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은 1945년 해방 이후 한국독립당, 조선민주당 등을 시작으로 다양한 정당으로 분화, 통합을 거듭하며 발전해 왔다. 이승만 정부 시기 자유당이 창당되어 집권 여당 역할을 했으며, 박정희 정부에서는 민주공화당이, 신군부 정권에서는 민주정의당이 여당을 담당했다. 민주화 이후에는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국민의힘 등으로 당명이 변경되었으며,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에서 주요 정당으로 활동해 왔다.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김영삼, 이명박, 박근혜, 윤석열 등이 보수정당 후보로 당선되었고, 국회의원 선거와 지방선거에서도 꾸준히 의석을 확보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당의 목록 -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은 해방 이후 분열과 통합을 거듭하며 대한민국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정당들의 계보를 잇는 정당들을 통칭하며,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등의 대통령을 배출했다.
  • 정당의 목록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은 1987년 6월 항쟁 이후 진보세력의 정치세력화 모색으로 시작되어 해방 직후 진보정당의 맥을 잇고 있으며, 정의당, 녹색정의당, 진보당, 노동당 등이 활동하며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선거 등에 참여하여 사회 변화를 추구한다.
  • 대한민국의 정당 - 국가혁명당
    허경영을 중심으로 창당된 국가혁명당은 경제, 복지, 사회, 정치 개혁을 주요 이념으로 하며 국회의원 축소, 수능 폐지, 국민배당금 지급, 유엔 본부 판문점 이전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국회의원 및 대통령 선거에서 의석 확보에는 실패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 대한민국의 정당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은 2018년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합당으로 창당된 대한민국 정당으로, 중도와 개혁적 보수를 표방했으나 이념 갈등, 선거 참패, 분당을 겪고 민생당으로 합당되며 소멸되었다.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정당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정당 - 신한국당
    신한국당은 1995년 민주자유당이 당명 변경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5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속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해산되었다.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가치관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녹색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기독교 보수주의
신보수주의
신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
반공주의
의회주의
대의민주제
스펙트럼
스펙트럼우익(중도우파~극우)
관련 정당
관련 정당한국독립당
대한국민당
자유당
민주공화당
민주정의당
한국국민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자유민주연합
한나라당
국민중심당
자유선진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바른미래당
우리공화당
새로운보수당
자유공화당
미래한국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관련 단체
관련 단체여의도연구원
뉴라이트 전국연합
어버이연합
박사모
자유주의연대
인물
인물김구
송진우
김규식
이승만
안재홍
박정희
박종홍
김종필
선우휘
김동길
이회창
이명박
박근혜
유승민
정병국
남경필
박형준
황교안
홍준표

2. 해방 직후 (1945~1948)

2. 1. 한국독립당 (1945)

1930년에 창당된 임시정부의 정당이다. 임시정부의 여당이던 한국독립당이 귀국 후 1945년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으로는 최초로 등록하였다. 김구의 암살 후 몰락하였으며 일부는 신민당으로 이시영, 이범석 등 일부는 자유당 등으로, 신익희지청천 등은 대한국민당으로 흡수되어 해체되었다. 위원장은 김구(1945~1949), 조완구(1949~1950), 김홍일(1962), 김학규(1969)이었다.

2. 2. 조선민주당 (1945)

1945년 조만식 등에 의해 설립된 정당이다. 1950년 조만식 사후 조직이 붕괴되고 일부는 월남하였다. 6.25 동란 중 흐지부지되어 1954년 해체되었다. 한근조 등 일부는 호헌동지회에 참여했고 이윤영 등은 자유당으로 건너갔다. 위원장은 조만식(1945), 이윤영(1948), 한근조(1949) 이었다.

2. 3. 여자국민당 (1945)

1945년 임영신 등에 의해 창당되었다. 1949년 윤치영·임영신 등에 의해 창당된 친이승만계 정당인 대한국민당에 흡수되었다. 1956년 5월 별도로 제3대 정부통령 선거에 임영신을 출마시키기도 했다. 1960년 대한국민당과 함께 자유당에 흡수되었다.

총재는 임영신이었다.(1945) 이후 대한국민당에 흡수되었다가, 다시 임영신이 총재가 되었다.(1956)

2. 4.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6)

1946년 2월에 창당한 이승만이 이끄는 우익 계열 정당이다. 초대 총선에서 원내 1당을 차지하고, 제1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을 후보로 선출하여 당선시켰다. 1951년 이승만을 중심으로 자유당이 창당되자 흡수되었다.

2. 5. 민족자주연맹 (1946)

1946년 12월 좌우합작위원회 해산 후 김규식 등에 의해서 창당된 민족주의적 보수 정당이다. 좌우합작과 남북협상에 참여하였으며 제2대 총선거 이후에는 선거에 참가하였다. 1950년 6.25 이후 지도부의 납북과 정권의 탄압으로 몰락하였다.

