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르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르누스는 로마 신화의 영웅으로,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아이네이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라티누스 왕의 딸 라비니아의 구혼자였으나, 트로이의 영웅 아이네아스가 이탈리아에 도착하면서 라비니아와의 결혼을 두고 갈등을 겪는다. 유노 여신의 사주를 받아 트로이인과의 전쟁을 시작하며 용감하게 싸우지만, 결국 아이네아스와의 결투에서 패하여 죽음을 맞이한다. 투르누스는 다양한 문학 작품에서 재해석되며, 로마 제국에 저항하는 인물이나 운명의 힘에 굴복하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신화 - 변신 이야기
    《변신 이야기》는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세계 창조부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죽음까지의 역사를 3음보 6보격으로 구성한 서사시로, 신화 속 변신을 소재로 사랑과 인간의 열정을 다루며 신들의 우스꽝스러운 면모를 드러낸다.
  • 로마 신화 - 피그말리온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에서 자신의 조각상 갈라테이아를 사랑하여 아프로디테 여신의 도움으로 결혼하게 되는 키프로스의 조각가이며, 예술가가 창조물에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의 원형이자 '피그말리온 효과'와 '피그말리오니즘' 용어의 기원이 되었다.
투르누스
기본 정보
바르톨로메오 베네토 - 로디의 투르노 남자의 초상
바르톨로메오 베네토 - 로디의 투르노 남자의 초상
종류신화 속 인물
성별남자
문화로마 신화
다른 이름투르누스
신화 속 역할
역할루툴리족의 왕
관련 신화아이네이스
주요 사건아이네이아스와의 전투에서 사망
가계
아버지다우누스
어머니베닐리아
배우자라비니아 (약혼녀)
등장 작품
주요 작품아이네이스

2. 역사적 배경

투르누스에 대한 역사적 자료는 제한적이지만, 투르누스와 루툴리에 대한 몇 가지 주요 세부 사항은 『아이네이스』의 묘사와 크게 다르다. 『아이네이스』보다 앞선 유일한 자료는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의 『오리게네스』이다. 투르누스는 리비우스의 『로마 건국사』와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의 Ρωμαϊκή Αρχαιολογία|로마이케 아르카이올로기아|로마의 고대사grc에도 언급되는데, 이 두 작품 모두 『아이네이스』보다 늦게 쓰여졌다.[2] 투르누스는 가짜 야세르의 서에 아프리카의 안제아스와 함께 언급된다.[3]

이 모든 역사적 자료에서 투르누스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디오니시우스는 그를 "에트루리아인"을 의미하는 ''티르레누스''라고 부르는 반면, 다른 자료에서는 그리스 혈통을 암시한다. 이 모든 자료에서 투르누스와 그의 루툴리족은 트로이인들이 도착하기 전에 이탈리아에 정착했으며 라틴족과 트로이인 간의 충돌에 연루되어 있지만, 세부 사항에는 많은 불일치가 있다.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에서 투르누스의 배경에 대해 다양한 역사적 자료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2. 1. 초기 기록

투르누스에 대한 역사적 자료는 제한적이지만, 투르누스와 루툴리에 대한 몇 가지 주요 세부 사항은 『아이네이스』의 묘사와 크게 다르다. 『아이네이스』보다 앞선 유일한 자료는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의 『오리게네스』이다. 투르누스는 리비우스의 『로마 건국사』와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의 Ρωμαϊκή Αρχαιολογία|로마이케 아르카이올로기아|로마의 고대사grc에도 언급되는데, 이 두 작품 모두 『아이네이스』보다 늦게 쓰여졌다.[2] 투르누스는 가짜 야세르의 서에도 아프리카의 안제아스와 함께 언급된다.[3]

