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리스 스티븐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리스 스티븐스는 1879년 펜실베이니아에서 태어난 미국의 시인이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뉴욕 로스쿨에서 법학 학위를 받은 후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보험 회사 임원으로 재직하며 시를 썼다. 그의 시는 상징적 기법, 난해한 은유, 상상력을 자극하는 이미지, 현실과 상상력, 실재와 허구 등 대립적인 개념 탐구를 특징으로 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하모니움》, 《푸른 기타를 든 남자》, 《가을의 오로라》 등이 있으며, 퓰리처상, 전미 도서상 등을 수상했다. 스티븐스의 작품은 한국에도 번역 소개되었으며, 한국 시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네티컷주의 공화당 당원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 코네티컷주의 공화당 당원 - 로버트 미첨
로버트 미첨은 1917년 미국에서 태어나 194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할리우드 황금기를 대표하는 배우였으며, 《지아이 조》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고, 필름 누아르 영화와 TV 미니시리즈에도 출연하다가 1997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 뉴욕주의 변호사 - 앤드루 쿠오모
앤드루 쿠오모는 뉴욕 주지사를 역임한 미국 민주당 정치인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대응과 요양원 사망자 은폐 의혹 및 성추행 혐의로 논란이 되었다. - 뉴욕주의 변호사 - 백태웅
백태웅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국제인권 운동가로서, 과거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 하와이 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인권법을 강의하고 유엔 인권이사회 강제실종 실무그룹 위원 및 의장을 역임하는 등 국제 인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미국의 시인 - 프랭크 오하라
프랭크 오하라는 미국의 시인, 작가, 큐레이터로, 뉴욕에서 활동하며 자전적인 시를 통해 예술계와 교류했고, 현대미술관에서 일하다가 사고로 사망했다. - 미국의 시인 - 헨리 데이비드 소로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 자연주의자로서, 월든 연못에서의 자급자족 생활을 담은 『월든』과 시민 불복종 사상으로 미니멀리즘, 비폭력 저항 운동, 환경 보호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월리스 스티븐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월러스 스티븐스 |
출생일 | 1879년 10월 2일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레딩 |
사망일 | 1955년 8월 2일 |
사망지 | 미국 코네티컷주 하트퍼드 |
직업 | 시인 변호사 보험 임원 |
활동 기간 | 1914년–1955년 |
사조 | 모더니즘 |
배우자 | 엘시 카첼 (1909년 결혼) |
자녀 | 1명 |
학력 | 하버드 대학교 뉴욕 로스쿨 (법학사) |
주요 작품 | |
수상 | |
수상 내역 | 로버트 프로스트 메달 (1951년) |
2. 생애
월리스 스티븐스는 펜실베이니아 주레딩에서 태어나 하버드 대학교와 뉴욕의 로스쿨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는 평생 코네티컷 주하트퍼드의 보험 회사에서 근무하며 1934년에는 부사장 자리까지 올랐다.
1923년 첫 시집 ''하모니엄''(''Harmonium'')을 출간한 이후, 여러 중요한 시집을 발표했다. 대표작으로는 ''가을의 오로라''(''The Auroras of Autumn'')가 있으며, 이 작품으로 1951년 전미 도서상을 수상했다. 1955년에는 그의 시 전체 업적을 인정받아 퓰리처상 시 부문을 수상했다. 그는 세상을 떠나기 전 해에 자신의 전 시집을 간행했다.
