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의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의제는 1640년 윤휴의 아들로 태어난 조선 시대의 문신이다. 음보로 관직에 나아가 생원시에 합격하고 문과에 급제하여 사관, 정언 등을 역임했다. 남인의 일원으로 서인을 공격했으며, 인조실록 내용을 둘러싼 논란으로 유배되어 사망했다. 이후 신원되었으나 갑술옥사로 삭탈관직되었고, 정조 때 복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원 윤씨 - 윤영찬
    윤영찬은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동아일보 기자, NHN 이사, 네이버 부사장을 거쳐 문재인 정부 국민소통수석을 역임하고 2020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카카오 뉴스 편집 외압 논란이 있었다.
  • 남원 윤씨 - 윤영철
    윤영철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고등고시에 합격하여 법정국장, 고등법원 부장판사, 지방법원장을 거쳐 대법관을 역임한 법조인으로, 헌법재판소장 퇴임 후에도 사회 공헌 활동에 참여했다.
  • 음서 - 박성빈 (조선)
    박성빈은 1871년에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고 동학 농민 운동에 가담했으며, 아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되었다.
  • 음서 - 신기질
    신기질은 남송의 장군이자 시인으로, 금나라에 저항하는 의병 활동 후 남송에 귀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나 북벌 정책으로 인해 주류 세력과 갈등하며 파직과 복직을 반복했고, 만년에는 은거하며 호방하고 비장미 넘치는 가사풍의 시를 썼으며 소식과 함께 "소신"으로 불린다.
  • 조선의 작가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조선의 작가 - 성혼
    성혼은 조광조의 제자이자 이이와 도의를 맺고 이황을 사사한 조선 중기 문신으로, 사림파 서인에 속하여 정여립의 난과 임진왜란 시기에 활동했으며, 이황의 이기이원론을 지지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윤의제
기본 정보
윤의제 초상
윤의제 초상
본관파평(坡平)
자강(子剛)
휴옹(休翁)
생애
출생1424년
사망1487년 (63세)
묘소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영태리
관력
주요 관력집현전 학사
예문관 제학
성균관 대사성
이조판서
가족
윤번(尹璠)
정경부인 남양 홍씨
형제윤사로
윤사윤
윤사분
배우자정부인 평산 신씨
자녀윤욱(尹昱)
윤전(尹전)
윤희(尹熙)
사후
시호문간(文簡)

2. 생애

1640년 백호 윤휴와 그의 부인 안동 권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음보로 출사하여 통덕랑을 지냈다. 1675년(숙종 1) 통덕랑 이조좌랑(吏曹佐郞) 재직 중 생원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었다. 그해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사관(史官)으로 기용되고, 정언(正言), 지평(持平), 교리(校理) 등을 지냈다.

1677년 예문관검열이었던 윤의제는 적상산사고에 책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볕에 습기를 말리는 포쇄를 하러 갔다가 《인조실록》을 우연히 열람하였다. 이때 효종이 뇌물을 써서 세자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는 인조실록의 기사를 보고 집에 돌아가 아버지 윤휴에게 전하였다. 윤휴는 이를 밝히기 위해 상소하려 했으나, 당시 집권당인 남인 영수들의 만류로 중지하였다. 그 뒤 1680년 경신옥사윤휴는 처형되고, 윤의제는 귀양가서 죽게 된다.

이후 그는 인조실록에 언급된 효종이 뇌물로 세자가 되었다는 내용의 사실 여부를 가리자고 했다가 서인들의 공격을 받게 된다. 1677년 교리, 검열을 지내고 이후 부수찬을 거쳐 1679년 1월 부제학 이당규가 홍문록을 선발할 때 심벌(沈橃) 등 15인과 함께 선발되었다. 그해 11월 이원정 등과 함께 고시관이 되어 그 해의 과거를 감독하였다.

1680년 헌납이 되었으며, 같은 해 충청도 관찰사로 승진하였다. 그러나 경신대출척으로 아버지 윤휴가 사사(賜死)되자, 서인이 장악한 삼사로부터 탄핵을 받고 극변(極邊)에 유배되었다가 배소에서 병사했다. 이때 서인은 윤의제가 왕조실록에서 본 내용의 진상규명을 요청한 것을 두고 모함이라며 죄를 추가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숙종이 듣지 않았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윤의제의 동생 윤하제가 노이익에게 요청하여 인조실록에 언급된 내용의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그러나 실록 열람 과정에서 내용 일부가 훼손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논란이 증폭되었다. 옥천 유생 이조겸이 실록 훼손 의혹을 제기하며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고, 적상산, 오대산, 봉화 각 사고의 실록을 조사한 결과 칼로 오려진 부분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훼손 주체는 밝혀지지 않았다.

1691년(숙종 17) 서인계열의 계속된 반대에도 불구하고 신원(伸寃)되었으나, 1694년 갑술옥사로 남인이 실각하고 서인이 집권하면서 윤의제는 흉모를 꾸몄다는 혐의로 다시 삭탈관직되었다. 노론은 윤의제를 역률로 처벌하려 했으나, 영의정 남구만을 비롯한 소론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795년 정조의 특별 조치로 복권되었다.

