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법은 일본에서 유래한 용어로, 헌법, 민법, 상법, 형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의 6개 법전을 의미하거나, 이들 법 분야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1874년 미쓰쿠리 린쇼가 프랑스 법을 번역하면서 나폴레옹 법전에 헌법을 더한 용어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육법은 형식적 의미와 실질적 의미로 구분되며, 사법시험에서는 행정법을 포함하여 칠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관련 법령을 모은 책을 육법전서라고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수 6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 명수 6 - 육분의
육분의는 존 해들리와 토마스 고드프리가 개발한 천체의 고도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 도구로, 넓은 시야와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며, 특히 해군에서 백업 항해 도구로 사용된다. - 법률 - 전과
전과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법적, 제도적으로 관리되는 개인의 범죄 관련 기록을 의미하며, 형이 실효된 전과에 의한 차별은 금지되지만, 성범죄 전과자의 경우 취업이 제한될 수 있다. - 법률 - 율령격식
율령격식은 동아시아에서 율령을 보충하고 개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격과 식을 통칭하는 용어로, 당나라의 율령을 바탕으로 현실과의 괴리를 해결하고자 제정되었으며 주변 국가의 법제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육법 | |
---|---|
개요 | |
종류 | 법전 |
적용 국가 | 일본 대한민국 중화민국 (대만) |
구성 요소 | |
기본 구성 | 일본국 헌법 / 대한민국 헌법 / 중화민국 헌법 민법 민사소송법 형법 형사소송법 상법 |
추가 가능 요소 (선택 사항) | 행정법 |
2. 어원
「육법(六法)」이라는 말은 미쓰쿠리 린쇼가 프랑스 법을 번역한 서적인 『프랑스 법률서』(1874년)에서 나폴레옹 5법전(민법전, 상법전, 형법전, 민사소송법전 및 치죄법전)이라고 불리는 나폴레옹 법전에 헌법을 더한 용어로 사용한 데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원래는 행정법전이 이들에 더해져야 했지만, 당시에는 완성되지 않았고, 이것이 육법으로 남게 되었다.
육법은 형식적 의미와 실질적 의미로 나뉜다. 형식적 의미는 6개의 법전을, 실질적 의미는 6개의 법 분야를 가리킨다.
3. 구성
하위 섹션에서 자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3. 1. 형식적 의미
형식적 의미의 육법은 6개의 법전을 의미하며, 다음의 법전들을 말한다.
덧붙여, 일본국 헌법 외 5개의 법전은 법무성에서 소관한다.
3. 2. 실질적 의미
육법은 6개의 법전에 대응하는 6개의 법 분야를 의미하며, 이를 '''실질적 의미'''라고 한다. 실질적 의미의 육법은 다음과 같다.
2021년 현재의 사법시험에서는, 위의 6개 분야에 행정법이 필수과목으로 추가되어, 이들을 함께 "칠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4. 한국에서의 육법
한국에서 육법은 전통적으로 조선 시대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현대에는 주로 헌법, 형법, 민법, 상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의 여섯 가지 기본 법률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들 법률은 국가의 기본 질서와 국민의 권리, 의무를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법률 체계를 이룬다.
- 헌법: 국가의 최고 규범으로, 국민의 기본권과 국가 기관의 구성 및 권한 등을 규정한다.
- 형법: 범죄와 형벌에 관한 법률로, 어떤 행위가 범죄에 해당하고 그에 따른 처벌은 무엇인지 규정한다.
- 민법: 개인 간의 재산 관계와 가족 관계 등을 규율하는 법률이다.
- 상법: 기업의 설립, 운영, 해산 등 상행위에 관한 법률이다.
- 민사소송법: 개인 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민사 소송 절차를 규정한 법률이다.
- 형사소송법: 범죄 수사, 기소, 재판 등 형사 소송 절차를 규정한 법률이다.
육법은 법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교재이며, 법조인을 꿈꾸는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숙지해야 할 기본 법률이다. 또한, 일반 국민들도 자신의 권리와 의무를 이해하고 법치주의 사회에서 올바르게 살아가기 위해 육법의 내용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5. 육법전서
6개의 법전을 중심으로 주요한 법령을 수록한 서적을 '''육법전서'''라고 부르며, 더 나아가 이를 줄여서 "육법"이라고 부른다. 유히카쿠만이 『육법전서』라는 제목의 법령집을 매년 발행하고 있기 때문에[1], 단순히 "육법전서"라고 부를 때는 이것을 가리키는 경우도 많다.[1]
또한, 본래의 의미에서 벗어나, 특정 분야의 범위 내에서 주요한 법령을 수록한 서적도 그 분야에 맞춰 육법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금융 육법』이나 『복지 육법』 등).[1] 이 경우에는 6이라는 숫자에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며, 주요 법령집이라는 의미로 이 단어가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1]
6. 관련 용어
6개의 법전이라는 의미에서 더 나아가, 이 6개의 법전을 중심으로 주요한 법령을 수록한 서적을 '''육법전서'''라고 부르며, 이를 줄여서 "육법"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육법전서"라고 하면 보통 이것을 가리킨다.
또한, 본래 의미에서 벗어나 특정 분야의 주요 법령을 수록한 서적도 그 분야에 맞춰 육법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예: 『금융 육법』, 『복지 육법』 등). 이 경우 '6'이라는 숫자는 특별한 의미가 없으며, 주요 법령집이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한편, "○○육법"이라는 복합어의 일부로, 우정민영화 관련 육법[9]이나 사회복지육법[10]처럼, 관련된 법률을 6개로 묶어 "육법"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이법[11], 삼법[12], 사법[13], 오법[14] 등으로 칭하는 예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inistry of Justice, R.O.C. (Taiwan)
http://www.moj.gov.t[...]
[2]
서적
Asian Legal Systems
Butterworths, London
[3]
논문
The Status of Law and Lawmaking Procedure Under the Kuomintang 1925-46.
https://www.jstor.or[...]
[4]
서적
Legal Reform in Taiwa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1895-1945: The Reception of Western Law
[5]
서적
The Legal Culture and System of Taiwan
[6]
뉴스
超越繼受、立足臺灣、邁向國際的法學研究前景
https://www.most.gov[...]
科技部 人文及社會科學研究發展司
[7]
간행물
概述台灣法的歷史,思想與法學 [An Overview of Taiwan's Legal History, Thought, and Study]
[8]
웹사이트
法務省所管の法律
https://www.moj.go.j[...]
[9]
문서
郵政民営化法、日本郵政株式会社法、郵便事業株式会社法、郵便局株式会社法、独立行政法人郵便貯金簡易生命保険管理・郵便局ネットワーク支援機構法、郵政民営化法等の施行に伴う関係法律の整備等に関する法律
[10]
문서
児童福祉法、身体障害者福祉法、生活保護法、知的障害者福祉法、老人福祉法、母子及び父子並びに寡婦福祉法
[11]
문서
教育二法
[12]
문서
電源三法、工場三法、電波三法、景観緑三法、メディア規制三法、海上交通三法、武力攻撃事態対処関連三法、労働三法、歯科三法、救済三法、福祉三法、組織的犯罪対策三法
[13]
문서
薬物四法、工業所有権四法
[14]
문서
個人情報保護法関連五法、麻薬五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