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스쿠스아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스쿠스아목은 캥거루목에 속하며, 쿠스쿠스상과와 주머니하늘다람쥐상과로 나뉜다. 쿠스쿠스상과는 쿠스쿠스과와 꼬마주머니쥐과를 포함하고, 주머니하늘다람쥐상과는 반지꼬리주머니쥐과, 주머니하늘다람쥐과, 꿀주머니쥐과, 깃털꼬리주머니쥐과로 구성된다. 이들은 대부분 야행성이며, 뒷발의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쿠스쿠스아목에는 약 30종이 있으며, 붓꼬리주머니쥐, 잿빛꼬리주머니쥐, 피그미 포섬, 꿀주머니쥐, 줄무늬주머니쥐, 깃털꼬리주머니쥐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스쿠스아목 - 꿀주머니쥐
    꿀주머니쥐는 오스트레일리아 남서부에 서식하며 길고 신축성 있는 혀로 꽃의 꿀과 꽃가루를 먹는 꿀주머니쥐과의 유일한 유대류 종으로, 독특한 발가락 형태, 몸에 비해 큰 고환과 긴 정자, 특정 서식지에 의존하는 특징을 가진다.
쿠스쿠스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Phalangeriformes
명명자Szalay in Archer, 1982
화석 범위(올리고세 ~ 현재)
아목쌍전치목
하위 분류
상과쿠스쿠스상과
주머니하늘다람쥐상과
엑토포돈과(†Ektopodontidae)
부라미스과
쿠스쿠스과
주머니날다람쥐과
꿀주머니쥐과
반지꼬리주머니쥐과
깃털꼬리주머니쥐과
커먼쿠스쿠스과

2. 하위 분류

쿠스쿠스아목은 크게 쿠스쿠스상과(Phalangeroidea)와 주머니하늘다람쥐상과(Petauroidea)로 나뉜다.[5][6]

2. 1. 쿠스쿠스상과 (Phalangeroidea)

쿠스쿠스과꼬마주머니쥐과를 포함한다. 쿠스쿠스과는 쿠스쿠스와 브러시꼬리주머니쥐 등 다양한 종을 포함하며, 꼬마주머니쥐과는 피그미주머니쥐(영어: Pygmy Possum)로 불리는 소형 종들을 포함한다.[5][6]

동부피그미주머니쥐, 필리가 숲, 뉴사우스웨일스주

2. 1. 1. 쿠스쿠스과 (Phalangeridae)

쿠스쿠스과는 브러시꼬리주머니쥐와 쿠스쿠스를 포함한다.[5][6]

아과
AiluropinaeAilurops 속
Strigocuscus 속
PhalangerinaePhalangeriniPhalanger 속
TrichosuriniSpilocuscus 속
PhalangerinaeTrichosuriniTrichosurus 속
Wyulda 속



점박이쿠스쿠스


남부 쿠스쿠스


술라웨시 곰쿠스쿠스


대표적인 종으로는 붓꼬리주머니쥐(Common Brushtailed Possum, ''Trichosurus vulpecula'')가 있으며, 몸길이 약 50cm, 체중 약 2.5kg으로 쿠스쿠스과 중에서 가장 크다. 붓 모양의 꼬리가 특징이며, 초식성이지만 곤충 등을 먹기도 한다.

2. 1. 2. 꼬마주머니쥐과 (Burramyidae)

피그미주머니쥐(영어: Pygmy Possum)로 불리는 소형 종들을 포함한다.

포섬 중에서 가장 몸집이 작은 그룹으로, 곤충 등을 먹이로 한다. 부라미스 (Mountain Pygmy Possum영어, ''Burramys parvus''), 주머니쥐 (Eastern Pigmy Possum영어, ''Cercartetus nanus'') 등의 종이 있다. 가장 작은 Tasmanian Pygmy Possum영어 (태즈메이니아피그미주머니쥐, ''Cercartetus lepidus'')는 몸길이가 6.5cm 정도밖에 안 된다. 주머니쥐라는 이름은, 겨울잠을 자는 것에서 유래한다.[5][6]

2. 2. 주머니하늘다람쥐상과 (Petauroidea)

반지꼬리주머니쥐과(Pseudocheiridae), 주머니하늘다람쥐과(Petauridae), 꿀주머니쥐과(Tarsipedidae), 깃털꼬리주머니쥐과(Acrobatidae)를 포함한다.