스티븐스의 시는 온건한 형식을 취하면서도 고어(古語)나 난해한 단어, 독자적인 상징을 자주 사용하여 복잡하고 관념적인 명상의 세계를 그리는 특징을 지닌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스티븐스는 1879년 펜실베이니아주 레딩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18세기 초 종교적 박해를 피해 독일에서 이주한 독일계 및 네덜란드계 혈통의 루터교 집안이었으며, 그의 외증조부 존 젤러는 1709년 서스쿼해나 계곡에 정착한 종교적 난민이었다.[97]부유한 변호사의 아들인 스티븐스는 1897년부터 1900년까지 하버드에서 학위를 받지 않는 특별 학생(비학위 과정)으로 공부했으며, 1901년에는 문학 잡지 ''하버드 애드버킷''의 회장을 역임했다. 하버드 재학 시절, 그는 철학자 조지 산타야나를 개인적으로 알게 되었고, 산타야나의 저서 《시의 해석과 종교》(1900)에 큰 영향을 받았다.[4][97] 스티븐스는 자신의 초기 저널 중 하나에서 1900년 초 산타야나와 함께 저녁 시간을 보내고 당시 출판된 《해석》에 대한 좋지 않은 서평에 대해 산타야나에게 동조했던 이야기를 전했다.[6]
하버드를 마친 후 스티븐스는 뉴욕으로 이주하여 잠시 기자로 일했다. 그 후 그는 뉴욕 로스쿨에 입학하여 1903년에 법학 학위를 받았으며, 이는 법학 학위를 가진 다른 두 형제의 전례를 따른 것이다. 이후 그는 변호사가 되었다.[97]
2. 2. 결혼과 가정 생활
스티븐스는 1904년 펜실베이니아주의 고향 리딩으로 돌아가는 길에 엘시 비올라 카첼(Elsie Viola Kachel, 1886–1963, 엘시 몰(Elsie Moll)로도 알려짐)을 만났다. 그녀는 당시 세일즈맨, 모자 제작자, 속기사 등으로 일하던 젊은 여성이었다.[7] 오랜 구애 끝에 스티븐스는 1909년 엘시와 결혼했다. 그러나 스티븐스의 부모는 엘시의 교육 수준이 낮고 사회적 신분이 낮다는 이유로 결혼을 강하게 반대했으며, 이 일로 스티븐스는 부모와 거의 의절하고 지냈다. 2009년 ''뉴욕 타임스''는 "가족 중 아무도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았으며, 스티븐스는 아버지 생전에 다시는 부모님을 방문하거나 그들과 대화하지 않았다."[8]라고 보도했다.
뉴욕에서 신혼 생활을 시작한 스티븐스 부부는 조각가 아돌프 A. 와인만과 같은 아파트에 살게 되었는데, 와인만은 엘시의 흉상을 만들기도 했다. 엘시의 옆모습은 와인만이 디자인한 1916년부터 1945년까지 사용된 머큐리 다임과 워킹 리버티 하프 달러 주화의 모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9]
스티븐스 부부는 1924년 외동딸 홀리 스티븐스(Holly Stevens, 1924-1992)를 낳았다. 홀리는 성공회 세례를 받았으며, 훗날 아버지의 편지와 시집을 사후에 편집하여 출판했다.[5]
그러나 엘시 몰은 나이가 들면서 정신 질환의 징후를 보이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부부 관계는 어려움을 겪었다. 전기 작가들에 따르면, 부부는 결혼 관계를 유지했지만 사실상 한 지붕 아래에서 별거 상태로 지냈다고 한다.[8][10] 전기 작가 폴 마리아니는 스티븐스가 아내와 10년 가까이 침실을 따로 썼으며, 1930년대 중반에는 2층 서재가 딸린 안방으로 거처를 옮겼다고 언급했다.[10]
2. 3. 직장 경력
스티븐스는 1903년 뉴욕 로스쿨을 졸업하고 법학 학위를 받았다.[4] 1904년부터 1907년까지 여러 뉴욕 로펌에서 근무한 후,[11] 1908년 1월 아메리칸 본딩 컴퍼니(American Bonding Company)의 변호사로 고용되었다.[11] 이후 몇몇 회사에서 사내 변호사로 일했으며, 1914년에는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본사를 둔 에퀴터블 슈어티 컴퍼니(Equitable Surety Company)의 뉴욕 지사 부사장이 되었다.[12]1916년, 회사가 합병되면서 스티븐스는 하트퍼드 손해보험회사(Hartford Accident and Indemnity Company) 본사에 합류하게 되었고, 코네티컷주의 하트퍼드로 이주하여 평생 그곳에서 살았다.[99][11]

스티븐스는 보험 회사 임원으로서 보험금 사정 및 각종 소송 업무를 담당했다.[100] 그의 주요 업무 중 하나는 보증 보험 청구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스티븐스가 청구를 거부하여 회사가 소송을 당하면, 그는 해당 지역 변호사를 고용해 변호를 맡겼다. 스티븐스는 사건 사실을 검토하고 회사의 법적 입장을 담은 서신으로 외부 변호사에게 지시했으며, 이후 절차 및 소송 전략 결정은 변호사에게 위임했다.[14]
1934년 스티븐스는 회사 부사장으로 승진했다.[18] 그는 시인으로서 명성을 얻은 후에도 회사 동료들은 그가 시를 쓴다는 사실을 모를 정도로 업무와 시작(詩作) 활동을 엄격히 구분했다. 1955년 시 부문 퓰리처상을 수상한 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직을 제안받았으나, 하트퍼드에서의 직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이를 거절했다.[19]
2. 4. 말년과 죽음
1947년 2월 말, 스티븐스가 67세에 가까워지면서 그는 시 창작에서 가장 생산적인 10년을 보낸 후였다. 그해 2월에는 시집 《여름으로의 수송》이 출판되었고, F. O. 매티슨은 《뉴욕 타임스》 서평에서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시집 출판 직전 11년 동안 스티븐스는 《질서의 아이디어》, 《푸른 기타를 든 남자》, 《세계의 일부》, 그리고 《여름으로의 수송》까지 총 네 권의 시집을 완성했다. 이 시들은 이후 호평을 받은 《가을의 오로라》(The Auroras of Autumneng)가 나오기 전에 쓰였다.[32] 《가을의 오로라》는 1950년대에 간행되었고, 스티븐스는 1951년 이 작품으로 전미 도서상을 수상했다.1950-1951년 사이, 스티븐스는 조지 산타야나가 로마의 요양원에서 마지막 생을 보내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시 〈로마의 늙은 철학자에게〉(To an Old Philosopher in Romeeng)를 썼다.
