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산군은 충청남도 동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백제 시대부터 인삼 재배로 유명하다. 신라 경덕왕 때 진예군으로 개칭되었고, 고려 시대에는 금주군으로 승격되었다가 조선 시대에 금산군으로 개칭되었다. 현재는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산읍에 군청이 위치한다. 주요 산업은 인삼 농업과 제조업으로, 전국 인삼 생산량의 80%가 거래되는 국제인삼시장이 위치해 있다. 통영대전고속도로가 지나가며, 금산인삼축제 등 다양한 문화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산군의 행정 구역 - 금산읍
금산읍은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읍으로, 백제 시대 진내군이라 불렸고 조선 시대를 거쳐 194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0개의 법정리와 49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교육기관과 주거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금산군 - 보석사
죄송합니다. 페이지 개요가 제공되지 않아 요약문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금산군 - 이치 전투
임진왜란 중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이끄는 일본군이 이치 고개를 넘으려 했으나 권율이 지휘하는 조선군에 막혀 전주 진입에 실패하며 일본군의 작전 계획에 차질을 빚고 의병 운동 확산에 기여한 전투이다. - 충청남도의 군 - 청양군
충청남도 중앙에 위치한 청양군은 칠갑산을 중심으로 산지가 많고 백제 시대부터 역사를 지닌 1읍 9면의 농업 기반 지역으로, 충청남도에서 인구가 가장 적으며 칠갑산 도립공원 등의 관광자원과 충남도립청양대학교가 있다. - 충청남도의 군 - 부여군
부여군은 충청남도 서남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던 사비가 있던 곳으로, 역사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읍 15면으로 구성되었고, 금강 유역의 평야와 구릉지, 온대 기후, 풍부한 백제 유적을 바탕으로 관광 및 서비스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금산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고유 명칭 | 금산군 |
한자 표기 | 錦山郡 |
로마자 표기 | Geumsan-gun |
McCune-Reischauer 표기 | Kŭmsan-gun |
위치 | 대한민국 충청남도 |
방언 | 충청 방언 전라 방언 |
행정 구역 | |
종류 | 군 |
하위 행정 구역 | 1읍 9면 |
면적 | |
총 면적 | 575.98 km² |
인구 | |
총 인구 | 50,477명 |
인구 밀도 | 88명/km² |
인구 조사 시점 | 2024년 9월 |
상위 행정 구역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호서 지방 (1963년 이전 호남 지방) |
기타 정보 | |
군청 소재지 | 금산읍 군청길 13 (상리 25-1) |
군목 | 소나무 |
군화 | 모란 |
군조 | 파랑새 |
홈페이지 | 금산군청 |
군수 | 박범인(국민의힘) |
국회의원 | 황명선(더불어민주당, 논산시·계룡시·금산군) |
이미지 | |
![]() | |
엠블럼 | |
![]() |
2. 역사
금산군은 백제 시대에 진내군 또는 진내을군이라 불렸는데,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경덕왕 때 진예군이라 고쳤다. 고려 초에는 진예현이었다가 1305년(고려 충렬왕 31년)에 금주군으로 승격되었고, 부리현, 청거현, 무풍현, 진동현의 5현을 소속시켜 금주사가 다스렸다. 1413년(조선 태종 13년) 금주군(錦州郡)을 금산군으로 개칭하였다.
현재의 진산면 일대는 백제 시대 진동현이었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황산군의 속현이었다. 고려 초 옥계부로 고쳤다가 1305년(고려 충열왕 31년) 금주군에 소속시켰다. 1390년에 다시 고산현의 속현으로 한 것을 조선에 와서 1393년(태조 2년) 만인산에 태조의 태(胎)를 모신 후 진주군으로 승격시키고 지진주사(知珍州事)를 두어 다스리게 하였다. 1413년(조선 태종 13년) 진산군(珍山郡)으로 개칭하였다.