이 모든 역사적 자료에서 투르누스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디오니시우스는 그를 "에트루리아인"을 의미하는 ''티르레누스''라고 부르는 반면, 다른 자료에서는 그리스 혈통을 암시한다. 이 모든 자료에서 투르누스와 그의 루툴리족은 트로이인들이 도착하기 전에 이탈리아에 정착했으며 라틴족과 트로이인 간의 충돌에 연루되어 있지만, 세부 사항에는 많은 불일치가 있다.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에서 투르누스의 배경에 대해 다양한 역사적 자료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2. 2. 역사적 자료의 불일치

투르누스에 대한 역사적 자료는 제한적이지만, 투르누스와 루툴리에 대한 몇 가지 주요 세부 사항은 『아이네이스』의 묘사와 크게 다르다. 『아이네이스』보다 앞선 유일한 자료는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의 『오리게네스』이다. 투르누스는 리비우스의 『로마 건국사』와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의 Ρωμαϊκή Αρχαιολογία|로마이케 아르카이올로기아|로마의 고대사grc에도 언급되는데, 이 두 작품 모두 『아이네이스』보다 늦게 쓰여졌다.[2] 투르누스는 가짜 야세르의 서에 아프리카의 안제아스와 함께 언급된다.[3]

이 모든 역사적 자료에서 투르누스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디오니시우스는 그를 "에트루리아인"을 의미하는 *티르레누스*라고 부르는 반면, 다른 자료에서는 그리스 혈통을 암시한다. 이 모든 자료에서 투르누스와 그의 루툴리족은 트로이인들이 도착하기 전에 이탈리아에 정착했으며 라틴족과 트로이인 간의 충돌에 연루되어 있지만, 세부 사항에는 많은 불일치가 있다.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에서 투르누스의 배경에 대해 다양한 역사적 자료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2. 3. 베르길리우스의 해석

투르누스에 대한 역사적 자료는 제한적이지만, 투르누스와 루툴리에 대한 몇 가지 주요 세부 사항은 『아이네이스』의 묘사와 크게 다르다. 『아이네이스』보다 앞선 유일한 자료는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의 『오리게네스』이다. 투르누스는 리비우스의 『로마 건국사』와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의 Ρωμαϊκή Αρχαιολογία|로마이케 아르카이올로기아|로마의 고대사grc에도 언급되는데, 이 두 작품 모두 『아이네이스』보다 늦게 쓰여졌다.[2] 투르누스는 가짜 야세르의 서에 아프리카의 안제아스와 함께 언급된다.[3]

이 모든 역사적 자료에서 투르누스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디오니시우스는 그를 "에트루리아인"을 의미하는 '티르레누스'라고 부르는 반면, 다른 자료에서는 그리스 혈통을 암시한다. 이 모든 자료에서 투르누스와 그의 루툴리족은 트로이인들이 도착하기 전에 이탈리아에 정착했으며 라틴족과 트로이인 간의 충돌에 연루되어 있지만, 세부 사항에는 많은 불일치가 있다.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에서 투르누스의 배경에 대해 다양한 역사적 자료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3.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아이네아스가 이탈리아에 도착하기 전, 투르누스는 라비니아의 가장 유력한 구혼자였다. 그러나 아이네아스가 도착하자 라비니아는 트로이 왕자에게 약혼하게 된다. 유노는 트로이인들의 고통을 연장하려 결심하고, 투르누스에게 새로운 도착자들과의 전쟁을 요구하도록 부추긴다. 라티누스 왕은 투르누스에게 매우 불쾌감을 느끼지만, 물러나 전쟁을 시작하도록 허락한다.[1]

라틴족과 트로이족 사이의 전쟁(그리고 에반데르 왕의 아르카디아인들을 포함한 여러 트로이 동맹국) 동안, 투르누스는 용감하지만 성급한 모습을 보인다. 9권에서 그는 많은 적들을 물리친 후 트로이 요새를 거의 점령할 뻔하지만, 곧 위기에 처하게 되고 유노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한다.

10권에서 투르누스는 팔라스를 죽이고 그의 칼 벨트를 전리품으로 가져간다. 분노한 아이네아스는 투르누스를 찾아 나선다. 유노는 투르누스를 아이네아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유령 형상을 소환하여 그를 배로 유인한다. 투르누스는 이 행동에 불쾌감을 느끼고 자살까지 고려한다.

