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링턴 부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웰링턴 부츠는 종아리까지 오는 방수 신발로, 19세기 초 아서 웰즐리 1세 공작이 헤시안 부츠를 변형하도록 지시한 데서 유래했다. "고무 장화" 또는 "레인 부츠"로도 불리며, 영국과 미국에서 명칭 사용에 차이가 있다. 웰링턴 부츠는 가죽에서 고무로 재질이 바뀌면서 1852년 고무 제품이 등장했고, 제1, 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군용으로 대량 생산되었다. 현대에는 산업 현장에서 보호 장비로 사용되며, 강철 토 웰링턴 부츠도 등장했다. 헌터 부츠는 웰링턴 부츠를 대표하는 브랜드가 되었고, 다이애나 왕세자빈의 착용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한국에서는 농업, 어업, 건설업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며, 최근에는 패션 아이템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발 - 슬리퍼
슬리퍼는 실내에서 편안하게 신는 신발로,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로 제작되며 여러 문화에서 사용되었고, 대중문화 속 상징적인 아이템으로도 등장한다. - 신발 - 모카신
모카신은 아메리카 원주민과 유럽 정착민들이 신었던 신발로, 발 보호와 땅의 감각을 제공하며,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여러 브랜드에서 관련 제품을 찾아볼 수 있다. - 21세기 패션 - 가운
가운은 앵글로색슨족 여성의 외투에서 유래하여 중세 유럽에서 남녀 모두 착용하는 의복을 지칭했으며, 대학생의 지위, 특정 의례, 스포츠 의상, 의료용품 등으로 사용된다. - 21세기 패션 - 연미복
연미복은 제비 꼬리처럼 갈라진 뒷자락이 특징인 서양 남성 정장으로, 검은색 드레스 코트와 바지, 흰색 조끼와 나비 넥타이 조합으로 19세기 저녁 정장으로 자리 잡았으나, 20세기 초 턱시도에 밀려 현재는 격식 있는 행사에서 착용된다. - 19세기 패션 - 가운
가운은 앵글로색슨족 여성의 외투에서 유래하여 중세 유럽에서 남녀 모두 착용하는 의복을 지칭했으며, 대학생의 지위, 특정 의례, 스포츠 의상, 의료용품 등으로 사용된다. - 19세기 패션 - 연미복
연미복은 제비 꼬리처럼 갈라진 뒷자락이 특징인 서양 남성 정장으로, 검은색 드레스 코트와 바지, 흰색 조끼와 나비 넥타이 조합으로 19세기 저녁 정장으로 자리 잡았으나, 20세기 초 턱시도에 밀려 현재는 격식 있는 행사에서 착용된다.
웰링턴 부츠 | |
---|---|
품목 정보 | |
종류 | 방수 부츠 |
다른 이름 | 고무 장화 레인 부츠 |
역사 | |
유래 | 19세기 초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 |
특징 | 원래 가죽 소재였으나 이후 고무로 대체됨 |
용도 | |
주 용도 | 습지 또는 진흙 지역에서 신발과 발을 보호 다양한 야외 활동 |
기타 용도 | 패션 아이템 작업용 신발 |
소재 | |
주요 소재 | 고무 또는 플라스틱 |
디자인 | |
일반적인 디자인 | 무릎 아래까지 오는 길이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개리발디 (Garibaldi) 처카 부츠 (chukka boot) |
2. 명칭
고무장화는 한국에서 '장화'로 통용되며, 영어로는 '웰링턴 부츠(Wellington boots)', '레인 부츠(Rain boots)', '검부츠(Gumboots)'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1] '검(gum)'이라는 용어는 검 러버에서 유래되었다.[4]
영국 영어에서는 "웰링턴 부츠"와 "고무 장화"라는 용어가 가장 일반적이며, 미국 영어에서는 "레인 부츠"라는 용어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2][3] 미국 영어에서 "웰링턴 부츠"는 때때로 더 패션적인 디자인의 웰링턴 부츠를 지칭하기도 한다.[2]
일본에서는 비 신발, 고무 장화 등으로 불린다. 이 중 펌프스 형태는 레인 슈즈(일본식 영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일본 외에도 러버 부츠(rubber boots), 레인부츠(rainboots), 검부츠(gumboots), 웰리스(wellies), 웰링턴(wellingtons), 탑부츠(topboots), 빌리 부츠(billy-boots), 검비스(gumbies), 거미스(gummies), 개빈스(gavin's), 알래스칸 스니커즈(Alaskan Sneakers)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웰링턴 부츠'라는 명칭은 19세기 초, 영국의 아서 웰즐리 1세 공작이 자신의 구두 제작자에게 헤시안 부츠의 디자인을 수정하여 부츠를 만들도록 지시한 것에서 유래했다.[1]
3. 역사