1895년 6월 23일 23부제로 개편되면서 진산군(현 진산면, 추부면, 복수면 일대)과 함께 충청도 공주부에 편입되었다. 그러다가 이듬해 13도제로 개편되면서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에 따라 전라북도에 편입되었다. 1914년 3월 1일 부로 진산군이 금산군에 통합되었다. 금산군은 고려 말기부터 인삼으로 유명하며, 현재 한국에서 가장 큰 인삼 및 약초 시장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금산군은 백제 시대에 진내군 또는 진내을군이라 불렸는데,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경덕왕 때 진예군이라 고쳤다. 고려 초에는 진예현이었다가 1305년(고려 충렬왕 31년)에 금주군으로 승격되었고, 부리현, 청거현, 무풍현, 진동현의 5현을 소속시켜 금주사가 다스렸다. 1413년(조선 태종 13년) 금주군(錦州郡)을 금산군으로 개칭하였다.현재의 진산면 일대는 백제 시대 진동현이었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황산군의 속현이었다. 고려 초 옥계부로 고쳤다가 1305년(고려 충열왕 31년) 금주군에 소속시켰다. 1390년에 다시 고산현의 속현으로 한 것을 조선에 와서 1393년(태조 2년) 만인산에 태조의 태(胎)를 모신 후 진주군으로 승격시키고 지진주사(知珍州事)를 두어 다스리게 하였다. 1413년(조선 태종 13년) 진산군(珍山郡)으로 개칭하였다.
1895년 6월 23일 23부제로 개편되면서 진산군(현 진산면, 추부면, 복수면 일대)과 함께 충청도 공주부에 편입되었다. 그러다가 이듬해 13도제로 개편되면서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에 따라 전라북도에 편입되었다. 1914년 3월 1일 부로 진산군이 금산군에 통합되었다. 금산군은 고려 말기부터 인삼으로 유명하며, 현재 한국에서 가장 큰 인삼 및 약초 시장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2. 2. 일제강점기 ~ 현대
1896년 8월 4일 13도 실시에 따라 공주부와 홍주부를 충청남도로 개편하였으나, 공주부에 속해 있던 금산군과 진산군은 전라북도로 편입되었다.[10] 1914년 3월 1일 진산군을 금산군으로 병합하고, 금산면, 금성면, 제원면, 부리면, 군북면,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 복수면, 추부면 등 10개 면(面)을 설치하였다.[10]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금산군 군일면과 군이면은 금산면으로, 서일면과 서이면은 금성면으로, 북일면은 군북면으로, 동일면과 부북면은 제원면으로, 부동면과 부서면은 부리면으로, 남일면은 그대로 남일면으로, 남이면은 그대로 남이면으로, 진산군 군내면, 서면, 이남면은 진산면으로, 일남면과 북면은 복수면으로, 동일면과 동이면은 추부면으로 통합되었다.
1940년 11월 1일 : 금산면이 금산읍으로 승격되어 1읍 9면으로 되었다.[11] 1962년 12월 12일 : 전라북도에서 충청남도로 이관되었다.[11] 1973년 7월 1일 : 복수면 용지리가 추부면으로 편입되었다.[12]
금산군은 고려 말기부터 인삼으로 유명하며, 현재 한국에서 가장 큰 인삼 및 약초 시장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비록 예전만큼 많은 인삼을 생산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한국에서 유통되는 인삼의 80%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2005년 제57회 충남도민체전을 개최했으며, 2023년 2월 22일 충청남도 남부출장소가 개소했다.
3. 지리
금산은 충청남도 동남부에 위치한다. 금산 토양의 모암을 형성하는 암석은 옥천계 수성암층과 화강암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동쪽으로 추부면의 서대산(904m), 매봉, 제원면 천앙산(502m), 국사봉(667m), 부리면 성주산(624m)과 양각산(567m)이 위치하고 있고, 충청북도 옥천군, 영동군과 인접한다.
서쪽으로는 진산면 오대산(569m)을 지나 충청남도 논산시와 인접한다. 서남쪽으로 대둔산(878m)과 남이면 선야산(759m)을 경계로 완주군과 지형적으로 도계를 이룬다.
남쪽으로는 부리면의 갈선산(456m), 수로봉(505m), 남일면의 덕기봉과 갈마봉(495m) 등 산맥과 동남부의 금강을 경계로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진안군과 도계를 이룬다.