12권에서 아이네아스와 투르누스는 결투를 벌인다. 아이네아스는 일리아스와 유사한 추격 장면 속에서 투르누스에게 상처를 입힌다. 투르누스는 목숨을 구걸하지만, 아이네아스는 팔라스의 벨트를 보고 분노하여 그를 죽인다. 시의 마지막 구절은 투르누스의 불행한 저승행을 묘사한다.

투르누스의 지지자들은 그의 여동생이자 작은 강/샘의 여신인 유투르나, 라티누스의 아내 아마타, 에트루리아의 폐위된 왕 메젠티우스, 그리고 볼스키의 여왕 카밀라였다.

3. 1. 라비니아와의 관계

아이네아스가 이탈리아에 도착하기 전, 투르누스는 라티누스 라틴족 왕의 외동딸인 라비니아의 가장 유력한 구혼자였다.[1] 그러나 아이네아스가 도착하자 라비니아는 트로이 왕자에게 약혼하게 된다.[1] 유노는 트로이인들의 고통을 연장하려 결심하고, 투르누스에게 새롭게 도착한 자들과의 전쟁을 요구하도록 부추긴다.[1] 라티누스 왕은 투르누스에게 매우 불쾌감을 느끼지만, 물러나 전쟁을 시작하도록 허락한다.[1]

3. 2. 전쟁의 발발

아이네아스가 이탈리아에 도착하기 전, 투르누스는 라비니아의 가장 유력한 구혼자였다. 라비니아는 라티누스 왕의 외동딸이었다. 그러나 아이네아스가 도착하자 라비니아는 트로이 왕자에게 약혼하게 된다.[1] 유노는 트로이인들의 고통을 연장하려 결심하고, 투르누스에게 새롭게 도착한 아이네아스 일행과의 전쟁을 요구하도록 부추긴다.[1] 라티누스 왕은 투르누스에게 매우 불쾌감을 느끼지만, 물러나 전쟁을 시작하도록 허락한다.[1]

3. 3. 투르누스의 용맹과 좌절

아이네아스가 이탈리아에 도착하기 전, 투르누스는 라비니아의 가장 유력한 구혼자였다. 라비니아는 라티누스 라틴족 왕의 외동딸이었다. 그러나 아이네아스가 도착하자 라비니아는 트로이 왕자에게 약혼하게 된다. 유노는 트로이인들의 고통을 연장하려 결심하고, 투르누스에게 새로운 도착자들과의 전쟁을 요구하도록 부추긴다. 라티누스 왕은 투르누스에게 매우 불쾌감을 느끼지만, 물러나 전쟁을 시작하도록 허락한다.[1]

라틴족과 트로이족 사이의 전쟁 (그리고 에반데르 왕의 아르카디아인들을 포함한 여러 트로이 동맹국) 동안, 투르누스는 용감하지만 성급한 모습을 보인다. 9권에서 그는 많은 적들을 물리친 후 트로이 요새를 거의 점령할 뻔하지만, 곧 위기에 처하게 되고 유노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한다.[1]

10권에서 투르누스는 에반데르의 아들, 젊은 왕자 팔라스를 죽인다. 그는 살해를 자랑하며 팔라스의 칼 벨트를 전리품으로 가져가 착용한다. 분노한 아이네아스는 그를 죽이려는 일념으로 루툴리 왕을 찾아 나선다. 베르길리우스는 투르누스의 불가피한 몰락을 언급하며 팔라스의 죽음을 알린다. 아이네아스에게 죽는 것을 막기 위해 유노는 아이네아스의 유령 형상을 소환하여 투르누스를 배로 유인하여 안전하게 만든다. 투르누스는 이 행동에 큰 불쾌감을 느끼며 자신의 가치를 의심하고 심지어 자살을 고려한다.[1]