3. 이승만 정부 (1948~1960)

3. 1. 대한국민당 (1948)

1948년 11월 13일 신익희[2], 윤치영 등에 의해 친이승만계 정당으로 대한국민당이 창당되었다.[2] 임영신 등의 여자국민당, 지청천대동청년단을 흡수했다. 그러나 최고위원 중 한사람인, 정부 수립 후 이승만과 멀어지기 시작한 한민당의 김성수의 제의를 받아들여 한민당과 통합, 1949년 민주국민당을 결성하면서 해체되었다.

원내 제1당이던 민주국민당국회에서 기존의 대통령 중심제를 의원내각제로 바꾸는 개헌을 추진하자, 이승만 대통령을 지지하는 세력이 개헌을 저지할 목적으로 1949년 11월 12일 신정회, 노농, 일민구락부 소속 의원들이 중심이 되어 대한국민당을 다시 부활시켰다. 대한국민당은 자유당 창당 전까지 준 여당으로 활동하였으며, 자유당 창당 이후에도 친여 성향의 정당으로 존속하였다. 1958년 7월 해산하였다. 최고위원은 신익희에서 윤치영, 이인으로 교체되었다(1949. 11. 12).

3. 2. 독립노농당 (1949)

1949년 전진한이 대한국민당을 탈당하고, 근로인민당장건상, 유림, 김성숙 등과 함께 노동자의 권리 대변을 목표로 창당하였다. 1952년 자유당에 흡수되면서 소멸되었다.

최고위원은 장건상, 전진한, 유림, 김성숙이다.

3. 3. 자유당 (1951)

1951년 12월, 이승만 대통령의 신당 조직 의사에 따라 원외 사회단체가 모여 자유당을 창당했고, 이와 별도로 원내의 공화민정회가 또 다른 자유당을 창당하였다.[3] 자유당은 1960년 이승만의 사퇴 시까지 제1공화국의 여당이었다.[3] 이후 제2공화국, 제3공화국의 야당으로 존재하였다. 자유당의 총재는 이승만(1951~1960.4.25)과 장택상(1963. 9)이었다.[3][4]

4. 박정희 정부 (1963~1979)

4. 1. 재건당 (1963)

1963년 1월 10일 김종필과 군 출신 인사들에 의해 조직되었으며 구 자유당계 및 대한국민당계를 흡수하여 민주공화당의 전신이 되었다. 1963년 2월 27일 민주공화당에 흡수, 소멸되었다.

4. 2. 민주공화당 (1963)

1963년 2월에 창당되었으며 제3공화국제4공화국의 여당이었다. 박정희는 창당 후에 47만 5천번째 당원으로 입당하여 제2대 총재가 되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사후 야당화되었으며 1980년 10월 27일 해산되었다.

1963년 2월 26일 창당, 1963년 5월 10일 등록하였으며, 당시 총재는 정구영이었다. 1963년 8월 박정희를 총재 겸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였고, 이후 박정희가 당수직을 역임하였다. 1980년 10월 27일 제5공화국 헌법 부칙에 의해 해산되었으며, 1980년 12월 당 재산을 압류당하여 한국국민당민주정의당에 각각 흡수되었다.

총재는 정구영(1963. 2) ⇒박정희(63. 8) ⇒ 박정희(63. 12 재신임) ⇒ 박정희대통령직 겸임 (63.9.5) ⇒ 김종필(79.11.16) ⇒ 윤치영(1980) 순으로 역임하였다.

4. 3. 유신정우회 (1972)

1972년 민주공화당과는 별도로 운영된 친여 성향 준정당 조직이다. 통일주체국민회의 소속 대한민국 국회 전국선거구 의원들이 구성한 원내교섭단체였다. 의장이 대표격이었고, 민주공화당과는 별도로 원내대표와 원내총무를 별도로 선출하였다. 1980년 10월 27일 제5공화국 헌법 부칙에 의해 해산되었으며, 한국국민당에 흡수되었다. 역대 의장으로는 태완선(1972.10), 백두진(1973), 태완선(1979.2.19), 최영희(1979.11)가 있었다.

5. 신군부 정권 (1980~1987)

5. 1. 민주정의당 (1981)

1981년 1월 17일 등록된 민주정의당은 전두환, 노태우를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창당한 정당이다. 6월 항쟁 이후 대통령 직선제를 수용하였다. 1990년 2월 15일 삼당합당으로 민주자유당으로 신설합당되어 소멸하였다. 총재는 전두환 대통령이 겸임하다가 1987년 7월 11일부터 노태우가 권한대행(대표최고의원)을 맡았고, 같은 해 8월 13일부터 노태우가 총재직을 맡았다.

