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시모토 모리마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시모토 모리마사(梨本宮 守正)는 일본 제국의 황족이자 군인으로, 1874년 교토에서 태어났다. 그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프랑스 유학 후 육군 대장까지 진급했다. 1932년 원수 칭호를 받았으며, 군사참의관 등을 역임했다. 태평양 전쟁 중에는 주요 군사 지휘관을 맡지 않았고, 1944년 은퇴 후 1945년 A급 전범 용의자로 체포되어 스가모 교도소에 수감되었다가 석방되었다. 1947년 황족 신분을 박탈당하고 평민이 되었으며, 1951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시모토노미야 - 이방자
이방자는 일본 왕족 출신으로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가 되어 이은과 결혼 후 한국으로 귀국하여 장애인 복지 사업에 헌신하였으며 사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 나시모토노미야 - 히로하시 노리코
일본 황족 출신인 히로하시 노리코는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의 둘째 왕녀로 태어나 야마시나노미야 타케히코 왕과의 파혼 후 히로하시 사네미츠 백작과 결혼하여 평민이 되었으며, 결혼 후 자선 활동과 다이 니폰 부인회 시부야 지부장으로 활동했다. - 의민황태자 - 이방자
이방자는 일본 왕족 출신으로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가 되어 이은과 결혼 후 한국으로 귀국하여 장애인 복지 사업에 헌신하였으며 사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 의민황태자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일본의 왕 - 모치히토 왕
고시라카와 천황의 아들인 모치히토 왕은 미나모토노 요리마사와 함께 헤이케 타도를 계획하고 겐지들에게 영지를 내려 거병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살해당했고, 그의 거병은 실패했지만 각지의 겐지들이 헤이케 멸망의 계기가 되었다. - 일본의 왕 - 아사카 야스히코
아사카 야스히코는 일본 황족 출신 군인으로 아사카노미야를 창설하고 육군 중장까지 진급했으나, 난징 대학살 연루 의혹과 전후 평민으로 강등된 후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여생을 보낸 인물이다.
나시모토 모리마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梨本宮守正王) |
출생일 | 1874년 3월 9일 |
출생지 | 교토, 일본 |
사망일 | 1951년 1월 2일 |
사망 장소 | 시부야구, 도쿄, 일본 |
매장지 | 도요시마오카 묘지 |
아버지 |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
어머니 | 하라다 미쓰에 |
배우자 | 나베시마 이쓰코 (1897년 결혼) |
자녀 | 이방자 (리 마사코), 한국의 왕세자빈 히로하시 노리코 |
가문 | 나시모토노미야 → 나시모토 가(신적강하) |
칭호 | 전하 → 신적강하 |
가계 | 숭광 천황 남계 17세손 레이겐 천황 여계 7세손 |
어인 | 불명 |
왕위 계승 | |
나시모토노미야 | 1885년 12월 2일 – 1947년 10월 14일 |
나시모토노미야 당주 | 1885년 12월 2일 – 1951년 1월 2일 |
군 경력 | |
복무 기간 | 1899년-1944년 |
계급 | 원수 [[File:元帥徽章.svg|25px]] |
지휘 | 제1여단 제16사단 |
참전 | 러일 전쟁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
훈장 | 대훈위 국화장경식 욱일장 금치훈장 성 이슈트반 훈장 |
서명 | 불명 |
주요 직책 | |
직책 | 황전강구소 총재 |
기타 정보 | |
일본어 표기 | 梨本宮守正王 (なしもとのみや もりまさおう) |
2. 생애
1874년 교토에서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과 뇨보인 하라다 미쓰코(原田光枝子)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닌코 천황의 조카로 그는 메이지 천황의 사촌이었다.
본래 아명은 다다(多田)였으나 1885년 12월 2일 메이지 천황의 명으로 나시모토노미야 당주 기쿠마로 왕의 양자가 되면서 이듬해 '''모리마사'''(守正)로 개칭하였다. 원래 기쿠마로 왕은 모리오사 친왕 이후 나시모토노미야 가문의 양자로써 나시모토노미야를 이을 예정이었으나, 본가인 야마시나노미야에 후사가 단절되어 본가를 이어야 한다는 이유로 파양, 다시 야마시나노미야로 환적(還籍)하고 친부 야마시나노미야 아키라 친왕의 뒤를 이었다. 때문에 모리마사는 실제로는 나시모토노미야 3대 당주가 되어야 하지만 공식적으로는 2대 당주가 되었다.
그의 이복 형제로는 가야 구니노리 왕자,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왕자(1945년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역임), 아사카 야스히코 왕자, 구니 다카 왕자, 구니 구니요시 왕자 등이 있었다.