19세기 초 웰링턴 공작이 헤시안 부츠를 개량하여 웰링턴 부츠가 탄생했다. 웰링턴 부츠는 1852년 찰스 굿이어가 발명한 고무 가황 처리법을 이용해 고무로 개량되어 방수 기능을 갖춘 제품이 만들어졌고, 이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영국군에 의해 대량으로 제작되어 보급되었다. 종전 후에는 일반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3. 1. 기원
19세기 초, 아서 웰즐리 제1대 웰링턴 공작은 런던 세인트 제임스 거리의 구두 제작자 호비에게 헤시안 부츠를 개량한 새로운 부츠 제작을 의뢰했다.[5] 이 부츠는 부드러운 송아지 가죽으로 만들어졌으며, 장식을 없애고 다리에 더 잘 맞도록 디자인되었다. 굽은 낮게 잘렸고, 종아리 중간까지 오는 길이였다. 웰링턴 공작의 이름을 따 '웰링턴 부츠'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실용성과 세련된 디자인 덕분에 영국 신사들 사이에서 빠르게 유행했다.[6]
특히 브럼멜과 같은 댄디들에게 사랑받았으며, 1840년대까지 남성 패션의 주요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1850년대에는 종아리까지 오는 버전으로 더 흔하게 제작되었고, 1860년대에는 승마를 제외하고는 발목 부츠에 의해 대체되었다. 웰링턴은 자신의 이름을 의류 품목에 부여한 두 명의 영국 총리 중 한 명이며, 다른 한 명은 앤서니 에덴 경(앤서니 에덴 모자 참조)이다.
초대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는 승마 시 기병의 정강이 부상이 잦다는 점을 고려하여 정강이를 덮는 승마화 제작을 의뢰했다. 이 부츠는 18세기부터 알려진 헤센 부츠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지만, 헤센 부츠의 장식적인 술 장식을 제거하고 몸에 맞게 개량되었다. 웰링턴 공작이 부츠 제작을 의뢰받은 곳은 런던 웨스트민스터 세인트 제임스 가(St James’s Street)에 있던 왕족 전용 신발 제작 명가 호비 가문(The Hoby Family)이었다.
3. 2. 고무 부츠의 등장
1852년, 미국의 사업가 하이럼 허친슨은 찰스 굿이어가 발명한 고무 가황 처리법을 이용해 고무 부츠를 개발했다. 허친슨은 신발 제조 특허를 획득하고, 1853년 프랑스에 고무 신발 제조 공장(현재의 에이글)을 설립했다.[1] 당시 농민들은 대부분 나막신을 신고 진흙에서 작업했기 때문에, 방수 기능이 뛰어난 고무 부츠는 큰 인기를 얻었다.[1] 농부들은 깨끗하고 마른 발로 집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1]
3. 3. 세계 대전과 보급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유럽의 침수되고 진흙투성이인 참호전 환경에 적합한 신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여 웰링턴 부츠의 생산량이 급증했다. 전시부는 노스 브리티쉬 러버 컴퍼니(현재 헌터 부츠)에 이러한 환경에 적합한 부츠 제작을 요청했다. 공장은 참호 부츠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밤낮으로 가동되었으며, 총 1,185,036켤레가 영국군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헌터 부츠는 다시 웰링턴 부츠와 사이드 부츠를 대량으로 공급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생산량의 80%는 (고무) 방수포, 구명조끼, 방독면 등 군수 물자였다. 네덜란드에서 영국군은 침수된 환경에서 작업했는데, 이를 위해 웰링턴 부츠와 사이드 부츠가 대량으로 필요했다.[1]
1945년 전쟁이 끝날 무렵, 웰링턴 부츠는 비가 오는 날씨에 남성, 여성, 어린이들에게 인기를 얻게 되었다. 이 부츠는 두꺼운 밑창과 둥근 앞코로 훨씬 더 넉넉하게 발전했다. 또한, 당시 배급제 시대에 노동자들은 일상적인 작업에 이 부츠를 사용하기 시작했다.[2]
3. 4. 현대의 웰링턴 부츠
고무 "웰링턴" 부츠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다루기 쉬우며 완전 방수이기 때문에 모든 산업 분야에서 가죽보다 선호되는 보호 재료로 사용되었다. 직업 건강 및 안전 요구 사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강철 토 또는 강철 캡 웰링턴이 등장했다. 이 부츠는 발을 압착 및 관통 부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내부) 토 캡을 갖추고 있다. 전통적으로 강철로 만들어졌지만, 보강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과 같은 복합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강철 토 웰링턴은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거의 필수적이며, 지역 직업 건강 및 안전 법규 또는 보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착용이 의무화되는 경우가 많다.