5. 2. 한국국민당 (1981)

5. 3. 신민주공화당 (1987)

1987년 11월 11일 김종필을 중심으로 창당된 신민주공화당은 약칭 '''공화당'''으로 불렸다. 1990년 2월 15일 삼당합당으로 민주자유당에 흡수 합당되어 소멸되었다.

6. 민주화 이후 (1987~현재)

6. 1. 민주자유당 (1990)

1990년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이 합당하여 창당하였다. 3당 합당으로 탄생한 거대 여당으로, 김영삼 정부를 출범시켰다. 1990년 2월 15일 등록되었다. 1996년 2월 17일 신한국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초기에는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이 공동대표를 맡았으나, 1990년 5월 25일부터 노태우 대통령이 총재직을 겸임했고, 1992년 8월 28일 김영삼이 총재직을 승계하였다.

6. 2. 통일국민당 (1992)

1992년 2월 10일 등록되었다. 정주영을 중심으로 창당되었으며, 총재는 정주영김동길이었다. 1994년 7월 8일 신정치개혁당(박찬종)과 함께 신민당으로 신설합당하여 소멸하였다.

6. 3. 새한국당 (1992)

1992년 민주자유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김영삼에게 패한 이종찬과 그의 지지자들이 탈당하여 새한국당을 창당하였다. 1995년 3월 해체되었다. 대표는 김동길이었다.

6. 4. 신민당 (1994)

1994년 7월 8일, 통일국민당신정치개혁당이 합당하여 신민당이 창당되었다. 그러나 1995년 5월 31일, 자유민주연합에 흡수 합당되면서 소멸하였다.

6. 5. 자유민주연합 (1995)

'''자유민주연합'''(약칭 자민련)은 1995년 김종필을 중심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충청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였다. 1995년 4월 13일에 등록되었으며, 같은 해 5월 31일 신민당과 합당하여 자유민주연합으로 신설 창당되었다. 2006년 한나라당과 합당하였고, 일부는 국민중심당에 흡수되었다. 역대 총재로는 김종필, 박태준(1997년 11월 26일 취임), 김학원이 있었다.

6. 6. 신한국당 (1995)

1995년 민주자유당은 당명을 신한국당으로 변경하였다. 1997년 11월 24일 신한국당은 민주당(조순)과 함께 한나라당으로 신설합당하여 소멸되었다. 신한국당의 총재는 김영삼에서 이회창으로 변경되었다.

6. 7. 국민신당 (1997)

1997년 10월 10일 등록되었다. 이인제를 영입하여 15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이후 당이 분열되었다. 이인제 등은 민주당에 입당하고, 일부는 자유민주연합에 흡수되었으며, 1998년 9월 28일에는 당대표 이만섭 등이 새정치국민회의로 합당하는 등 분산되어 최종 소멸했다. 1997년 당시 총재는 이만섭이었다.

6. 8. 한나라당 (1997)

1997년 신한국당과 민주당이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했다. 이명박 정부를 출범시켰다. 1997년 11월 24일 등록되었다. 총재 및 대표는 이회창, 조순, 최병렬, 박근혜, 강재섭, 박희태, 정몽준, 안상수, 홍준표가 역임했다.

6. 9. 민주국민당 (2000)

2000년 한나라당에서 탈당한 조순, 김윤환 등이 주도하여 창당하였다. 약칭은 민국당이었다. 2000년 3월 8일 창당하였으며,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총선에서 단 한 석도 얻지 못하여 정당법에 따라 등록이 취소되었다. 대표는 조순, 김윤환, 김동주 순으로 역임하였다.

6. 10. 한국미래연합 (2002)

2002년 4월 22일 박근혜이회창과 갈등을 빚고 한나라당을 탈당하여 만든 정당이다. 약칭은 미래연합이었다. 2002년 지방선거에서 광역자치의원 당선자를 냈으며, 국회에는 1석을 보유하고 있었다. 2002년 대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에 흡수합당되었다.

6. 11. 국민통합21 (2002)

2002년 11월 11일 정몽준이 창당한 정당이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정몽준을 제외한 모든 후보가 낙선하여 1석을 얻는데 그쳤고, 비례대표에선 0.6%를 득표했다. 2004년 3월에 개정된 정당법에 의거, '정당은 전국 5개 이상의 시도당에 각각 1000명의 당원을 보유해야 한다'는 규정에 미달되어 180일의 유예기간이 끝난 후인 2004년 9월 1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등록 취소 결정을 내리면서 해산되었다.