2. 2. 1. 반지꼬리주머니쥐과 (Pseudocheiridae)

검은꼬리주머니쥐, 브리즈번


허버트강꼬리주머니쥐, 1884


검은꼬리주머니쥐 등 다양한 종을 포함한다. 주머니하늘다람쥐 외에는 링테일 (Ringtail Possum)이라고 통칭되며, 대표종은 잿빛꼬리주머니쥐(Common Ringtail Possum, ''Pseudocheirus peregrinus'')이다. 잿빛꼬리주머니쥐는 긴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나뭇가지에 감아 나무를 오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둥지 재료로 쓸 잔가지를 꼬리로 감아 운반하기도 한다. 초식성이다.

  • '''Hemibelideinae''' 아과
  • ''Hemibelideus'' 속
  • 여우원숭이꼬리주머니쥐, ''H. lemuroides''
  • ''Petauroides'' 속
  • 중부 큰하늘다람쥐, ''P. armillatus''
  • 북부 큰하늘다람쥐, ''P. minor''
  • 남부 큰하늘다람쥐, ''P. volans''
  • '''Pseudocheirinae''' 아과
  • ''Petropseudes'' 속
  • 바위꼬리주머니쥐, ''P. dahli''
  • ''Pseudocheirus'' 속
  • 검은꼬리주머니쥐, ''P. peregrinus''
  • ''Pseudochirulus'' 속
  • 저지대꼬리주머니쥐, ''P. canescens''
  • 웨일랜드꼬리주머니쥐, ''P. caroli''
  • 회색꼬리주머니쥐, ''P. cinereus''
  • 포브스꼬리주머니쥐, ''P. forbesi''
  • 허버트강꼬리주머니쥐, ''P. herbertensis''
  • 가면꼬리주머니쥐, ''P. larvatus''
  • 피그미꼬리주머니쥐, ''P. mayeri''
  • 슐레겔꼬리주머니쥐, ''P. schlegeli''
  • '''Pseudochiropsinae''' 아과
  • ''Pseudochirops'' 속
  • 달베르티스꼬리주머니쥐, ''P. albertisii''
  • 녹색꼬리주머니쥐, ''P. archeri''
  • 플러시코트꼬리주머니쥐, ''P. corinnae''
  • 은둔꼬리주머니쥐, ''P. coronatus''
  • 구리꼬리주머니쥐, ''P. cupreus''

2. 2. 2. 주머니하늘다람쥐과 (Petauridae)

주머니하늘다람쥐과(Petauridae)는 줄무늬주머니쥐, 리드비터주머니쥐, 노란배하늘다람쥐, 설탕주머니하늘다람쥐, 마호가니하늘다람쥐, 청설모하늘다람쥐 등을 포함한다. 잡식성으로 곤충이나 과실, 수액을 먹이로 한다.[5][6]

  • 속 ''Dactylopsila''
  • 큰꼬리트리오크, ''D. megalura''
  • 긴손가락트리오크, ''D. palpator''
  • 테이트트리오크, ''D. tatei''
  • 줄무늬주머니쥐, ''D. trivirgata''
  • 속 ''Gymnobelideus''
  • 리드비터주머니쥐, ''G. leadbeateri''
  • 속 ''Petaurus''
  • 북부 하늘다람쥐, ''P''. ''abidi''
  • 사바나하늘다람쥐, ''P. ariel''
  • 노란배하늘다람쥐, ''P. australis''
  • 비아크하늘다람쥐, ''P. biacensis''
  • 설탕주머니하늘다람쥐, ''P. breviceps''
  • 마호가니하늘다람쥐, ''P. gracilis''
  • 청설모하늘다람쥐, ''P. norfolcensis''
  • 크레프트하늘다람쥐, ''P. notatus''


식사 중인 설탕주머니하늘다람쥐

2. 2. 3. 꿀주머니쥐과 (Tarsipedidae)

꿀주머니쥐(''Tarsipes rostratus'') 1종만을 포함한다. 오스트레일리아 남서부에만 서식하는, 크기의 포섬이다. 긴 끝이 붓 모양이 된 를 가지고 있으며, 꽃의 꿀이나 꽃가루를 핥아 먹는다. 이 때문에 이빨은 퇴화했다.

