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은총의 순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총의 순례는 1536년 헨리 8세의 종교 개혁 정책과 토머스 크롬웰에 대한 반발로 시작된 대규모 반란이다. 링컨셔 봉기의 실패 이후, 로버트 아스크가 이끄는 반군은 요크를 점령하고 헨리 8세에게 요구사항을 담은 청원서를 제출했으나, 프랜시스 비고드의 반란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진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로버트 아스크, 토머스 다시 남작 등 200명 이상이 처형되었고, 수도원 해산이 가속화되었다. 은총의 순례는 헨리 8세의 정책에 대한 저항의 표현이었으며, 경제적, 정치적, 종교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2. 배경

1535년 1월, 헨리 8세(잉글랜드 국왕)의 측근 토머스 크롬웰은 수도원 재산 조사를 시작하여 교회 재산 사정록을 작성했다. 이듬해 1536년 2월, 종교개혁 의회에서 연수입 200파운드 이하의 소수도원을 해산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현지 젠트리와 정부 관리로 구성된 위원회가 해산을 진행했다.[30]

그러나 1536년 10월, 잉글랜드 중부 링컨셔에서 조사 위원이 교회 재산을 몰수한다는 소문이 퍼져 주민들이 관리를 습격, 폭동을 일으켰다. 링컨셔의 반란은 곧 진정되었지만, 북부 요크셔에서도 법률가 로버트 아스크가 이끄는 반란이 발발했다. 반란의 배경에는 종교개혁에 따른 수도원 해산에 대한 불만 외에도, 인클로저와 지대 상승에 대한 농민의 불안, 왕권 진출을 싫어하는 북부 귀족과 젠트리의 반감, 크롬웰에 대한 분노 등 다양한 원인이 있었다.[31][32]

반란군은 요크와 폰테프락트 성을 점령하고, 수비하던 토머스 다아시는 반란군에 가담하여 총 4만 명으로 세력이 증가했다. 정부는 토머스 하워드와 조지 탈보트가 이끄는 1만 명의 추토군을 파견했지만, 인원과 장비가 부족하여 노퍽 공작은 반란군과 화평 교섭을 했다.

1536년 11월 하순, 반란군은 사면, 크롬웰과 토머스 크랜머 등 종교개혁 지도자의 추방, 수도원 해산 철회, 메리 공주의 적출 인정 등의 요구를 제출했다. 1536년 12월, 헨리 8세는 요구를 받아들여 휴전에 동의했고 아스크는 반란군을 해산했다.[33][34]

그러나 1537년 1월, 해산에 반대했던 프랜시스 비고드 등이 반란을 다시 일으키자, 노퍽 공작이 진압했다. 왕은 이를 약속 위반으로 간주, 아스크, 다아시 등 반란 지도자를 체포하여 200명 이상을 처형했다. 반란 평정 후, 왕과 크롬웰은 대수도원 해산을 단행, 시토회 관계자를 처형하고 수도원 재산을 몰수했다. 1539년 대수도원 해산법 성립으로 수도원 해산을 완료했다. 북부 치안 유지를 위해 추밀원 감독 하에 북부 평의회를 설치하고, 통감도 설치했다.[35]

2. 1. 16세기 잉글랜드의 상황

튜더 시대 잉글랜드에서는 전반적으로 인구가 증가했으며, 특히 요크셔 주변 지역에 인구가 집중되었다. 이는 공유지에 울타리를 치는 인클로저 현상으로 이어졌다. 자원 경쟁 심화, 공유지 접근성 부족, 노동력 증가로 인해 상품 가격이 상승하고 고용이 부족해져 결국 인구 사이에 불안이 커졌다.

1535년, 반란이 일어나기 전 해에 흉작으로 인해 1535년 6월 크레이븐과 1536년 4월 서머싯에서 곡물 폭동이 일어났는데, 당시 곡물 가격은 1534년보다 82% 더 높았다.

2. 2. 링컨셔 봉기 이전의 소요

튜더 시대 잉글랜드 전역, 특히 요크셔 주변 지역은 인구가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이는 한때 공유지였던 토지에 울타리를 치는 인클로저 현상으로 이어졌다. 자원 경쟁 심화, 공유지 접근성 부족, 노동력 증가로 인해 상품 가격이 상승했고, 고용 부족으로 이어져 결국 인구 사이에 불안이 고조되었다.[1]

1535년에는 흉작으로 인해 곡물 가격이 1534년보다 82%나 높아져, 1535년 6월 크레이븐과 1536년 4월 서머싯에서 곡물 폭동이 일어났다.[1]