북쪽으로는 복수면 안평상(470m), 추부면 만인산(537m), 지붕산(464m) 등을 끼고 대전광역시와 접한다. 이러한 산릉선을 사이에 두고 금산분지에 밖으로 통하는 길목에는 크고 작은 고개들이 무수히 많다.
3. 1. 지형
금산은 충청남도 동남부에 위치한다. 금산 토양의 모암을 형성하는 암석은 옥천계 수성암층과 화강암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동쪽으로 추부면의 서대산(904m), 매봉, 제원면 천앙산(502m), 국사봉(667m), 부리면 성주산(624m)과 양각산(567m)이 위치하고 있고, 충청북도 옥천군, 영동군과 인접한다.
서쪽으로는 진산면 오대산(569m)을 지나 충청남도 논산시와 인접한다. 서남쪽으로 대둔산(878m)과 남이면 선야산(759m)을 경계로 완주군과 지형적으로 도계를 이룬다.
남쪽으로는 부리면의 갈선산(456m), 수로봉(505m), 남일면의 덕기봉과 갈마봉(495m) 등 산맥과 동남부의 금강을 경계로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진안군과 도계를 이룬다.
북쪽으로는 복수면 안평상(470m), 추부면 만인산(537m), 지붕산(464m) 등을 끼고 대전광역시와 접한다. 이러한 산릉선을 사이에 두고 금산분지에 밖으로 통하는 길목에는 크고 작은 고개들이 무수히 많다.
3. 2. 강 / 하천
충청북도 영동군으로 흐르는 천내리의 금강, 옥천으로 흐르는 서화천, 충청남도 논산시로 흐르는 벌곡천, 대전으로 흐르는 유등천, 남이면 건천리를 지나 완주군으로 흐르는 장신천이 있다.금강의 가장 큰 지류인 봉황천은 총 길이 45km로써 그 유역에는 제원면, 군북면, 금성면, 남일면, 남이면, 금산읍이 포함되어 금산군 강우량의 60%를 차지한다. 봉황천은 나뭇가지 모양으로 여러개의 지류가 뻗어 광대한 침식분지를 형성, 금산의 3대 곡창지대인 제원분지와 금성분지를 이르고 있음은 물론 금산지역의 11개 분지 중 7개 분지를 끼고 있다.
3. 3. 기후
금산군은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에 속하지만, -3°C 등온선을 사용하면 경계적인 온난 습윤 기후(쾨펜: ''Cwa'')로 간주될 수 있다.평균값은 1991년~2020년, 극값은 1972년부터 현재까지의 자료를 기준으로 한다. 최고기온 극값은 1994년 7월 23일에 기록된 37.5℃이고, 최저기온 극값은 1974년 1월 25일에 기록된 -22.2℃이다.[6][7]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최고 기온 (℃) | 4.0 | 6.8 | 12.5 | 19.3 | 24.4 | 27.8 | 29.8 | 30.3 | 26.2 | 20.8 | 13.6 | 6.2 | 18.5 |
평균 기온 (℃) | -2.4 | 0.0 | 5.2 | 11.6 | 17.1 | 21.6 | 24.8 | 24.9 | 19.7 | 12.8 | 6.1 | -0.4 | 11.8 |
평균 최저 기온 (℃) | -7.9 | -6.0 | -1.5 | 4.0 | 10.1 | 16.1 | 20.8 | 20.9 | 14.8 | 6.9 | 0.2 | -5.8 | 6.1 |
최고 기온 기록 (℃) | 17.5 | 22.1 | 27.1 | 31.5 | 35.0 | 34.8 | 37.5 | 38.8 | 34.0 | 31.1 | 26.4 | 18.6 | 38.8 |
최저 기온 기록 (℃) | -22.2 | -20.7 | -13.1 | -6.9 | 0.0 | 5.8 | 10.9 | 9.9 | 3.6 | -5.1 | -10.9 | -19.7 | -22.2 |
강수량 (mm) | 25.5 | 37.9 | 52.3 | 84.7 | 81.6 | 161.8 | 297.8 | 284.3 | 130.5 | 55.7 | 47.2 | 29.3 | 1288.6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7.2 | 6.3 | 8.3 | 8.5 | 8.2 | 9.4 | 15.6 | 14.7 | 9.3 | 6.4 | 8.0 | 8.1 | - |
평균 상대 습도 (%) | 69.8 | 64.7 | 61.1 | 58.8 | 62.8 | 68.7 | 75.9 | 75.7 | 74.8 | 73.4 | 71.6 | 71.6 | 69.1 |
평균 일조시간 | 166.9 | 177.6 | 212.2 | 222.0 | 242.8 | 197.8 | 159.6 | 169.9 | 168.7 | 183.7 | 155.7 | 157.9 | 2214.8 |
4. 행정 구역
금산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 106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금산읍이다.[15] 금산군의 면적은 576.66km2이며, 2014년 1월 말 기준으로 24,738세대, 55,355명이 거주하고 있다.[15] 인구의 42.6%가 금산읍에 거주하며, 1974년에는 최대 125,607명이 거주하였다.[15]