2. 2. 4. 깃털꼬리주머니쥐과 (Acrobatidae)

깃털꼬리주머니쥐(Feather-tailed Possum영어, Distoechurus pennatusla)와 깃털꼬리하늘다람쥐(Feather-tailed glider)를 포함한다.[5][6]

  • Acrobates 속

* 깃털꼬리하늘다람쥐, ''A. pygmaeus''la

  • Distoechurus 속

* 깃털꼬리주머니쥐, ''D. pennatus''la

작은 깃털꼬리하늘다람쥐

3. 계통 분류

다음은 캥거루목의 계통 분류이다.[10]

캥거루목은 크게 웜뱃아목, 캥거루아목, 쿠스쿠스아목으로 나뉜다. 이 중 쿠스쿠스아목은 쿠스쿠스상과와 주머니하늘다람쥐상과로 다시 분류된다.

쿠스쿠스상과는 쿠스쿠스과와 꼬마주머니쥐과를 포함한다. 주머니하늘다람쥐상과는 반지꼬리주머니쥐과, 주머니하늘다람쥐과, 꿀주머니쥐과, 깃털꼬리주머니쥐과로 구성된다.

{| class="wikitable"

|-

! 캥거루목

|-

|

웜뱃아목



|-

! 캥거루아목

|-

|


|}

|-

! 쿠스쿠스아목

|-

|

쿠스쿠스상과



|-

! 주머니하늘다람쥐상과

|-

|


|}

|}

|}

줄무늬주머니쥐, 크레이터레이크 국립공원, 퀸즐랜드주


4. 생태와 형태

쿠스쿠스아목 동물들은 대부분 야행성이며, 낮에는 나무 구멍 등에 만든 둥지에서 시간을 보낸다. 이들은 단독으로 생활하거나, 암수 한 쌍과 그 새끼들이 함께 생활하는 경우도 있다. 생태적으로는 북반구다람쥐와 비슷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여겨진다.[5][6]

뒷발은 나무를 타는 데 적합하게 진화했다. 뒷발의 엄지발가락은 다른 발가락들과 마주보게 되어 있어 나뭇가지를 꽉 잡을 수 있다. 집게발가락과 가운뎃발가락은 서로 붙어 있어 마치 하나의 발가락처럼 보인다. 수컷과 암컷 사이에는 뚜렷한 외형적 차이가 없어서 겉모습만으로는 구별하기 어렵다.[5][6]

5. 주요 종

다음은 쿠스쿠스아목에 속하는 주요 종들이다.

