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한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한열은 정치인 유진산의 아들로, 5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연세대학교를 중퇴하고 미국 루스벨트 대학교를 졸업한 후 일리노이주 사회복지국장을 역임했다. 1970년 귀국하여 아버지의 1971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도왔으며, 민주한국당에서 활동하다가 보수 정당인 한나라당으로 정치 노선을 변경했다. 국회의원, 당무위원, 대선 대책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나, 2008년 뇌물 수수 혐의로 구속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산초등학교 동문 - 정청래
    정청래는 1965년생으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17·19·21·22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을 역임했으며, 22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 강문고등학교 동문 - 조영남
    조영남은 1968년 '딜라일라'로 데뷔하여 '화개장터' 등의 히트곡을 낸 가수이자 방송인, 화가로, 화투 그림으로 논란이 있었으며 《맞아 죽을 각오로 쓴 친일선언》 등의 저서를 냈다.
  • 금산군 출신 - 정청래
    정청래는 1965년생으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17·19·21·22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을 역임했으며, 22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 금산군 출신 - 유진산
    유진산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농민운동에 참여하고 광복 후 우익 청년 단체를 이끌며 반공주의 활동을 전개했으며, 7선 국회의원을 지내고 민주당 구파 지도자로서 신민당 총재를 역임하며 유신 체제에 반대하는 투쟁을 벌인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다.
유한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유한열
원어명柳漢烈
로마자 표기Yu Han-yeol
출생일1938년 1월 15일
출생지충청남도 금산
국적대한민국
직업정치인
경력
경력제10·11·12·13·16대 국회의원

2. 생애

정치인 유진산의 아들로, 충청남도 금산군 출신이다. 연세대학교 재학 중 미국으로 건너가 유학하고 일리노이주 정부에서 근무하다가, 1970년 아버지의 대통령 선거 출마를 돕기 위해 귀국하면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2]

제5공화국 시기 야당인 민주한국당의 주요 인사로 활동했으나,[1][2] 6월 항쟁 이후 김영삼, 김대중 중심의 신한민주당에 정치적 주도권을 내주었다. 이후 1997년과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지원하며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계열로 정치 노선을 변경하였다. 아버지의 지역구였던 금산에서 출마하여 14대, 15대 총선에서 연속 낙선[6]하는 등 부침을 겪었으나, 이후 비례대표직 승계 등을 통해 총 5선 국회의원을 역임했다.[1][2] 주요 경력으로는 민주한국당 사무총장, 신민당 부총재, 한나라당 상임고문 등이 있다.[1][2]

2. 1. 초기 생애 및 미국 활동

정치인 유진산의 아들로,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금산군(현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에 재학하던 중 2학년 때 중퇴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Roosevelt University|루스벨트 대학교영어를 졸업했다. 이후 미국 일리노이주 정부에서 사회복지국장을 역임하였다.[2] 1970년, 아버지 유진산의 1971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출마를 돕기 위해 대한민국으로 귀국하였다.[2]

2. 2. 정치 활동

정치인 유진산의 아들로, 연세대학교를 2년 중퇴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Roosevelt University|루스벨트 대학교영어를 졸업했다. 이후 일리노이주 사회복지국에서 근무하다가 아버지 유진산의 1971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돕기 위해 1970년 귀국하면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2]

제5공화국 시기에는 야당인 민주한국당의 주요 인사로 활동했으나, 6월 항쟁을 거치며 김영삼, 김대중이 이끌던 신한민주당에 정치적 주도권을 내주었다. 이후 1997년과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지원하며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으로 정치 노선을 변경하였다.

아버지의 지역구였던 금산군에서 14대, 15대 총선에 출마했으나 연이어 낙선하기도 했지만[6], 2002년 대선 이후 한나라당 비례대표직을 승계하여 국회에 재입성하는 등 총 5선 국회의원을 지냈다.[1][2]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1][2]

구분내용
국회/정당5선 국회의원
민주한국당 사무총장
신민당 부총재
국회 동력자원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당무위원, 제15·16대 대통령 선거 대책위원장, 충청남도 지부장, 운영위원, 상임운영위원, 상임고문
국제 활동국제의원연맹(IPU) 국제이사
AIPO 한국 대표이사
한일의원연맹 간사
기타일리노이주 사회복지국장 (정계 입문 전)


2. 2. 1. 야당 정치인 시절 (민주한국당)

정치인 유진산의 아들로, 연세대학교를 2년 중퇴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Roosevelt University|루스벨트 대학교영어를 졸업하고 일리노이주 사회복지국에서 근무하다 귀국하여 정치인이 되었다.[2] 제5공화국 시기 야당인 민주한국당의 대표적인 인사였으며, 당 사무총장을 역임했다.[1][2] 그러나 민주한국당은 1960년대부터 아버지 유진산과 경쟁 관계였던 김영삼, 김대중이 이끌던 신한민주당에게 6월 항쟁과 제6공화국 수립 과정에서 정치적 주도권을 빼앗겼다.

