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수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수는 일본 군대에서 사용된 칭호로, 계급으로서의 원수와 칭호로서의 원수로 구분된다. 계급으로서의 원수는 1871년부터 1873년까지 존재했으며, 사이고 다카모리가 유일하게 임명되었다. 1898년부터 1945년까지는 칭호로서의 원수 제도가 운영되었으며, 육군과 해군 대장 중 공이 큰 자에게 군무 고문 자격으로 부여되었다. 1945년, 칭호로서의 원수 제도는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원수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일본의 원수 - 야마가타 아리토모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조슈번 출신의 사무라이 아들로, 일본 육군의 창설과 근대화에 기여하고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을 지휘했으며, 군국주의적 가치 강조와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을 추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원수 (일본)
개요
명칭원수 (元帥)
로마자 표기Gwon-su
일본어 표기げんすい (Gensui)
계급
군대 계급계급
상세 정보
임명원수부 조례에 따라 천황이 임명
자격공적이 혁혁한 상장 중에서 선발
대우군사 참모관의 우두머리로서 천황을 보좌하고 군정에 참여
예우정1위에 준하는 예우
역사1871년 8월 병부성에 대원수 및 원수 설치 (이후 폐지)
1898년 원수부 조례 제정
특징대원수에 다음가는 계급
육군과 해군 모두에 존재
참고천황이 대원수가 되었을 때의 계급장을 규정한 기록이 있음

2. 계급으로서의 원수 (1871년~1873년)

1871년 일본군에 처음으로 원수 계급이 도입되었으나, 매우 짧은 기간 동안만 존속했다. 1872년 사이고 다카모리가 육군 원수에 임명되었으나, 1873년 관제 개정으로 원수 계급이 폐지되면서 사이고 다카모리도 육군 대장으로 변경되었다.

2. 1. 도입 배경

1871년 8월 병부성 상당표[31][32]와 1872년 10월 해군성 관등표[34]에 게재된 원수 계급이 일본군에서 등장한 첫 원수이다.[29][30] 실제로 원수에 임명된 사람은 사이고 다카모리뿐인데, 사이고는 1872년 8월 22일 육군 원수를 겸하게 되어 참의 겸 육군 원수가 되고 근위 도독에 임명되었다.[36] 같은 해 9월 1일에는 참의 겸 육군 원수를 고쳐 육군 원수 겸 참의에 임명되었다.[36][39] 9월 7일에는 태정관포고 제252호를 반포해 대원수 및 원수의 제복과 계급장을 제정했다.[40]

이후 1873년 5월 8일 관제를 개정해 대원수와 원수를 폐지했으며,[30][35] 5월 12일 유일한 원수였던 사이고도 육군 대장 겸 참의에 임명되었다.[41] 이를 끝으로 일본사에서 계급으로서의 원수는 다시 등장하지 않았다.

2. 2. 사이고 다카모리

사이고 다카모리는 일본군 역사상 유일하게 원수 계급에 임명된 인물이다.[10] 1872년 8월 22일, 사이고 다카모리는 참의 겸 육군 원수를 겸임하며 근위 도독에 임명되었다.[36] 이후 9월 1일에는 육군 원수 겸 참의로 직책이 변경되었다.[36][39]

1873년 5월 8일 관제 개정으로 대원수 및 원수가 폐지되면서,[30][35] 사이고 다카모리는 육군 원수 직에서 해제되었다. 같은 해 5월 12일, 사이고는 다시 육군 대장 겸 참의에 임명되었다.[41] 이를 끝으로 일본사에서 계급으로서의 원수는 다시 등장하지 않았다.

2. 3. 제도 폐지

1873년 5월 8일 관제 개정으로 대원수와 함께 원수 계급이 폐지되었다.[30][35] 같은 해 5월 12일 유일한 원수였던 사이고 다카모리는 육군 대장 겸 참의에 임명되었다.[41] 이를 끝으로 일본사에서 계급으로서의 원수는 다시 등장하지 않았다.