3. 링컨셔 봉기

링컨셔 반란은 1536년 헨리 8세교황의 권위로부터 잉글랜드 교회를 분리하고 토마스 크롬웰이 시작한 수도원 해산에 반대하여 일어난 짧은 봉기였다. 이 사건은 종교적 자율성과 종교 문제에 대한 국왕의 최고 권위를 주장하려는 시도에 대한 반발이었다. 수도원 해산으로 인해 많은 재산이 왕실로 이전되었다.[4]

왕실 위원들은 토지뿐만 아니라 교회 식기, 보석, 금 십자가, 종도 압수했다. 은 성배는 주석으로 만든 성배로 대체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품목이 지역 가족들이 감사 또는 가족 구성원을 기리기 위해 기증한 것이었다. 또한, 토지 보유를 기반으로 왕실 수수료를 회수하려는 용도법이 최근 통과된 것에 대한 저항도 있었다.[5]

1536년 9월 30일, 링컨 교구의 재무관이자 크롬웰의 위원 중 한 명인 존 레이너스 박사는 볼링브로크에서 모인 성직자들에게 새로운 규정과 세금에 대해 알렸다. 그의 서기 중 한 명은 성직자의 학문적 기준에 대한 새로운 요구 사항과 관련하여 "책을 보아라, 그렇지 않으면 결과가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6] 이는 교육 수준이 낮은 참석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그의 담화 내용과 압류에 대한 소문은 린지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 곧 로스, 링컨셔와 혼캐슬에 도달했다.

1536년 10월 1일, 로스 성 야고보 교회에서 미사가 끝난 직후, 그리고 로스 파크 수도원 폐쇄 직후 봉기가 시작되었다.[5] 수도사 한 명과 구두 수선공인 니콜라스 멜튼[7]이 이끈 약 22,000명의 사람들이 봉기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8] 봉기는 혼캐슬, 마켓 레이슨, 케이스터 및 기타 인근 마을에서 빠르게 지지를 얻었다. 볼링브로크에서 병을 앓고 있던 링컨 교구의 재무관 존 레이너스 박사는 사제 거주지에서 침대에서 끌려 나와 군중에게 맞아 죽었고, 위원들의 기록은 압수되어 불태워졌다.[5]

위원회 위원들의 행동에 분노한 시위자들은 링컨, 링컨셔로 진군하여 링컨 대성당을 점령하고, 로마 가톨릭 신자로 계속 예배할 자유와 링컨셔 교회 보물 보호를 요구했다.[8]

1536년 10월 4일, 왕이 점령자들에게 흩어지거나 이미 동원된 서퍽 공작 찰스 브랜든의 군대에 직면하라는 소식을 보냄으로써 시위는 사실상 종료되었다. 10월 14일까지 링컨에는 거의 남지 않았다. 봉기 이후 로스의 목사와 캡틴 코블러, 두 명의 주요 지도자가 체포되어 타이번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4] 링컨셔 반란은 더 광범위한 은총의 순례를 촉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3. 1. 봉기의 원인

튜더 시대 잉글랜드, 특히 요크셔 지역의 인구 증가는 인클로저 현상을 야기했다. 이는 공유지 감소, 자원 경쟁 심화, 상품 가격 상승, 고용 부족으로 이어져 사회 불안을 초래했다. 1535년 흉작은 곡물 가격 폭등을 불렀고, 크레이븐과 서머싯에서 곡물 폭동이 일어났다.[4]

헨리 8세의 잉글랜드 교회 분리와 토마스 크롬웰의 수도원 해산은 링컨셔 반란을 촉발했다. 수도원 해산으로 많은 재산이 왕실로 이전되었고, 교회 물품도 압수되었다. 지역 가족들이 기증한 물품까지 압수되자 민심은 더욱 악화되었다. 용도법 시행에 대한 반발도 봉기의 한 원인이었다.[5]

1536년 9월, 존 레이너스 박사가 성직자들에게 새로운 규정과 세금을 알리면서 상황은 악화되었다. 그의 서기는 "책을 보아라, 그렇지 않으면 결과가 있을 것이다"라고 위협하며, 교육 수준이 낮은 성직자들을 불안하게 했다.[6] 이 소식은 린지 전역으로 퍼져 로스, 링컨셔와 혼캐슬에서 봉기가 시작되었다.

