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해밀턴 (철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해밀턴은 1788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철학자이다. 그는 에든버러 대학교의 논리학 및 형이상학 교수로 재직하며 스코틀랜드 젊은 세대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해밀턴은 인간의 유한한 정신으로는 무한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 없다는 "무조건자의 철학"을 발전시켰으며, 자연적 실재론과 논리학 연구에도 기여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연구하고 스콜라 철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관을 정립했으며, '술어의 수량화' 교리를 주창했다. 1855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856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철학자 - 둔스 스코투스
존 둔스 스코투스는 개체성과 의지의 우월성을 강조한 독창적인 사상으로 스콜라 철학에 기여한 프란치스코 수도회 신학자이자,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을 비판하며 '존재의 일의성' 개념을 제시하고 신 존재 증명에 새로운 형이상학적 논증을 제시한 인물이며, 그의 사상은 근대 주체주의와 현대 철학자 질 들뢰즈에게 영향을 주었고 1993년 복자로 시복되었다. - 스코틀랜드의 철학자 - 토머스 칼라일
토머스 칼라일은 19세기 스코틀랜드 출신의 작가이자 사상가로, 《프랑스 혁명사》, 《영웅 숭배론》 등의 저서를 통해 빅토리아 시대 문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영웅 숭배론, 민주주의 비판 등의 사상을 펼쳤다. - 19세기 스코틀랜드 사람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 19세기 스코틀랜드 사람 - 토머스 칼라일
토머스 칼라일은 19세기 스코틀랜드 출신의 작가이자 사상가로, 《프랑스 혁명사》, 《영웅 숭배론》 등의 저서를 통해 빅토리아 시대 문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영웅 숭배론, 민주주의 비판 등의 사상을 펼쳤다. - 1788년 출생 - 이규경
이규경은 19세기 조선의 학자로서, 60권의 백과사전 《오주연문장전산고》를 저술하고 실학 사상을 계승하며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여 초기 개화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788년 출생 - 아우구스테 폰 바이에른 왕녀
바이에른 왕국의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국왕의 장녀인 아우구스테 아말리아 폰 바이에른 왕녀는 외젠 드 보아르네와 결혼하여 로이히텐베르크 공작부인이 되었고, 자녀들의 혼사를 통해 가문의 번영을 이루었다.
윌리엄 해밀턴 (철학자)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윌리엄 해밀턴 |
작위 | 경, 준남작 |
직업 | 에든버러 대학교 교수 |
출생과 사망 | |
출생 | 1788년 3월 8일, 글래스고, 스코틀랜드 |
사망 | 1856년 5월 6일 (향년 68세), 에든버러, 스코틀랜드 |
학문적 배경 | |
분야 | 형이상학 논리학 |
사상적 경향 | 상식 실재론 |
2. 생애
윌리엄 해밀턴은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태어났으며,[1] 학문적인 집안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 윌리엄 해밀턴 교수는 글래스고 왕립 해부학 교수였고, 1790년에 3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윌리엄 해밀턴과 그의 동생 토마스 해밀턴은 어머니의 손에서 자랐다.
해밀턴은 글래스고 고등학교와 켄트주 치스윅의 사립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1] 1807년 옥스퍼드 대학교 발리올 칼리지에 입학하여 1811년 학사 학위, 1814년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의학을 전공하려 했으나 포기하고, 1813년 스코틀랜드 변호사 협회 회원이 되었다.
그는 프레스턴의 해밀턴 가문을 대표할 자격이 있음을 입증하여 1816년 준남작 지위를 승계받았다.
2. 1. 초기 생애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태어났다.[1] 그는 학문적인 집안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 윌리엄 해밀턴 교수는 1781년 윌리엄 헌터의 추천으로 자신의 아버지인 토마스 해밀턴 박사를 이어 글래스고 왕립 해부학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1790년 3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윌리엄 해밀턴과 그의 동생 토마스 해밀턴은 어머니의 손에서 자랐다.해밀턴은 글래스고 고등학교에서 조기 교육을 받았으며, 켄트주 치스윅의 사립학교에서 2년간 공부했다.[1] 1807년에는 스넬 전시 장학생 자격으로 옥스퍼드 대학교 발리올 칼리지에 입학했다. 그는 '인문학'에서 1등급을 받았고 1811년에 학사 학위(1814년 석사)를 받았다. 그는 원래 의학을 전공할 예정이었으나, 옥스퍼드를 졸업한 직후 이 생각을 포기하고 1813년 자격을 갖춘 변호사로서 스코틀랜드 변호사 협회 회원이 되었다.