3. 칭호로서의 원수 (1898년~1945년)

1898년 「원수부 조례」 제정으로 칭호로서의 원수 제도가 부활했다.[38] 야마모토 이소로쿠고가 미네이치처럼 요건을 충족하고도 원수 칭호를 받지 못했거나, 현역 대장인 채로 사망했을 때 사망일로 소급하여 원수 칭호를 부여하기도 했다. 오쿠 야스카타는 고령과 청력 저하로 군사 고문 역할 수행이 어렵자 원수 사임을 희망했지만 각하되었다.

이때의 원수는 계급이 아니라 칭호였기에 육군 원수나 해군 원수로 불리지 않았다.[44][45] 원수 칭호를 받아도 계급은 대장이었기에 원수육군대장이나 원수해군대장이라 불렸으며, 단순히 원수라고만 칭하기도 했다.[44][45]

메이지 시대에는 육군 5명, 해군 3명, 다이쇼 시대에는 육군과 해군 각각 6명, 쇼와 시대 초기에는 육군 6명, 해군 4명이 원수 칭호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육군과 해군에서 각각 3명씩 원수 칭호를 받았는데, 이 중 해군 대장 2명은 사후 추서되었다.

1926년 4월 26일,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에게도 원수 예우가 부여되었다. 순종은 대한제국 황제에서 이왕으로 격하된 뒤 일본 육군 대장의 예우를 받고 있었는데, 사망 직전 원수로 추서된 것이다. 순종은 전날 사망했으나, 정식 보고 전에 원수 추서가 이루어졌다.[46]

1945년 칙령 제669호 「원수부 조례 등 폐지의 건」에 따라 칭호로서의 원수 제도도 폐지되었다.[47] 당시 생존 중이던 원수는 나시모토 모리마사,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 데라우치 히사이치, 하타 슌로쿠, 나가노 오사미 등 다섯 명이었다.

3. 1. 제도 도입 배경

1898년(메이지 31년) 원수부 조례가 제정되어 육해군 대장 중에서 특별히 공이 큰 자에게 군무 고문으로서 원수 칭호를 부여하게 되었다.[38] 이 조례에 따르면 대장 승진 후 공을 세운 자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대장 승진 전에 공을 세운 경우에는 원수 칭호를 받을 수 없었다. 실제로 러일 전쟁에서 카자크 기병을 상대로 승리한 아키야마 요시후루는 당시 계급이 소장이었기 때문에 대장으로 승진한 후에도 원수 칭호를 받지 못했다.[38]

조례 제정 직후 원수 칭호를 받은 사람은 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친왕, 야마가타 아리토모, 오야마 이와오 육군 대장과 사이고 주도 해군 대장 등 4명이었다. 같은 해 칙령 제96호 「원수 휘장의 제식 및 장착에 관한 건」을 통해 원수 휘장이 만들어졌다.[42] 1918년에는 칙령 제331호 「원수 패도 제식」이 제정되어, 일종의 원수장에 해당하는 원수도(원수 패도)를 패용하게 되었다.[43] 원수들은 천황의 최고 군사 고문으로 원수부에 소속되었고, 육해군 대장과 달리 종신 현역이었다.

3. 2. 원수부 조례

1898년 「원수부 조례」가 제정되어 육해군 대장 중 탁월한 공을 세운 자에게 군사 고문으로서 원수 칭호를 부여하기로 했다.[38] 조례 제정 직후 원수 칭호를 받은 사람은 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친왕, 야마가타 아리토모, 오야마 이와오 육군 대장과 사이고 주도 해군 대장 등 총 4명이었다. 같은 해에 칙령 제96호 「원수 휘장의 제식 및 장착에 관한 건」을 통해 원수 휘장이 만들어졌다.[42] 1918년에는 칙령 제331호 「원수 패도 제식」이 제정되어 이른바 원수도로 불리는 원수 패도를 패용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일종의 원수장에 해당했다.[43] 원수들은 천황의 최고 군사 고문으로 원수부에 속했고 육해군 대장과 달리 종신 현역이었다.

