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화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화부인은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수신 하백의 딸이자 해모수의 아내이며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의 어머니이다. 전설에 따르면, 유화부인은 해모수를 만나 주몽을 낳았으며, 부여 금와왕에게 발견되어 보호를 받았다. 이규보의 동명왕편에서는 주몽이 부여를 떠날 때 오곡의 종자를 챙겨주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농업신적인 성격도 지닌다. 유화부인은 동부여에서 사망했으며, 금와왕에 의해 태후의 예로 장례가 치러졌고, 고구려에서는 주몽과 함께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73년 출생 - 헤로데 1세
헤로데 1세는 로마의 지원으로 하스몬 왕조를 무너뜨리고 유대의 왕이 되어 경제적 기반을 확충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폭압적인 통치와 유아 학살 사건으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 기원전 73년 출생 - 대소왕
금와왕의 장남인 대소왕은 동부여의 마지막 왕으로, 고구려와 대립하다 대무신왕에게 살해되어 동부여를 멸망시켰다. - 고구려의 신 - 해모수왕
천제의 아들이자 북부여의 건국 시조인 해모수왕은 오룡거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와 나라를 세웠다는 설화 속 인물이며, 주몽 탄생 설화와 관련되고 대중 문화 속에서도 재해석된다. - 고구려의 신 - 기자 (고조선)
기자(고조선)는 상나라 왕족 출신으로 기자동래설에 따라 주나라의 지배를 거부하고 고조선에 망명하여 문명을 전파한 인물로 전해지나, 현대 사학계에서는 고고학적 근거 부족과 문헌 기록의 모순으로 인해 그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고구려 신화의 인물 - 동명성왕
동명성왕은 고구려의 건국 시조로 주몽이라고도 불리며, 탄생 설화와 부여 탈출 후 고구려 건국 이야기와 함께 주변 세력 정복으로 국가 기틀을 다진 한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고구려 신화의 인물 - 금와왕
금와왕은 부여의 왕으로, 고구려 시조 주몽의 아버지이며, 곤연에서 발견된 금빛 개구리 모양의 아이였고, 주몽을 보호하다가 대소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사망했다.
유화부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하백녀 |
한자 | 河伯女 |
로마자 표기 | Habaengnyeo |
한글 (출생 시) | 하유화 |
한자 (출생 시) | 河柳花 |
로마자 표기 (출생 시) | Ha Yuhwa |
신상 정보 | |
출생 | 미상 |
사망일 | 기원전 24년 |
사망 장소 | 부여 |
매장지 | 부여 |
가문 | |
아버지 | 하백 |
어머니 | 미상 |
친척 | 위화(葦花) 훤화(萱花) |
혼인 및 자녀 | |
배우자 | 불리지 고모수(弗離支 高慕漱) |
자녀 | 동명성왕(추모) |
왕족 정보 | |
다른 이름 | 하백녀(河伯女) |
별명 | 신모(神母) 동신성모(東神聖母) |
재위 | ? ~ 기원전 24년 음력 8월 |
전임자 | 하백(河伯) |
후임자 | 예씨 부인(禮氏夫人) |
묘호 | 미상 |
시호 | 미상 |
가문 | 미상 |
왕조 | 고구려 |
목록 | 고구려의 추존 왕비(妣) 부여의 추존 태후 |
2. 생애
하백(河伯)의 딸 유화는 동생 하위화, 하훤화와 함께 압록강가에서 놀다가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왕(解慕漱王)을 만났다.[3] 해모수는 세 자매를 유혹하기 위해 화려한 궁궐을 짓고 연회를 열었으나, 세 자매는 해모수가 다가오자 도망쳤다. 해모수는 세 자매가 술에 취하자 유화를 사로잡았다.
