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시즈 (1954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리시즈》(1954년)는 호머의 서사시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로, 트로이 전쟁에서 승리한 그리스의 왕 율리시스가 고향으로 돌아가는 여정을 그린다. 율리시스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노여움을 사 험난한 여정을 겪으며, 그 사이 아내 페넬로페는 구혼자들의 압박을 받지만 남편을 기다린다. 율리시스는 기억 상실, 사이렌의 유혹, 키르케와의 만남 등 다양한 시련을 겪고, 고향에 돌아와 자신의 정체를 숨긴 채 구혼자들을 물리치고 아내와 재회한다. 이 영화는 커크 더글러스, 실바나 망가노 등이 출연했으며, 한국과 일본에서도 여러 차례 더빙되어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판타지 영화 - 테일 오브 테일즈 (영화)
2015년 개봉한 마테오 가로네 감독의 영화 《테일 오브 테일즈》는 잠바티스타 바실레의 《펜타메로네》에 수록된 세 가지 동화를 각색하여 욕망과 집착을 주제로 롱트렐리스 왕국, 스트롱클리프 왕국, 하이힐즈 왕국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담고 있으며, 아름다움에 대한 맹목적인 추구, 그릇된 모성애, 사회적 불평등 등 현대 사회의 주제를 동화적 상상력으로 풀어내어 시각적인 면에서 호평을 받았다. - 이탈리아의 판타지 영화 - 아라비안 나이트 (1974년 영화)
1974년 제작된 이탈리아 영화 《아라비안 나이트》는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감독이 《천일야화》의 에피소드를 각색하여 인간의 욕망과 성을 긍정적으로 묘사한 작품으로,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 검과 샌들 영화 - 헤라클레스 (1983년 영화)
루이지 코치가 감독하고 루 페리뇨가 주연을 맡은 1983년 이탈리아 영화 《헤라클레스》는 그리스 신화 속 헤라클레스를 주인공으로, 과학을 이용해 세계를 정복하려는 마법사 미노스에 맞서는 그의 모험을 그린 검과 샌들 및 SF 영화이며, 골든 라즈베리상 2개 부문 수상 후 1985년 속편이 제작되었다. - 검과 샌들 영화 - 카비리아
《카비리아》는 조반니 파스트로네 감독, 가브리엘레 다눈치오 각본의 1914년 이탈리아 무성 영화로, 고대 로마와 카르타고를 배경으로 소녀 카비리아의 모험과 사랑을 그리며 트래킹 샷을 대중화한 작품이다. - 역사 판타지 영화 - 제7의 봉인
14세기 유럽 페스트 시대, 십자군 전쟁에서 귀환한 기사 안토니우스 블록이 죽음과 체스 게임을 통해 운명을 시험하며 삶의 의미와 신의 존재에 대한 의문을 탐구하는 잉마르 베르그만 감독의 영화로, 삶과 죽음, 믿음과 회의를 주제로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역사 판타지 영화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는 늙은 모습으로 태어나 시간이 흐를수록 젊어지는 벤자민 버튼의 기이한 삶을 그린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2008년 영화로, 브래드 피트와 케이트 블란쳇이 주연을 맡았으며 F. 스콧 피츠제럴드의 동명 단편 소설을 원작으로, 아카데미상에서 미술상, 분장상, 시각효과상을 수상하는 등 기술적 성취를 인정받았다.
율리시즈 (1954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Ulisse |
영화 정보 | |
감독 | 마리오 카메리니 |
감독 (미표기) | 마리오 바바 |
제작자 | 디노 데 라우렌티스, 카를로 폰티 |
각본 | 프랑코 브루사티, 마리오 카메리니, 엔니오 데 콘치니, 휴 그레이, 벤 헥트, 이보 페릴리, 어윈 쇼 |
원작 |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
출연 | 실바나 망가노, 커크 더글라스, 앤서니 퀸, 로산나 포데스타, 자크 뒤메닐, 다니엘 이베르넬, 실비 |
음악 | 알레산드로 치코니니 |
촬영 | 해럴드 로슨 |
촬영 (미표기) | 마리오 바바 |
편집 | 레오 카토초 |
제작사 | 룩스 필름, 파라마운트 픽처스, 프로두치오니 폰티-데 라우렌티스, 제니스 필름 |
배급사 | 파라마운트 픽처스 (미국), 이탈리아 필름=NCC (일본) |
개봉일 | 1954년 10월 6일 (이탈리아), 1955년 10월 (미국), 1955년 3월 8일 (일본) |
상영 시간 | 117분 (미국), 103분 (일본) |
제작 국가 | 이탈리아, 미국, 프랑스 |
언어 | 이탈리아어, 영어 |
제작비 | 5억 이탈리아 리라 (약 $800,000) |
흥행 수입 (이탈리아) | 1조 8,000억 이탈리아 리라 |
2. 줄거리
트로이 전쟁이 끝나고 그리스군이 승리했지만,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등장하는 이타카의 왕 오디세우스(영화에서는 율리시스)는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다. 그의 아내 페넬로페는 남편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안티노스를 비롯한 수많은 구혼자들의 구애를 받고 있다. 구혼자들은 오디세우스의 재산을 낭비하며 페넬로페에게 재혼을 강요한다. 페넬로페는 태피스트리를 완성하면 결혼하겠다고 약속하지만, 밤마다 완성한 부분을 풀어 시간을 번다. 한편, 아들 텔레마코스는 구혼자들의 행패에 분노하여 아버지를 찾아 나서기로 결심한다.