이때의 원수는 계급이 아니라 칭호였기 때문에 육군 원수나 해군 원수로 불리지 않았다.[44][45] 원수 칭호를 받아도 계급은 대장이었기에 원수육군대장이나 원수해군대장이라 불렸으며, 단순히 원수라고만 칭하기도 했다.[44][45]

메이지 시대에는 육군에서 5명, 해군에서 3명이 원수 칭호를 받았으며, 다이쇼 시대에는 육군과 해군에서 각각 6명씩, 쇼와 시대 초기에는 육군에서 6명, 해군에서 4명이 원수 칭호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때는 육군과 해군에서 각각 3명씩 원수 칭호를 받았는데, 이 중 해군 대장 2명은 사후 추서된 사례였다.

1926년 4월 26일, 순종에게도 원수 예우가 부여되었다. 순종은 대한제국 황제에서 이왕으로 격하된 뒤 일본 정부로부터 육군 대장의 예우를 받고 있었는데, 사후 원수로 추서된 것이었다. 순종은 전날에 사망했는데 정식으로 보고되기 전에 원수 추서가 이루어졌다.[46]

1945년 칙령 제669호 「원수부 조례 등 폐지의 건」에 따라 칭호로서의 원수 제도도 폐지되었다.[47] 당시 생존 중이던 원수는 나시모토 모리마사,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 데라우치 히사이치, 하타 슌로쿠, 나가노 오사미 등 다섯 명이었다.

3. 3. 원수 휘장 및 원수도

1898년 칙령 제96호 「원수 휘장의 제식 및 장착에 관한 건」으로 원수 휘장이 제정되었다.[42] 1918년에는 칙령 제331호 「원수 패도 제식」이 제정되어 이른바 원수도로 불리는 원수 패도를 패용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일종의 원수장에 해당했다.[43]

3. 4. 원수의 호칭

이때의 원수는 계급이 아니라 칭호였기 때문에 '육군 원수'나 '해군 원수'로 불리지 않았다.[44][45] 원수 칭호를 받아도 계급은 대장이었기에 '원수육군대장'이나 '원수해군대장'으로 불렸으며, 간단히 '원수'라고만 칭하기도 했다.[44][45] 예를 들어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경우, "원수 해군 대장 야마모토 이소로쿠" 또는 "야마모토 원수"라고 부르는 것이 옳고, "해군 원수 야마모토 이소로쿠", "야마모토 해군 원수" 등으로 부르는 것은 잘못된 표현이다.

3. 5. 대한제국 순종

1926년 4월 26일,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이 일본 정부로부터 원수 예우를 받았다.[46] 순종은 대한제국 황제에서 이왕(李王)으로 격하된 뒤 일본 육군 대장의 예우를 받고 있었는데, 사망 직전 원수로 추서된 것이다.[46] 순종은 전날 사망했으나, 정식 보고 전에 원수 추서가 이루어졌다.[46]

3. 6. 제도 폐지

1945년 칙령 제669호 「원수부 조례 등 폐지의 건」에 따라 칭호로서의 원수 제도도 폐지되었다.[47] 폐지 당시 생존해 있던 원수는 나시모토 모리마사,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 데라우치 히사이치, 하타 슌로쿠, 나가노 오사미 다섯 명이었다.

4. 역대 원수

일본군에서 원수 제도는 1871년(메이지 4년) 병부성에서 처음 나타났으며,[5] 1872년에는 해군성 관등 표에도 등장했다.[8] 1872년 사이고 다카모리참의 겸 '''육군 원수'''로 임명된 것이[10] 실제로 임관된 유일한 사례이다.