결국엔 일종의 완전한 웅장함이 찾아오네,
모든 가시적인 것들이 확대되어도
침대 하나, 의자 하나, 움직이는 수녀들, 그뿐이지,
가장 거대한 극장, 베개가 놓인 현관,
당신의 호박색 방에 있는 책과 촛불.
1955년, 스티븐스는 그의 시 전체 업적으로 퓰리처상 시 부문을 수상했다. 같은 해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제안받았으나, 하트포드 사고 및 배상 회사에서의 부사장직을 포기해야 했기 때문에 거절했다.[19] 그는 죽기 전 해에 전 시집을 간행했다.
3. 시 세계
월리스 스티븐스는 30년 이상 꾸준히 시를 발표하며 다채로운 평가를 받아온 시인이다. 초기에는 상징적 기법, 간결하면서도 난해한 은유, 상상력을 자극하는 이미지 활용이 주목받았다.[103] 그는 언어를 단순히 의미 전달의 도구로만 사용하지 않고, 언어 자체의 형태나 소리가 주는 효과를 탐구하며 풍부한 시어를 구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03]
하버드 대학교와 로스쿨을 졸업한 스티븐스는 평생 코네티컷주 하트퍼드의 보험 회사 임원으로 일하면서 시 창작 활동을 병행했다. 1923년 첫 시집 《하모니움》(''Harmonium'')을 시작으로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며, 1951년 《가을의 오로라》(''The Auroras of Autumn'')로 전미 도서상을, 1955년에는 그의 전체 시 업적을 기려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그의 시는 현실과 상상력의 관계, 인식의 본질 등을 탐구하는 철학적이고 명상적인 특징을 지니며, 온건한 형식 속에서도 고어나 난해한 단어, 독자적 상징을 사용하여 깊이 있는 사유를 담아냈다.
3. 1. 주요 특징
스티븐스의 시는 오랜 기간에 걸쳐 발표되었기에 비평가들의 평가 역시 다양하다. 초기에는 상징적 기법, 간결하면서도 난해한 은유, 그리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이미지화가 특징으로 꼽혔다.[103] 그는 시 발표에 앞서 엄격한 자기 비평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일찍부터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았다. 언어를 단순히 의미 전달의 도구로만 사용하지 않고, 언어 자체의 형태나 음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풍부한 시어를 구사한다는 평가를 받았다.[103] 퓰리처상 수상 직후 타계한 뒤에는 당대 미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평가받았고, 그의 시선집과 평론이 다수 출간되었다.[103]한국에도 잘 알려진 시 “검정새를 바라보는 열세 가지 방법(''Thirteen Ways of Looking at a Blackbird'')"은 그의 시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특히 마지막 두 연은 다음과 같다.
:XⅡ 강이 움직이고 있다.
:검정새가 날고 있음에 틀림 없다.
:XⅢ 오후 내내 저녁이었다.
:눈이 내리고 있었고
:또 내리려 하고 있었다.