6. 12. 국민중심당 (2006)

2006년 충청도에 기반해 창당된 사실상 지역주의 정당이다. 참여정부는 수도권 집중화를 막고 국가균형발전을 꾀하는 정책 하에 행정수도 이전 계획을 내놓았다. 한나라당은 이 정책에 반대하였는데, 한나라당의 정책에 반대하는 충청권 인사들과 심대평 충남지사 및 신국환 의원, 구 신민주공화당, 자유민주연합, 한나라당 입당파를 제외한 국민신당 계열 인사들이 제휴해 2006년 1월 17일에 창당하였다. 2008년 2월 12일에 자유선진당에 통합되어 소멸하였다.

대표는 심대평, 신국환 이었다.

6. 13. 미래희망연대 (2007)

미래희망연대는 원래 2007년 대선에서 정근모 후보를 내세웠던 '참주인연합'에서 출발했다. 대선 이후 '미래한국당'으로 당명을 바꿨으나 사실상 흐지부지된 상황에서, 한나라당의 18대 총선 후보 선출과정에서 친 이명박 계열이 많이 공천된 데 대한 반발로, 친 박근혜 계열 당원들이 한나라당을 집단 탈당하고 미래한국당에 입당하면서 박근혜를 전면에 내세우기 위해 당명을 '친박연대'로 바꿨다. 정작, 박근혜는 한나라당에 남아있었다.

이들이 한나라당으로 복당하려하자 친이 계열은 반대하였으나 결국 복당을 받아들였다. 당명 변경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공모를 통해 2010년 2월 12일 당명을 미래희망연대로 변경했다. 2010년 7월에 열린 한나라당 전당대회에서 한나라당과의 합당이 의결되어 합당 소멸되었다. 이 과정에서 이규택과 비당권파는 미래연합을 창당하였다.

대표는 서청원, 이규택 이었다.

6. 14. 자유선진당 (2008)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의 당선 가능성에 논란이 일자, 일부 보수 세력은 정계 은퇴한 이회창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무소속 후보로 대선에 출마한 이회창은 당선되지 못했으나, 여당이 될 한나라당을 견제할 정치 세력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창당을 준비한다. 대선 과정 중 후보 단일화를 이뤄낸 국민중심당의 협조로 2008년 2월 1일 창당한다. 동년 동월 12일 국민중심당을 통합하여 17대 원내 제4당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또, 18대 총선 결과 18석으로 원내 제3당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비교섭단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창조한국당과 연합하여 선진과 창조의 모임이라는 교섭단체를 구성하였으나,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의 공천 헌금 사건으로 교섭단체는 와해된다. 그 후, 이회창 총재와 심대평 대표의 갈등으로 심대평 대표는 탈당한다. 이회창 총재는 총재직에서 대표직으로 자리를 바꾼다. 2012년 5월 29일부터 이인제의 주도 하에 선진통일당으로 당명을 개칭하였다.

6. 15. 국민중심연합 (2010)

2010년 심대평이 자유선진당을 탈당한 후 창당하였다. 2010년 6월에 열린 지방선거에서 공주시장 1명을 당선시켰다. 2011년 10월 10일에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소멸되었다. 대표는 심대평이었다.

6. 16. 미래연합 (2010)

친박연대가 미래희망연대로 당명을 바꾸고 한나라당에 통합되고 지방선거에 불출마 하기로 하자, 2010년 4월 이규택과 비당권파들이 탈당하여 창당했다. 친박근혜 성향은 기존의 친박연대와 동일하다. 지방선거에서는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 상주시장에 1명 당선자를 냈다. 그러나, 이규택 대표가 탈당하여 새누리당에 입당했으며 결국, 2012년 총선에서 득표수 미달로 등록 취소되었다.

대표는 이규택, 김명수였다.

6. 17. 새누리당 (2012)

2011년 10.26 재보궐선거에서 패배한 한나라당은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을 중심으로 재편되었으며, 2012년 2월 13일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확보하고,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가 당선되면서 여당 지위를 유지했다. 정당등록일은 한나라당 시절인 1997년 11월 24일이다. 2012년 10월 선진통일당과의 합당으로 2000년대 중반 이후 분열되었던 보수정당들이 새누리당으로 통합되었다.

새누리당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박근혜, 이명박, 이재오, 정두언, 김무성, 정몽준, 서청원, 이한구, 김문수, 홍준표, 강재섭, 이인제, 이회창, 심재철, 최경환, 황우여 등이 있다. 역대 당 대표로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2011년 12월 19일 ~ 2012년 5월 15일), 황우여 (2012년 5월 15일 ~ 2014년 5월 15일), 이완구 (비상대책위원장, 2014년 5월 8일 ~ 2014년 7월 13일), 김무성 (2014년 7월 14일 ~ 2016년 4월 14일) 등이 있다.