1873년 관제 개정으로 대원수 및 원수가 폐지되면서,[4] [9] 사이고 다카모리는 육군 원수에서 해제되고 육군 대장으로 임명되었다.[19] 이처럼 계급으로서의 원수 제도는 매우 짧은 기간 동안만 운용되었다.

1898년 원수부 조례가 제정되면서 "육해군 대장 중 노공 탁월한 자"에게 '''원수''' 칭호를 부여하게 되었다.[11] 이때 칭호를 받은 인물은 고마츠노미야 아키히토 친왕, 야마가타 아리토모, 오야마 이와오, 사이고 주도였다. 원수는 천황의 최고 군사 고문으로서 원수부에 속했으며, 종신 현역이었다.

메이지 시대에는 육군 5명·해군 3명(사이고 다카모리 제외), 다이쇼 시대에는 육군 6명·해군 6명, 쇼와 시대에는 육군 6명·해군 4명이 원수 칭호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육군 3명, 해군 3명이 원수로 임명되었는데, 야마모토 이소로쿠, 고가 미네이치는 사후 추서였고, 나가노 오사미가 유일하게 생전에 서임되었다.

1945년 원수부 조례 폐지로 일본의 원수 제도는 폐지되었다.[26]

4. 1. 육군 원수

사이고 다카모리는 1872년 7월 20일에 육군 원수로 임명되었다.[10] 일본 근대 군대 역사상 "육군 원수" 계급에 임관된 것은 사이고 다카모리가 유일하다.[10]

사진이름생몰년임명일출신지
사이고 다카모리
(西郷隆盛)
1828년-1877년1872년 7월 20일가고시마현


4. 2. 원수육군대장

(小松宮彰仁親王)1846년-1903년1898년 1월 20일일본 황실
야마가타 아리토모
(山県有朋)1838년-1922년야마구치현
오야마 이와오
(大山厳)1842년-1916년가고시마현
노즈 미치쓰라
(野津道貫)1841년-1908년1906년 1월 31일가고시마현
오쿠 야스카타
(奥保鞏)1847년-1930년1911년 10월 24일후쿠오카현
하세가와 요시미치
(長谷川好道)1850년-1924년1915년 1월 9일야마구치현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루 친왕
(伏見宮貞愛親王)1858년-1923년일본 황실
가와무라 가게아키
(川村景明)1850년-1926년가고시마현
데라우치 마사타케
(寺内正毅)1852년-1919년1916년 6월 24일야마구치현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친왕
(閑院宮載仁親王)1865년-1945년1919년 12월 12일일본 황실
우에하라 유사쿠
(上原勇作)1856년-1933년1921년 4월 27일미야자키현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
(久邇宮邦彦王)1873년-1929년1929년 1월 27일일본 황실사후 추서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梨本宮守正王)1874년-1951년1932년 8월 8일일본 황실
무토 노부요시
(武藤信義)1868년-1933년1933년 5월 3일사가현
데라우치 히사이치
(寺内寿一)1879년-1946년1943년 6월 21일도쿄도
스기야마 겐
(杉山元)1880년-1945년1943년 6월 21일후쿠오카현
하타 슌로쿠
(畑俊六)1879년-1962년1944년 6월 2일후쿠시마현


4. 3. 원수해군대장

(西郷従道)1843년-1902년1898년 1월 20일가고시마현
이토 스케유키
(伊東祐亨)1843년-1914년1906년 1월 31일가고시마현
이노우에 요시카
(井上良馨)1845년-1929년1911년 10월 31일가고시마현
도고 헤이하치로
(東郷平八郎)1847년-1934년1913년 4월 21일가고시마현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케히토 친왕
(有栖川宮威仁親王)1862년-1913년1913년 7월 7일일본 황실사후 추서
이주인 고로
(伊集院五郎)1852년-1921년1917년 5월 26일가고시마현
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
(東伏見宮依仁親王)1867년-1922년1922년 6월 27일일본 황실사후 추서
시마무라 하야오
(島村速雄)1858년-1923년1923년 1월 8일고치현사후 추서
가토 도모사부로
(加藤友三郎)1861년-1923년1923년 8월 24일히로시마현사후 추서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
(伏見宮博恭王)1876년-1946년1932년 5월 27일일본 황실
야마모토 이소로쿠
(山本五十六)1884년-1943년1943년 4월 18일니가타현사후 추서
나가노 오사미
(永野修身)1880년-1947년1943년 6월 21일고치현
고가 미네이치
(古賀峯一)1885년-1944년1944년 3월 31일사가현사후 추서