1535년 1월부터 최고 수장 대리 토머스 크롬웰은 수도원의 재산 조사를 시작, 교회 재산 사정록을 작성하고, 1536년 2월 종교개혁 의회에서 소수도원 해산법을 성립시켜 연수입 200파운드 이하의 소수도원을 해산하기로 결정했다.[30]

종교개혁의 진행에 따른 수도원 해산에 대한 사람들의 불만 외에도, 인클로저와 지대 상승에 대한 농민의 불안, 왕권 진출을 싫어하는 북부 귀족이나 젠트리의 반감, 토머스 크롬웰에 대한 분노 등 다양한 원인이 있었다.[31][32]

3. 2. 봉기의 시작과 확산

1536년 9월 30일, 링컨 교구의 재무관이자 토머스 크롬웰의 위원 중 한 명인 존 레이너스 박사가 볼링브로크에서 성직자들에게 새로운 규정과 세금에 대해 알렸다. 그의 서기 중 한 명이 성직자의 학문적 기준에 대해 언급하며 상황을 악화시켰다.[6] 이러한 내용은 교육 수준이 낮은 참석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고, 그의 담화 내용과 압류에 대한 소문은 린지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나가 로스, 혼캐슬 등에 도달했다.

1536년 10월 1일, 로스 성 야고보 교회에서 미사가 끝난 직후, 그리고 로스 파크 수도원 폐쇄 직후 봉기가 시작되었다.[5] 이 봉기는 헨리 8세의 통치 자체가 아니라 수도원 탄압에 항의하는 것이 목표였다.[5] 봉기는 혼캐슬, 마켓 레이슨, 케이스터 및 기타 인근 마을에서 빠르게 지지를 얻었다.[5]

3. 3. 봉기의 요구 조건

헨리 8세의 종교 정책에 반발한 시위대는 다음과 같은 요구 조건을 내세웠다.[8]

  • 보조금 징수 중단
  • 십개조 폐지
  • 종교 시설 해산 중단
  • 평시 세금 중단
  • 정부 내 이단자 숙청
  • 용도법 폐지


지역 지주들의 지원을 받은 시위대는 최대 40,000명에 달했으며, 링컨, 링컨셔로 진군하여 링컨 대성당을 점령했다. 이들은 로마 가톨릭 신앙을 계속 유지하고 링컨셔 교회 보물을 보호받기를 원했다.[8]

3. 4. 왕의 대응과 봉기의 진압

헨리 8세는 시위대에게 흩어지지 않으면 서퍽 공작 찰스 브랜든이 이끄는 군대와 맞서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경고로 인해 1536년 10월 4일 시위는 사실상 종료되었고, 10월 14일까지 링컨에는 거의 아무도 남지 않았다.[4] 봉기 이후, 로스의 목사와 지도자 2명이 체포되어 타이번에서 교수형을 당했다.[4]

이후 12일 동안 윌링엄-바이-스토 출신의 변호사이자 링컨의 국회의원 중 한 명인 토마스 모이그네를 포함한 다른 지역 지도자들 대부분이 교수, 거열형에 처해졌다. 전 로스 파크 수도원 수도사 중 한 명인 윌리엄 모어랜드도 처형되었다.[9][4]

1537년 1월, 프랜시스 비고드등 일부 폭도들이 요크셔 동부에서 반란을 다시 일으켰으나, 노퍽 공작토머스 하워드가 진압하였다. 비고드의 봉기를 약속 위반으로 간주한 왕은 로버트 아스크, 토마스 다아시 남작 등 반란 지도자를 체포하여 200명 이상을 처형했다.[35]

4. 은총의 순례

thumb 남쪽 입구 맞은편, 링컨셔 봉기를 기념하는 현판]]

은총의 순례(Pilgrimage of Grace)는 헨리 8세의 종교 정책과 토머스 크롬웰에 반대하여 일어난 대규모 반란이다.[10] 1536년 10월 13일 링컨셔 봉기가 실패한 직후 발생했으며, '은총의 순례'라는 용어가 이때 처음 사용되었다.

헨리 8세의 측근인 토머스 크롬웰은 1535년 1월부터 수도원의 재산을 조사하여 교회 재산 사정록을 작성하고, 1536년 2월 종교개혁 의회에서 을 통과시켜 연수입 200파운드 이하의 소수도원을 해산하기로 결정했다.[30]

10월, 잉글랜드 중부 링컨셔에서 조사 위원이 교회 재산을 몰수한다는 소문이 퍼져 주민들이 관리를 습격하는 폭동이 일어났다. 링컨셔의 반란은 곧 진정되었지만, 북부 요크셔에서 법률가 가 이끄는 반란이 발발했다. 반란의 배경에는 종교개혁에 따른 수도원 해산에 대한 불만 외에도, 인클로저와 지대 상승에 대한 농민의 불안, 왕권 진출을 싫어하는 북부 귀족이나 젠트리의 반감, 크롬웰에 대한 분노 등 다양한 원인이 있었다.[31][32]