12권에서 아이네아스와 투르누스는 죽음의 결투를 벌인다. 아이네아스는 눈에 띄게 일리아스와 유사한 추격 장면 속에서 우위를 점하며 (아이네아스는 라티움의 벽과 병사들 사이에서 투르누스를 열 번이나 쫓아간다. 이는 아킬레우스와 헥토르의 결투와 매우 유사하다), 투르누스의 허벅지에 상처를 입힌다. 투르누스는 아이네아스에게 자신을 살려주거나 시신을 자기 백성에게 돌려달라고 간청한다. 아이네아스는 잠시 고민하지만 투르누스에게 팔라스의 벨트를 보고 분노에 휩싸여 그를 죽인다. 시의 마지막 구절은 투르누스의 불행한 저승행을 묘사한다.[1]

3. 4. 최후의 결투

아이네아스가 이탈리아에 도착하기 전, 투르누스는 라티누스 라틴족 왕의 외동딸인 라비니아의 가장 유력한 구혼자였다. 그러나 아이네아스가 도착하자 라비니아는 트로이 왕자에게 약혼하게 된다. 유노는 트로이인들의 고통을 연장하려 결심하고, 투르누스에게 새로운 도착자들과의 전쟁을 요구하도록 부추긴다. 라티누스 왕은 투르누스에게 매우 불쾌감을 느끼지만, 물러나 전쟁을 시작하도록 허락한다.[1]

10권에서 투르누스는 에반데르의 아들, 젊은 왕자 팔라스를 죽인다. 그는 살해를 자랑하며 팔라스의 칼 벨트를 전리품으로 가져가 착용한다. 분노한 아이네아스는 그를 죽이려는 일념으로 루툴리 왕을 찾아 나선다. 베르길리우스는 투르누스의 불가피한 몰락을 언급하며 팔라스의 죽음을 알린다. 아이네아스에게 죽는 것을 막기 위해 유노는 아이네아스의 유령 형상을 소환하여 투르누스를 배로 유인하여 안전하게 만든다. 투르누스는 이 행동에 큰 불쾌감을 느끼며 자신의 가치를 의심하고 심지어 자살을 고려한다.[1]

12권에서 아이네아스와 투르누스는 죽음의 결투를 벌인다. 아이네아스는 눈에 띄게 일리아스와 유사한 추격 장면 속에서 우위를 점하며 (아이네아스는 라티움의 벽과 병사들 사이에서 투르누스를 열 번이나 쫓아간다. 이는 아킬레우스와 헥토르의 결투와 매우 유사하다), 투르누스의 허벅지에 상처를 입힌다. 투르누스는 아이네아스에게 자신을 살려주거나 시신을 자기 백성에게 돌려달라고 간청한다. 아이네아스는 잠시 고민하지만 투르누스에게 팔라스의 벨트를 보고 분노에 휩싸여 그를 죽인다. 시의 마지막 구절은 투르누스의 불행한 저승행을 묘사한다.[1]

3. 5. 투르누스의 동맹

아이네아스가 이탈리아에 도착하기 전, 투르누스는 라비니아의 가장 유력한 구혼자였다. 라비니아는 라티누스 라틴족 왕의 외동딸이었다. 그러나 아이네아스가 도착하자 라비니아는 트로이 왕자에게 약혼하게 된다. 유노는 트로이인들의 고통을 연장하려 결심하고, 투르누스에게 새로운 도착자들과의 전쟁을 요구하도록 부추긴다. 라티누스 왕은 투르누스에게 매우 불쾌감을 느끼지만, 물러나 전쟁을 시작하도록 허락한다.

라틴족과 트로이족 사이의 전쟁 (그리고 에반데르 왕의 아르카디아인들을 포함한 여러 트로이 동맹국) 동안, 투르누스는 용감하지만 성급한 모습을 보인다. 9권에서 그는 많은 적들을 물리친 후 트로이 요새를 거의 점령할 뻔하지만, 곧 위기에 처하게 되고 유노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한다.