구분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
금산읍 | 錦山邑 | 21.6 | 9,423 | 23,667 |
금성면 | 錦城面 | 34.8 | 1,938 | 4,011 |
제원면 | 濟原面 | 64.3 | 1,562 | 3,142 |
부리면 | 富利面 | 66.4 | 1,471 | 2,885 |
군북면 | 郡北面 | 58.1 | 1,386 | 2,700 |
남일면 | 南一面 | 47.1 | 1,333 | 2,977 |
남이면 | 南二面 | 98.2 | 1,104 | 2,233 |
진산면 | 珍山面 | 80.5 | 1,742 | 3,404 |
복수면 | 福壽面 | 56.2 | 1,750 | 3,651 |
추부면 | 秋富面 | 49.1 | 3,135 | 6,775 |
금산군 | 錦山郡 | 576.28 | 24,738 | 55,355 |
읍·면 | 법정리 |
---|---|
금산읍 | 계진리, 상리, 상옥리, 신대리, 아인리, 양지리, 음지리, 중도리, 하옥리 |
금성면 | 대암리, 도곡리, 두곡리, 마수리, 상가리, 양전리, 의죽리, 바조리, 하류리, 하신리, 화림리 |
제원면 | 구억리, 김성리, 길곡리, 대산리, 桐谷里, 명곡리, 명암리, 수당리, 신안리, 용화리, 저곡리, 천내리, 제원리 |
부리면 | 관천리, 방우리, 부이리, 선원리, 수통리, 신촌리, 양곡리, 어재리, 예미리, 창평리, 평촌리, 현내리 |
군북면 | 내부리, 동편리, 두두리, 보광리, 산안리, 상곡리, 외부리, 조정리, 천일리, 호치리 |
남일면 | 덕천리, 마장리, 상동리, 초현리, 신동리, 신정리, 신천리, 음대리, 황풍리 |
남이면 | 건천리, 구석리, 대양리, 매곡리, 상금리, 석동리, 성곡리, 역평리, 하금리, 흑암리 |
진산면 | 교촌리, 두지리, 막현리, 만락리, 묵산리, 부암리, 삼가리, 석막리, 엄정리, 오항리, 읍내리, 지방리, 행정리 |
복수면 | 곡남리, 구례리, 다복리, 목수리, 백암리, 수영리, 신대리, 용진리, 지량리 |
추부면 | 마전리, 서대리, 성당리, 신평리, 용치리, 비례리, 요광리, 자부리, 장대리, 추정리 |
- 군수: 박범인
5. 인구
6. 산업
금산군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5조 1,688억원으로 충청남도 지역내 총생산의 1.7%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1,969억원으로 3.8%의 비중을 차지하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3조 3,860억원으로 65.5%의 비중을 차지한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1조 5,858억원으로 30.7%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숙박 및 음식점업(5.0%)과 공공행정(4.3%),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3.3%)과 건설업(3.2%)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16]
금산군의 2014년 산업 총 종사자 수는 23,606명으로 충청남도 총 종사자 수의 2.9%를 차지하고 있다. 농립어업(1차산업)은 69명으로 0.3%의 비중을 차지한다. 광·제조업(2차산업)은 9,297명으로 39.4%의 비중을 차지한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14,277명으로 60.3%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32.8%)보다 높고, 3차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66.7%)보다 낮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3.6%), 교육서비스업(8.8%), 숙박 및 음식점업(7.6%), 문화 및 기타서비스(5.5%)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17]
국제인삼시장, 수삼시장, 인삼전통시장 등이 조성된 고려인삼의 집산지이다. 전국 인삼 생산량의 80%가 거래된다. 금산읍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인삼 시장이 있으며, 전성기에는 국내 인삼 거래량의 70~80%가 금산에서 이루어졌다. 현재도 무주, 진안, 영동, 대전 등 인근 지역에서 수확된 인삼이 금산에서 널리 유통되고 있다.
