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클롭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클롭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외눈박이 거인 종족을 일컫는 말이다. '키클롭스'는 '둥근 눈'을 의미하며, 헤시오도스는 키클롭스를 천둥, 번개, 벼락을 다루는 강력한 존재로 묘사했다.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키클롭스 삼형제는 우라노스와 가이아의 아들로, 제우스에게 무기를 만들어 주어 티탄 신족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반면,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등장하는 키클롭스 폴리페모스는 식인 거인으로 묘사되며, 오디세우스와 그의 부하들과의 갈등을 보여준다. 키클롭스는 건축가로도 여겨져, 미케네 등지의 '키클롭스식 석조 건축물'을 건설한 것으로 전해지며, 현대 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2. 어원 및 명칭

'키클롭스(Κύκλωψ)'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κύκλος|퀴클로스|원grc'와 'ὤψ|옵스|눈grc'에서 유래한 "'''둥근 눈'''"이라는 뜻으로, 이마 중앙에 둥근 눈이 하나만 있는 데서 기인한다.[118][119][120][122] 라틴어로는 'Cyclops|키클롭스la', 영어로는 'Cyclops|사이클롭스영어'라고 한다.

3. 헤시오도스의 키클롭스 삼형제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키클롭스 삼형제는 우라노스가이아의 아들들로, 헤카톤케이레스 삼형제와 크로노스를 포함한 제1세대 티탄 12명과 형제 또는 남매 관계이다. 이들은 흔히 '키클롭스 삼형제' 또는 '키클로페스'(Cyclopes|키클로페스영어)라고 불린다.[6]

키클롭스 삼형제의 이름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6]


  • '''브론테스'''(Βρόντης|Brontesgrc): 천둥을 일으키는 자(Thunderer)
  • '''스테로페스'''(Στερόπης|Steropesgrc): 번개를 일으키는 자(Lightener)
  • '''아르게스'''(Ἄργης|Argesgrc): 선명한 자 혹은 선명하게 빛나는 자(Vivid One)


이들의 이름은 이들이 폭풍과 관련된 신격임을 보여준다.[135]

칼리마코스베르길리우스에 따르면, 키클롭스 삼형제는 헤파이스토스의 대장간에서 불과 기술, 장인의 신인 헤파이스토스를 도왔다고 한다.[138]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아스클레티스》에 따르면, 아폴론의 아들 아스클레피오스제우스의 벼락에 맞아 죽자, 아폴론은 벼락을 만든 죄목으로 키클롭스 삼형제를 죽였다. 이 일로 아폴론은 1년간 테살리아의 왕 아드메토스의 양치기가 되어 속죄해야 했다.

3. 1. 탄생과 감금

키클롭스 삼형제는 티탄 신족, 헤카톤케이레스 삼형제와 형제지간이다.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우라노스가이아의 자녀들 중 크로노스를 비롯한 12명의 제1세대 티탄들이 가장 먼저 태어났으며, 그 다음에 키클롭스 삼형제가, 그 다음에 헤카톤케이레스 삼형제가 태어났다.[6] 따라서, 키클롭스 삼형제는 아버지 우라노스를 폐위시키고 '신들의 왕'이 된 크로노스의 동생이 된다. 그리고 아버지 크로노스를 폐위시키고 '신들과 인간들의 왕'이 된 제우스의 작은 삼촌이 된다.

슈도-아폴로도로스의 《비블리오테케》에 따르면, 우라노스가이아의 자녀들 중 헤카톤케이레스 삼형제가 가장 먼저 태어났으며, 그 다음에 키클롭스 삼형제가 태어났고, 그 다음에 12명의 제1세대 티탄들이 태어났다.[97] 즉, 《신들의 계보》와는 태어난 순서가 반대이다. 따라서 키클롭스 삼형제는 크로노스의 형이 되고, 제우스의 큰 삼촌이 된다.

헤시오도스와 슈도-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우라노스는 키클롭스 삼형제와 헤카톤케이레스 삼형제를 태어나자마자 타르타로스에 가두었다.[10],[98] 크로노스가 우라노스를 몰아내고 권력을 잡은 뒤 키클롭스 형제들을 일시적으로 해방시켰지만, 다시 타르타로스에 감금했다.[61],[100]

현대의 일부 그리스 신화 해설에서는 키클롭스 삼형제가 못생기고 난폭한 괴물이었다고 서술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호메로스의 키클롭스(폴리페모스)와 혼동한 결과로 보인다.[141][142] 헤시오도스나 슈도-아폴로도로스 문헌에 따르면, 이들이 타르타로스에 갇힌 이유는 외모 때문이 아니라 우라노스 혹은 크로노스의 어리석음, 또는 키클롭스 형제들의 뛰어남에 대한 질투 때문이었다.[19],[30],[31]

