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투르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투르나는 고대 라틴의 샘 여신으로, 유피테르에 의해 물의 요정으로 변모했다는 신화가 전해진다. 라비니움, 라티움, 로마 포룸에 있는 우물을 관장했으며, 카스토르와 폴룩스가 레길루스 호수 전투 승전 소식을 전한 후 말을 물을 먹인 전설과 관련이 있다. 베르길리우스는 투르누스의 누이로 묘사했으며, 디오스쿠로이와 연관되어 숭배되었다. 1월 11일에는 유투르날리아 축제가 열렸으며, 남극의 유투르나 호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신화 - 변신 이야기
    《변신 이야기》는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세계 창조부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죽음까지의 역사를 3음보 6보격으로 구성한 서사시로, 신화 속 변신을 소재로 사랑과 인간의 열정을 다루며 신들의 우스꽝스러운 면모를 드러낸다.
  • 로마 신화 - 피그말리온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에서 자신의 조각상 갈라테이아를 사랑하여 아프로디테 여신의 도움으로 결혼하게 되는 키프로스의 조각가이며, 예술가가 창조물에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의 원형이자 '피그말리온 효과'와 '피그말리오니즘' 용어의 기원이 되었다.
유투르나
기본 정보
종류로마 신화의 님프
성별여성
관장샘, 우물, 강
그리스 신화 대응테이아
가족 관계
아버지다우누스
형제자매투르누스
배우자야누스 또는 피쿠스
자녀폰스
신화
설명유투르나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님프로, 샘, 우물, 강을 관장하며 다우누스의 딸이자 투르누스의 자매이다.
주요 이야기유피테르의 사랑을 받았으나 님프로 남기 위해 야누스 또는 피쿠스와 결혼했다.
추가 정보로마의 포룸 로마눔 근처에 그녀를 기리는 신전과 샘이 있었다.

2. 신화

유투르나는 샘의 고대 라틴 여신이다.[3] 유피테르에 의해 물 요정인 나이아스로 변모하여 여러 우물을 하사받았다는 신화가 전해진다.

96 BC에 발행된 데나리우스. 카스토르와 폴룩스가 유투르나의 샘에서 말을 물을 먹이고 있으며, 앞면에는 아폴론의 월계관을 쓴 머리가 새겨져 있다.


로마와 라비니움에 신전을 두고 아르데아에서 건강한 물의 숭배를 받는 등 라티움에서 중요한 신으로 여겨졌다. 로마 전설에 따르면,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기원전 496년 레길루스 호수 전투에서 로마가 승리했다는 소식을 전한 후 유투르나의 샘에서 말을 물을 먹였다고 한다. 제1차 포에니 전쟁 이후 그녀를 기리는 신전이 세워졌다.[2]

홀러웨이는 초기 로마 주화에 날개 달린 헬멧을 든 여신이 유투르나라고 주장했지만, 그녀의 도상학은 대체로 알려져 있지 않다. 로마 포룸에 있는 카스토르와 폴룩스 신전의 후기 제단 부조가 그녀를 묘사했을 수 있다. 로마에서는 1월 11일에 그녀를 기리는 축제가 열렸으며, 이때 제물이 바쳐졌고, 로마의 분수와 수도교를 관리하는 ''fontani''가 그녀를 숭배했다.[7]

남극의 유투르나 호는 이 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1. 유피테르와의 관계

유투르나는 샘의 고대 라틴 여신으로,[3] 일부 신화에서는 유피테르에 의해 물 요정인 나이아스로 변모하여 그로부터 라비니움, 라티움에 있는 신성한 우물[4]포룸 로마눔에 있는 베스타 신전 근처에 있는 또 다른 우물을 하사받았다. 그녀의 원래 고향은 신화 속 강 누미키우스에 있었다고 전해진다.[2]

두 번째 우물 옆에 있는 연못은 라쿠스 유투르나에라고 불렸다. 일반적으로 지역 물의 요정 또는 강의 신은 하나의 물줄기를 관장하지만, 유투르나는 더 광범위한 권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로마와 라비니움에 신전을 두고 아르데아에 건강한 물의 숭배를 받았으며 로마 포럼의 호수 옆에 샘/우물을 가지고 있던 라티움에서의 그녀의 원래 중요성을 반영하는 듯하다. 로마 전설에 따르면, 이곳에서 신들인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기원전 496년 레길루스 호수 전투에서 로마가 승리했다는 소식을 전한 후 말을 물을 먹였다.