제원면에 세계 최대 규모의 타이어 공장인 한국타이어 금산공장이 있다.[19] 이 밖에 추부농공단지, 복수농공단지, 금성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6. 1. 개요
6. 2. 농업
금산군은 고려인삼의 집산지로, 국제인삼시장, 수삼시장, 인삼전통시장 등이 조성되어 있다. 전국 인삼 생산량의 80%가 이곳에서 거래된다. 금산읍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인삼 시장이 있으며, 전성기에는 국내 인삼 거래량의 70~80%가 금산에서 이루어졌다. 현재도 무주, 진안, 영동, 대전 등 인근 지역에서 수확된 인삼이 금산에서 널리 유통되고 있다.6. 3. 제조업
제원면에 세계 최대 규모의 타이어 공장인 한국타이어 금산공장이 있다.[19] 이 밖에 추부농공단지, 복수농공단지, 금성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다.6. 4. 경제 지표 (2012년 기준)
금산군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5조 1,688억원으로 충청남도 지역내 총생산의 1.7%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1,969억원으로 3.8%의 비중을 차지하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3조 3,860억원으로 65.5%의 비중을 차지한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1조 5,858억원으로 30.7%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숙박 및 음식점업(5.0%)과 공공행정(4.3%),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3.3%)과 건설업(3.2%)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16]국제인삼시장, 수삼시장, 인삼전통시장 등이 조성된 고려인삼의 집산지이다. 전국 인삼 생산량의 80%가 이곳에서 거래된다.[16]
6. 5.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2010년 기준)
금산군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52,074명이고 주간인구는 61,803명으로 주간인구 지수가 119로 높다.[18]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9,336명, 유출인구는 2,164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557명, 유출인구는 612명으로 전체 유입인구가 9,729명 더 많다.[18] 이는 충청남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18]7. 교통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되어 금산군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금산 나들목과 추부 나들목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금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서울행 고속버스와 대전 및 호남지역 방면으로의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중이다. 군내 대중교통으로는 한일교통에서 농어촌버스를 운행한다. 일제 강점기 때 대삼선이 금산군을 통과할 계획이었으나 종전과 함께 공사가 중단되어, 철도 교통은 전무하다.
7. 1. 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되어 금산군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금산 나들목과 추부 나들목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금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서울행 고속버스와 대전 및 호남지역 방면으로의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중이다. 군내 대중교통으로는 한일교통에서 농어촌버스를 운행한다. 일제 강점기 때 대삼선이 금산군을 통과할 계획이었으나 종전과 함께 공사가 중단되어, 철도 교통은 전무하다.7. 2. 버스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되어 금산군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금산 나들목과 추부 나들목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금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서울행 고속버스와 대전 및 호남지역 방면으로의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중이다. 군내 대중교통으로는 한일교통에서 농어촌버스를 운행한다. 일제 강점기 때 대삼선이 금산군을 통과할 계획이었으나 종전과 함께 공사가 중단되어, 철도 교통은 전무하다.7. 3. 철도
일제 강점기 때 대삼선이 금산군을 통과할 계획이었으나 종전과 함께 공사가 중단되어, 철도 교통은 전무하다.8. 교육
금산군에는 금산읍에 금산교육지원청이 있다.