:검정새는 삼나무 가지에
:앉아 있었다,
이 시의 고요한 풍경 묘사는 마치 검정새를 통해 명상하는 듯한 느낌을 주며, 국내 여러 평론가들은 이를 불교의 ‘무(無)’나 ‘공(空)’ 개념과 연결 짓기도 했다.[103]
스티븐스는 40세가 되어서야 주요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 드문 시인이다. 그의 첫 주요 발표작은 35세에 쓰였지만, 하버드 대학교 재학 시절부터 시를 썼다.[53] 그의 대표작 대부분은 50세 이후에 창작되었다. 비평가 해럴드 블룸은 스티븐스를 당대 "가장 훌륭하고 가장 대표적인" 미국 시인으로 평가하며, 소포클레스 이후 서구 작가 중 이처럼 늦게 예술적 재능이 발현된 사례는 드물다고 언급했다.[54] 동시대 시인 해리엇 먼로는 그를 "기쁨을 자극하고, 그에게 반응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창조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풍부하고 다채롭고 심오한 시인"이라고 묘사했다.[55] 헬렌 벤들러는 스티븐스의 장시에서 희열, 무관심, 그리고 그 사이의 망설임이라는 세 가지 분위기가 나타난다고 분석했다.[46] 또한 그녀는 스티븐스의 시가 화가 파울 클레와 폴 세잔의 그림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클레의 상징적이고 기발하며 유머러스한 표현 방식과 세잔이 세계를 몇 개의 기념비적인 대상으로 축소하는 방식이 스티븐스의 시적 작업과 유사하다는 것이다.[56]
초기 스티븐스의 작품 다수는 낭만적 주관주의 성향을 보였으나, 점차 성숙해지면서 후기에는 현실주의자이자 자연주의자의 면모를 보였다고 평가된다.[62] 그의 작품은 점차 명상적이고 철학적으로 변모하며 사상의 시인으로 자리 잡았다.[2] 그는 "시는 지성을 거부해야 한다 / 거의 성공적으로"라고 쓰기도 했다.[63] 스티븐스에게 의식과 세계의 관계에서 '상상력'은 단순히 의식과 동일하지 않으며, '현실' 역시 우리 마음 밖의 객관적 세계와 같지 않다. 현실은 상상력이 세계를 끊임없이 형성해나가는 과정이자 활동이다. 우리는 파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세상을 일관성 있게 조립하려 시도하며, 이는 상상력의 적극적인 행사를 통해 세계관을 구축하는 열정적인 과정이다. 그는 "키웨스트의 질서 관념"에서 이러한 생각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오! 질서에 대한 축복받은 분노, 창백한 라몬,
:바다의 단어를 정돈하려는 창작자의 분노,
:희미하게 빛나는 별들이 있는 향기로운 문들의 단어,
:그리고 우리 자신과 우리의 기원,
:더 유령 같은 경계선과 더 날카로운 소리 속에서.[64]
그는 에세이집 《사후 작품집(''Opus Posthumous'')》에서 "신에 대한 믿음을 버린 후, 시는 삶의 구원을 대신하는 본질이다"라고 썼다.[65] 하지만 시인이 잃어버린 신을 대체할 허구를 찾으려 할 때, 현실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에 직면한다. 스티븐스는 우리가 세상의 영향 속에서 형성되는 모습과, 상상력을 통해 세상에 부여하는 질서 사이의 긴장 속에서 살아간다고 보았다. 세상은 우리의 가장 일상적인 활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라싸의 한 여성의 드레스는, / 그 자리에, / 그곳의 보이지 않는 요소이다 / 가시화되었다."[66] 그의 에세이 "가치로서의 상상력"에서는 "진실은 우리가 이성이 그것들을 확립하기 전에 상상의 개념 속에서 살고 있다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67]
토마스 그레이는 스티븐스가 변호사이자 사업가로서의 삶과 시인으로서의 상상력을 분리했다고 분석한다. 직업적 의무는 생계를 유지하는 현실과 연결되었고, 시는 개인적인 삶의 영역에 속했다. 그레이는 "유령 왕으로서의 토끼"라는 시를 예로 들며, 법과 산문(현실, 이성, 명료함)이 시(상상력, 비밀)와 대조를 이루며 스티븐스에게 안도감을 주었지만, 우선순위는 분명히 상상력과 시에 있었다고 설명한다.[61]
그의 시는 온건한 문체를 사용하면서도 고어와 난해한 단어, 독자적인 상징 용어를 사용하여 관념적이고 명상적인 특징을 지닌다.
3. 2. 시기별 변화
펜실베이니아주 레딩의 부유한 변호사 집안에서 태어난 월리스 스티븐스는 하버드 대학교와 뉴욕의 로스쿨에서 공부했으며, 평생을 코네티컷주 하트퍼드의 보험 회사에서 근무하며 1934년에는 부사장까지 올랐다.스티븐스는 40세가 되어서야 주요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 드문 시인이다.[46] 그의 첫 주요 출판물은 1914년 11월 ''시'' 잡지에 실린 "Phases"라는 연작시 중 4편으로, 이때 그의 나이는 35세였다.[53] 하지만 그는 하버드 대학교 학부생 시절부터 시를 썼으며, 조지 산타야나와 소네트를 주고받기도 했다. 그의 대표작 대부분은 50세 이후에 쓰였다. 비평가 해럴드 블룸은 스티븐스를 당대의 "가장 훌륭하고 가장 대표적인" 미국 시인으로 평가하며,[54] 소포클레스 이후 서구 작가 중 이처럼 늦게 예술적 재능이 발현된 경우는 드물다고 언급했다.