6. 18. 국민생각 (2012)

2012년 2월 13일 한반도선진화재단의 이사장과 17대 한나라당 국회의원을 지낸 박세일이 대한민국 제19대 총선을 앞두고 창당한 정당이다. 전여옥의 입당으로 원내 정당이 됐다. 그러나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된 제19대 총선 결과,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의석 획득에 실패했으며, 정당지지율 득표에서도 등록취소요건 2%미만인 0.73%를 얻어 정당 등록이 취소됐다.

6. 19. 선진통일당 (2012)

자유선진당이 이인제 비상대책위원장을 중심으로 재편되었으며, 2012년 5월 29일부터 선진통일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여 사용했다. 약칭은 자유선진당과 같은 선진당이다. 2012년 10월 25일에 새누리당과 합당을 선언하고 11월 16일 정식으로 흡수 합당되었다.

6. 20. 바른정당 (2017)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서 새누리당 내부의 주도권을 두고 친박계와 비박계의 내분이 심화되었다. 당의 새로운 원내대표를 선출하는 선거에서 친박계의 정우택 의원이 비박계의 나경원 의원을 누르고 당선되자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를 비롯한 29명의 의원들이 탈당하여 2016년 12월 바른정당을 원내교섭단체로 등록하고 2017년 1월 24일 정식으로 창당하였다.

바른정당의 대표는 초대 정병국(2017년 1월 25일 ~ 2017년 3월 10일), 주호영(대표권한대행, 2017년 3월 10일 ~ 2017년 6월 25일), 이혜훈(2017년 6월 26일 ~ 2017년 9월 7일), 주호영(대표권한대행, 2017년 9월 7일 ~ 2017년 11월 13일), 유승민(2017년 11월 13일 ~ 2018년 2월 13일) 이 역임하였다.

6. 21. 자유한국당 (2017)

새누리당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입은 타격을 극복하기 위한 쇄신책의 일환으로 당원들의 여론을 수렴해 2017년 2월 자유한국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자유한국당의 대표는 인명진(비상대책위원장, 2017년 2월 13일 ~ 2017년 3월 31일), 정우택(대표 권한대행, 2017년 4월 1일 ~ 2017년 7월 2일), 홍준표(2017년 7월 3일 ~ 2018년 6월 14일), 김성태(대표 권한대행 2018년 6월 15일 ~ 7월 16일), 김병준(혁신비상대책위원장 2018년 7월 17일 ~ 2019년 2월 27일), 황교안(2019년 2월 28일 ~ 2020년 2월 17일) 이 역임하였다.

6. 22. 새누리당 (2017)

2017년 일부 친박 지지자들이 창당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이다. 2017년 4월 5일 장충체육관에서 창당대회를 열고 정식 창당했다.

대표는 정광택이다.

6. 23. 대한애국당 (2017)

2017년 7월 8일에 창당을 선언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이다. 새누리당 탈당파인 조원진, 정미홍, 변희재, 허평환 등이 분당하여 수립한 정당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무죄 석방 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8월 30일에 공식 창당되었으며, 9월 4일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되었다. 대표는 조원진이다.

6. 24. 바른미래당 (2018)

2018년 2월 13일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합당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박주선, 유승민이 공동대표를 맡았으며, 이후 김동철 비상대책위원장을 거쳐 손학규가 대표를 맡았다. 2019년 바른정당계가 탈당해 새로운보수당을 창당했고, 안철수 전 의원도 탈당하여 국민의당을 창당했다. 이후 민생당 창당으로 흡수되어 해산되었다.

6. 25. 미래통합당 (2020)

자유한국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이 합당하여 2020년 2월 17일에 창당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이다. 국민의힘의 전신이다.

6. 26. 국민의힘 (2020)

미래통합당이 2020년 9월 2일 당명을 변경하여 현재의 국민의힘이 되었다.

7. 주요 정당 지도부

역대 보수정당의 대표와 원내대표 명단은 다음과 같다.