10권에서 투르누스는 에반데르의 아들, 젊은 왕자 팔라스를 죽인다. 그는 살해를 자랑하며 팔라스의 칼 벨트를 전리품으로 가져가 착용한다. 분노한 아이네아스는 그를 죽이려는 일념으로 루툴리 왕을 찾아 나선다. 베르길리우스는 투르누스의 불가피한 몰락을 언급하며 팔라스의 죽음을 알린다. 아이네아스에게 죽는 것을 막기 위해 유노는 아이네아스의 유령 형상을 소환하여 투르누스를 배로 유인하여 안전하게 만든다. 투르누스는 이 행동에 큰 불쾌감을 느끼며 자신의 가치를 의심하고 심지어 자살을 고려한다.

12권에서 아이네아스와 투르누스는 죽음의 결투를 벌인다. 아이네아스는 눈에 띄게 일리아스와 유사한 추격 장면 속에서 우위를 점하며 (아이네아스는 라티움의 벽과 병사들 사이에서 투르누스를 열 번이나 쫓아간다. 이는 아킬레우스와 헥토르의 결투와 매우 유사하다), 투르누스의 허벅지에 상처를 입힌다. 투르누스는 아이네아스에게 자신을 살려주거나 시신을 자기 백성에게 돌려달라고 간청한다. 아이네아스는 잠시 고민하지만 투르누스에게 팔라스의 벨트를 보고 분노에 휩싸여 그를 죽인다. 시의 마지막 구절은 투르누스의 불행한 저승행을 묘사한다.

투르누스의 지지자들은 다음과 같다: 그의 여동생이자 작은 강/샘의 여신인 유투르나, 라티누스의 아내 아마타, 에트루리아의 폐위된 왕 메젠티우스, 그리고 볼스키의 여왕 카밀라는 아이네아스, 트로이인, 그리고 그들의 동맹에 대항하는 투르누스의 싸움의 동맹이었다.

4. 후대 문학에서의 투르누스

''브리타니아 열왕사''에서는 투르누스가 투로니 및 투르와 연결되어 나타난다. 트로이의 브루투스는 아이네아스에게 죽임을 당한 투르누스 때문에 추방되었고, 이후 골족으로 가서 투르를 건설했다고 전해진다.[4] 중세 영어 시 ''가웨인 경과 녹기사''에서는 진주 시인이 투르누스를 토스카나의 왕으로 언급하기도 했다.[5]

존 밀턴의 ''실낙원'' 제9권에는 투르누스와 라비니아의 이야기가 아담과 이브에 대한 하느님의 분노와 관련되어 언급된다.

4. 1. 《브리타니아 열왕사》

''브리타니아 열왕사''(Historia Brittonum)는 투르누스를 투로니와 투르와 연결한다. "트로이의 브루투스는 아이네아스에게 죽임을 당한 투르누스의 죽음 때문에 추방되었다. 그는 그 후 골족으로 가서 투로네스족의 도시, 즉 투르를 건설했다."[4] 중세 영어 시 ''가웨인 경과 녹기사''에서, 진주 시인은 브루투스가 브리튼을 건국한 것과 유사하게, 확인되지 않은 "티키우스"가 토스카나를 건국했다고 언급한다. 일부 학자들은 "티티우스"가 티투스 타티우스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했지만, 오티스 채프먼은 "티키우스"가 시인이 투르누스로 읽기를 의도했던 필사자의 오류라고 제안했다. 채프먼은 필사본 문체 증거 외에도, 라눌프 히그던의 ''폴리크로니콘''의 한 구절에서 투르누스가 또한 토스카나의 왕으로 언급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이는 베르길리우스 이후 시대의 전설들이 투르누스를 "아이네아스, 로물루스, '랑고바르드', 브루투스와 같은 전설적인 인물로 식별하게 되었음"을 시사한다.[5]