3. 2. 티타노마키아와 제우스의 무기

제우스티탄 신족과의 전쟁(티타노마키아)에서 승리하기 위해 키클롭스 삼형제를 타르타로스에서 구출했다.[136] 키클롭스 삼형제는 감사의 표시로 제우스에게는 천둥번개를, 포세이돈에게는 삼지창을, 하데스에게는 투명 투구(퀴네에)를 만들어 주었다.[135]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이 선물들은 티타노마키아가 시작된 날에 주어졌으며,[11] 제우스는 천둥번개를 바탕으로 성장하여 신들과 인간들의 왕이 되었다. 반면 《비블리오테케》에 따르면, 이 선물들은 티타노마키아의 마지막 날에 주어졌고, 세 신들은 자신들의 무기를 사용하여 티탄들을 제압하고 승리했다.[13] 이후 키클롭스 삼형제는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의 조수가 되어 무기 제작을 도왔다고 한다.[138]

3. 3. 아폴론과 키클롭스의 죽음

일부 전승에 따르면, 아폴론의 아들 아스클레피오스제우스의 벼락에 맞아 죽자, 아폴론은 복수심에 벼락을 만든 키클롭스 삼형제를 죽였다.[15] 기원전 5세기의 신화 작가 페레퀴데스는 아폴론이 키클롭스 대신 그들의 아들(그 중 한 명은 아오르테스)을 죽였다고도 했다.[16] 다른 자료에서는 키클롭스의 자녀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17] 핀다로스의 단편은 제우스가 다른 사람을 위해 벼락을 만드는 것을 막기 위해 키클롭스를 죽였다고 시사한다.[18] 이 사건으로 아폴론은 1년간 테살리아 왕 아드메토스의 양치기로 속죄해야 했다.

4. 호메로스의 키클롭스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등장하는 키클롭스들은 헤시오도스의 키클롭스 삼형제와는 다른 존재들이다. 이들은 문명이 없는 야만적인 목동으로 묘사되며, 식인을 하는 포악한 괴물로 그려진다.

오디세이아》 제9권에서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와 그 동료들은 동굴에 살며 양 떼를 기르는 목축 생활을 한다. 이들은 대장장이 능력, 즉 청동기 문명이 없는 생활을 한다. 폴리페모스는 오디세우스와 그의 동료 13명 중 6명을 잡아먹었다. 오디세우스가 강한 포도주를 주어 폴리페모스를 취하게 한 후, 폴리페모스는 오디세우스를 맨 마지막에 잡아먹겠다는 나름의 은혜(?)를 베풀기도 하였다.[143][144]

이처럼 호메로스의 키클롭스는 문명이 없고 거대한 신체를 가진, 사악하며 식인을 하는 괴물 집단으로 묘사된다. 이는 《신들의 계보》나 《비블리오테케》에 언급된 키클롭스 삼형제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호메로스는 키클롭스를 "불법적이고 오만한 사람들로서, 불멸의 신들을 믿고 손으로 아무것도 심거나 쟁기질하지 않는다. ... 그들에게는 의회를 위한 집회나 정해진 법이 없으며, 그들은 높은 산봉우리에서 움푹 파인 동굴에 살고, 각자는 자신의 자녀와 아내에게 법을 제정하며, 서로를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라고 묘사한다.[66]

또한, 키클롭스는 배, 조선공, 다른 장인도 없으며, 농업에 대해서도 아무것도 모른다.[67] 그들은 제우스나 다른 신들을 존경하지 않으며, 스스로를 "그들보다 훨씬 낫다"고 생각한다.[68] 호메로스는 포세이돈과 님프 토오사(포르키스의 딸)의 아들인 폴리페모스가 "모든 키클롭스 중에서 가장 위대하다"고 말한다.[69]

4. 1. 폴리페모스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는 '''폴리페모스'''(Polyphemus)라는 키클롭스가 등장한다. 오디세우스시칠리아 해변에서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에게 붙잡혔다. 폴리페모스는 양을 기르면서 사람을 잡아먹는 괴물이었는데, 오디세우스와 12명의 부하들을 동굴에 가두어 놓고 거대한 돌로 입구를 막았다. 그는 매일 끼니로 오디세우스의 부하 두 명씩을 잡아먹었다.[63] 오디세우스에게 이름을 묻자, 오디세우스는 자신의 이름이 "아무도 아니"라고 답했다. 이후 오디세우스는 꾀를 내어 폴리페모스를 포도주에 취하게 하고 잠든 사이에 불타는 장작개비로 외눈을 찔러 맹인으로 만들었다.