반란군은 요크를 점령하고 도 함락시켰으며, 수비하던 는 반란군에 가담하여 총 4만 명으로 세력이 커졌다. 정부는 노퍽 공작토머스 하워드와 슈루즈베리 백작가 이끄는 1만 명의 추토군을 파견했지만, 병력과 장비가 부족하여 노퍽 공작은 반란군과 화평 교섭을 했다. 11월 하순, 반란군은 사면, 크롬웰과 캔터베리 대주교토머스 크랜머 등 종교개혁 지도자의 추방, 수도원 해산 철회, 가톨릭 신도인 메리 공주의 적출 인정 등의 요구를 제출했다. 노퍽 공작은 12월에 요구 실현을 약속했고, 헨리 8세도 요구를 받아들여 휴전했다. 아스크는 반란군 해산을 단행했다.[33][34]

그러나 해산에 반대했던 등이 1537년 1월에 요크셔 동부에서 반란을 다시 일으키자, 노퍽 공작이 진압했다. 왕은 비고드의 봉기를 약속 위반으로 간주하여 아스크, 다아시 남작 등 반란 지도자를 체포하여 200명 이상을 처형했다.[35]

반란 평정 후, 왕과 크롬웰은 대수도원 해산을 단행하고, 반란에 관여한 시토회 관계자를 처형하고 소속 수도원의 재산을 몰수했다. 1539년 성립으로 해산을 추인시켜, 수도원 해산을 완료했다. 한편, 북부 치안 유지를 위해 추밀원 감독 하에 를 설치하고, 통감도 설치되었다.[35]

4. 1. 은총의 순례의 원인

튜더 시대 잉글랜드에서는 인구가 전반적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요크셔 주변 지역에 인구가 집중되었다. 이는 인클로저 현상으로 이어져, 공유지였던 토지가 사유화되면서 자원 경쟁이 심화되고, 상품 가격 상승과 고용 부족을 야기하여 사람들의 불안을 고조시켰다.[10] 1535년에는 흉작으로 인해 곡물 가격이 1534년보다 82%나 높아져 크레이븐과 서머싯에서 곡물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11]

이러한 경제적 불안 외에도, 왕실의 정책과 토머스 크롬웰에 대한 반감도 은총의 순례의 주요 원인이었다.[10] 북부 상류층은 새로운 사용법에 대한 우려를 품고 있었고, 흉작으로 인한 높은 식량 가격은 불만을 더욱 키웠다. 수도원 해산은 지역 빈민들에게 식량과 숙소를 제공하던 수도원에 대한 의존성을 약화시켜 영향을 미쳤다.[11] 헨리 8세는 과세, 토지 몰수, 재화 가치 절하를 통해 국고를 늘리는 정책을 펼쳤는데, 이는 특히 컴벌랜드와 웨스트모어랜드 주변 지역에서 과도한 임대료와 그레섬(임대차 획득 시 왕실에 지불하는 금액) 부과에 대한 불만을 야기했다.[11]

종교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었다. 헨리 8세가 아라곤의 캐서린과 이혼하고 앤 불린과 결혼한 방식은 많은 사람들의 반감을 샀다.[12] 앤 불린은 프로테스탄트로 알려져 인기가 없었고, 그녀가 간통과 반역 혐의로 처형된 사건은 군주의 위신과 국왕의 개인적 평판을 크게 훼손시켰다. 또한, "천한 출신"인 토머스 크롬웰의 부상은 귀족들의 반발을 샀다. 지역 교회는 북부 지역 많은 사람들에게 공동체 생활의 중심이었고, 교회 소유 귀금속 접시가 압수될 것이라는 우려와 세례에 세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소문이 퍼져 있었다. 10개 조항과 새로운 기도문은 공식 교리를 더욱 프로테스탄트화하여 대부분 북부 지역 사람들의 가톨릭 신앙에 반하는 것이었다.

헨리 8세의 측근인 토머스 크롬웰은 1535년 1월부터 수도원의 재산 조사를 시작하여 교회 재산 사정록을 작성하고, 1536년 2월 종교개혁 의회에서 을 성립시켜 연수입 200파운드 이하의 소수도원을 해산하기로 결정했다.[30] 그러나 10월에 잉글랜드 중부 링컨셔에서 조사 위원이 교회 재산을 몰수한다는 소문이 퍼져 주민들이 관리를 습격하여 폭동을 일으켰다. 링컨셔의 반란은 곧 진정되었지만, 북부 요크셔에서도 법률가 가 이끄는 반란이 발발했다. 반란의 배경에는 종교개혁의 진행에 따른 생활과 밀접한 수도원 해산에 대한 사람들의 불만 외에도, 인클로저와 지대 상승에 대한 농민의 불안, 왕권 진출을 싫어하는 북부 귀족이나 젠트리의 반감, 졸부 크롬웰에 대한 분노 등 다양한 원인이 있었다.[31][32]