스티븐스의 시에 대한 초기 평가는 1923년 그의 첫 시집인 《하모니엄》(''Harmonium'')이 출간된 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동료 시인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와 하이 시몬스[44] 등이 그의 시를 논평했다. 비평가 헬렌 벤들러는 초기 평가가 시의 상징적 의미를 찾는 데 치중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시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46] 당시 해리엇 먼로는 스티븐스를 "기쁨을 자극하고, 그에게 반응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창조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풍부하고 다채롭고 심오한 시인"이라고 평했다.[55]
스티븐스는 《하모니엄》 초판 이후 1930년에 개정판을 냈으며, 이후 여러 권의 시집을 발표했다.
연도 | 내용 | 비고 |
---|---|---|
1914년 | 첫 주요 작품 발표 ("Phases" 연작시 중 4편) | 시 11월호 게재 (당시 35세)[53] |
1923년 | 첫 시집 《하모니엄》 출간 | |
1930년 | 《하모니엄》 개정판 출간 | |
1930년대 | 두 번째 시기 시집 간행 | 예: 《여름의 전이》, 《푸른 기타를 든 남자》 등 |
1940년대 | 세 권의 시집 추가 간행 | |
1950년 | 《가을의 오로라》 (The Auroras of Autumn) 간행 | |
1951년 | 《가을의 오로라》로 전미 도서상 수상[57][58] | |
1954년 | 《시선집》 (Collected Poems) 간행 | 전 시집 형태 |
1955년 | 《시선집》으로 전미 도서상[59] 및 퓰리처상 수상[60] |
스티븐스의 시는 파울 클레와 폴 세잔 같은 화가들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벤들러에 따르면, 스티븐스는 클레의 상상력 풍부하고 유머러스하며 때로는 수수께끼 같은 상징 사용과 세잔이 세계를 단순화하여 기념비적인 대상으로 표현하는 방식에 매력을 느꼈다.[56] 그의 시는 온건한 형태를 취하면서도 고어(古語)나 어려운 단어, 독자적인 상징을 사용하여 난해하고 관념적인 명상시의 특징을 보인다. 벤들러는 그의 장시에서 희열, 무관심, 그리고 그 사이의 망설임이라는 세 가지 분위기가 두드러진다고 분석했다.[46]
3. 3. 주요 작품
스티븐스의 시는 초기에 상징적 기법, 간결하면서도 난해한 은유, 상상력을 자극하는 이미지 사용으로 주목받았다. 그는 언어를 단순한 의미 전달 수단을 넘어, 언어 자체의 형태나 음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풍부한 시어를 구사한다는 평가를 받았다.[103]한국에도 잘 알려진 시 중 하나는 "검정새를 바라보는 열세 가지 방법(''Thirteen Ways of Looking at a Blackbird'')"이다. 이 시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XⅡ 강이 움직이고 있다.
:검정새가 날고 있음에 틀림 없다.
:XⅢ 오후 내내 저녁이었다.
:눈이 내리고 있었고
:또 내리려 하고 있었다.
:검정새는 삼나무 가지에
:앉아 있었다,
이 시는 눈 내리는 고요한 풍경 속에서 검정새를 응시하며 명상하는 듯한 모습을 떠올리게 하여, 국내 많은 평론가들이 불교의 '무(無)'나 '공(空)' 개념과 연결 짓기도 했다.[103]
문학 학자 헬렌 벤들러는 스티븐스의 장시들을 별도로 분류하여 연구했는데, 주요 장시 목록에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포함된다.[46][47]
- "코미디언 C자로서"
- "일요일 아침"
- "Le Monocle de Mon Oncle"
- "흑인 묘지의 장식처럼"
- "올빼미의 클로버"
- "푸른 기타를 든 남자"
- "전쟁 시대의 영웅에 대한 고찰"
- "최고의 픽션을 향한 노트" (''Notes Toward a Supreme Fiction'')
- "악의 미학"
- "장소 없는 묘사"
- "여름의 신념"
- "가을의 오로라"
- "뉴헤이븐의 평범한 저녁"
스티븐스가 생전에 발표한 주요 시집과 사후에 출간된 시집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제목 | 출간 연도 |
---|---|---|
생전 시집 | 하모니움 (Harmonium) | 1923 (1930 개정판) |
질서의 관념 (Ideas of Order) | 1936 | |
올빼미의 클로버 ('Owls Clover'') | 1936 | |
푸른 기타를 든 남자 (The Man with the Blue Guitar) | 1937 | |
세계의 부분들 (Parts of a World) | 1942 | |
여름으로의 수송 (Transport to Summer) | 1947 | |
가을의 오로라 (The Auroras of Autumn) | 1950 | |
월리스 스티븐스의 시 전집 (The Collected Poems of Wallace Stevens) | 1954 | |
사후 시집 | 유고 시집 (Opus Posthumous) | 1957 |
마음 끝의 야자수 (The Palm at the End of the Mind) | 1972 | |
시와 산문의 전집 (Collected Poetry and Prose) | 1997 |
그는 ''가을의 오로라''로 1951년 전미 도서상을 수상했으며, 1955년에는 그의 전체 시업을 인정받아 퓰리처상 시 부문을 수상했다.