해밀턴은 자신의 철학 체계를 점차 형성해 가면서 학생으로서의 삶을 계속했다. 조사를 통해 그는 프레스턴의 해밀턴 가문을 대표할 자격이 있음을 입증했고, 1816년에는 로버트 해밀턴 오브 프레스턴 경 (1650–1701)의 사망 이후 중단되었던 준남작 지위를 승계했다.
2. 2. 철학자로서의 초기 활동
1817년과 1820년 두 차례 독일을 방문하여 독일어 연구를 시작했고, 이후에는 당시 영국의 대학교에서 거의 무시되었던 현대 독일 철학 연구로 이어졌다. 1820년 에든버러 대학교의 도덕 철학 교수직에 지원했지만, 정치적인 이유로 ''블랙우드 매거진''의 "크리스토퍼 노스"인 존 윌슨(1785–1854)에게 패했다. 1821년 시민 역사 교수로 임명되어 근대 유럽 역사와 문학사에 대한 여러 강좌를 진행했다. 연봉은 지역 맥주세로 충당된 100GBP였으며, 얼마 후 중단되었다. 수강생 의무 출석 제도가 없었고, 수강생이 줄어들자 윌리엄은 봉급이 끊기면서 이 직책을 포기했다. 1828년 3월, 사촌 자넷 마샬과 결혼했다.3. 저술 활동
1829년, 그는 "무조건성의 철학" (빅토르 쿠쟁의 ''철학 강의'')에 대한 에세이를 발표하면서 저술 활동을 시작했다. 이 에세이는 ''에든버러 리뷰''에 기고한 여러 기사 중 첫 번째였다.[3] 1836년, 그는 에든버러 대학교의 논리학 및 형이상학 교수로 선출되어, 이후 20년 동안 스코틀랜드 젊은 세대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비슷한 시기에 토머스 리드의 저작 주석판을 준비하기 시작했지만, 1844년 마비로 인해 완성하지 못했다.
그는 논리학 이론을 만들었으며, 그 주요 원리는 리드 판에 부록으로 첨부된 "새로운 논리 형식 분석에 관한 에세이"의 개요에 나타나 있었다. 그러나 세부 사항과 적용 분야에서 이 계획을 정교하게 다듬는 작업은 그 후 몇 년 동안 그의 여가 시간을 많이 할애했다. 이로 인해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과의 논쟁이 벌어졌다.[4] 그는 마르틴 루터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준비했으나 출판하지는 못했다. 1852~1853년에는 ''철학, 문학 및 교육에 관한 논쟁'' 초판과 2판을 출판했고, 1854~1855년 동안에는 스튜어트의 저작 새 판 9권을 출판했다.
4. 철학 사상
해밀턴은 낡은 형이상학적 방법론에 반대하며 심리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특히 이마누엘 칸트의 독일 철학의 중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제자들에게 비판 정신을 자극했다. 그의 가장 중요한 저작은 "무조건자의 철학"으로, 인간의 유한한 정신으로는 무한에 대한 지식이 있을 수 없다는 원리를 발전시켰다.[1]
해밀턴은 객관성의 본질 문제와 관련하여 객체의 분리된 존재에 대한 의식의 증거를 단순히 받아들였다. "우리 본성의 근원은 거짓일 수 없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그의 철학은 "자연적 실재론"이 된다. 그의 입장은 칸트와 토머스 리드의 철학을 혼합한 것이며, 철학을 절대적 지식을 얻는 방법이 아닌 정신 훈련의 학문적 영역으로 격하시켰다.[1]
해밀턴은 논리학을 순수한 형식 과학으로 간주하고, 형식적 조건과 지식의 물질적 조건을 동일한 과학의 일부로 취급하는 것을 비과학적인 혼합으로 여겼다. 그는 논리가 객관적인 타당성이 아니라 판단의 상호 관계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귀납과 연역을 형식 논리의 상호 관련된 과정으로 보았으며, 동일률, 모순율, 배중률의 세 가지 공리를 사고의 일반적인 조건으로 간주했다. 그는 "논리가 암묵적으로 생각되는 것을 명시적으로 진술하도록 허용되어야 한다"는 가정을 추가했다. 그는 "술어의 수량화" 교리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모든 A는 B이다"라는 판단이 "모든 A는 모든 B이다"를 의미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스탠리 제번스가 지지한 이 견해는 술어가 외연으로 생각됨을 의미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3][4]
해밀턴은 아리스토텔레스를 존경했으며, 그의 작품은 해밀턴 철학의 틀을 제공했다. 그는 고대, 중세 및 현대의 아리스토텔레스 저술 해설자들과 친숙했으며, 스콜라 철학을 높이 평가했다. 그의 광범위한 독서는 잊혀진 사상가들의 저술에서 많은 교리를 찾을 수 있게 해주었다.[3][4] 그는 현대 독일 철학을 연구했으며, 그의 사고는 칸트의 사고에 의해 수정되었다.