4. 2. 사건의 전개

로버트 아스크는 런던 출신의 변호사로, 은총의 순례 반군 지도자로 선출되었다. 1536년, 아스크는 9,000명의 추종자들을 이끌고 요크를 점령했다.[13][14] 그는 추방된 수도사들과 수녀들을 그들의 집으로 돌아가도록 주선했고, 왕이 새로 임명한 임차인들은 쫓겨났으며, 가톨릭 의식이 재개되었다.[15]

토머스 하워드, 제3대 노퍽 공작과 조지 탤벗, 제4대 슈루즈버리 백작 등 왕당파 지도자들은 돈캐스터 근처 스카스비 레이스에서 반군과 협상을 시작했는데, 당시 아스크는 30,000명에서 40,000명 사이의 사람들을 모아놓은 상태였다.[15]

1536년 12월 초, 은총의 순례는 폰테프랙트 성에 모여 헨리 8세(잉글랜드 국왕)에게 제출할 청원서를 작성하고 요구 사항을 담았다. "국민의 청원"이라고도 불리는 24개 조항은 노퍽 공작에게 전달되어 왕에게 제출하도록 하였다. 노퍽 공작은 이를 약속하고, 일반 사면과 1년 안에 요크에서 열릴 의회, 그리고 의회가 열릴 때까지 수도원에 대한 유예를 약속했다. 아스크는 약속을 받아들여 추종자들을 해산시켰다.[15]

그러나 헨리 8세(잉글랜드 국왕)는 약속을 지킬 생각이 없었고, 아스크를 비롯한 반란 지도자들을 처형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1537년 1월, 프랜시스 비고드 등이 반란을 다시 일으키자, 노퍽 공작이 이를 진압했다. 왕은 비고드의 봉기를 약속 위반으로 간주하여 아스크, 다아시 남작 등 반란 지도자들을 체포하고 200명 이상을 처형했다.[35]

4. 3. 진압

로버트 아스크가 이끌던 은총의 순례는 1536년 12월 초 폰테프랙트 성에 모여 헨리 8세에게 제출할 청원서를 작성했다. "국민의 청원"이라고도 불리는 이 청원서는 24개 조항을 담고 있었으며, 토마스 하워드, 제3대 노퍽 공작에게 왕에게 전달하도록 했다. 노퍽 공작은 이를 약속하고, 일반 사면과 1년 안에 요크에서 열릴 의회, 그리고 의회가 열릴 때까지 수도원에 대한 유예를 약속했다. 아스크는 이 약속을 믿고 추종자들을 해산시켰다.[15]

그러나 헨리 8세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1537년 2월, 컴벌랜드웨스트모얼랜드에서 프랜시스 비고드 경의 지휘 하에 새로운 반란(비고드의 반란)이 일어났다. 헨리 8세는 이를 빌미로 반군을 진압하기 시작했다. 비고드, 아스크, 다시, 존 허시 등 많은 지도자들이 체포되어 반역죄로 처형되었다.[18]

처형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1537년:
  • 타이번에서 교수형: 비고드
  • 참수: 다시 경, 허시 경
  • 교수, 거세, 사분형: 토마스 모이그네(국회의원 링컨)
  • 헐에서 쇠사슬에 묶여 교수형: 로버트 콘스터블 경
  • 요크에서 쇠사슬에 묶여 교수형: 로버트 아스크
  • 타이번에서 교수형: 보우랜드 숲의 활잡이인 니콜라스 템페스트 경
  • 교수, 거세, 사분형: 존 불머 경
  • 화형: 마가렛 스태포드
  • 1538년:
  • 참수: 하수 관리인(공식 서비스 감독관) 에드워드 네빌 경


총 216명이 처형되었는데, 여기에는 여러 영주와 기사, 7명의 수도원장, 38명의 수도승, 16명의 교구 사제들이 포함되었다.[17]

노퍽 공작은 지도자들을 잃은 봉기를 진압하고,[15] 시위 지역에 계엄령을 시행했다. 노퍽은 약 216명의 활동가를 처형했는데, 여기에는 성직자, 수도승, 평민들이 포함되었다.[17]

이후 헨리 8세와 토머스 크롬웰은 대수도원 해산을 단행하고, 반란에 관여한 시토회 관계자를 처형하고 소속 수도원의 재산을 몰수했다. 1539년에는 이 성립되어 수도원 해산이 완료되었다. 한편, 북부 치안 유지를 위해 추밀원의 감독 하에 를 설치하고, 통감도 설치되었다.[35]

5. 결과 및 영향

은총의 순례는 실패와 부분적인 성공을 동시에 거둔 봉기였다. 로마 가톨릭 교회와의 화해 실패, 수도원 해산 지속, 토머스 크롬웰 주도의 개신교 전환 지속 등은 실패로 평가되지만, 몇 가지 성과도 있었다.