금산군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기관이 있다:
- 대학교: 중부대학교
- 고등학교: 금산고등학교, 금산여자고등학교, 금산산업고등학교, 금산하이텍고등학교(舊 진산공업고등학교)
- 중학교: 금산동중학교, 금산여자중학교, 금산중학교, 복수중학교, 부리중학교, 제원중학교, 진산중학교, 추부중학교
- 초등학교: 군북초등학교, 금산동초등학교, 금산중앙초등학교, 금산초등학교, 금성초등학교, 남이초등학교, 남일초등학교, 복수초등학교, 부리초등학교, 상곡초등학교, 성대초등학교, 신대초등학교, 용문초등학교, 제원초등학교, 진산초등학교, 추부초등학교
중부대학교는 고양시에도 캠퍼스를 두고 있다.
9. 문화·관광
금강은 금산 부리면의 중심부를 감입곡류하며 충북과 충남을 흐르는데, 금산의 기암절벽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비경을 이루어 적벽강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칠백의총은 임진왜란때 의병장 조헌을 비롯한 700여명의 의사의 유골이 안치되어 있는 곳이다.
서대산은 높이 904m로 충청남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변성암인 석영반암계(石英斑岩系)의 암석으로 되어 있고, 산세가 온후하고 아름다우며, 산림청이 선정한 100대 명산에 선정되어 충청남도 5대 명산(서대산·대둔산·계룡산·덕숭산·칠갑산) 중 하나이다.
대둔산의 진산면 대둔산 일대는 충청남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태고사는 진산면 대둔산 자락에 위치한 사찰로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하였으며 12승지 중 하나로 꼽힌다.
금산인삼관은 1998년 5월 개관 후, 2006년 리모델링을 통하여 새롭게 개관하였으며, 풍수인관, 건강생애관, 인삼약초관, 인삼음식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2폭포는 해발 648m의 성치산 성봉에서 발원한 계곡이 폭포를 이루며 흐르는 곳이다.
태조대왕태실은 함경도 용연(龍淵)에 있었으나 조선 태조 2년(1393년) 현재의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로 옮겨왔으며,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1호이다.
용호석은 1361년 홍건족의 난 때 고려 공민왕이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대길지(大吉地)를 찾을 것을 지사(地師)에 명하자, 지사가 태백산 지맥에 평사낙안 부사도강(平沙樂雁浮莎渡江)의 명당이 금주(현재의 금산)에서 동쪽으로 20리 지점에 있으니 왕릉이 될 지대라고 하여 왕이 자신의 능소로 작정하고 왕릉에 필요한 용석과 호석을 제작하였다고 전해지며,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호이다.
금산은 고려 인삼의 종주지로 유명하며, 금산읍내에는 전국 최대 규모의 인삼 유통 단지가 있고, 금산인삼축제도 열린다. 금산인삼관, 금산약초시장 등이 있으며, 2018년에는 UN FAO가 지정을 한 세계중요농업유산로 등재 선정되었다.
이외에도 금강 어죽, 추부 들깻잎, 남일 배, 복수 한우불고기 등이 유명하다. 신라 시대에 건립된 보석사를 비롯한 여러 사찰들이 있다. 매년 9월부터 10월까지는 세계 인삼 축제가 열린다.
9. 1. 명소
금강은 금산 부리면의 중심부를 감입곡류하며 충북과 충남을 흐르는데, 금산의 기암절벽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비경을 이루어 적벽강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칠백의총은 임진왜란때 의병장 조헌을 비롯한 700여명의 의사의 유골이 안치되어 있는 곳이다.
서대산은 높이 904m로 충청남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변성암인 석영반암계(石英斑岩系)의 암석으로 되어 있고, 산세가 온후하고 아름다우며, 산림청이 선정한 100대 명산에 선정되어 충청남도 5대 명산(서대산·대둔산·계룡산·덕숭산·칠갑산) 중 하나이다.
대둔산의 진산면 대둔산 일대는 충청남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태고사는 진산면 대둔산 자락에 위치한 사찰로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하였으며 12승지 중 하나로 꼽힌다.