하백은 유화의 납치에 분노하여 사자를 보내 해모수를 꾸짖었다. 해모수는 부끄러움을 느껴 유화를 돌려보내려 했지만, 유화는 그에게 반해 떠나기를 거부했다. 해모수는 다섯 마리의 용이 끄는 마차를 타고 하백의 궁궐로 갔다. 하백은 해모수와 변신 대결을 벌였는데, 잉어, 꿩, 사슴으로 변신했지만 해모수가 각각 수달, 매, 늑대로 변신하여 그를 잡았다. 하백은 해모수의 재능을 보고 결혼을 축하하는 연회를 열었다. 부부가 술에 취하자 하백은 그들을 가죽 자루에 넣어 용 마차에 태워 하늘로 보냈으나, 해모수는 도중에 깨어나 유화의 금비녀로 가죽 자루를 찢고 혼자 하늘로 도망쳤다.[3]
어느 날 어부가 금와왕에게 이상한 생물이 물속을 거닐고 있다고 보고했다. 왕은 그 생물을 잡으라고 명령했고, 유화는 물 밖으로 끌려 나왔다. 그녀의 입술이 늘어나서 말을 하려면 세 번이나 잘라야 했다. 왕은 그녀가 천제의 첩임을 깨닫고, 햇빛이 유화를 따라다니며 그녀를 임신하게 한 별궁에 그녀를 두었다.[3]
유화부인은 기원전 24년 (동명성왕(東明聖王) 14년) 8월 동부여(東夫餘)에서 죽었는데, 금와왕(金蛙王)은 태후(太后)의 예(禮)로써 장례를 지내고 신묘(神廟)를 세워주었다. 후에 고구려(高句麗)에서는 주몽(朱蒙)과 더불어 그 어머니인 하백녀가 국가적인 치제(致祭)의 대상으로 섬겨졌다.
2. 1. 탄생 설화
전설에 따르면 유화부인은 물의 신인 하백(河伯)의 장녀로, 동생 하위화(河葦花)·하훤화(河萱花)와 함께 압록강가에서 놀다가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왕(解慕漱王)을 만나 닷되들이만한 알을 낳았는데, 그 속에서 주몽(朱蒙)이 나왔다고 한다.[3] 이규보(李奎報)의 서사시 동명왕편(東明王篇)에서는 주몽(朱蒙)이 부여(扶餘)에서 남쪽으로 이주할 때 신모(神母, 유화부인)가 오곡(五穀)의 종자를 싸주었으나, 이별의 슬픔에 보리 종자(麥子)를 빠뜨렸는데, 신모가 사자(使者)인 비둘기를 시켜 주몽(朱蒙)에게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주몽(朱蒙)의 어머니 유화부인이 맥류경작(麥類耕作)과 관련된 농업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압록강의 신 하백에게는 유화(柳花), 훤화(萱花), 위화(葦花)라는 세 명의 아름다운 딸이 있었다. 이들은 강가에서 놀다가 해모수(解慕漱)가 다가오는 것을 보고 도망쳤다. 해모수는 여인들을 유혹하기 위해 화려하게 장식된 궁전을 짓고 연회를 열었다. 자매들이 궁전에 들어와 술에 취하자 해모수는 출구를 막고 유화를 사로잡았다.[3]
하백은 유화의 납치에 분노하여 사자를 보내 해모수를 꾸짖었다. 해모수는 유화를 돌려보내려 했지만, 유화는 그에게 반하여 떠나기를 거부했다. 해모수는 다섯 마리의 용이 끄는 마차를 소환하여 하백의 궁전으로 갔다. 하백은 해모수에게 변신 결투를 신청했고, 잉어, 꿩, 사슴으로 변신했지만, 해모수가 각각 수달, 매, 늑대로 변신하여 그를 잡았다. 하백은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연회를 열었다. 부부가 술에 취하자 하백은 그들을 가죽 자루에 넣고 용 마차에 실어 하늘로 올려보냈다. 그러나 해모수는 여행 중간에 깨어나 유화의 금비녀로 가죽 자루를 찢고 혼자 하늘로 도망쳤다.[3]
유화가 혼자 돌아오자 하백은 그녀를 가문의 수치로 여겼다. 하백은 그녀의 입술을 늘려 태백산 남쪽에 위치한 우발수(優渤水) 또는 우발 연못에 유배시켰다.[3]