4. 정치적 성향 및 논란
(내용 없음)
4. 1. 정치적 성향
스티븐스는 평생 정치적으로 보수적이었다.[20][21] 비평가 윌리엄 요크 틴들은 그를 로버트 A. 태프트와 같은 유형의 공화당원이라고 묘사했다.[22]4. 2. 인종차별 논란
월리스 스티븐스는 아프리카계 사람들에 대한 경멸적인 태도를 보인 여러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 그는 시 "객체에 대한 전주곡"에서 "흑인 신비주의자(nigger mystics)"라는 표현을 사용했고, "흑인 묘지의 장식물처럼(Like Decorations in a Nigger Cemetery)"이라는 제목의 시를 쓰기도 했다.이러한 태도는 전미 도서상 시 부문 심사위원 회의 중 있었던 일화에서도 드러난다. 당시 마리안 무어에게 상을 수여하기로 결정한 후, 월리스 스티븐스를 포함한 다섯 명의 심사위원들은 과거 심사위원들의 사진을 보고 있었다. 사진 중 하나에 흑인 시인 그웬돌린 브룩스가 있었는데, 이를 본 스티븐스는 "저 흑인은 누구야?"라고 말했다. 주변 사람들이 그의 발언에 보인 반응을 감지한 그는 "여러분은 누군가가 여성을 흑인이라고 부르는 것을 싫어한다는 것을 알지만, 그게 누구죠?"라고 덧붙였다.[85] 이 일화는 그의 인종차별적 인식을 보여주는 사례로 비판받는다.
5. 수상 내역
월리스 스티븐스는 그의 시 작품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문학상을 받았다.
연도 | 상 이름 | 수상 작품 |
---|---|---|
1949 | 볼링겐상 | |
1951 | 전미 도서상 | 가을의 오로라 (The Auroras of Autumn) |
1951 | 프로스트 메달 | |
1955 | 전미 도서상 | 월리스 스티븐스 시집 (The Collected Poems of Wallace Stevens) |
1955 | 퓰리처상 | 시집 (Collected Poems) |
6. 한국과의 관계 및 영향
(내용 없음)
6. 1. 한국어 번역 및 연구
월리스 스티븐스의 시는 한국에도 소개되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그의 시 세계에 나타난 동양적 사유 방식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검정새를 바라보는 열세 가지 방법(''Thirteen Ways of Looking at a Blackbird'')"과 같은 시를 들 수 있다. 이 시의 후반부는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XⅡ 강이 움직이고 있다.
:검정새가 날고 있음에 틀림 없다.
:XⅢ 오후 내내 저녁이었다.
:눈이 내리고 있었고
:또 내리려 하고 있었다.
:검정새는 삼나무 가지에
:앉아 있었다,
이처럼 눈 내리는 고요한 풍경 속 검정새에 집중하는 모습은 마치 명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많은 평론가들은 이 시의 이미지를 불교의 중요한 개념인 '무(無)' 또는 '공(空)' 사상과 연결지어 해석하기도 한다.[103] 이는 스티븐스의 시가 지닌 관조적이고 철학적인 측면이 한국의 독자들에게 동양적 사유와의 접점을 통해 이해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6. 2. 한국 문학에 미친 영향
스티븐스의 시는 한국의 현대 시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그의 독특한 시적 기법과 깊이 있는 철학적 사유는 한국 시인들이 자신의 작품 세계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스티븐스의 작품에 대한 연구와 번역 작업은 한국 문학계의 지평을 넓히는 동시에, 국내 독자들에게 새롭고 다양한 시적 경험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며 기여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Wallace Stevens
https://www.poetryfo[...]