참조

[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 서적 海軍制度沿革 海軍大臣官房 2024-12-17
[3] 아카이브 単行書・大政紀要・下編・第六十五巻・官職八・陸軍武官
[4] 아카이브 単行書・大政紀要・下編・第六十六巻
[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6] 아카이브 兵部省官等改定・二条
[7]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8]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9]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0] 아카이브 第20号壬申7月19、20、21、22、23、24、25、27、29、晦日
[11] 저널 元帥府条例(明治31年1月20日勅令第5号) 日本マイクロ写真 1898-01-20
[12] 아카이브 参議西郷隆盛任陸軍元帥兼参議
[13]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4] 아카이브 海軍武官及文官服制改定
[15] 아카이브 夏御軍衣
[16]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7] 문서 刑部
[18] 아카이브 陸軍武官俸給表
[19] 아카이브 太政官日誌明治6年第67号
[20] 아카이브 職員録・明治六年一月・袖珍官員録改
[21] 아카이브 河村海軍大輔ヨリ三大臣ヘ海陸軍折衝ノ順次元帥撰任戦艦准備等四個条上陳
[22] 저널 元帥徽章ノ制式及装著ニ関スル件(明治31年5月25日勅令第96号) 日本マイクロ写真 1898-05-25
[23] 저널 元帥佩刀制式(大正7年8月29日勅令第331号) 日本マイクロ写真 1918-08-29
[24] 서적 大将と元帥-元帥府の誕生
[25] 서적
[26] 저널 元師府条例等廃止ノ件(昭和20年11月30日勅令第669号) 日本マイクロ写真 1945-11-30
[27] 아카이브 元帥ノ礼遇ヲ賜フ
[28] 서적 朝鮮王公族 ―帝国日本の準皇族 中公新書 2015-03
[29] 아카이브 単行書・大政紀要・下編・第六十五巻・官職八・陸軍武官
[30] 아카이브 単行書・大政紀要・下編・第六十六巻
[3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2] 아카이브 兵部省官等改定・二条
[33]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6] 문서 明治5年 陸軍省日誌 坤 坤丙 第16号従6月同年第36号至12月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72-07-19
[37] 문서 刑部
[38] 저널 元帥府条例(明治31年1月20日勅令第5号) {{NDLDC|2947651/1}} 日本マイクロ写真 1898-01-20
[39] 문서 明治5年 「大日記 壬申8月 太政官之部 戊」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0] 서적 法令全書 {{NDLDC|787952/152}} 内閣官報局
[41] 문서 太政官日誌明治6年第67号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73-04-25
[42] 저널 元帥徽章ノ制式及装著ニ関スル件(明治31年5月25日勅令第96号) {{NDLDC|2947757/1}} 日本マイクロ写真 1898-05-25
[43] 저널 元帥佩刀制式(大正7年8月29日勅令第331号) {{NDLDC|2953936/1}} 日本マイクロ写真 1918-08-29
[44] 서적 第一章 大将と元帥-元帥府の誕生
[45] 서적
[46] 서적 朝鮮王公族 ―帝国日本の準皇族 中公新書 2015-03
[47] 저널 元師府条例等廃止ノ件(昭和20年11月30日勅令第669号) {{NDLDC|2962171/1}} 日本マイクロ写真 1945-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