아과비고
쿠스쿠스과 (Phalangeridae)AiluropinaeAilurops탈라우드 곰쿠스쿠스 (A. melanotis)
술라웨시 곰쿠스쿠스 (A. ursinus)
Strigocuscus술라웨시 드워프쿠스쿠스 (S. celebensis)
방가이쿠스쿠스 (S. pelegensis)
colspan="3" |
PhalangerinaePhalangeriniPhalanger게베쿠스쿠스 (P. alexandrae)
산쿠스쿠스 (P. carmelitae)
땅쿠스쿠스 (P. gymnotis)
동부 쿠스쿠스 (P. intercastellanus)
우드라크쿠스쿠스 (P. lullulae)
파란눈쿠스쿠스 (P. matabiru)
텔레포민쿠스쿠스 (P. matanim)
남부 쿠스쿠스 (P. mimicus)
북부 쿠스쿠스 (P. orientalis)
화려한쿠스쿠스 (P. ornatus)
로스차일드쿠스쿠스 (P. rothschildi)
실크쿠스쿠스 (P. sericeus)
스타인쿠스쿠스 (P. vestitus)
PhalangeriniSpilocuscus애드미럴티섬쿠스쿠스 (S. kraemeri)
점박이쿠스쿠스 (S. maculatus)
파푸아쿠스쿠스 (S. papuensis)
검은점쿠스쿠스 (S. rufoniger)
파란눈점박이쿠스쿠스 (S. wilsoni)
TrichosuriniTrichosurus북부 브러시꼬리주머니쥐 (T. arnhemensis)
짧은귀주머니쥐 (T. caninus)
산브러시꼬리주머니쥐 (T. cunninghami)
구리빛브러시꼬리주머니쥐 (T. johnstonii)
검은꼬리주머니쥐 (T. vulpecula)붓꼬리주머니쥐라고도 불리며, 포섬 중에서 가장 크다. 붓 모양의 꼬리가 특징이며, 초식성이지만 곤충 등을 먹기도 한다.[5]
TrichosuriniWyulda비늘꼬리주머니쥐 (W. squamicaudata)
꼬리주머니쥐과 (Pseudocheiridae)HemibelideinaeHemibelideus여우원숭이꼬리주머니쥐 (H. lemuroides)
Petauroides중부 큰하늘다람쥐 (P. armillatus)
북부 큰하늘다람쥐 (P. minor)
남부 큰하늘다람쥐 (P. volans)
PseudocheirinaePetropseudes바위꼬리주머니쥐 (P. dahli)
Pseudocheirus검은꼬리주머니쥐 (P. peregrinus) 잿빛꼬리주머니쥐라고도 불리며, 긴 꼬리로 나뭇가지를 감아 나무를 오른다. 초식성이다.[5]
Pseudochirulus저지대꼬리주머니쥐 (P. canescens)
웨일랜드꼬리주머니쥐 (P. caroli)
회색꼬리주머니쥐 (P. cinereus)
포브스꼬리주머니쥐 (P. forbesi)
허버트강꼬리주머니쥐 (P. herbertensis)
가면꼬리주머니쥐 (P. larvatus)
피그미꼬리주머니쥐 (P. mayeri)
슐레겔꼬리주머니쥐 (P. schlegeli)
PseudochiropsinaePseudochirops달베르티스꼬리주머니쥐 (P. albertisii)
녹색꼬리주머니쥐 (P. archeri)
플러시코트꼬리주머니쥐 (P. corinnae)
은둔꼬리주머니쥐 (P. coronatus)
구리꼬리주머니쥐 (P. cupreus)
주머니하늘다람쥐과 (Petauridae)Dactylopsila큰꼬리트리오크 (D. megalura)
긴손가락트리오크 (D. palpator)
테이트트리오크 (D. tatei)
줄무늬주머니쥐 (D. trivirgata) 등의 줄무늬가 특징이며, 잡식성으로 곤충, 과실, 수액을 먹는다.[5]
Gymnobelideus리드비터주머니쥐 (G. leadbeateri)멸종 위기종이다.[5]
Petaurus북부 하늘다람쥐 (P. abidi)
사바나하늘다람쥐 (P. ariel)
노란배하늘다람쥐 (P. australis)
비아크하늘다람쥐 (P. biacensis)
설탕주머니하늘다람쥐 (P. breviceps)
마호가니하늘다람쥐 (P. gracilis)
청설모하늘다람쥐 (P. norfolcensis)
크레프트하늘다람쥐 (P. notatus)
부라미스과 (Burramyidae)colspan="3" rowspan="5" |Burramys산피그미주머니쥐 (B. parvus)부라미스라고도 불린다.[5]
Cercartetus긴꼬리피그미주머니쥐 (C. caudatus)
남서부피그미주머니쥐 (C. concinnus)
태즈메이니아피그미주머니쥐 (C. lepidus)몸길이 약 6.5cm로 가장 작다. 겨울잠을 자기 때문에 주머니쥐라는 이름이 붙었다.[5]
동부피그미주머니쥐 (C. nanus) 주머니쥐라고도 불린다.[5]
꿀주머니쥐과 (Tarsipedidae)Tarsipes꿀주머니쥐 (T. rostratus)오스트레일리아 남서부에만 서식하며, 쥐 정도의 크기이다. 붓 모양의 긴 혀로 꽃꿀과 꽃가루를 핥아 먹어 이빨이 퇴화했다.[5]
깃털꼬리주머니쥐과 (Acrobatidae)Acrobates깃털꼬리하늘다람쥐 (A. pygmaeus)
깃털꼬리주머니쥐과 (Acrobatidae)Distoechurus깃털꼬리주머니쥐 (D. pennatus)


참조

[1] 논문 An emerging consensus in the evolution, phylogeny, and systematics of marsupials and their fossil relatives (Metatheria) https://doi.org/10.1[...] 2019-05-23
[2] 간행물
[3] OED opossum
[4] 백과사전 Resurrecting Virginia Algonquian from the Dead: The Reconstituted and Historical Phonology of Powhatan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75
[5] 논문 The skeleton of Congruus kitcheneri, a semiarboreal kangaroo from the Pleistocene of southern Australia
[6] 논문 An emerging consensus in the evolution, phylogeny, and systematics of marsupials and their fossil relatives (Metatheria) https://doi.org/10.1[...] 2019-05-23
[7] 서적 Order Diprotodonti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 논문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2018
[9] 서적 有袋類学 東京大学出版会
[10] 논문 A phylogeny of Diprotodontia (Marsupialia) based on sequences for five nuclear genes http://www.montclair[...] 2015-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