[2]
서적
Wallace Stevens: Imagination and Faith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4
[3]
웹사이트
Dutch Graves in Bucks County
https://wallacesteve[...]
The Wallace Stevens Society
2024-01-28
[4]
서적
Cambridge Companion to Wallace Stevens
[5]
서적
Wallace Stevens: The Later Years, 1923–1955
Beech Tree Books
1988
[6]
서적
Interpretations of Poetry and Religion
MIT Press
[7]
서적
The Contemplated Spouse: The Letters of Wallace Stevens to Elsie Kachel
Th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006
[8]
뉴스
The Plain Sense of Things
https://www.nytimes.[...]
2009-08-23
[9]
뉴스
Wallace Stevens' wife believed to have been model for figure on Mercury dime
http://www2.readinge[...]
2020-04-18
[10]
서적
The Whole Harmonium: The Life of Wallace Stevens
Simon & Schuster
2016
[11]
서적
Wallace Stevens: The Early Years, 1879–1923
Beech Tree Books
1986
[12]
서적
The Early Years
[13]
서적
The Early Years
[14]
서적
The Wallace Stevens Cas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15]
웹사이트
The Wallace Stevens Walk | Academy of American Poets
http://www.poets.org[...]
[16]
웹사이트
118 Westerly Terrace
http://www.stevenspo[...]
[17]
서적
The Whole Harmonium: The Life of Wallace Stevens
2016-04-05
[18]
서적
The Later Years
[19]
서적
The Later Years
[20]
웹사이트
Literature: An Introduction to Fiction, Poetry and Drama: Wallace Stevens: Biography
https://web.archive.[...]
Longman
2010-02-14
[21]
뉴스
Books of The Times
https://www.nytimes.[...]
1970-07-27
[22]
서적
'Preface to Wallace Stevens: Images and Judgments'
https://www.questia.[...]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63
[23]
문서
Letters of Wallace Stevens
[24]
문서
'The Collected Poems of Wallace Stevens: "O Florida, Venereal Soil," "The Idea of Order at Key West," "Farewell to Florida"'
[25]
웹사이트
The Trouble with Robert Frost and Wallace Stevens
http://www.kwls.org/[...]
2009-04-14
[26]
서적
The Whole Harmonium: The Life of Wallace Stevens
2016-04-05
[27]
웹사이트
Hemingway Knocked Wallace Stevens into a Puddle and Bragged About It
http://www.kwls.org/[...]
2008-03-20
[28]
서적
'Ernest Hemingway: Selected Letters 1917–1961'
[29]
서적
The Whole Harmonium
[30]
서적
Robert Frost: A Life
[31]
서적
The Whole Harmonium
[32]
서적
The Whole Harmonium: The Life of Wallace Stevens
2016-04-05
[33]
서적
The Whole Harmonium: The Life of Wallace Stevens
2016-04-05
[34]
서적
Parts of a World: Wallace Stevens Remembered
Random House
1983
[35]
서적
Parts of a World: Wallace Stevens Remembered
Random House
1983
[36]
서적
Parts of a World: Wallace Stevens Remembered
Random House
[37]
서적
Parts of a World: Wallace Stevens Remembered
Random House
[38]
서적
Parts of a World: Wallace Stevens Remembered
Random House
[39]
웹사이트
Letter from Father Arthur Hanley to Professor Janet McCann, July 24, 1977
http://writing.upenn[...]
1977-07-24
[40]
웹인용
Last Farewell and First Fruits: The Story of a Modern Poet
http://www.cuf.org/L[...]
2000-06
[41]
서적
Parts of a World: Wallace Stevens Remembered
Random House
[42]
편지
Letter from James Wm. Chichetto to Helen Vendler, September 2, 2009, cited in a footnote to "Deathbed conversion"
2009-09-02
[43]
서적
The Whole Harmonium: The Life of Wallace Stevens
2016-04-05
[44]
서적
The Whole Harmonium: The Life of Wallace Stevens
2016-04-05
[45]
서적
The Wallace Stevens Case
Harva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On Extended Wings
Harvard University Press
[47]
웹사이트
Notes Toward a Supreme Poetry
https://archive.nyti[...]
[48]
학술지
Reviewed work: The Comic Spirit of Wallace Stevens, Daniel Fuchs
https://www.jstor.or[...]
1965
[49]
서적
Wallace Stevens and the Demands of Modernity: Toward a Phenomenology of Value
Cornell University Press
[50]
서적
Things Merely Are: Philosophy in the Poetry of Wallace Stevens
Routledge Press
[51]
서적
The Fluent Mundo
Th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52]
문서
Critchley, pp28-29
[53]
웹인용
Wallace Stevens (search results)
http://www.poetrymag[...]