10월 보조금 징수가 연기되었고,[30] 사용의 법은 유언의 법으로 부분 무효화되었다.[30] 주교의 책에서 7성사 중 4개가 복원되어 개신교로의 교리 이동을 종식시켰으며, 이는 1539년 6개 조항으로 이어졌다.[30] 1538년 왕의 포고령으로 이단 공격이 약속되었다.[30]

그러나 봉기 이후 왕과 크롬웰은 대수도원 해산을 강행, 반란 연루 시토회 관계자 처형 및 수도원 재산을 몰수했다. 시토회 수도원은 자발적 해산으로 유도되었고, 다른 수도원도 압박으로 해산되었다. 1539년 대수도원 해산법으로 수도원 해산이 완료되었다. 북부 치안 유지를 위해 추밀원 감독 하 북부 평의회와 통감이 설치되었다.[35]

5. 1. 실패 요인


  • 잉글랜드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화해하지 못했으며, 이는 메리 1세의 짧은 통치 기간(1553년 ~ 1558년)을 제외하고는 마찬가지였다.
  • 수도원 해산은 중단 없이 진행되었으며, 1540년까지 가장 큰 수도원들이 해산되었다.
  • 교회로부터 몰수된 대규모 토지는 왕실과 지지자들에게 분배되었다.
  • 토머스 크롬웰에 의해 추진된 공식적인 프로테스탄트교로의 전환은 메리 1세의 통치 기간을 제외하고 계속되었다.[30]

5. 2. 성공 요인


  • 10월 보조금 징수가 연기되었다.[30]
  • 사용의 법은 새로운 법인 유언의 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무효화되었다.[30]
  • 1537년 주교의 책에서 10개 조항에서 제외되었던 7성사 중 4개가 복원되었는데, 이는 공식 교리가 개신교로 이동하는 것을 종식시켰다. 주교의 책 다음에는 1539년 6개 조항이 이어졌다.[30]
  • 1538년 왕의 포고령을 통해 이단에 대한 공격이 약속되었다.[30]

6. 봉기의 지도자들

20세기 예술가의 1536년 은총의 순례 해석


로버트 아스크는 런던 출신의 변호사로, 은총의 순례에서 반군 지도자로 선출된 인물이다. 그는 셀비 근처 오턴, 이스트 라이딩 오브 요크셔의 로버트 아스크 경의 막내 아들이었으며, 그의 가문은 리치먼드셔의 아스크 홀 출신으로 오랫동안 요크셔에 거주했다. 1536년, 아스크는 9,000명의 추종자들을 이끌고 요크를 점령했으며, 추방된 수도사들과 수녀들이 그들의 집으로 돌아가도록 주선했고, 왕이 새로 임명한 임차인들은 쫓겨났으며, 가톨릭 의식이 재개되었다.[13][14][15]

토마스 하워드, 제3대 노퍽 공작과 조지 탤벗, 제4대 슈루즈버리 백작은 돈캐스터 근처의 스카스비 레이스에서 반군과 협상을 시작했는데, 이는 봉기가 매우 성공적이었기 때문이다.[15] 1536년 12월 초, 폰테프랙트 성에 모인 은총의 순례는 헨리 8세에게 제출할 청원서("국민의 청원"이라고도 불리는 24개 조항)를 작성하여 노퍽 공작에게 전달했고, 공작은 이를 왕에게 전달하고 일반 사면과 1년 안에 요크에서 열릴 의회, 그리고 의회가 열릴 때까지 수도원에 대한 유예를 약속했다. 아스크는 이 약속을 받아들여 추종자들을 해산시켰다.[15]

폰테프랙트 성 (1648)


제시 차일즈는 헨리 8세가 토마스 하워드에게 불만을 해결할 권한을 부여하지 않았다고 언급한다. 노퍽의 적들은 왕에게 하워드 가문이 원한다면 농민 반란을 진압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암시하며 노퍽이 은총의 순례에 동조한다고 말했다. 노퍽과 슈루즈버리 백작은 수적으로 열세였고 (각각 5,000명과 7,000명), 순례자는 40,000명이나 되었기에 협상과 약속을 통해 학살을 피하고자 했다.