정당성명직함임기비고
자유당이승만당수
총재
1952년 3월 20일 ~ 1960년 4월 24일1952년 재추대
1955년 재추대
1957년 재추대
1959년 재추대
4.19 혁명으로 사퇴
조경규대표전권위원1960년 6월 15일 ~ 1961년 5월 16일5.16 군사정변으로 당 해산
민주공화당정구영총재1963년 2월 26일 ~ 1963년 8월 31일
박정희1963년 8월 31일 ~ 1979년 10월 26일1965년 재추대
10.26 사건으로 피살
김종필1979년 11월 12일 ~ 1980년 7월 3일신군부에 의해 정계은퇴
민주정의당전두환1981년 1월 15일 ~ 1987년 7월 10일
노태우1987년 8월 5일 ~ 1990년 5월 9일1988년 재추대
민주자유당1990년 5월 9일 ~ 1992년 8월 27일1992년 재추대
김영삼1992년 8월 28일 ~ 1995년 12월 6일1995년 재추대
신한국당1995년 12월 6일 ~ 1997년 9월 30일
이회창1997년 9월 30일 ~ 1997년 11월 21일한나라당으로 합당
한나라당조순1997년 11월 21일 ~ 1998년 8월 4일1998년 재추대, 국회의장단 선거 패배로 사퇴
이회창1998년 8월 31일 ~ 2002년 4월 1일2000년 재선
서청원대표최고위원2002년 5월 14일 ~ 2003년 1월 29일차떼기 사건으로 사퇴
최병렬2003년 6월 26일 ~ 2004년 3월 22일서청원 체포동의안 부결 및 탄핵 역풍으로 사퇴
박근혜2004년 3월 23일 ~ 2006년 6월 15일2004년 재선
대선 출마 위해 사퇴
강재섭2006년 7월 11일 ~ 2008년 7월 2일
박희태2008년 7월 3일 ~ 2009년 9월 6일200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출마 위해 사퇴
정몽준2009년 9월 7일 ~ 2010년 6월 3일박희태 사퇴로 승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참패로 사퇴
안상수2010년 7월 14일 ~ 2011년 5월 8일2011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패배로 사퇴
홍준표2011년 7월 4일 ~ 2011년 12월 9일선관위 디도스 사건으로 사퇴
새누리당황우여2012년 5월 15일 ~ 2014년 5월 14일
김무성2014년 7월 14일 ~ 2016년 4월 14일대한민국 제20대 총선 참패로 사퇴
이정현대표2016년 8월 9일 ~ 2016년 12월 16일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사퇴
자유한국당홍준표2017년 7월 3일 ~ 2018년 6월 14일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참패로 사퇴
황교안2019년 2월 28일 ~ 2020년 2월 17일
미래통합당2020년 2월 17일 ~ 2020년 4월 15일대한민국 제21대 총선 참패로 사퇴
국민의힘이준석2021년 6월 11일 ~ 2022년 7월 8일
김기현2023년 3월 8일 ~ 2023년 12월 13일
한동훈2024년 7월 23일 ~ 2024년 12월 16일
| 박희태2008년 7월 3일 ~ 2009년 9월 6일 |
정몽준2009년 9월 7일 ~ 2010년 6월 3일 |
김무성비상대책위원장2010년 6월 4일 ~ 2010년 7월 13일
안상수2010년 7월 14일 ~ 2011년 5월 8일 |
정의화비상대책위원장2011년 5월 8일 ~ 2011년 7월 3일
홍준표2011년 7월 4일 ~ 2011년 12월 9일 |
나경원2011년 12월 9일 ~ 2011년 12월 11일 |
황우여2011년 12월 12일 ~ 2011년 12월 18일 |
박근혜비상대책위원장2011년 12월 19일 ~ 2012년 5월 15일
황우여2012년 5월 15일 ~ 2014년 5월 15일 |
이완구비상대책위원장2014년 5월 8일 ~ 2014년 7월 13일
김무성2014년 7월 14일 ~ 2016년 4월 14일 |
원유철2016년 4월 15일 ~ 2016년 5월 10일 |
정진석2016년 5월 11일 ~ 2016년 6월 1일 |
김희옥혁신비상대책위원장2016년 6월 2일 ~ 2016년 8월 9일
이정현2016년 8월 9일 ~ 2016년 12월 16일 |
정우택2016년 12월 16일 ~ 2016년 12월 28일 |
인명진비상대책위원장2016년 12월 29일 ~ 2017년 2월 13일
정병국2017년 1월 25일 ~ 2017년 3월 10일 |
인명진비상대책위원장2017년 2월 13일 ~ 2017년 3월 31일
주호영대표 권한대행2017년 3월 10일 ~ 2017년 6월 25일
정우택2017년 4월 1일 ~ 2017년 7월 2일 |
이혜훈2017년 6월 26일 ~ 2017년 9월 7일 |
홍준표2017년 7월 3일 ~ 2018년 6월 14일 |
주호영대표 권한대행2017년 9월 7일 ~ 2017년 11월 13일
유승민2017년 11월 13일 ~ 2018년 2월 13일 |
김성태2018년 6월 15일 ~ 2018년 7월 16일
김병준2018년 7월 17일 ~ 2019년 2월 27일
황교안2019년 2월 28일 ~ 2020년 4월 15일 |
심재철2020년 4월 16일 ~ 2020년 5월 8일 |
주호영2020년 5월 8일 ~ 2020년 5월 26일
김종인2020년 5월 27일 ~ 2021년 4월 8일
주호영2021년 4월 8일 ~ 2021년 4월 30일
김기현2021년 4월 30일 ~ 2021년 6월 11일 |
이준석2021년 6월 11일 ~ 2022년 7월 8일 |
권성동2022년 7월 8일 ~ 2022년 8월 9일, 2022년 8월 26일 ~2022년 9월 8일 |
주호영2022년 8월 9일 ~ 2022년 8월 26일
정진석2022년 9월 8일 ~ 2023년 3월 8일
김기현2023년 3월 8일 ~ 2023년 12월 13일 |
윤재옥2023년 12월 13일 ~ 2023년 12월 29일 |
한동훈2023년 12월 29일 ~ 2024년 4월 11일
윤재옥2024년 4월 11일 ~ 2024년 5월 2일 |
황우여2024년 5월 2일 ~ 2024년 7월 23일
한동훈 | | 2024년 7월 23일 ~ 2024년 12월 16일 |
권성동2024년 12월 16일 ~ 2024년 12월 30일 |
권영세2024년 12월 30일 ~ |
홍준표2008년 5월 18일 ~ 2009년 5월 20일 |
안상수2009년 5월 21일 ~ 2010년 5월 3일 |
김무성2010년 5월 4일 ~ 2011년 5월 5일 |
황우여2011년 5월 6일 ~ 2012년 5월 8일 |
이한구2012년 5월 9일 ~ 2013년 5월 14일 |
최경환2013년 5월 15일 ~ 2014년 5월 7일 |
이완구2014년 5월 8일 ~ 2015년 1월 25일 |
유승민2015년 2월 2일 ~ 2015년 7월 8일 |
원유철2015년 7월 14일 ~ 2016년 5월 3일 |
정진석2016년 5월 3일 ~ 2016년 12월 16일 |
정우택2016년 12월 16일 ~ 2017년 12월 12일 |
주호영2016년 12월 27일 ~ 2017년 11월 13일 |
김세연2017년 11월 13일 ~ 2017년 12월 21일
김성태2017년 12월 12일 ~ 2018년 12월 11일 |
오신환2017년 12월 21일 ~ 2018년 2월 13일 |
나경원2018년 12월 11일 ~ 2019년 12월 9일 |
심재철2019년 12월 9일 ~ 2020년 5월 8일 |
주호영2020년 5월 8일 ~ 2021년 4월 30일 |
김기현2021년 4월 30일 ~ 2022년 4월 8일 |
권성동2022년 4월 8일 ~ 2022년 9월 19일 |
주호영2022년 9월 19일 ~ 2023년 4월 6일 |
윤재옥2023년 4월 7일 ~ 2024년 5월 9일 |
추경호2024년 5월 9일 ~ 2024년 12월 16일 |
권성동2024년 12월 16일 ~ |