1956년 7월, 독점 및 제한적 관행 위원회는 ''특정 고무 신발류 공급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는데,[7] 이 보고서는 웰링턴 부츠 및 오버 부츠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고무 부츠를 다루었다. 이 107페이지 분량의 공식 간행물은 영국에서 제조되거나 해외에서 수입된 고무 신발류의 불공정 가격 책정에 대한 당시의 우려 사항을 다루었다. 부록에는 고무 신발 제조업체 목록과 1950년대 중반에 판매된 각 회사의 웰링턴 부츠 가격표가 포함되어 있다.
헌터 부츠 주식회사(Hunter Boot Ltd)에서 1955년에 출시한 녹색 웰링턴 부츠는 영국에서 "시골 생활"을 상징하는 단어가 되었다.[8] 1980년, 다이애나 (다이애나 왕세자빈)이 찰스 왕세자와의 교제 기간 동안 발모랄 영지에서 웰링턴 부츠를 신고 있는 사진이 공개되면서 이 부츠의 판매량이 급증했다.[8][9]
4. 디자인 및 특징
현대적인 웰링턴 부츠는 방수 기능이 있으며, 대부분 고무 또는 폴리염화 비닐(PVC)로 만들어진다. 젖거나 진흙이 많은 땅을 걸을 때, 심한 소나기와 웅덩이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주로 착용한다. 일반적으로 무릎 아래까지 오지만, 더 짧은 부츠도 있다.[4]
일반적인 웰링턴 부츠는 장화 또는 레인 부츠라고 불리는 고무 재질의 장화이다. 소재는 고무 또는 폴리염화 비닐이다.
일본에서는 영국의 헌터(Hunter)사, 프랑스의 에이글(Aigle)사의 레인 부츠가 유명하다.
5. 산업 및 문화적 영향
고무 장화는 저렴한 비용, 편리한 관리, 완벽한 방수 기능 덕분에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보호 장비로 사용된다. 노키아는 휴대폰 사업 진출 이전에 고무 장화로 유명한 회사였다.[10][11] 핀란드 방위군과 스웨덴군은 젖은 환경과 겨울철에 사용하기 위해 펠트 안감을 덧댄 고무 장화를 모든 병사에게 지급한다.[12]
6. 한국의 고무장화
고무장화는 종아리 정도의 길이로, 우천 시 혹은 습한 작업 현장에서 신는 신발이다. 한국에서는 농업, 어업, 건설업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된다. 특히 장마철에는 일반인들도 비 피해를 막기 위해 고무장화를 착용한다.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의 고무장화가 출시되면서 패션 아이템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한국의 농촌 지역에서는 여전히 고무장화가 필수적인 작업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어촌 지역에서는 방수 기능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 기능까지 갖춘 고무장화가 널리 사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ellington Boots
https://fashiongtonp[...]
2022-09-03
[2]
웹사이트
What Do Americans Call Wellies? (Inc Wellies History)
https://www.wonderfu[...]
2022-03-30
[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Rain Boot
https://www.treehugg[...]
2024-07-01
[4]
웹사이트
Gumboots
https://www.nzgeo.co[...]
2024-07-01
[5]
웹사이트
James Lonsdale's portrait of Wellington
http://www.gac.cultu[...]
Gac.culture.gov.uk
2019-01-25
[6]
서적
Men in Heels: From Power to Perversity
V&A Publishing
[7]
간행물
Report on the Supply of Certain Rubber Footwear
http://webarchive.na[...]
HMSO
[8]
뉴스
Will Kate kick off a war of the Wellies?
https://www.telegrap[...]
2015-06-17
[9]
뉴스
These were the boots that shaped the world
http://fashion.teleg[...]
2015-06-17
[10]
뉴스
"London Telegraph"
https://www.telegrap[...]
Telegraph.co.uk
2016-02-16
[11]
웹사이트
Finnish Footwear Sale
https://query.nytime[...]
1989-11-28
[12]
웹사이트
Gummistövlar M/90 /K
http://dokument.fors[...]
Dokument.forsvarsmakten.se
[13]
웹사이트
'To a Pair of Blucher Boots' by Henry Lawson
http://whitewolf.n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