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인간 환경 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인간 환경 회의는 1972년 스웨덴에서 개최된 회의로, 환경 문제에 대한 국가 간의 협력을 촉구하고 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적 노력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회의는 유엔 총회의 결의에 따라 소집되었으며, 114개국 정부가 참여하여 환경과 개발에 관한 26개 원칙을 담은 선언문, 109개의 권고안이 담긴 행동 계획, 그리고 결의안을 합의했다. 회의에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입장 차이가 나타났으며, 개발도상국들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빈곤 완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스톡홀름 선언은 천연자원 보호, 재생 가능 자원 유지, 오염 방지 등 다양한 환경 보호 원칙을 제시했으며, 이후 각국이 환경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환경부 및 관련 기관을 설립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2022년에는 회의 50주년을 기념하여 미래를 위한 권고안을 담은 보고서가 발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유엔 관계 - 국제물제휴
국제물제휴(GWP)는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위해 설립된 네트워크로, 통합 수자원 관리(IWRM)를 지원하며 170개 이상의 국가에서 3,000개 이상의 파트너를 보유하고 있다. - 1972년 스웨덴 - 야트 항공 367편 추락 사고
1972년 유고슬라비아 항공 367편이 체코슬로바키아 상공에서 폭탄 테러로 추락하여 27명이 사망했으나, 승무원 베스나 불로비치가 기적적으로 생존하며 기네스 기록에 등재되었고, 사고 원인으로는 우스타샤의 테러 연루설과 격추 음모론이 제기되었으며, 기내 폭발로 결론지어졌다.
유엔 인간 환경 회의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유엔 인간 환경 회의 |
영어 명칭 |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 |
개최 장소 | 스톡홀름 |
개최 날짜 | 1972년 6월 5일 ~ 16일 |
관련 기구 | 국제 연합 |
주요 참가자 | 모리스 스트롱 |
주요 결과 | 스톡홀름 선언 |
배경 | |
배경 | 1960년대 후반부터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증가하면서 개최됨. 인간 환경에 대한 최초의 국제 회의.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수질 오염 등 다양한 환경 문제 논의. 개발도상국은 환경 문제의 책임이 선진국에 있다고 주장하며 환경 보호와 경제 개발 간의 균형을 강조함. 스톡홀름 선언은 환경 보호에 대한 국제적 합의를 이끌어냄. |
주요 내용 | |
주요 의제 | 인간 환경의 보호. 지속 가능한 개발. 환경 교육과 인식 증진. |
스톡홀름 선언 | 인간 환경에 대한 26가지 원칙을 담고 있음. 인간 환경 보호에 대한 최초의 국제적 합의. |
유엔 환경 계획 (UNEP) | 회의 결과로 유엔 환경 계획이 설립됨. 유엔 환경 계획은 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협력을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정책을 수립함. |
기타 결과 | 환경 보호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높임. 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함. |
영향 | |
국제적 영향 | 환경 보호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높임. 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함. 유엔 환경 계획 설립에 기여. 지속 가능한 개발 개념 확산. |
한국에 미친 영향 |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 환경 관련 법규 제정 및 강화. |
평가 | |
평가 |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높이고 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음. 지속 가능한 개발 개념을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이견을 조율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는 비판도 존재함. 일부에서는 스톡홀름 선언이 구속력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음. |
기타 | |
관련 인물 | 모리스 스트롱 (회의 사무총장) 코피 아난 |
관련 문서 | 스톡홀름 선언 |
2. 회의 배경
1968년 스웨덴은 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에 환경과 인간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유엔 회의 개최를 제안했다. ECOSOC는 이 제안을 지지하는 결의안 1346호를 통과시켰다. 1969년 총회 결의안 2398호에 따라 1972년에 회의가 소집되었고, 유엔 사무총장에게 환경 문제에 직면한 "국가 정부 및 국제기구의 행동을 자극하고 지침을 제공하는 것"에 회의의 초점을 맞추도록 일련의 보고서를 의뢰했다.[5] 회의 준비는 4년 동안 114개국 정부가 참여하고 3000만달러가 넘는 비용이 소요되는 등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다.[6]
소련과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들은 동독이 참여하지 못하는 것에 반발하여 회의에 불참했다. 당시 동독과 서독은 서로를 국가로 인정하지 않았고, UN 회원국도 아니었다.[6][7]
3. 회의 진행 과정
영국, 미국,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 등은 "브뤼셀 그룹(Brussels Group)"을 결성하여 회의 영향력을 축소하려 했다.[8]
회의에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갈등이 표면화되었다. 중국 대표단은 인도차이나 전쟁에서의 미국 정책과 전반적인 미국의 대외 정책을 비판하는 17개항의 각서를 발표하여 개발도상국들의 지지를 얻었다.[7] 파키스탄, 페루, 칠레 등도 반식민주의 성명을 발표했다.[7]
당시 개발도상국들은 환경 거버넌스를 국제적 우선순위로 여기지 않았다. 이들은 환경 거버넌스 자체보다는 유엔 환경 계획(UNEP) 본부가 케냐 나이로비에 설치된다는 점 때문에 UNEP 설립을 지지했다. UNEP는 개발도상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UN 기구였다.[4]
3. 1. 대한민국 대표단의 입장
이 섹션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으므로, 요약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되 원본 소스의 맥락을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대한민국은 개발도상국의 일원으로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빈곤 퇴치와 경제 개발이 환경 보호와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역설하며, 선진국의 적극적인 지원과 기술 이전을 촉구했다.