해밀턴은 철학자일 뿐만 아니라, 인간 정신과 관련된 모든 주제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해부학과 생리학을 연구했고, 고대 및 현대 문학, 특히 16세기와 17세기에 관심이 많았다. 그의 문학 프로젝트 중에는 조지 부캐넌과 줄리어스 카이사르 스칼리거의 작품을 편집하는 것이 있었다. 그의 학문은 글래스고 대학교 도서관의 일부가 된 그의 도서관에 표현되었다. 그는 존 스튜어트 밀의 비판에 영감을 주어, 물질을 영원한 감각의 가능성으로 보는 아이디어에 대한 명확한 진술을 이끌어냈다.
4. 1. 무조건자의 철학
해밀턴은 인간의 유한한 정신으로는 무한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 없다는 원리를 발전시켰다. 그는 '생각한다는 것은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다'라는 테제를 통해 이마누엘 칸트의 주체와 객체 개념을 비판적으로 수용했다. 또한, 무한한 시간, 공간, 힘 등은 상상할 수 없다고 주장했으며, 신앙의 영역을 통해 신학의 특정한 능력을 제시했다.[1]4. 2. 자연적 실재론
해밀턴은 "우리 본성의 근원은 거짓일 수 없다"라고 주장하며, 객체의 분리된 존재에 대한 의식의 증거를 그대로 받아들인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그의 철학은 "자연적 실재론"이 된다. 그의 전체 철학은 이마누엘 칸트와 토머스 리드의 철학을 독특하게 혼합한 것이다. 자연적 실재론의 주요 결론은 철학이 절대적 지식을 얻는 방법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부정하고, 대신 정신 훈련을 위한 학문 영역으로 철학의 지위를 낮춘 것이다.[1]4. 3. 논리학
해밀턴은 논리학을 순수한 형식 과학으로 간주했다. 그는 형식적 조건과 지식의 물질적 조건을 동일한 과학의 일부로 취급하는 것을 비과학적인 이질적 요소의 혼합으로 여겼다. 그는 이러한 관점에서 논리가 가장 일반적인 사실조차도 발견하거나 보장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기꺼이 허용했으며, 명시적으로 그것이 객관적인 타당성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판단의 상호 관계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귀납과 연역이 형식 논리의 상호 관련된 과정이며, 각각 사고의 필요성에 의존하고 거기에서 여러 법칙을 도출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인정한 유일한 논리적 법칙은 동일률, 모순율, 배중률의 세 가지 공리였으며, 그는 이를 존재 가능성, 따라서 사고의 하나의 일반적인 조건의 여러 단계로 간주했다. 그는 이유와 결과의 법칙을 다르다고 여기지 않고, 이것들이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형이상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간주했다. 그는 그의 이론에서 중요한 가정으로 "논리가 암묵적으로 생각되는 것을 명시적으로 진술하도록 허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추가했다.논리학에서 해밀턴은 "술어의 수량화" 교리의 창시자로 주로 알려져 있다. 즉, "모든 A는 B이다"라는 판단은 실제로 "모든 A는 모든 B이다"를 의미해야 하며, 반면에 일반적인 보편 명제는 "모든 A는 어떤 B이다"라고 진술해야 한다. 스탠리 제번스가 지지한 이 견해는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는데, 이는 술어가 그의 외연으로 생각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사실 판단이 내려질 때, 예를 들어 사람들이 죽는다는 사실("모든 사람은 죽는다")에 대해, 의도는 속성을 귀속시키는 것이다(즉, 술어는 함축으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다양한 죽어야 하는 것들 중에서 어떤 종류가 사람인가?"라는 질문을 고려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형태 "모든 사람은 어떤 죽는 자이다"에서 암시되듯이) "사람들에 대한 사실은 무엇인가?" 우리는 단순한 동일성을 진술하는 것이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H. W. B. 조셉의 ''논리학 입문'', 1906, 198쪽 이하 참조).[3][4]
4. 4.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연구
해밀턴은 무엇보다도 아리스토텔레스에 충성을 맹세했다. 그의 작품은 해밀턴의 깊고 끊임없는 연구 대상이었으며, 실제로 그의 전체 철학이 형성된 틀을 제공했다.[3] 그는 고대, 중세 및 현대의 아리스토텔레스 저술에 대한 해설자들과 친숙했으며, 스코틀랜드에서 아직 주목받기 시작하지 않았던 시기에 스콜라 철학을 신중하고 높이 평가하며 연구했다. 그의 광범위한 독서는 그가 많은 교리를 잊혀진 사상가들의 저술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게 해주었고, 스스로 생각해 낸 견해나 주장의 이전 소유였을 경우에도, 그런 것들을 모호함에서 꺼내어 적절한 인정을 해주는 것보다 더 큰 즐거움을 주었다.[4]5. 교육관
그는 교사이자 저술가로서 교육에 관심을 보였으며, 이론 및 역사적인 측면에서 교육을 연구했다. 그는 교육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고, 훗날 이를 실천하고 옹호하여 일반적으로 인정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정신 훈련으로서의 수학 연구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했는데, 이는 많은 반대에 부딪혔지만 자신의 견해를 바꾸지 않았다. 그는 교사로서 열정적이고 성공적이었으며, 대학 조직 및 개혁에 관한 그의 저술은 출판 당시 실질적인 영향을 미쳤고, 영구적인 가치를 지닌 내용을 담고 있다.