나시모토 모리마사는 다른 황족들과 마찬가지로 군인의 길을 걸었다. 육군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후, 1899년 육군 보병 제39연대에서 소위로 임관했다.[26] 1903년에는 프랑스 생시르 육군 특별 사관학교에 입학했으나, 이듬해 러일 전쟁 발발로 귀국하여 오쿠 야스카타 장군 휘하의 대위로 복무했다.[26] 러일전쟁에서 참모본부에 근무했고, 제3군 소속 무관으로 출정했다.[26] 이 공적으로 1906년(메이지 39년) 4월 1일에 공4급 금계훈장을 수여받았다.[26]
전쟁 승리 후, 나시모토는 다시 프랑스로 유학하여 프랑스 육군 대학교를 졸업했다.[26] 1906년 8월에 다시 프랑스로 돌아가 1909년 7월까지 머물렀으며,[26] 그 동안 1906년에 보병 소령, 1908년에 중령, 1910년에 대령으로 진급했다.[26]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제16사단장 등 부대장을 역임했고, 1917년 8월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16사단 사령관이 되었다.[26]
1919년 11월 일본 육군 참모 본부의 일원이 되었고, 1922년 8월에 육군 대장으로 승진했다.[26] 1932년 8월 8일, 원수 칭호를 받았으며, 원수 및 해군 원수 회의의 회원이 되었다.[26] 1940년(쇼와 15년) 4월 29일에는 대훈위 국화대수경을 수여받았다.[26] 군사참의관, 일불 협회 총재, 재향 군인회 총재, 대일본 무덕회 총재 등을 역임했다.[26]
태평양 전쟁 동안에는 주요 군사 지휘관을 맡지 않았다. 1944년 70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육군 해체 직전인 1945년 11월 30일에 퇴역하였다.[26]
1900년(메이지 33년) 옛 사가 번주이자 이탈리아 대사인 나베시마 나오히로 후작의 차녀인 이쓰코와 결혼하였고,[25] 마사코 여왕, 노리코 여왕 두 딸을 두었다. 이쓰코는 다이쇼 천황의 며느리인 지치부노미야 세츠코의 외숙모였다. 부부는 두 딸과 한 명의 양자를 두었다.
나시모토 모리마사는 패전 후 이세 신궁의 제사장이었던 덕분에 국가신토의 주체적인 우두머리로 간주되어, 1945년 12월 2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명령에 따라 "A급 전범" 용의자로 체포되었다.[8] 황족으로서는 유일하게 A급 전범 용의자로 지정되어 스가모 교도소(巣鴨プリズン)에 구치되었다.[8]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친왕 다음으로 황실에서 두 번째로 높은 지위에 있었다.
나시모토 모리마사 왕의 체포는 일본인들 사이에서 큰 우려를 불러일으켰는데, 이는 쇼와 천황과 황실의 더 고위 구성원들 역시 전쟁 범죄로 기소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기 때문이다. 그는 쇼와 천황이 미국이 주도하는 정치 개혁에 순응하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인질로 여겨졌다.
본인 스스로도 자신의 기억이 없다고 자각하고 있었고, 6개월 형을 선고받고 만기 출소로 석방되었으나 그가 돌아왔을 때 나시모토궁저는 집단 강도의 습격으로 가재 대부분이 도난당해 있었다(범인은 대부분 체포되었다).[8] 1946년 4월 13일 미국 당국은 그를 기소 없이 석방했다.
같은 황족 원수라고는 하지만 총수부장을 오랫동안 지냈던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친왕이나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에 비하면 군무나 시세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았고,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듯한 과거의 인물"(하타 아키히코秦郁彦), "어쩌다 실수로 (그런 곳에) 불려갔다고밖에 생각할 수 없다"(한도 가즈토시半藤一利) 등의 평을 받았다.[9] 아사미 마사오(浅見雅男)는 요컨대 전승국에 의한 황실에 대한 공갈이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다.[10]
모리마사 왕과 같은 A급 전범으로 지정되어 법정에 출두한 뒤에 자결했던 고노에 후미마로는 모리마사 왕이 출두했다는 신문기사를 보고 "전하도 전하시다. 어찌 폐하를 위해, 일본을 위해 어찌 자결해 주지 않으신 것인가?"라고 분하다는 듯이 탄식했다고 한다.[11]
1946년 5월 23일, 귀족원 의원을 사직하였다.[12] 연합국군에 의한 점령 통치하인 1947년 10월에 황적을 이탈하고 같은 달에 공직에서도 추방되었다.[13] 재구성된 궁내청의 결정에 따라, 나시모토 왕자와 왕비는 1947년 10월 14일 황족 신분을 박탈당하고 평민이 되었다. 다른 전 일본 황족들과 달리, 연합군 최고 사령부(SCAP)는 전 나시모토 왕자를 그의 군 경력 때문에 숙청했고, 그의 지위와 재산 상실에 대한 어떠한 보상도 허용하지 않았다. 도쿄 대공습으로 그의 도쿄 거주지는 이미 파괴되었고, 그는 세금을 납부하기 위해 시골 별장을 팔아야 했다. 그는 다른 더 광범위한 전쟁 기록을 가진 많은 전직 귀족들과 달리, 가난 속에서 마지막 몇 해를 보냈다.