2. 2. 2. 무소속 및 보수 정당 활동 (한나라당)

제5공화국 시기 야당인 민주한국당의 대표적인 인사였으나, 6월 항쟁과 제6공화국 성립 과정에서 김영삼, 김대중이 이끌던 신한민주당에게 정치적 주도권을 내주었다. 이후 김영삼의 민주자유당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었다.

그러나 199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와 200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의 후신인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계열로 정치 노선을 변경하였다.[6] 아버지 유진산의 지역구였던 금산군에서 14대 총선15대 총선에 출마했으나 연이어 낙선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6] 하지만 이회창의 두 번째 대통령 선거 출마 당시 한나라당의 전국구 의원직을 승계받아 다시 국회에 입성하였다.

한나라당에서는 당무위원, 제15대 및 제16대 대통령 선거 대책위원장, 충청남도 지부장, 운영위원, 상임운영위원, 상임고문 등을 역임하며 당내에서 활동하였다.[1][2]

2. 3. 비리 혐의 및 몰락

2008년 8월, 국방부의 납품 청탁 대가로 기업으로부터 2.3억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되었다.[3][5] 같은 해 12월 1심에서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4] 이듬해인 2009년 4월 항소심에서는 징역 10개월과 추징금 2.3억을 선고받았다.[5]

3. 약력

충청남도 금산군 출신이다. 연세대학교를 2년 중퇴한 후, 미국 루즈벨트 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일리노이주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여 일리노이 주정부 사회복지국 지역국장을 역임하다가, 1971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아버지 유진산의 출마를 돕기 위해 1970년 귀국하였다.[2]

이후 총 5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소속 정당주요 직책
1978년 ~ 1980년신민당제10대 국회의원, 신민당 사무부총장 (1980년)
1981년 ~ 1988년민주한국당제11대, 제12대 국회의원, 민주한국당 사무총장, 민주한국당 총재
1988년 ~ 1992년무소속제13대 국회의원
2000년 ~ 2004년한나라당제16대 국회의원



국회에서는 동력자원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국제 활동으로는 국제의원연맹(IPU) 국제이사, AIPO 한국 대표이사, 한미의원연맹 회장, 한일의원연맹 간사, 한영의원연맹 회장 등을 맡았다.[1][2]

한나라당에서는 당무위원, 충청남도 지부장, 운영위원, 상임운영위원, 제15대 및 제16대 대통령 선거 대책위원장, 상임고문 등을 역임하였다.[1][2]

4.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대수직책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78년총선10대대한민국의 국회의원금산군·대덕군·연기군신민당52,135표 (33.69%)2위-- 당선초선
1981년총선11대대한민국의 국회의원금산군·대덕군·연기군민주한국당65,635표 (40.53%)2위-- 당선재선
1985년총선12대대한민국의 국회의원금산군·대덕군·연기군민주한국당45,712표 (32.67%)2위-- 당선3선
1988년총선13대대한민국의 국회의원충남 금산군무소속14,922표 (32.58%)1위-- 당선4선
1992년총선14대대한민국의 국회의원충남 금산군민주자유당11,748표 (29.50%)2위-- 낙선
1996년총선15대대한민국의 국회의원논산시·금산군신한국당20,630표 (19.36%)2위-- 낙선
2000년총선16대대한민국의 국회의원전국구한나라당8,083,609표 (37.9%)비례대표 23번-- 당선5선, 승계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11-10
[2] 웹사이트 유한열 “昌은 사고가 단조로워, 자기가 대통령 자리 걷어찼지” http://www.sisaon.co[...] 2011-06-02
[3] 웹사이트 '군납비리' 유한열 구속수감…공성진 소환 예정 https://news.sbs.co.[...] 2008-08-11
[4] 웹사이트 ‘알선 수재’ 유한열 징역 1년 6개월 https://news.kbs.co.[...] 2008-12-05
[5] 웹사이트 유한열 전 한나라당 고문 항소심서도 징역형 https://www.nocutnew[...] 2009-04-08
[6] 뉴스 4·13 총선 불꽃튀는 공천경쟁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