[54]
뉴스
Old New Haven
http://nl.newsbank.c[...]
The Advocate (Stamford)
2005-03-17
[55]
리뷰
Review of 'Others Again 'ed. by Alfred Kreymborg in Poetry: A Magazine of Verse 1915
[56]
비디오
Wallace Stevens
http://www.learner.o[...]
New York Center for Visual History
[57]
문서
Richardson, The Later Years, supra, p. 378
[58]
웹사이트
National Book Awards – 1951
https://www.national[...]
2012-03-02
[59]
웹사이트
National Book Awards – 1955
https://www.national[...]
2012-03-02
[60]
문서
Richardson, The Later Years, supra, p. 420
[61]
서적
The Wallace Stevens Case
Harva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The Whole Harmonium: The Life of Wallace Stevens
2016-04-05
[63]
서적
Collected Poetry and Prose
Library of America
[64]
문서
Stevens, Collected Poetry and Prose, supra, p. 106
[65]
서적
Opus Posthumous
Faber and Faber
[66]
문서
Stevens, Collected Poetry and Prose, supra, p. 41
[67]
서적
The Necessary Angel: Essays on Reality and the Imagination
Random House USA Paperbacks
[68]
문서
Stevens, The Necessary Angel, supra, p. 6
[69]
학술지
The Supreme Fiction: Fiction or Fact?
2007-09
[70]
문서
Stevens, Collected Poetry and Prose, supra, p. 47
[71]
서적
Wallace Stevens
Harvard UP
1966
[72]
서적
Collected Poetry and Prose
[73]
서적
Collected Poetry and Prose
[74]
서적
Some Modern American Poets
Basil Blackwell
1950
[75]
서적
Collected Poetry and Prose
[76]
서적
Collected Poetry and Prose
[77]
서적
[78]
서적
The Collected Poems of Wallace Stevens
[79]
서적
Wallace Stevens: A Mythology of Self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
[80]
웹사이트
Wallace Stevens: Biography and Recollections by Acquaintances
http://www.english.u[...]
[81]
웹사이트
Wallace Stevens
http://www.poetryfou[...]
[82]
간행물
Reflections on Wallace Stevens
1953
[83]
간행물
Wallace Stevens or the Hedonist's Progress
1943
[84]
서적
The Whole Harmonium: The Life of Wallace Stevens
2016-04-05
[85]
웹사이트
Wallace Stevens After "Lunch"
https://www.poetryfo[...]
2008-02-04
[86]
웹사이트
The Old Guitarist' From The Blue Guitar
http://collection.br[...]
Petersburg Press
2012-06-20
[87]
서적
The Blue Guitar: Etchings By David Hockney Who Was Inspired By Wallace Stevens Who Was Inspired By Pablo Picasso
Petersburg Ltd
1977-01-01
[88]
웹사이트
US Stamp Gallery: Wallace Stevens
http://www.usstampga[...]
[89]
웹사이트
The Bollingen Prize for Poetry
http://bollingen.yal[...]
Yale University
2016-07-18
[90]
웹사이트
National Book Awards – 1951
https://www.national[...]
National Book Foundation
2016-07-18
[91]
웹사이트
National Book Awards – 1955
https://www.national[...]
National Book Foundation
2016-07-18
[92]
웹사이트
Frost Medalists
https://www.poetryso[...]
2016-07-18
[93]
웹사이트
Poetry - The Pulitzer Prizes
http://www.pulitzer.[...]
2016-07-18
[94]
뉴스
Excerpt: 'Selected Poems'
https://www.npr.org/[...]
NPR
2009-12-03
[95]
웹사이트
スティーブンズとは
https://kotobank.jp/[...]
2020-10-11
[96]
서적
오랜 기다림 끝에 찾아온 월리스 스티븐스
http://www.yes24.com[...]
미행
2020-08
[97]
서적
Wallace Stevens: The Later Years, 1923–1955
Beech Tree Books
1988
[98]
서적
The Whole Harmonium: The Life of Wallace Stevens
2016
[99]
장소
월리스 스티븐스의 산책로
[100]
서적
The Whole Harmonium: The Life of Wallace Stevens
2016
[101]
수상
로버트 프로스트 메달
1951
[102]
서적
Parts of a World: Wallace Stevens Remembered
Random House
1983
[103]
학위논문
월리스 스티븐스의 시에 나타난 ‘무(無)’와 ⟨반야심경⟩ 삼성(三性)의 ‘공(空)’에 관한 연구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