금산인삼관은 1998년 5월 개관 후, 2006년 리모델링을 통하여 새롭게 개관하였으며, 풍수인관, 건강생애관, 인삼약초관, 인삼음식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2폭포는 해발 648m의 성치산 성봉에서 발원한 계곡이 폭포를 이루며 흐르는 곳이다.
태조대왕태실은 함경도 용연(龍淵)에 있었으나 조선 태조 2년(1393년) 현재의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로 옮겨왔으며,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1호이다.
용호석은 1361년 홍건족의 난 때 고려 공민왕이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대길지(大吉地)를 찾을 것을 지사(地師)에 명하자, 지사가 태백산 지맥에 평사낙안 부사도강(平沙樂雁浮莎渡江)의 명당이 금주(현재의 금산)에서 동쪽으로 20리 지점에 있으니 왕릉이 될 지대라고 하여 왕이 자신의 능소로 작정하고 왕릉에 필요한 용석과 호석을 제작하였다고 전해지며,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호이다.
금산은 고려 인삼의 종주지로 유명하며, 금산읍내에는 전국 최대 규모의 인삼 유통 단지가 있고, 금산인삼축제도 열린다. 금산인삼관, 금산약초시장 등이 있으며, 2018년에는 UN FAO가 지정을 한 세계중요농업유산로 등재 선정되었다.
이외에도 금강 어죽, 추부 들깻잎, 남일 배, 복수 한우불고기 등이 유명하다. 신라 시대에 건립된 보석사를 비롯한 여러 사찰들이 있다. 매년 9월부터 10월까지는 세계 인삼 축제가 열린다.
9. 2. 문화시설
금산읍에는 금산다락원이 있고, 금성면에는 금산문화원이 있다. 금산읍에는 금산 문화의 집이 있고, 추부면에는 추부 문화의 집이 있다. 금산군에서는 금강민속축제와 금산인삼축제가 열린다.9. 3. 축제
매년 9월부터 10월까지 세계 인삼 축제가 열린다. 신라 시대에 건립된 보석사 등 유명한 사찰들이 있다. 대둔산 도립공원이 있다. 충청남도에서 가장 높은 산인 서대산(해발 904m)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 또한, 임진왜란(금산 전투) 당시 순절한 의관 조헌과 수군장영유 등 700여 명의 무덤인칠백의총도 있다. 낚시를 좋아한다면 화림숲에서 농어낚시를 즐기면서 생태계도 보존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10. 자매 도시
금산군은 대한민국 내 여러 지역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광주광역시 북구
-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 전라남도 완도군
- 대구광역시 남구
- 인천광역시 부평구
- 대전광역시 유성구
- 울산광역시 북구
- 경기도 의왕시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 충청북도 충주시
- 대구광역시 군위군
- 경상남도 고성군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경기도 광명시
- 경상북도 영주시
또한, 금산군은 중화인민공화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에 위치한 안도현과 1995년 3월 28일 자매결연 협정을 체결하였다.
11. 주요 기관
충청남도청이 서북부 내포신도시로 이전함에 따라 동남부 금산군에 충청남도 남부출장소가 설치될 계획이다. 대전지방법원 금산군법원, 대전지방법원 금산등기소, 금산경찰서, 금산소방서, 금산우체국, 한국전력공사 금산지사, 대한지적공사 금산지사, 한국수자원공사 금산지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금산사무소는 금산읍에 위치하고있다.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은 제원면에 있다.
12.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8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6]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금산(238)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03-25
[7]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금산(238)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10-02
[8]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9]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0]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1]
법령
서울특별시·도·군·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12]
법령
대통령령 제 6542호
[13]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금산(23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4]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금산(23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5]
웹인용
금산군 2012년 통계연보
https://web.archive.[...]
2013-11-10
[16]
웹사이트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17]
웹사이트
충청남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18]
웹사이트
충청남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19]
간행물
세계 최대 타이어 공장, 한국타이어 금산공장을 가다
http://auto.naver.co[...]
모터리언
2014-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