1951년 1월 1일에 자신의 저택에서 심장마비로 숨을 거두었다. 향년 76세. 서거 후인 1952년 3월에 공직 추방이 해제되었다.[14] 그의 미망인, 전 나시모토 이쓰코 왕비는 1976년 8월 사망할 때까지 황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녀는 1972년에 자서전인 ''나시모토노미야 이쓰코 오히 닛키'' (''나시모토 이쓰코 왕비의 회고록'')를 출판했다.
2022년 현재, 유즈노사할린스크의 병원 부지 내에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전하 소방어"라고 새겨진 비석의 일부가 방치되어 있다. 1936년에 사할린을 방문했을 때, 소방대를 시찰한 (즉 "어시찰") 기념으로 설치된 것으로 여겨진다. 사할린 주 향토 박물관은, 비석의 보존이나 전시에 대해 "일본의 군국주의를 미화하는" 것과 "의심스러운 인물을 조장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고 한다.[15]
2. 1. 유년기 및 교육
1874년 교토에서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과 뇨보인 하라다 미쓰코(原田光枝子)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닌코 천황의 조카로 그는 메이지 천황의 사촌이었다.본래 아명은 다다(多田)였으나 1885년 12월 2일 메이지 천황의 명으로 나시모토노미야 당주 기쿠마로 왕의 양자가 되면서 이듬해 '''모리마사'''(守正)로 개칭하였다. 원래 기쿠마로 왕은 모리오사 친왕 이후 나시모토노미야 가문의 양자로써 나시모토노미야를 이을 예정이었으나, 본가인 야마시나노미야에 후사가 단절되어 본가를 이어야 한다는 이유로 파양, 다시 야마시나노미야로 환적(還籍)하고 친부 야마시나노미야 아키라 친왕의 뒤를 이었다. 때문에 모리마사는 실제로는 나시모토노미야 3대 당주가 되어야 하지만 공식적으로는 2대 당주가 되었다.
그의 이복 형제로는 가야 구니노리 왕자,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왕자(1945년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역임), 아사카 야스히코 왕자, 구니 다카 왕자, 구니 구니요시 왕자 등이 있었다.
2. 2. 군 경력
나시모토 모리마사는 다른 황족들과 마찬가지로 군인의 길을 걸었다. 육군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후, 1899년 육군 보병 제39연대에서 소위로 임관했다.[26] 1903년에는 프랑스 생시르 육군 특별 사관학교에 입학했으나, 이듬해 러일 전쟁 발발로 귀국하여 오쿠 야스카타 장군 휘하의 대위로 복무했다.[26] 러일전쟁에서 참모본부에 근무했고, 제3군 소속 무관으로 출정했다.[26] 이 공적으로 1906년(메이지 39년) 4월 1일에 공4급 금계훈장을 수여받았다.[26]전쟁 승리 후, 나시모토는 다시 프랑스로 유학하여 프랑스 육군 대학교를 졸업했다.[26] 1906년 8월에 다시 프랑스로 돌아가 1909년 7월까지 머물렀으며,[26] 그 동안 1906년에 보병 소령, 1908년에 중령, 1910년에 대령으로 진급했다.[26]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제16사단장 등 부대장을 역임했고, 1917년 8월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16사단 사령관이 되었다.[26]
1919년 11월 일본 육군 참모 본부의 일원이 되었고, 1922년 8월에 육군 대장으로 승진했다.[26] 1932년 8월 8일, 원수 칭호를 받았으며, 원수 및 해군 원수 회의의 회원이 되었다.[26] 1940년(쇼와 15년) 4월 29일에는 대훈위 국화대수경을 수여받았다.[26] 군사참의관, 일불 협회 총재, 재향 군인회 총재, 대일본 무덕회 총재 등을 역임했다.[26]
태평양 전쟁 동안에는 주요 군사 지휘관을 맡지 않았다. 1944년 70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육군 해체 직전인 1945년 11월 30일에 퇴역하였다.[26]
