 10월 12일 - 아돌프 3세, 베르크 및 외펠 백작 (* 1080년)
- 10월 14일 - 랄프 1세 (또는 라울), 베르망두아 백작, 프랑스 귀족
- 10월 24일 - 조셀랭 드 수아송, 프랑스 신학자
- 11월 13일 - 생 바르브의 윌리엄, 노르망디 주교
- 12월 20일 (仁平|인표일본어 2년 11월 23일) - 진해(珍海), 헤이안 시대의 승려, 학자, 화가 (* 1091년)
- 아델라드 오브 배스, 영국 철학자 (* 1080년)
- 길버트 피츠리처드 드 클레어, 허트퍼드 제1대 백작, 허트퍼드 후작
- 니콜라스 4세,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 1070년)
- 레이몽드 2세 (또는 라이문두스), 트리폴리 백작
- 로버트 오브 셀비, 영국 총독 및 재무관
- 테오발드 2세 (대왕), 샹파뉴 백작, 프랑스 귀족 (* 1090년)
- 테오파네스 케라메우스, 이탈리아 주교 (* 1129년)
- 테트마르 (또는 테오데마르), 독일 선교사
- 볼로디미르코 볼로다로비치, 갈리치아 공작 (* 1104년)
- 오대, 금나라의 황족 (* 생년 미상)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정보 없음)
[2]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r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정보 없음)
[3]
서적
Osprey - Command 12: Saladin
Osprey
[4]
서적
King Joh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웹사이트
John fitz Gilbert; the Marshal
http://wwwcastlewale[...]
Castles of Wales
2020-12-09
[6]
서적
La mer et les musulmans d'Occident VIIIe-XIIIe siècl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