어느 날 어부가 금와왕에게 이상한 생물이 물속을 거닐고 있다고 보고했다. 왕은 그 생물을 잡으라고 명령했고, 유화는 물 밖으로 끌려 나왔다. 그녀의 입술이 늘어나서 말을 하려면 세 번이나 잘라야 했다. 왕은 그녀가 천제의 첩임을 깨닫고, 햇빛이 유화를 따라다니며 그녀를 임신하게 한 별궁에 그녀를 두었다.[3]
2. 2. 해모수와의 만남과 이별
하백(河伯)의 딸 유화는 동생 하위화(河葦花), 하훤화(河萱花)와 함께 압록강가에서 놀다가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왕(解慕漱王)을 만났다.[3] 해모수는 세 자매를 유혹하기 위해 화려한 궁궐을 짓고 연회를 열었으나, 세 자매는 해모수가 다가오자 도망쳤다. 해모수는 세 자매가 술에 취하자 유화를 사로잡았다.하백은 유화의 납치에 분노하여 사자를 보내 해모수를 꾸짖었다. 해모수는 부끄러움을 느껴 유화를 돌려보내려 했지만, 유화는 그에게 반해 떠나기를 거부했다. 해모수는 다섯 마리의 용이 끄는 마차를 타고 하백의 궁궐로 갔다. 하백은 해모수와 변신 대결을 벌였는데, 잉어, 꿩, 사슴으로 변신했지만 해모수가 각각 수달, 매, 늑대로 변신하여 그를 잡았다. 하백은 해모수의 재능을 보고 결혼을 축하하는 연회를 열었다. 부부가 술에 취하자 하백은 그들을 가죽 자루에 넣어 용 마차에 태워 하늘로 보냈으나, 해모수는 도중에 깨어나 유화의 금비녀로 가죽 자루를 찢고 혼자 하늘로 도망쳤다.[3]
2. 3. 금와왕과의 만남
전설에 의하면 유화는 하백(河伯)의 장녀로, 동생들과 함께 압록강가에서 놀다가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왕(解慕漱王)을 만나게 되었다고 한다. 이규보(李奎報)의 서사시 동명왕편(東明王篇)에서는 주몽(朱蒙)의 신모(神母,柳花夫人)가 맥류경작(麥類耕作)과 관련된 농업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한다.[3]압록강의 신 하백에게는 유화(柳花), 훤화(萱花), 위화(葦花)라는 세 명의 아름다운 딸이 있었다. 이들은 강가에서 놀다가 해모수(解慕漱)에게 이끌려 궁궐에서 연회를 즐겼다. 해모수는 유화를 사로잡았고, 하백과의 변신 대결에서 승리한 후 유화와 혼인하였다. 그러나 해모수는 유화를 두고 혼자 하늘로 돌아갔고, 유화는 아버지 하백에게 벌을 받아 우발수(優渤水)에 유배되었다.[3]
어느 날 어부가 금와왕에게 이상한 생물이 있다는 소식을 전했고, 왕은 유화를 물 밖으로 끌어내었다. 유화는 말을 할 수 있도록 입술을 세 번 자르는 과정을 거쳤다. 금와왕은 유화가 천제의 첩임을 알고 그녀를 별궁에 두었고, 햇빛이 유화를 따라다니며 임신하게 하였다.[3]
2. 4. 죽음과 숭배
전설에 의하면 수신(水神)인 하백(河伯)의 장녀 유화는 동생 하위화(河葦花), 하훤화(河萱花)와 함께 압록강가에서 놀다가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왕(解慕漱王)을 만나 닷되들이만한 크기의 알을 낳았는데, 그 속에서 주몽(朱蒙)이 나왔다고 한다. 