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녕태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녕태자는 고려 태조와 숙목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로, 고려 광종 시기 왕권 강화 과정에서 숙청에 연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는 생전에 진주낭군으로 불렸으며, 아들 효당태자를 두었다. 경종 즉위 후 왕족들의 복수극으로 인해 976년에 살해되었다. 2002년 KBS 드라마 《제국의 아침》에서 배우 김광영이 원녕태자 역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천군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정보통신산업 정책 연구 및 수립 지원, 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유통시장 활성화, 정보통신기술 융합 및 활용, 국제 교류 및 해외 진출 지원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기관으로, 2009년 3개 기관 통합으로 설립되어 충청북도 진천군에 위치하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를 부설기관으로 두고 있다. - 진천군 - 백곡저수지
백곡저수지는 충청북도 여러 지역에 있는 저수지 이름이며, 특히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의 백곡저수지는 1963년 준공된 농업용 저수지로 유역 면적 8,479ha, 저수량 21,504천m3, 관개 면적 2,613.5ha의 규모를 가지나, 충청북도 내 여러 지역에 동명의 저수지가 있어 혼동에 주의해야 한다. - 976년 사망 - 요안니스 1세 치미스키스
요안니스 1세 치미스키스는 니키포로스 2세 포카스 암살 후 969년부터 976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재위하며 키예프 공국과 압바스 왕조에 대한 군사적 성공을 거두고 불가리아 정복, 시리아 일대 점령 등의 업적을 남겼다. - 976년 사망 - 보리스 2세
보리스 2세는 불가리아의 차르로, 알려지지 않은 여성과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둔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가계는 크룸 왕조와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고려 태조의 자녀 - 선의왕후 (고려)
선의왕후는 고려 태조의 딸이자 대종의 부인으로, 성종을 낳았으며 아들이 왕위에 올라 왕후로 추존되었고, 드라마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에 등장한다. - 고려 태조의 자녀 - 문원대왕
문원대왕은 고려 태조의 아들이자 정종과 광종의 동생으로, 이복 누이인 문혜왕후와 혼인하여 헌의왕후를 두었으며, 헌의왕후가 경종의 왕비가 되면서 왕으로 추존되었다고 추정된다.
| 원녕태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작위 | 고려 태조의 왕자 |
| 별칭 | 진주낭군 (鎭州郞君) |
| 생애 | |
| 출생일 | 미상 |
| 출생지 | 미상 |
| 사망일 | 976년 |
| 가족 | |
| 배우자 | 미상 |
| 자녀 | 효당태자 |
| 부친 | 태조 |
| 모친 | 숙목부인 |
| 이름 | |
| 한글 | 원녕태자 |
| 한자 | 元寧太子 |
| 로마자 표기 | Wonnyeong Taeja |
2. 생애
960년(광종 즉위 11년) 이후 광종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숙청을 단행했다.[2] 그러나 광종이 죽은 후 그의 아들 경종이 왕위를 계승했고, 광종 재위 기간 동안 숙청당했던 고려 왕족들은 이에 반대하는 왕족들의 주도 하에 복수극을 펼쳤다.
원녕태자와 그의 이복형제 효성태자 또한 976년(경종 즉위 1년)경에 살해되었다.[3] 그가 죽은 후 경종은 복수 방법에 불을 지폈고, 같은 해 11월 왕족의 계보를 돌려보냈다.[4]
한편, 원녕태자 등이 광종의 가족 숙청에 상당한 지원을 했다는 의견도 있었다.[5] 그는 생전에 '''진주낭군'''(진주낭군/鎭州郞君중국어)으로도 불렸다. 부인은 기록되지 않았으나, 아들 효당태자를 두었다.
2. 1. 가계
고려의 초대 태조와 태조의 제10비 숙목부인의 아들로,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며,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6] 혜종, 정종, 광종 등의 이복 형제이다. 생모 숙목부인은 진주(지금의 충청북도 진천군[7]) 출신이며 대광 명필(名必)의 딸이라고만 기록되어 있다.[8]현대의 일부 학자는 태조 즉위 후 곧바로 행한 인사이동에서 나타나는 임명필(林明弼)을 숙목부인의 아버지 명필과 동일인으로 보기도 한다. 이렇게 될 경우 숙목부인은 진천 임씨(진주 임씨)가 된다.[7] 충북대학교 교수 신호철도 자신의 연구 논문 〈고려의 건국과 진주 임씨의 역할〉에서 숙목부인을 진주 임씨라고 주장하고, 그 혼인 시기는 태조가 궁예의 휘하에 있으면서 진주 지역을 정벌하러 갔을 때, 즉 고려 건국 전으로 추측하였다.[9]
2. 2. 왕자 시절
광종은 960년(광종 11년) 이후 왕권 강화를 위해 호족들을 대대적으로 숙청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10]. 그러나 광종이 죽고 그 아들 경종이 즉위하자, 광종 때 숙청되었던 호족들은 976년(경종 원년) 경부터 집정 왕선의 주도 하에 복수극을 실시하였는데, 이때 원녕태자도 살해를 당하고 말았다[11]. 경종은 자신의 숙부뻘이 되는 원녕태자 등이 살해당하자 복수법에 염증을 느끼고, 이 해 음력 11월 왕선을 귀양보냈다[12]. 한편 이러한 점을 근거로, 원녕태자 등이 광종의 호족 숙청에 상당한 지원을 했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7][13].호는 '''원녕태자'''(元寧太子)이며, 생전에는 '''진주낭군'''(鎭州郞君)으로도 불렸다[7]. 원녕태자는 아들 효당태자를 둔 것으로 보아[6] 혼인을 한 것은 확실한 듯 하나, 아내가 누구였는지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3. 가족 관계
wikitable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9-24
[2]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Paju Book City
2000-03-15
[3]
서적
이야기 고려왕조사
Paju Book City
2007-02-15
[4]
문서
《고려사》권2〈세가〉권2 - 경종 원년 11월 - 왕선 등을 귀양보내다
[5]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Paju Book City
2000-03-25
[6]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원녕태자
[7]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숙목부인〉항목
http://people.aks.ac[...]
2012-08-15
[8]
문서
《고려사》권88〈열전〉권1 - 숙목부인
[9]
웹사이트
진천 임씨 종친회 - 고려의 건국과 진주 임씨의 역할
http://board.hometer[...]
[10]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2000-03-25
[11]
서적
이야기 고려왕조사
청아출판사
2007-02-15
[12]
문서
《고려사》권2〈세가〉권2 - 경종 원년 11월 - 왕선 등을 귀양보내다
[13]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2000-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