8. 역대 선거 결과

8. 1.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은 1948년 제1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이승만 후보가 당선된 이후 여러 차례 대통령을 배출했다. 이승만제2대 대통령 선거제3대 대통령 선거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연이어 당선되었다.

박정희제5대 대통령 선거, 제6대 대통령 선거,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3번 연속 당선되었다. 이후 제8대 대통령 선거제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접선거를 통해 단독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전두환제12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출마, 선거인단 간접선거를 통해 당선되었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당선되었고,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4위로 낙선했다.

김영삼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는 3위로 낙선했다.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가 각각 2위와 3위로 낙선했다.

이회창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다시 한번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당선되었다.

박근혜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와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가 각각 2위와 4위로 낙선했다.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었다.

년도대수후보자정당선거방식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481대이승만대한독립촉성국민회국회 간접선거91.8%180표1위당선
19522대자유당직접선거74.6%5,238,769표1위당선
19563대70%5,046,437표1위당선
19635대박정희민주공화당46.6%4,702,640표1위당선
19676대51.4%5,688,666표1위당선
19717대53.2%6,342,828표1위당선
19728대통일주체국민회의 간접선거100%2357표단독후보당선
19789대100%2577표단독후보당선
198112대전두환민주정의당선거인단 간접선거90.2%4755표1위당선
198713대노태우
김종필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
직접선거44.7%10,105,805표1위
4위
당선
낙선
199214대김영삼
정주영
민주자유당
통일국민당
58%13,857,389표1위
3위
당선
낙선
199715대이회창
이인제
한나라당
국민신당
57.9%14,861,309표2위
3위
낙선
200216대이회창한나라당46.6%11,443,297표2위낙선
200717대이명박48.7%11,492,389표1위당선
201218대박근혜새누리당51.6%15,773,128표1위당선
201719대홍준표
유승민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30.8%10,061,620표2위
4위
낙선
202220대윤석열국민의힘48.6%16,394,815표1위당선



8. 2. 부통령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1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이시영 후보가 57.4%(113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1951년 대한민국 제2대 부통령 선거에서는 대한국민당 소속 이갑성 후보가 35.6%(53표)를 득표하여 2위로 낙선하였다.