이규보(李奎報)의 서사시 동명왕편(東明王篇)에서는 주몽(朱蒙)이 부여(扶餘)에서 남쪽으로 이주할 때 신모(神母, 유화부인)가 오곡(五穀)의 종자를 싸주었으나, 이별하는 슬픔에 보리 종자(麥子)를 빠뜨렸는데 신모가 사자(使者)인 비둘기를 시켜 주몽(朱蒙)에게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주몽(朱蒙)의 신모(神母, 유화부인)가 맥류경작(麥類耕作)과 관련된 농업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화부인은 기원전 24년 (동명성왕(東明聖王) 14년) 8월 동부여(東夫餘)에서 죽었는데, 금와왕(金蛙王)은 태후(太后)의 예(禮)로써 장례를 지내고 신묘(神廟)를 세워주었다. 후에 고구려(高句麗)에서는 주몽(朱蒙)과 더불어 그 어머니인 하백녀가 국가적인 치제(致祭)의 대상으로 섬겨졌다.3. 유화부인의 농경신적 성격
전설에 의하면 수신(水神)인 하백(河伯)의 장녀 유화는 동생 하위화(河葦花)·하훤화(河萱花)와 함께 압록강가에서 놀다가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왕(解慕漱王)를 만나 닷되들이만한 크기의 알을 낳았는데, 그 속에서 주몽(朱蒙)이 나왔다고 한다. 이규보(李奎報)의 서사시 동명왕편(東明王篇)에서는 주몽(朱蒙)이 부여(扶餘)에서 남쪽으로 이주할 때 신모(神母, 유화부인)가 오곡(五穀)의 종자를 가지고 가라고 싸주었으나, 이별하는 슬픔에 보리 종자(麥子)를 빠뜨렸는데 신모(神母, 유화부인)가 사자(使者)인 비둘기를 시켜 주몽(朱蒙)에게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하유화(河柳花) 즉 주몽(朱蒙)의 신모(神母, 유화부인)가 맥류경작(麥類耕作)과 관련된 농업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유화(河柳花)는 기원전 24년(동명성왕(東明聖王) 14년) 8월 동부여(東夫餘)에서 죽었는데, 그 왕 금와왕(金蛙王)는 태후(太后)의 예(禮)로써 장례를 지내고 신묘(神廟)를 세워주었다. 한편 후에 고구려(高句麗)에서는 주몽(朱蒙)과 더불어 그 어머니인 하백녀가 국가적인 치제(致祭)의 대상으로 섬겨졌다.
4. 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하백 |
어머니 | 미상 |
동생 | 하위화, 하훤화 |
남편 | 해모수, 금와왕 |
아들 | 동명성왕 (고구려 초대 국왕), 해부루왕 |
며느리 | 예씨 부인, 소서노[8] |
손자 | 유리명왕 (고구려 2대 국왕), 온조왕 (백제 초대 국왕), 비류 |
5. 대중 문화 속 유화부인
참조
[1]
웹사이트
Gwanggaeto Stele
https://web.archive.[...]
2021-09-16
[2]
웹사이트
Samguk Sagi Book 13 History of Goguryeo Part 1 Section 1
http://db.history.go[...]
2021-09-08
[3]
웹사이트
Dongguk Yisanggukjip
https://db.itkc.or.k[...]
2021-09-25
[4]
뉴스
유화부인 柳花夫人,?~?
https://www.doopedia[...]
[5]
뉴스
하백 河伯
https://www.doopedia[...]
[6]
뉴스
하백(河伯)
http://encykorea.aks[...]
[7]
서적
東北亜細亜諸国の開闢伝説
[[平凡社]]
1971
[8]
문서
온조왕의 어머니가 기원전 6년에 61세로 죽었다는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기록에 따라 추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