(내용 없음)
오디세우스는 트로이 약탈 중 바다의 신 넵투누스(포세이돈)의 신전을 모독한 죄로 그의 분노를 사, 귀향길에 폭풍우를 만나 바다에서 길을 잃는다.[5] 그는 파이아키아 섬 해안가에 표류하고, 나우시카 공주에게 발견된다. 심한 고난으로 기억을 잃은 오디세우스는 나우시카의 부모인 알키노오스 왕과 아레테 왕비의 보살핌을 받게 되고, 나우시카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결혼을 앞두고 해변에서 바다를 바라보던 오디세우스는 점차 기억을 되찾기 시작한다.
그는 자신이 오디세우스이며, 험난한 여정을 겪었음을 기억해낸다. 식량을 구하기 위해 들렀던 섬에서 부하들과 함께 외눈박이 거인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의 동굴에 갇혔던 일, 부하 한 명이 잡아먹히자 폴리페모스에게 포도주를 만들어주겠다고 속여 취하게 만든 뒤 뜨거운 말뚝으로 눈을 멀게 하여 탈출했던 일을 떠올린다.
또한, 배가 사이렌의 바위를 지날 때, 그들의 노랫소리를 듣기 위해 자신을 돛대에 묶고 부하들은 귀를 막게 했던 일도 기억한다. 사이렌이 가족의 목소리로 유혹하자 고통스러워했던 기억이다. 이후 이상한 해류에 휩쓸려 마녀 키르케가 사는 아이아이에 섬에 도착했다. 키르케는 부하들을 돼지로 만들었지만, 오디세우스의 영웅담을 듣고 그를 사랑하게 되어 마법을 풀어준다. 키르케는 오디세우스가 섬에 머물기를 원했지만, 그는 부하들을 다시 인간으로 되돌리라고 요구한다. 잠시 머물렀으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부하들의 불만이 커지고, 키르케는 넵투누스의 분노를 경고하며 떠나지 못하게 막는다. 하지만 부하들은 스스로 바다로 나갔다가 폭풍에 목숨을 잃는다. 오디세우스는 키르케를 비난하고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뗏목을 만든다. 키르케는 그리스 저승의 죽은 자들을 불러내 오디세우스를 영원히 붙잡아 두려 하지만, 최근에 죽은 그의 어머니 안티클레이아의 영혼이 나타나 페넬로페가 겪는 고통을 알려준다. 이에 오디세우스의 귀향 의지는 더욱 확고해지고, 키르케는 그를 놓아준다.
모든 기억을 되찾은 오디세우스는 나우시카에게 자신의 정체를 밝히고 슬픔을 남긴 채 이타카로 향한다. 거지로 변장하여 궁전에 도착한 그는 남편의 옛 친구인 척하며 페넬로페를 만난다. 그녀의 절망과 충절을 확인한 오디세우스는 다음 날 구혼자들 중에서 남편감을 정하는 대회를 열도록 제안한다. 대회는 오디세우스의 활로 화살을 쏘아 열두 개의 도끼 머리를 통과시키는 것이었다. 궁전을 나서려던 오디세우스는 늙은 사냥개 아르고스를 쓰다듬고, 마침 돌아온 아들 텔레마코스가 이 모습을 보고 아버지를 알아본다. 부자는 서로 정체를 확인한다.
다음 날 열린 활쏘기 대회에서 구혼자들은 아무도 활시위를 당기지 못한다. 오디세우스는 변장한 채로 그들을 조롱하며 자신이 해보겠다고 나선다. 그는 성공적으로 활을 쏘아 자신의 정체를 드러낸다. 텔레마코스와 충성스러운 하인들의 도움을 받아 오디세우스는 연회장 문을 잠그고 모든 구혼자를 처치한다. 마침내 오디세우스는 페넬로페와 재회하고 오랜 시련 끝에 가족과 다시 함께하게 된다.
3. 출연
3. 1. 주연
3. 2. 조연
4. 한국판 성우진
(내용 없음)
4. 1. MBC (1983년 9월 21일)
4. 2. KBS (1989년 7월 16일)
5. 일본판 성우진
일본 후지 TV를 통해 두 가지 버전의 일본어 더빙판이 방영되었다.
- '''후지 TV판 1''': 1964년 5월 11일 『TV 명화좌』(15:00-16:45) 첫 방송
- '''후지 TV판 2''': 1973년 11월 16일 『골든 서양 영화 극장』 첫 방송
5. 1. 후지 TV판 1 (1964년 5월 11일)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율리시스 | 커크 더글러스 | 모리카와 코야 |
페넬로페 / 치르체 | 실바나 망가노 | 오오모리 아케미 |
안티노오 | 앤서니 퀸 | 코바야시 쇼지 |
나우시카아 | 로사나 포데스타 | 쿠마가이 소에 |
알키노오스 | 자크 드메스닐 | |
에우리로코스 | 다니엘 이베르넬 | |
에우리클레이아 | 실비 | |
텔레마코 | 프랑코 인텔렌기 | |
카산드라 | 엘레나 자레스키 |
- 첫 방송: 1964년 5월 11일 후지 TV 『TV 명화좌』 (15:00-16:45)
5. 2. 후지 TV판 2 (1973년 11월 16일)
wikitext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후지 TV판 2) |
---|---|---|
율리시스 | 커크 더글러스 | 미야베 아키오 |
페넬로페 | 실바나 망가노 | 코노시마 아이코 |
치르체 | ||
안티노오 | 앤서니 퀸 | 카토 세이자 |
나우시카아 | 로사나 포데스타 | 스기야마 카즈코 |
알키노오스 | 자크 드메스닐 {{lang|fr|Jacques Dumesnil|} | } || 츠지무라 마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