1952년 대한민국 제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자유당 소속 이범석 후보가 25.5%(1,815,692표)를 얻어 2위로 낙선하였다. 1956년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자유당 이기붕 후보와 대한국민당 윤치영 후보가 출마하여 각각 46.8%(4,046,780표)와 그 이하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낙선하였다.

8. 3.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은 역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24.3%의 득표율로 55석을 차지했다.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대한국민당대한독립촉성국민회가 합쳐 16.5%의 득표율로 38석을 얻었다.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 독립촉성국민회, 대한국민당이 연합하여 40.4%의 득표율로 116석을 확보했다.

자유당은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42.1%의 득표율로 126석을,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의원 2.8%, 참의원 5.9%의 득표율로 민의원 2석, 참의원 4석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민주공화당은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33.5%의 득표율로 110석을,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50.6%의 득표율로 129석을,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48.8%의 득표율로 113석을 얻었다. 1973년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38.7%의 득표율로 146석을, 1978년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31.7%의 득표율로 145석을 차지했다.

민주정의당한국국민당은 1981년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48.9%의 득표율로 176석을, 1985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44.4%의 득표율로 168석을 얻었다.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신민주공화당이 49.8%의 득표율로 160석을 차지했다. 민주자유당은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38.5%의 득표율로 149석을 얻었다.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한국당자유민주연합이 50.7%의 득표율로 189석을,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 민주국민당, 희망의한국신당이 52.9%의 득표율로 153석을 차지했다.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과 자유민주연합이 38.6%의 득표율로 125석을 얻었다.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자유선진당, 친박연대가 57.5%의 득표율로 185석을 차지했다.

새누리당과 자유선진당은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46%의 득표율로 157석을 얻었다.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33.5%의 득표율로 122석을 차지했다. 미래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은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33.8%의 득표율로 103석을 얻었다.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국민의힘국민의미래가 36.7%의 득표율로 108석을 차지했다.

년도대수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전국구의석
19481대대한독립촉성국민회1,662,29424.3%55-55
19502대대한국민당, 대한독립촉성국민회1,150,32616.5%38-38
19543대자유당, 독립촉성국민회, 대한국민당3,021,11540.4%116-116
19584대자유당3,607,09242.1%126-126
19605대자유당249,960(민의원)
1,248,753(참의원)
민의원 2.8%
참의원 5.9%
민의원 2
참의원 4
-민의원 2
참의원 4
19636대민주공화당3,112,98533.5%8822110
19677대민주공화당5,494,92250.6%10227129
19718대민주공화당5,460,58148.8%8627113
19739대민주공화당4,251,75438.7%7373146
197810대민주공화당4,695,99531.7%6877145
198111대민주정의당, 한국국민당7,923,91748.9%10868176
198512대민주정의당, 한국국민당8,869,22144.4%10266168
198813대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9,733,00049.8%11446160
199214대민주자유당7,923,71838.5%11633149
199615대신한국당, 자유민주연합9,962,20450.7%16227189
200016대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 민주국민당, 희망의한국신당9,997,61152.9%12627153
200417대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8,214,12238.6%10421125
200818대한나라당, 자유선진당, 친박연대9,853,94057.5%15134185
201219대새누리당, 자유선진당9,821,40546%13027157
201620대새누리당7,960,27233.5%10517122
202021대미래통합당, 미래한국당9,441,52033.8%8419103
202422대국민의힘, 국민의미래10,395,26436.7%9018108


8. 4. 지방선거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은 여러 차례 지방선거에 참여하여 다양한 결과를 얻었다.

년도정당시장읍장면장도의원시의원읍의원면의원
1952자유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국민당
1791454296509
1956자유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2928825517453810984



년도정당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
1991민주자유당564
1995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993427
1998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
10113348
200212156500
2006한나라당
국민중심당
121625721678
2010한나라당
자유선진당
국민중심연합
7963291366
2014새누리당81174161413
2018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2531421030
2022국민의힘121455401435


참조

[1] 뉴스 한국당, '극우' 늪에서 허우적...'친박 신당'설까지 https://www.ytn.co.k[...] 2019-02-16
[2] 서적 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 에디터 2000
[3] 웹인용 사단법인 건국대통령 이승만박사 기념사업회 http://www.syngmanrh[...] 2008-07-09
[4] 웹사이트 칠곡군 문화관광 - 문화유산 - 칠곡문화역사 - 인물 http://tour.chilg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