6. 말년과 죽음
1856년 5월 6일에 사망했으며, 에든버러 프린세스 스트리트 동쪽 끝에 있는 세인트 존스 성공회 교회 묘지에 묻혔다. 묘비는 원래 위치에 있지 않으며, 교회 동쪽 끝의 울타리를 두르는 데 사용되었다.
그는 허버트 마샬의 딸 재닛과 결혼했으며, 그의 아들인 윌리엄 스털링-해밀턴 경(제10대 준남작)이 그의 뒤를 이었는데, 그는 영국 육군의 장군이었다.
7. 저서
- 토머스 리드에 대한 해설 및 주석에 관한 글 (1846)[1]
- 형이상학과 논리에 대한 강의 (1860)[2]
8. 사후 작품
헨리 롱그빌 맨셀과 존 비치가 편집한 4권의 《형이상학과 논리학 강의》(1860) (각각 《형이상학》, 《논리학》)와, H. L. 맨셀이 편집한 《토머스 리드의 저서에 대한 W. 해밀턴 경의 원고 추가 노트》(1862)가 그의 사후 작품으로 출판되었다. 비치의 《W. 해밀턴 경의 회고록》은 1869년에 출판되었다.
9. 영향
해밀턴은 낡은 형이상학적 방법론에 반대하며 심리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마누엘 칸트의 독일 철학의 중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제자들에게 비판 정신을 자극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1] 특히, 그는 '무조건자의 철학'을 통해 인간의 유한한 정신으로는 무한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 없다는 원리를 발전시켰다.
객관성의 본질 문제와 관련하여 해밀턴은 객체의 분리된 존재에 대한 의식의 증거를 단순히 받아들이는 "자연적 실재론"을 주장했다. 그는 철학을 절대적 지식을 얻는 방법이 아닌, 정신 훈련의 학문적 영역으로 격하시켰다.
해밀턴은 논리학을 순수한 형식 과학으로 간주했으며, "술어의 수량화" 교리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견해는 스탠리 제번스에 의해 비판받았다.
해밀턴은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충성을 맹세한 철학자였으며, 그의 작품은 해밀턴 철학의 틀을 제공했다. 그는 고대, 중세 및 현대의 아리스토텔레스 저술에 대한 해설자들과 친숙했으며, 스콜라 철학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현대 독일 철학을 연구했지만, 항상 호의적이지는 않았다.
그는 철학뿐만 아니라 해부학, 생리학, 고대 및 현대 문학에도 정통했으며, 특히 16세기와 17세기에 관심이 많았다. 그의 일반적인 학문은 그의 도서관에 표현되었으며, 이는 글래스고 대학교 도서관의 일부가 되었다.
또한, 그는 존 스튜어트 밀의 비판에 영감을 주어, 물질을 영원한 감각의 가능성으로 보는 아이디어에 대한 명확한 진술을 이끌어 냈다.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06-07
[2]
웹사이트
Edinburgh Post Office annual directory, 1832–1833
https://digital.nls.[...]
2018-02-25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Natural Theology
OUP Oxford
[4]
서적
British Logic in the Nineteenth Century
Elsevier
[5]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H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6-09-13
[6]
서적
Historical theology.
http://worldcat.org/[...]
Theclassics Us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