2. 3. 결혼과 가족
1900년(메이지 33년) 옛 사가 번주이자 이탈리아 대사인 나베시마 나오히로 후작의 차녀인 이쓰코와 결혼하였고,[25] 마사코 여왕, 노리코 여왕 두 딸을 두었다. 이쓰코는 다이쇼 천황의 며느리인 지치부노미야 세츠코의 외숙모였다. 부부는 두 딸과 한 명의 양자를 두었다.2. 4. 전후 활동과 A급 전범 논란
나시모토 모리마사는 패전 후 이세 신궁의 제사장이었던 덕분에 국가신토의 주체적인 우두머리로 간주되어, 1945년 12월 2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명령에 따라 "A급 전범" 용의자로 체포되었다.[8] 황족으로서는 유일하게 A급 전범 용의자로 지정되어 스가모 교도소(巣鴨プリズン)에 구치되었다.[8]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친왕 다음으로 황실에서 두 번째로 높은 지위에 있었다.나시모토 모리마사 왕의 체포는 일본인들 사이에서 큰 우려를 불러일으켰는데, 이는 쇼와 천황과 황실의 더 고위 구성원들 역시 전쟁 범죄로 기소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기 때문이다. 그는 쇼와 천황이 미국이 주도하는 정치 개혁에 순응하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인질로 여겨졌다.
본인 스스로도 자신의 기억이 없다고 자각하고 있었고, 6개월 형을 선고받고 만기 출소로 석방되었으나 그가 돌아왔을 때 나시모토궁저는 집단 강도의 습격으로 가재 대부분이 도난당해 있었다(범인은 대부분 체포되었다).[8] 1946년 4월 13일 미국 당국은 그를 기소 없이 석방했다.
같은 황족 원수라고는 하지만 총수부장을 오랫동안 지냈던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친왕이나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에 비하면 군무나 시세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았고,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듯한 과거의 인물"(하타 아키히코秦郁彦), "어쩌다 실수로 (그런 곳에) 불려갔다고밖에 생각할 수 없다"(한도 가즈토시半藤一利) 등의 평을 받았다.[9] 아사미 마사오(浅見雅男)는 요컨대 전승국에 의한 황실에 대한 공갈이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다.[10]
모리마사 왕과 같은 A급 전범으로 지정되어 법정에 출두한 뒤에 자결했던 고노에 후미마로는 모리마사 왕이 출두했다는 신문기사를 보고 "전하도 전하시다. 어찌 폐하를 위해, 일본을 위해 어찌 자결해 주지 않으신 것인가?"라고 분하다는 듯이 탄식했다고 한다.[11]
1946년 5월 23일, 귀족원 의원을 사직하였다.[12] 연합국군에 의한 점령 통치하인 1947년 10월에 황적을 이탈하고 같은 달에 공직에서도 추방되었다.[13] 재구성된 궁내청의 결정에 따라, 나시모토 왕자와 왕비는 1947년 10월 14일 황족 신분을 박탈당하고 평민이 되었다. 다른 전 일본 황족들과 달리, 연합군 최고 사령부(SCAP)는 전 나시모토 왕자를 그의 군 경력 때문에 숙청했고, 그의 지위와 재산 상실에 대한 어떠한 보상도 허용하지 않았다. 도쿄 대공습으로 그의 도쿄 거주지는 이미 파괴되었고, 그는 세금을 납부하기 위해 시골 별장을 팔아야 했다. 그는 다른 더 광범위한 전쟁 기록을 가진 많은 전직 귀족들과 달리, 가난 속에서 마지막 몇 해를 보냈다.
1951년 1월 1일에 자신의 저택에서 심장마비로 숨을 거두었다. 향년 76세. 서거 후인 1952년 3월에 공직 추방이 해제되었다.[14] 그의 미망인, 전 나시모토 이쓰코 왕비는 1976년 8월 사망할 때까지 황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녀는 1972년에 자서전인 ''나시모토노미야 이쓰코 오히 닛키'' (''나시모토 이쓰코 왕비의 회고록'')를 출판했다.