4. 스톡홀름 선언
회의에서는 환경과 개발에 관한 26개 원칙을 담은 선언문, 109개의 권고안이 담긴 행동 계획, 그리고 결의안을 합의했다.[10]
스톡홀름 선언은 천연자원 보호, 생태계 보전, 야생 동물 보호, 오염 방지, 개발도상국 지원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 회의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환경 보호를 위한 빈곤 완화의 필요성을 인식했다는 것이다. 인디라 간디 인도 총리는 회의 연설에서 생태 관리와 빈곤 퇴치 간의 연관성을 언급했다.[12][13][14]
스톡홀름 회의는 전 세계 국가들이 환경 조건을 감시하고 환경 관련 부처 및 기관을 설립하도록 이끌었다.[15][16][17]
4. 1. 주요 원칙
- 천연자원은 보호되어야 한다.
- 지구의 생산 능력인 재생 가능 자원은 유지되어야 한다.
- 야생 동물은 보호되어야 한다.
- 비재생 가능 자원은 공유되어야 하며 고갈되어서는 안 된다.
- 오염은 환경의 자정 능력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 파괴적인 해양 오염은 방지되어야 한다.
-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개발이 필요하다.
- 따라서 개발도상국은 지원을 받아야 한다.
- 개발도상국은 환경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수출품에 대한 적정한 가격을 확보해야 한다.
- 환경 정책은 개발을 저해해서는 안 된다.
- 개발도상국은 환경 보호 조치를 개발하기 위한 자금이 필요하다.
- 통합적 개발 계획이 필요하다.
- 합리적인 계획으로 환경과 개발 사이의 갈등을 해결해야 한다.
- 환경 문제를 없애기 위해 인간 정주 지역을 계획해야 한다.
- 정부는 자체 적절한 인구 계획을 계획해야 한다.
- 국가 기관은 국가 자연자원 개발을 계획해야 한다.
- 환경 개선을 위해 과학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
- 환경 교육은 필수적이다.
-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환경 연구를 촉진해야 한다.
- 국가는 원하는 대로 자원을 이용할 수 있지만 다른 국가를 위험에 빠뜨려서는 안 된다.
- 따라서 위험에 처한 국가에는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 각국은 자체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 국제 문제에 대해서는 협력이 있어야 한다.
- 국제기구는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 대량살상무기는 폐기되어야 한다.[11]
5. 회의의 의의와 영향
인디라 간디 인도 총리는 회의에서 생태 관리와 빈곤 퇴치 간의 연관성을 제기하는 중요한 연설을 했다.[12][13][14] 이를 통해 스톡홀름 회의는 환경 보호를 위한 빈곤 완화의 중요성을 국제 사회에 각인시켰다.
스톡홀름 회의는 전 세계 국가들이 환경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환경부와 기관을 설립하도록 촉구했다.[15][16][17] 유엔환경계획(UNEP) 설립과 같은 제도적 성과를 낳았지만, 대부분의 행동 계획이 이행되지 못하면서 유엔은 후속 회의를 개최하게 되었다.[18] 1992년 리우 회의, 2002년 요하네스버그 회의, 2012년 리우+20 회의 등은 모두 스톡홀름 회의를 기반으로 한다.