4. 2. 《가웨인 경과 녹기사》

진주 시인은 중세 영어 시 ''가웨인 경과 녹기사''에서 트로이의 브루투스가 브리튼을 건국한 것과 유사하게, 확인되지 않은 "티키우스"가 토스카나를 건국했다고 언급한다.[5] 일부 학자들은 "티티우스"가 티투스 타티우스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했지만, 오티스 채프먼은 "티키우스"가 시인이 투르누스로 읽기를 의도했던 필사자의 오류라고 제안했다.[5] 채프먼은 필사본 문체 증거 외에도, 라눌프 히그던의 ''폴리크로니콘''의 한 구절에서 투르누스가 토스카나의 왕으로 언급되었다고 지적하며, 이는 베르길리우스 이후 시대의 전설들이 투르누스를 "아이네아스, 로물루스, '랑고바르드', 브루투스와 같은 전설적인 인물로 식별하게 되었음"을 시사한다.[5]

4. 3. 존 밀턴의 《실낙원》

존 밀턴의 ''실낙원'' 제9권에서 투르누스와 라비니아의 이야기는 아담과 이브에 대한 하느님의 분노와 관련하여 언급된다.[5]

5. 해석

투르누스는 그리스 혈통과 용맹함 때문에 "새로운 아킬레우스"로 여겨질 수 있다.[6] 배리 파월에 따르면, 그는 또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또는 로마 제국에 굴복해야 하는 지역 주민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고 한다.[7] 파월은 투르누스와 아이네이아스의 분쟁에서 투르누스가 라비니아와 먼저 결혼하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우위에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투르누스는 운명의 힘에 반대하기 때문에 저지되어야 한다.[7]

5. 1. 새로운 아킬레우스

투르누스는 그리스 혈통과 용맹함 때문에 "새로운 아킬레우스"로 여겨질 수 있다.[6] 배리 파월에 따르면, 그는 또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또는 로마 제국에 굴복해야 하는 지역 주민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7] 파월은 투르누스와 아이네이아스의 분쟁에서 투르누스가 라비니아와 먼저 결혼하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우위에 있을 수 있다고 덧붙인다. 그러나 투르누스는 운명의 힘에 반대하기 때문에 저지되어야 한다.[7]

5. 2. 로마 제국에 대한 저항

투르누스는 그리스 혈통과 용맹함 때문에 "새로운 아킬레우스"로 여겨질 수 있다.[6] 배리 파월에 따르면, 그는 또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또는 로마 제국에 굴복해야 하는 지역 주민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7] 파월은 투르누스와 아이네이아스의 분쟁에서 투르누스가 라비니아와 먼저 결혼하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우위에 있을 수 있다고 덧붙인다. 그러나 투르누스는 운명의 힘에 반대하기 때문에 저지되어야 한다.[7]

5. 3. 도덕적 우위와 운명의 힘

투르누스는 그리스 혈통과 용맹함 때문에 "새로운 아킬레우스"로 여겨질 수 있다.[6] 배리 파월에 따르면, 그는 또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또는 로마 제국에 굴복해야 하는 지역 주민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7] 파월은 투르누스와 아이네이아스의 분쟁에서 투르누스가 라비니아와 먼저 결혼하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우위에 있을 수 있다고 덧붙인다. 그러나 투르누스는 운명의 힘에 반대하기 때문에 저지되어야 한다.[7]

참조

[1]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3-07
[2] 간행물 The Origins of Turnus, Vergilian Invention, and Augustan Rome http://real.mtak.hu/[...] 2015-03
[3] 문서 Jasher, Chapter 60
[4] 서적 Englische Gründungssagen von Geoffrey of Monmouth bis zur Renaissance https://archive.org/[...] Carl Winter's Universitätsbuchhandlung
[5] 간행물 Ticius to Tuskan, GGK, Line 11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48-01
[6] 문서 Virgil, The Aeneid Penguin Books 2006
[7] 문서 Classical Myth Prentice-Hall, Inc. 1998
[8] 문서 『アエネーイス』10巻76行
[9] 문서 『アエネーイス』12巻138行以下
[10] 문서 Virgil, The Aeneid Penguin Book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