눈이 먼 폴리페모스가 소리를 지르자 동료 키클롭스들이 도우러 달려왔다. 동료들은 폴리페모스에게 '누가 너를 괴롭히느냐?'고 물었고, 폴리페모스는 "'아무도 아니'다."라고 대답했다. 그 말을 듣고 다른 키클롭스들은 돌아가 버렸다. 그 때문에 오디세우스는 폴리페모스에게 잡아먹히지 않은 부하 6명과 함께 양의 배에 매달려 탈출할 수 있었다.[64]

오디세우스와 그의 부하들이 폴리페모스의 눈을 멀게 하는 모습. 기원전 650년경 원형-아티카 암포라의 세부 묘사. 엘레우시스, 고고학 박물관, 2630번 유물.


오디세이아 9권에서 오디세우스는 파이아케스에게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와의 만남을 설명한다. 로토스-이터스의 땅을 떠난 오디세우스는 "키클롭스의 땅에 도착했다"고 말한다.

호메로스는 포세이돈과 님프 토오사(포르키스의 딸)의 아들인 "신과 같은" 폴리페모스가 "모든 키클롭스 중에서 가장 위대하다"고 말한다.[69] 호메로스는 폴리페모스를 양치기로 묘사했다.

호메로스는 폴리페모스가 외눈이라고 명시적으로 말하지는 않지만, 그의 눈을 멀게 하는 이야기가 성립하려면 외눈이어야 한다.[72]

오디세우스와 키클롭스의 프레스코화, 오르쿠스 무덤, 타르퀴니아, 기원전 4세기


눈먼 폴리페모스가 오디세우스에게 복수를 시도함: 귀도 레니의 카피톨리노 박물관 그림


『오디세이아』에 등장하는 외눈박이 거인 폴리페모스.


호메로스서사시오디세이아』 제9권에 등장하는 키클롭스족은, 여행자를 잡아먹는 난폭한 괴물이다. 포세이돈 신을 아버지로 둔 폴리페모스를 포함하여, 그러했다.

4. 2. 폴리페모스와 갈라테이아

일부 전승에는 폴리페모스가 바다의 요정 갈라테이아를 짝사랑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러나 갈라테이아는 아키스라는 인간을 사랑하고 있어서 외눈박이 거인 폴리페모스는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폴리페모스는 화가 나서 갈라테이아의 연인 아키스를 죽였고, 아키스는 시칠리아의 강이 되었다고 한다.[39]

폴리페모스가 갈라테이아로부터 연애편지를 받는 모습, 폼페이의 서기 1세기의 프레스코화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에 대한 묘사는 문학 장르에 따라 크게 달라졌으며,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오디세우스가 만난 양치기 폴리페모스와는 별개의 존재로 묘사되었다. 《오디세이아》에서 폴리페모스는 정체불명의 땅에 사는 식인 괴물이었다. 몇 세기 후, 키테라의 필록세노스의 디튀람보스와 그리스 목가 시 시인들의 여러 에피소드에서는 폴리페모스를 물의 요정 갈라테이아를 짝사랑하는, 코믹하지만 대체로 실패한 연인으로 묘사했다. 이 과정에서 폴리페모스는 키타라 또는 판플루트 반주에 맞춰 사랑을 구애한다. 이러한 에피소드는 시칠리아 섬에서 발생했으며, 라틴 시인 오비디우스는 그의 변신 이야기에서 폴리페모스와 갈라테이아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설정했다.[105] 더 후대의 전통은 그를 결국 갈라테이아의 성공적인 남편이자 켈트족과 일리리아족의 조상으로 만들었다.[106]

5. 키클롭스 건축가

고대 그리스인들은 미케네, 티린스 등지의 거대한 성벽을 보고 거인 키클롭스가 건설했다고 믿었다. 그래서 이러한 거대한 석조 건축물을 "키클롭스식 석조 건축(Cyclopean masonry)"이라고 불렀다.[4] 이 뛰어난 건축가들은 적어도 기원전 5세기부터 고대 시대에 유명했다.[45]

'키클롭스식' 성벽 (미케네).