헨리 8세(잉글랜드 국왕)의 측근인 최고 수장 대리 토머스 크롬웰은 1535년 1월부터 수도원의 재산 조사를 시작하여 교회 재산 사정록을 작성했다. 이듬해 1536년 2월 종교개혁 의회에서 소수도원 해산법(Suppression of Religious Houses Act 1535)을 통과시켜 연수입 200파운드 이하의 소수도원을 해산하기로 결정하고, 현지의 젠트리와 정부 관리로 구성된 위원회가 조사를 진행했다.[30]

링컨셔에서 조사 위원이 교회 재산을 몰수한다는 소문이 퍼져 주민들이 관리를 습격, 폭동을 일으켰다. 곧이어 북부 요크셔에서도 법률가 로버트 아스크가 이끄는 반란이 발발했다. 반란의 배경은 종교개혁 진행에 따른 수도원 해산에 대한 불만, 인클로저와 지대 상승에 대한 농민의 불안, 왕권 진출을 싫어하는 북부 귀족이나 젠트리의 반감, 크롬웰에 대한 분노 등 다양했다.[31][32] 반란군은 요크를 점령하고 폰테프락트 성도 함락했으며, 수비하던 다시 남작은 반군에 가담하여 총 4만 명으로 증가했다.

6. 1. 귀족과 젠트리의 역할

로버트 아스크, 다시 남작, 러셀 후세이 경 등 북부 귀족과 젠트리들은 1535-1536년 법률에서 자신들의 권리가 침해당한다고 느꼈고, 이로 인해 왕실 정부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22] 이들은 억압법에 의해 지역 수도원이 폐쇄된 것에 불만을 품은 하층 계급과 연대하였다. 귀족들은 정치적 선택권이 없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행동에 대해 비난받지 않는다고 여겨 강압을 주장하며 하층 계급의 힘 뒤에 숨었다. 이는 귀족들이 불만을 표출하는 동시에 민중 폭력의 피해자 역할을 할 수 있게 했다.[23]

하층 계급은 반란 지도자가 더 높은 사회 계급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귀족들을 이용하여 불만에 순종하는 분위기를 조성했다.[23] 그러나 M. E. 제임스, C. S. L. 데이비스, 앤디 우드 등의 역사학자들은 지도력 문제가 더 복잡하다고 본다. 악한 조언자와 종교에 대한 공통의 불만은 상류 계급과 하류 계급을 함께 투쟁하게 만들었으나, 귀족들이 왕의 군대와 전면전을 벌여야 하자 항복을 결정하면서 결속은 끝이 났다.[24]

6. 2. 하층 계급의 역할

역사학자 앤디 우드는 하층 계급에게 더 많은 주체성이 있었다고 주장하며, 평민들이 봉기의 실질적인 세력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러한 힘이 역사에서 주로 소외되었던 계층, 즉 하급 젠트리와 부유한 농민들에게서 나왔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 집단이 더 많은 정치적 주체성과 사고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봉기의 지도자였다고 믿는다.[25]

7. 처형자 명단

처형자 명단
이름직위처형 방식처형 날짜 및 장소비고
프랜시스 비고드 경교수형 (타이번)1537년
다시 경참수1537년
존 허시 경참수1537년
토마스 모이그네국회의원 (링컨)교수, 거세, 사분형
로버트 콘스터블 경쇠사슬에 묶여 교수형 (헐)1537년
로버트 아스크쇠사슬에 묶여 교수형 (요크)1537년
토마스 퍼시 경
스티븐 해머턴 경교수형 및 참수1537년 5월 25일
윌리엄 럼리 경
존 콘스터블 경
윌리엄 콘스터블 경
니콜라스 템페스트 경보우랜드 숲의 활잡이교수형 (타이번)1537년 5월 25일
존 불머 경교수, 거세, 사분형1537년 5월 25일
마가렛 스태포드 (존 불머 경의 아내)화형 (스미스필드)1537년 5월 25일
에드워드 네빌 경하수 관리인(공식 서비스 감독관)참수1538년 말
아담 세드바제르보 수도원장1537년 5월 26일
윌리엄 트래포드샐리 수도원장
존 파슬루왈리 수도원장교수형 (왈리)
매튜 매커렐발링스 수도원장 겸 찰세돈 주교
윌리엄 시르크폰테인스 수도원장
브리들링턴 수도원 수석 사제
리처드 해리슨커크스테드 수도원 수도원장
토마스 켄달로스의 사제이자 목사
윌리엄 모어랜드 (일명 보로비)로스 파크 수도원 사제
제임스 맬릿사제, 고(故) 캐서린 여왕의 채플린
조지 알바 로즈아우구스티누스회1537년
조지 애시비 (애슬리)수사[27]
랄프 반스수사
로렌스 블론함수사
제임스 코커렐기스보로 수도원 원장
코커렐 박사사제교수형, 내장 제거, 사분 (타이번)1537년 5월 25일[19]
윌리엄 코수사
윌리엄 쿠퍼수사
존 이스트게이트수사
리처드 이스트게이트왈리 수도원 수사교수형1537년 3월 12일
존 프란시스수사
윌리엄 길함수사
윌리엄 헤이독왈리 수도원 수사교수형1537년 3월 13일
니콜라스 히스렌턴의 원장
존 헨마시사제
로버트 홉스워번 수도원장
헨리 젠킨슨수사
리처드 레이턴수사
로버트 리치평신도
휴 론데일수사
존 피커링사제교수형, 내장 제거, 사분 (타이번)1537년 5월 25일[28]
피커링 박사수도사교수형, 내장 제거, 사분 (타이번)1537년 5월 25일[21]
토마스 레드포스사제
윌리엄 스웨일수사
존 테넌트수사
리처드 웨이드수사
윌리엄 시르스크(윌리엄 서스크)폰테인 수도원의 시토회 전 수도원장[28]
윌리엄 트래퍼드1537년 3월 10일 랭커스터