2022년 현재, 유즈노사할린스크의 병원 부지 내에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전하 소방어"라고 새겨진 비석의 일부가 방치되어 있다. 1936년에 사할린을 방문했을 때, 소방대를 시찰한 (즉 "어시찰") 기념으로 설치된 것으로 여겨진다. 사할린 주 향토 박물관은, 비석의 보존이나 전시에 대해 "일본의 군국주의를 미화하는" 것과 "의심스러운 인물을 조장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고 한다.[15]
3. 가족 관계
나시모토 모리마사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양부: 나시모토노미야 기쿠마로 왕(성을 야마시나노미야로 바꿈)
- 친부: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1824년 3월 27일 - 1891년 10월 25일)
- 친모: 하라다 미쓰코(原田光枝子)
- 이복 형: 다카 왕
- 이복 동생: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1887년 12월 3일 ~ 1990년 1월 20일) (메이지 천황의 사위, 일본 제국 제43대 내각 총리 대신)
- 제수: 도시코(聡子) (메이지 천황의 딸)
- 아내: 나시모토 이쓰코(1882년 - 1976년) (사가 번의 마지막 영주(다이묘)였던 나베시마 나오히로 후작의 차녀)
- 장녀: 마사코 여왕
- 사위: 영친왕(1897년 10월 20일 ~ 1970년 5월 1일) (고종의 아들,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
- 외손: 이진(1921년 8월 18일 ~ 1922년 5월 11일)
- 외손: 이구(1931년 12월 29일 ~ 2005년 7월 16일)
- 차녀: 노리코 여왕(백작 히로하시 다다미쓰의 부인)
- 양자: 노리히코(친부는 다카 왕)
- 양손: 다카오(옛 성씨는 간바야시)
- 형제: 구니노리 왕, 구니히코 왕, '''모리마사 왕''', 다카 왕, 초 왕, 야스히코 왕, 나루히코 왕
- 여자 형제: 치토미노미야, 에이코 여왕, 아키코 여왕, 히로코 여왕, 아야코 여왕, 소코 여왕, 가이코 여왕, 스즈코 여왕, 준코 여왕
4. 평가 및 유산
모리마사 왕이 서거한 뒤 왕비 이쓰코는 「마지막 귀부인」으로 행동하였고, 노리코 여왕의 아들인 히로하시 다다미쓰, 이어 다카 왕의 셋째 아들 류타 노리히코 부처를 양자로 맞이하였다(노리히코 부부가 양자가 되기 전에 다다미쓰와는 절연하였다). 이쓰코 왕비는 지치부노미야의 친왕비 세쓰코의 백모이기도 하다(세쓰코 비의 어머니 마쓰다이라 노부코의 언니). 이쓰코 비는 1976년 8월 19일에 94세로 서거하였다.[24] 만년에 회상록 『3대의 천황과 나』(三代の天皇と私)를 고단샤에서 펴내기도 하였다.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2]
간행물
The London Gazette
https://www.thegazet[...]
The London Gazette
[3]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2010-12-22
[4]
서적
皇族
中央公論新社
[5]
문서
貴族院要覧(丙)
貴族院事務局
1947-12
[6]
문서
陸軍現役将校同相当官実役停年名簿
1898-07-01
[7]
간행물
陸軍異動通報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5-11-30
[8]
뉴스
梨本宮・平沼・平田ら五十九人に逮捕命令
毎日新聞(東京)
1945-12-04
[9]
서적
歴代陸軍大将全覧 大正篇
中公新書ラクレ
[10]
서적
皇族誕生
角川文庫
[11]
서적
敗戦日本の内側-近衛公の思い出
古今書院
[12]
간행물
官報
1946-06-13
[13]
뉴스
朝日新聞
1947-10-17
[14]
뉴스
朝日新聞
1952-03-19
[15]
웹사이트
サハリン 日本の皇族「梨本宮守正王」の記念碑が放置されている
https://moto-tomin2s[...]
北方領土の話題と最新事情
2022-05-02
[16]
간행물
官報
1895-11-12
[17]
간행물
官報
1904-11-04
[18]
간행물
官報
1906-12-30
[19]
간행물
官報
1921-04-19
[20]
간행물
官報
1931-12-28
[21]
간행물
官報
1932-08-09
[22]
간행물
官報
1941-10-23
[23]
간행물
官報
1942-04-07
[24]
서적
三代の天皇と私
講談社
[25]
문서
陸軍現役将校同相当官実役停年名簿
1898-07-01
[26]
간행물
陸軍異動通報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5-11-30
[27]
서적
歴代陸軍大将全覧 大正篇
中公新書ラクレ
[28]
서적
皇族誕生
角川文庫
[29]
서적
敗戦日本の内側-近衛公の思い出
古今書院
[30]
간행물
官報
1946-06-13
[31]
뉴스
朝日新聞
1947-10-17
[32]
뉴스
朝日新聞
1952-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