핀다로스헤라클레스게리온의 가축을 티린스 왕 에우리테우스의 "키클롭스식 문"을 통해 몰아냈다고 묘사했고,[46] 페레퀴데스는 페르세우스가 미케네의 벽을 건설하기 위해 세리포스에서 키클롭스를 아르고스로 데려왔다고 전한다.[47] 프로이토스는 티린스의 벽을 건설하기 위해 일곱 명의 키클롭스 집단을 리키아에서 데려왔다고 한다.[48]

기원전 5세기 말과 4세기 초의 희극 시인 니코폰은 ''케이로가스토레스'' 또는 ''엔케이로가스토레스'' (''손으로 입으로'')라는 희곡을 썼는데, 이는 키클롭스식 성벽 건설자들에 관한 것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49]

5. 1. 키클롭스와 제철

일본 신화에서 제철 및 대장장이 신으로 등장하는 아메노마히토츠노카미와 아마츠마라는 키클롭스처럼 외눈으로 묘사된다.[134] 다타라 제철과 관련된 거인 다이다라봇치 또한 외눈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요괴 잇폰다타라는 아메노마히토츠노카미가 쇠퇴한 모습이라고 전해진다. 이처럼 제철 기술과 외눈이라는 상징의 연관성은 주목할 만하다.

6. 현대 문화 속 키클롭스

오딜롱 르동은 〈키클롭스〉라는 작품에서 폴리페모스를 묘사했다.[1] 게임, 만화, 소설 등 서브컬처에서 키클롭스는 강력한 몬스터로 자주 등장한다. RPG 게임 타이탄 퀘스트에서는 키클롭스와 폴리페모스가 등장한다.[1]

타소스 섬 출토 폴리페모스의 대리석 조각상. 기원전 2세기, 고대 로마에 의한 모조(또는 그리스인에 의한 오리지널 작품).