2. 1. 생애 초반

1640년 백호 윤휴와 그의 부인 안동 권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음보로 출사하여 통덕랑을 지냈다. 1675년(숙종 1) 통덕랑 이조좌랑(吏曹佐郞) 재직 중 생원시에 합격, 생원이 되었다. 그해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사관(史官)으로 기용되고, 정언(正言), 지평(持平), 교리(校理) 등을 지냈다.

2. 2. 관료 생활과 정치 활동

1677년 예문관검열 윤의제가 적상산사고에 책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볕에 습기를 말리는 포쇄를 하러 갔다가 《인조실록》을 우연히 열람하였다. 이때 인조실록 내용 중, 효종이 뇌물을 써서 세자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는 기사를 본 윤의제는 집에 돌아가 아버지 윤휴에게 전하였다. 이를 전해들은 윤휴는 그것을 밝히기 위해 상소하려 했으나, 당시의 집권당인 남인 영수들의 만류로 중지하였다. 그 뒤 1680년 경신옥사윤휴는 처형되고, 윤의제는 귀양가서 죽게 된다.

이후 그는 인조실록에 언급된 효종이 뇌물로 세자가 되었다는 내용의 사실 여부를 가리자고 했다가 서인들의 공격을 받게 된다. 1677년 교리, 검열을 지내고 이후 부수찬을 거쳐 1679년 1월 부제학 이당규가 홍문록을 선발할 때 심벌(沈橃) 등 15인과 함께 선발되었다. 그해 11월 이원정 등과 함께 고시관이 되어 그 해의 과거를 감독하였다.

2. 3. 유배와 최후

1680년 헌납이 되었으며, 그해 충청도 관찰사로 승진하였다. 같은 해 경신대출척으로 아버지 윤휴가 사사(賜死)되자, 서인이 장악한 삼사로부터 탄핵을 받고 극변(極邊)에 유배되었다가 배소에서 병사했다. 이때 서인은 윤의제가 왕조실록에서 본 내용의 진상규명을 요청한 것을 두고 모함이라며 죄를 추가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숙종이 듣지 않았다. 1691년(숙종 17) 서인계열의 계속된 반대에도 불구하고 신원(伸寃)되었으나, 1694년 갑술옥사로 다시 삭탈관직되었다. 1795년(정조 19)에 복권되었다.

2. 4. 사후 논란과 복권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윤의제의 동생 윤하제가 노이익에게 요청하여 인조실록에 언급된 내용의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그러나 실록 열람 과정에서 내용 일부가 훼손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논란이 증폭되었다. 옥천 유생 이조겸이 실록 훼손 의혹을 제기하며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고, 적상산, 오대산, 봉화 각 사고의 실록을 조사한 결과 칼로 오려진 부분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훼손 주체는 밝혀지지 않았다.

1694년 갑술옥사로 남인이 실각하고 서인이 집권하면서 윤의제는 흉모를 꾸몄다는 혐의로 다시 삭탈관직되었다. 노론은 윤의제를 역률로 처벌하려 했으나, 영의정 남구만을 비롯한 소론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795년 정조의 특별 조치로 복권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고조부윤호(尹虎)
증조부윤희손(尹喜孫)
조부윤효전(尹孝全, 1563년1619년)
조모파평 윤씨윤담휴의 딸, 할아버지 윤효전의 본처
서조모덕수 이씨충무공 이순신의 첩의 딸
이복 백부윤영(尹鍈, 1611년 - 1691년)
이복 백모전주 이씨오리 이원익의 첩의 딸
친조모경주 김씨(慶州金氏, ? - 1656년 6월)첨지중추부사 김덕민(金德民)의 딸, 아버지의 생모
아버지윤휴(尹鑴, 1617년 - 1680년)
어머니안동 권씨권첩(權怗)의 딸
동생윤하제(尹夏濟)
조카윤상흥(尹相興)
조카사위신필해(申弼海)
조카사위이한덕(李漢德)
동생윤은제(尹殷濟)
조카윤상태(尹相泰)
조카윤상정(尹相鼎)윤의제의 양자로 출계
조카윤상리(尹相履)
조카윤상항(尹相恒)
동생윤륭제(尹隆濟)
조카윤상선(尹相宣)
동생윤경제(尹景濟)
조카윤상정(尹相靖)
조카윤상덕(尹相悳)
누이남원 윤씨
매부임수(林滫)
본처권혜(權惠, 1642 ~ ?)탄옹 권시의 차녀
양자윤상정(尹相鼎)동생 윤륭제의 아들
장녀남원 윤씨
사위송진룡(宋震龍)
차녀남원 윤씨
사위이한제(李漢濟)
삼녀남원 윤씨
사위이주우(李柱宇)
후처원주 변씨
외할아버지권첩(權怗)
처조부권득기(權得己)
장인권시(權諰)
처남권기(權愭)
처남권유(權惟)
처형권아(權雅, 1632 ~ ?)
동서윤증소론의 영수
처제권태(權兌, 1646 ~ ?)
동서송도현(宋道顯)
사돈송시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