이 회의와 이에 앞선 과학 회의는 유럽 공동체(후에 유럽 연합이 됨)의 환경 정책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쳤다.[19] 1973년 EU는 환경 및 소비자 보호국을 설립하고 최초의 환경 행동 계획을 수립했다. 이러한 관심과 연구 협력의 증가는 지구 온난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이는 교토 의정서와 파리 협정과 같은 협정으로 이어졌고 현대 환경 운동의 기반을 마련했다.
6. 50주년 기념
2022년, 과학자팀이 유엔 인간 환경 회의(1972년) 이후 변화를 분석하고 미래를 위한 권고안을 제시한 "스톡홀름+50: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열쇠(Stockholm+50: Unlocking a Better Future)" 보고서를 발표했다. 주요 메시지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 재정립, 모든 사람을 위한 지속 가능한 번영 달성, 더 나은 미래에 대한 투자"이다.[20] 또한, 청년 연구자들은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청년 비전 설정(Charting a Youth Vision for a Just and Sustainable Future)"이라는 청년 버전 보고서를 발표하여 권고안을 제시했다. 주요 메시지는 "건강, 웰빙 및 공동체 연대,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 국제 연대 – 하나의 지구 가족으로서의 삶, 모든 인간이 평등한 세상"이다.[20]
7. 관련 도서
- 国際連合人間環境会議 公式文言集 -かけがえのない地球|국제연합 인간환경회의 공식문언집 -소중한 지구일본어 사카모토 후지요시(坂本藤良) 감수, 일본과학기술번역협회 역, 일본종합출판기구, 1972년 ASIN B000J9NZKE
- かけがえのない地球|소중한 지구일본어 바바라 워드, 르네 뒤보스 공저, 인간환경워킹그룹, 환경과학연구소 공역, 사카모토 후지요시(坂本藤良), 소다 나가무네(曽田長宗) 공동감수, 일본종합출판기구, 1972년
참조
[1]
간행물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 Stockholm, 5-16 June 1972
https://www.un.org/g[...]
2019-09-14
[2]
웹사이트
08-l.jpg
http://legal.un.org/[...]
2014-09-17
[3]
서적
Where on Earth are We Going?
Texere
[4]
논문
Developing Countries and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From Contestation to Participation to Engagement
2005
[5]
서적
Global Environmental Institutions
Rutledge
[6]
뉴스
Goals for Environment Talks Listed
1972-03-17
[7]
뉴스
Chinese Rip U.S. At Parley
1972-06-10
[8]
웹사이트
Plot to undermine global pollution controls revealed
https://www.newscien[...]
2019-02-26
[9]
웹사이트
Stockholm 1972: The start of China's environmental journey
https://chinadialogu[...]
2021-09-23
[10]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1]
간행물
[12]
웹사이트
Indira Gandhi One Earth One Environment One Humanity 14 June 1972
http://archive.org/d[...]
1972-06-14
[13]
뉴스
Indira Gandhi, the environmentalist
http://www.thehindu.[...]
2017-05-21
[14]
서적
The Years of Endeavour: Selected Speeches of Indira Gandhi (August 1969 - August 1972)
http://archive.org/d[...]
Publications Division, Government of India, New Delhi
[15]
논문
The Origins of the Global Environmental Regim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6]
논문
The structuring of a world environmental regime
[17]
간행물
The quest for global sustainability: international efforts on linking environment and development
Science, Environment and Development Group, Cente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18]
논문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Forty Years in the Making
[19]
간행물
The Thirty Year Quest for Sustainability: The Legacy of the 1972 UN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
[20]
웹사이트
Stockholm+50: Unlocking a Better Future
https://www.stockhol[...]
SEI, CEEW
2022-06-01
[21]
서적
生命系の危機 ‐環境問題を捉えなおす旅
社会思想社
[22]
서적
生命系の危機 ‐環境問題を捉えなおす旅
[23]
서적
生命系の危機 ‐環境問題を捉えなおす旅
[24]
뉴스
Goals for Environment Talks Listed
1972-03-17
[25]
뉴스
Chinese Rip U.S. At Parley
1972-06-10
[26]
뉴스
Chinese Rip U.S. At Parley
1972-06-10
[27]
웹사이트
World Environment magazine features Maurice Strong
http://www.mauricest[...]
[28]
웹사이트
Website of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http://www.unep.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