  • 아우구스티누스회 카트멜 수도원의 부원장과 여러 수사들은 그들을 지지했던 10명의 마을 사람들과 함께 교수형에 처해졌다.[26]
  • 은총의 순례에 연루된 아우구스티누스회 헥섬 수도원의 수사들은 처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ilgrimage of Grace II https://thehistoryof[...] 2018-01-07
[2] 서적 Reader's guide to British history Fitzroy Dearborn 2003
[3] 논문 The Pilgrimage of Grace Reconsidered 1968-12-01
[4] 웹사이트 Lincolnshire Uprising – A Very Religious Affair https://www.bbc.co.u[...] BBC Lincolnshire 2013-09-19
[5] 서적 Henry VIII and the English Monasteries https://books.google[...] G. Bell 1906
[6] 서적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 studies in early modern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7] 웹사이트 Lincolnshire Uprising - A Very Religious Affair https://www.bbc.co.u[...] 2019-11-07
[8] 서적 A Chronicle of England During the Reigns of the Tudors by Charles Wriothesley https://archive.org/[...] Camden Society 1875
[9] 서적 A History of the County of Lincoln: Volume 2 http://www.british-h[...] Victoria County History 1906
[10] 서적 Insurrection: Henry VIII, Thomas Cromwell and the Pilgrimage of Grace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2016
[11] 웹사이트 The Role of the commons of Cumberland and Westmoreland in the Pilgrimage of Grace, 1536 https://northumbria-[...] Department of Humanities, Northumbria University 2015
[12] 웹사이트 The Divorce of Catherine of Aragon Book Chapter One https://englishhisto[...] 2020-03-22
[13] 서적 The Defeat of the Pilgrimage of Grace: A Study of the Postpardon Revolts of December 1536 to March 1537 and Their Effec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ull Press 1999
[14] 서적 A History of Richmond and Swaledale https://books.google[...] Phillimore 1978
[15] 간행물
[16] 서적 The Religious Orders in Engla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17] 서적 Henry VIII's last victim : the life and times of Henry Howard, Earl of Surrey Vintage 2008
[18] 문서 Father of [[John Lumley, 1st Baron Lumley]].
[19] 문서 James Cockerell, Prior of [[Gisborough Priory|Guisborough]].
[20] 문서 William Thirsk.
[21] 문서 John Pickering of [[Bridlington]].
[22] 서적 Tudor Rebellions Routledge 2015
[23] 논문 Obedience and Dissent in Henrician England: The Lincolnshire Rebellion 1536 1970-08-01
[24] 논문 The Pilgrimage of Grace Reconsidered 1968-12-01
[25] 서적 Riot, rebellion and popular politics in early modern England Palgrave 2002
[26] 웹사이트 British History Online: The Priory of Cartmel http://www.british-h[...] 2014-03-13
[27]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George Ashby http://www.newadvent[...] 2016-11-05
[28] 웹사이트 London Martyrs List.PDF http://academic.regi[...] 2016-11-05
[29] 문서 陶山、P205。
[30] 문서 今井、P42 - P43、松村、P379、陶山、P203。
[31] 문서 今井、P43。
[32] 문서 松村、P379 - P380、陶山、P203 - P205。
[33] 문서 松村、P380。
[34] 문서 陶山、P206 - P207。
[35] 문서 今井、P43 - P45、松村、P433、陶山、P207 - P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