제1차 포에니 전쟁 이후 그녀를 기리는 신전이 세워졌다.[2]

2. 2. 투르누스와의 관계

베르길리우스는 유투르나를 투르누스의 누이로 묘사하는데, 투르누스가 전투에서 칼을 떨어뜨렸을 때 칼을 다시 건네주고, 그가 죽을 위기에 처했을 때 전투에서 데려가는 등 아이네이아스에 맞서 그를 지원했다.[5] 그러나 결국 그녀는 투르누스를 그의 운명에서 구하지 못하고 슬픔에 잠겨 물속으로 물러났다. 유투르나는 유노에 의해 신성화되는데(Aen. 12.143, 145), 이는 그녀를 디오스쿠로이와 연결하는 행위이다. 이 신들은 모두 인간을 돕는 유사한 역할을 공유하며, 초기 라티움에서 전통적인 숭배 관계를 맺고 있었다. 오비디우스유피테르(그리스의 제우스)와의 그녀의 관계를 이야기하는데, 그 비밀은 유피테르가 벌로 벙어리로 만든 또 다른 님프인 라룬다에 의해 폭로되었다.[6]

2. 3. 디오스쿠로이와의 연관성



로마 전설에 따르면,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기원전 496년 레길루스 호수 전투에서 로마가 승리했다는 소식을 전한 후 유투르나의 샘에서 말을 물을 먹였다고 한다.[2]

베르길리우스는 유투르나를 투르누스의 누이로 묘사하는데, 투르누스가 전투에서 칼을 떨어뜨렸을 때 칼을 다시 건네주고, 그가 죽을 위기에 처했을 때 전투에서 그를 데려가는 등 아이네이아스에 맞서 그를 지원했다.[5] 그러나 결국 그녀는 투르누스를 그의 운명에서 구하지 못하고 슬픔에 잠겨 물속으로 물러났다. 유투르나는 유노에 의해 신성화되었는데(Aen. 12.143, 145), 이는 그녀를 디오스쿠로이와 연결하는 행위이다. 이 신들은 모두 인간을 돕는 유사한 역할을 공유하며, 초기 라티움에서 전통적인 숭배 관계를 맺고 있었다.

3. 숭배

유투르나는 고대 라틴의 샘의 여신이었다.[3] 로마와 라비니움에 신전이 있었고, 아르데아에서는 건강한 물로 숭배받았으며, 로마 포룸의 호수 옆에는 그녀의 샘과 우물이 있었다. 제1차 포에니 전쟁 이후에는 그녀를 기리는 신전이 세워졌다.[2]

3. 1. 로마와 라티움에서의 숭배

유투르나는 샘의 고대 라틴 여신으로,[3] 일부 신화에서는 유피테르에 의해 물 요정인 나이아스로 변모하여 그로부터 라비니움, 라티움에 있는 신성한 우물[4]포룸 로마눔에 있는 베스타 신전 근처에 있는 또 다른 우물을 하사받았다. 그녀의 원래 고향은 신화 속 강 누미키우스에 있었다고 전해진다.[2]

두 번째 우물 옆에 있는 연못은 라쿠스 유투르나에라고 불렸다. 일반적으로 지역 물의 요정 또는 강의 신은 하나의 물줄기를 관장하지만, 유투르나는 더 광범위한 권능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로마와 라비니움에 신전을 두고 아르데아에 건강한 물의 숭배를 받았으며 로마 포럼의 호수 옆에 샘/우물을 가지고 있던 라티움에서의 그녀의 원래 중요성을 반영하는 듯하다. 로마 전설에 따르면, 이곳에서 신들인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기원전 496년 레길루스 호수 전투에서 로마가 승리했다는 소식을 전한 후 말을 물을 먹였다(발레리우스 막시무스, I.8.1; 플루타르크, 아에밀리우스 파울루스, 25.2, 코리올라누스, 3.4의 생애).