참조

[1] 서적 p. 66]: "KYKLOPES (Round-eyes)"; West 1988, p. 64: "The name [Cyclopes] means Circle-eyes"; [[LSJ]], https://www.perseus.[...]
[2] 서적 Fowler 2013, https://books.google[...]
[3]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4] 서적 Fowler 2013, https://books.google[...]
[5] 서적 Fowler 2013, https://books.google[...]
[6]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7]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8] 서적 Most 2018a, https://www.loebclas[...]
[9] 서적 West 1966, https://www.loebclas[...]
[10] 서적 Hesiod https://www.loebclas[...]
[11] 서적 Hesiod https://www.loebclas[...]
[12] 서적 Fowler 2013, https://books.google[...]
[13]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14]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15] 서적 Euripides https://www.loebclas[...]
[16] 서적 Fowler 2013, https://books.google[...]
[17] 서적 Gantz
[18] 서적 Fowler 2013, https://books.google[...]
[19] 서적 Hesiod https://www.loebclas[...]
[20]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21] 간행물 Callimachus https://archive.org/[...]
[22] 서적 Virgil https://www.loebclas[...]
[23] 서적 Virgil https://www.loebclas[...]
[24] 서적 Virgil https://www.loebclas[...]
[25] 서적 Ovid https://archive.org/[...]
[26]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27] 서적 Pausanias http://data.perseus.[...]
[28]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29] 서적 Gantz
[30] 서적 Hesiod https://www.loebclas[...]
[31] 서적 Fowler 2103, https://books.google[...]
[32] 서적 Burkert 1991
[33] 서적 Homer https://www.perseus.[...]
[34] 서적 Fowler 2013, https://books.google[...]
[35] 서적 Gantz
[36] 서적 West 1966
[37] 서적 Gantz
[38] 웹사이트 Cyclops https://www.loebclas[...]
[39] 웹사이트 Cyclops https://www.loebclas[...]
[40] 웹사이트 Cyclops https://www.loebclas[...]
[41] 서적 Tripp
[42] 서적 Fowler 2013 https://books.google[...]
[43] 서적 Fowler 2013 https://books.google[...]
[44] 서적 Tripp
[45] 서적 Bremmer
[46] 웹사이트 fr. 169a7 https://www.loebclas[...]
[47] 서적 Fowler 2013 https://books.google[...]
[48]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49] 웹사이트 https://www.loebclas[...]
[50] 웹사이트 https://www.loebclas[...]
[51] 웹사이트 Natural History https://www.loebclas[...]
[52] 웹사이트 Natural History https://www.loebclas[...]
[53] 웹사이트 Natural History https://www.loebclas[...]
[54] 웹사이트 http://data.perseus.[...]
[55]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56] 서적 west 1966
[57] 웹사이트 Theogony https://www.loebclas[...]
[58] 웹사이트 Theogony https://www.loebclas[...]
[59] 웹사이트 Theogony https://www.loebclas[...]
[60] 웹사이트 Theogony https://www.loebclas[...]
[61] 웹사이트 Theogony https://www.loebclas[...]
[62] 서적 Mondi
[63] 웹사이트 Odyssey https://www.perseus.[...]
[64] 웹사이트 Odyssey http://data.perseus.[...]
[65] 웹사이트 Odyssey https://www.perseus.[...]
[66] 웹사이트 Odyssey http://data.perseus.[...]
[67] 웹사이트 Odyssey http://data.perseus.[...]
[68] 웹사이트 Odyssey http://data.perseus.[...]
[69] 웹사이트 Odyssey http://data.perseus.[...]
[71] 서적 Odyssey http://data.perseus.[...]
[72] 논문 "the story of [Polyphemus'] blinding presupposes that he is one-eyed like Hesiod's Cyclopes, though this is not explicitly stated" 1966
[73] 서적 백과사전
[74] 서적 Alcestis (play) https://www.loebclas[...]
[75] 서적 Cyclops https://www.loebclas[...]
[76] 서적 Cyclops https://www.loebclas[...]
[77] 서적 Cyclops https://www.loebclas[...]
[78] 서적 Cyclops https://www.loebclas[...]
[79] 서적 Cyclops https://www.loebclas[...]
[80] 서적 Cyclops https://www.loebclas[...]
[81] 서적 Electra (Euripides play) https://www.loebclas[...]
[82] 서적 Herakles (Euripides) https://www.loebclas[...]
[83] 서적 Iphigenia in Tauris https://www.loebclas[...]
[84] 서적 Herakles (Euripides) https://www.loebclas[...]
[85] 서적 Iphigenia in Aulis https://www.loebclas[...]
[86] 서적 Iphigenia in Aulis https://www.loebclas[...]
[87] 기타 Hymn III to Artemis https://archive.org/[...]
[88] 기타 Hymn III to Artemis https://archive.org/[...]
[89] 기타 Hymn III to Artemis https://archive.org/[...]
[90] 서적 Cyclopes
[91] 서적 Aeneid https://www.loebclas[...]
[92] 서적 Aeneid https://www.loebclas[...]
[93] 서적 Aeneid https://www.loebclas[...]
[94] 서적 Aeneid https://www.loebclas[...]
[95] 서적 Aeneid https://www.loebclas[...]
[96] 서적 백과사전
[97]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98]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99]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00]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01]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02]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03]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04] 서적 Dionysiaca https://archive.org/[...]
[105] 간행물 2009
[106] 간행물 The Illyrian Wars https://www.livius.o[...]
[107] 서적 https://books.google[...] 2013
[108] 문서 Thucydides http://data.perseus.[...]
[109] 문서 Urbano Monti sheets https://www.davidrum[...]
[110] 문서 Cyclops https://www.loebclas[...]
[111] 문서 Cyclops https://www.loebclas[...]
[112] 문서 Hymn III to Artemis https://archive.org/[...]
[113] 문서 Aeneid https://www.loebclas[...]
[114] 문서 Aeneid https://www.loebclas[...]
[115] 문서 Thucydides http://data.perseus.[...]
[116] 서적 https://books.google[...]
[117] 문서 Urbano Monti https://www.davidrum[...]
[118] 문서 LSJ https://www.perseus.[...]
[119] 문서 LSJ https://www.perseus.[...]
[120] 문서 LSJ https://www.perseus.[...]
[121] 서적 https://books.google[...] 1982
[122] 문서 Theogony https://www.loebclas[...]
[123] 문서 LSJ https://www.perseus.[...]
[124] 문서 Die Herabkunft des Feurs und des Göttertrankes 1859
[125] 문서 LSJ https://www.perseus.[...]
[126] 간행물 Dichtung and Dichtersprache in indogermanischer Zeit 1967
[127] 서적 https://books.google[...] 1982
[128] 서적 https://books.google[...] 2013
[129] 서적 https://books.google[...] 2011
[130] 문서
[131] 문서
[132] 문서
[133] 서적 1991
[134] 문서 ギリシア神話
[135] 서적 ギリシア神話 新潮社 1994
[136] 서적 ギリシア神話 新潮社 1994
[13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indo-euro[...] 2013-08-01
[138] 웹사이트 THE ELDER KYKLOPES http://www.theoi.com[...] 2013-08-02
[139] 문서
[140] 웹인용 cyclops Greek mythology: The Cyclopes http://www.helium.co[...] 2013-08-02
[141] 위키백과 키클롭스 https://ko.wikipedia[...] 2013-07-31
[142] 웹사이트 크로노스 http://navercast.nav[...] 네이버 지식백과 2013-07-31
[143] 서적 오디세이아 http://www.greekmyth[...]
[144] 서적 오디세이아 http://www.theoi.com[...]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William Heinemann Ltd. 1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