제1차 포에니 전쟁 이후 그녀를 기리는 신전이 세워졌다.[2] 홀러웨이는 초기 로마 주화에 날개 달린 헬멧을 든 여신이 유투르나라고 주장했지만, 그녀의 도상학은 대체로 알려져 있지 않다. 로마 포룸에 있는 카스토르와 폴룩스 신전의 후기 제단 부조가 그녀를 묘사할 수 있다. 로마 축제가 1월 11일에 그녀를 기리기 위해 열렸으며, 이때 그녀에게 제물이 바쳐졌고, 로마의 분수와 수도교를 관리하는 남성들인 ''fontani''에 의해 숭배되었다.[7]

3. 2. 유투르날리아

카스토르와 폴룩스 신전의 후기 제단 부조가 유투르나를 묘사했을 가능성이 있다.[7] 1월 11일에 유투르나를 기리는 로마 축제가 열렸으며, 이때 유투르나에게 제물이 바쳐졌고, 로마의 분수와 수도교를 관리하는 남성들인 ''fontani''에 의해 숭배되었다.[7]

4. 유산

유투르나의 유산은 크게 지명과 예술 작품으로 나눌 수 있다.

남극의 유투르나 호는 유투르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 베르길리우스는 자신의 작품에서 유투르나를 투르누스의 누이로 묘사하며, 아이네이아스에 맞서 투르누스를 돕지만 결국 그를 운명에서 구하지 못하고 슬픔에 잠기는 인물로 그렸다. 유투르나는 유노에 의해 신격화되는데, 이는 그녀를 디오스쿠로이와 연결하며, 이들은 모두 인간을 돕는 역할을 공유한다.[6] 오비디우스는 유피테르(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와 유투르나의 관계를 이야기하며, 이 비밀이 라룬다에 의해 폭로되는 내용을 다룬다.

4. 1. 지명

남극의 유투르나 호는 그 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2. 예술 작품

베르길리우스는 유투르나를 투르누스의 누이로 묘사하는데, 투르누스가 전투에서 칼을 떨어뜨렸을 때 칼을 다시 건네주고, 그가 죽을 위기에 처했을 때 전투에서 그를 데려가는 등 아이네이아스에 맞서 그를 지원했다.[5] 그러나 결국 유투르나는 투르누스를 그의 운명에서 구하지 못하고 슬픔에 잠겨 물속으로 물러났다. 유투르나는 유노에 의해 신성화되는데(Aen. 12.143, 145), 이는 그녀를 디오스쿠로이와 연결하는 행위이다. 이 신들은 모두 인간을 돕는 유사한 역할을 공유하며, 초기 라티움에서 전통적인 숭배 관계를 맺고 있었다.

오비디우스는 유피테르(그리스의 제우스)와 유투르나의 관계를 이야기하는데, 그 비밀은 유피테르가 벌로 벙어리로 만든 또 다른 님프인 라룬다에 의해 폭로되었다.[6]

참조

[1] 간행물 New Larousse Encyclopedia of Mythology London 1968
[2] 웹사이트 Juturna
[3] 서적 A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London 1892
[4] 서적 A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London 1892
[5] 서적 Aeneid Penguin 1990
[6] 논문 Ovid’s Women of the Year 2016
[7] 간행물 New Larousse Encyclopedia of Mythology London 1968
[8] 문서 アエネーイス 10巻76行
[9] 문서 アエネーイス 12巻138行以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