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향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성향교는 고려 초에 처음 건립되어 공자를 모시는 문묘 기능을 수행했으며, 이후 향교의 역할도 겸했다. 조선 시대에 여러 차례 건물을 중건하고 보수했으며,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복원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기능이 위축되었으나, 해방 이후에도 지속적인 보수 및 중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향교 - 경주향교
경주향교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하며, 신라 국학 자리에 고려 시대 향학으로 개편되어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 역할을 수행했고, 임진왜란 이후 중건되었으며, 경상북도 내 최대 규모의 전묘후학 배치 형태를 갖춘 향교로 대성전은 보물로 지정되었다. - 고려의 향교 - 경주향교
경주향교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하며, 신라 국학 자리에 고려 시대 향학으로 개편되어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 역할을 수행했고, 임진왜란 이후 중건되었으며, 경상북도 내 최대 규모의 전묘후학 배치 형태를 갖춘 향교로 대성전은 보물로 지정되었다. - 고려의 향교 - 전주향교
전주향교는 고려시대 창건된 조선시대 향교 건축물로, 훼손과 복원을 거쳐 유생들의 수학 공간이자 동학농민운동 거점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석전과 향례를 통해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여러 영상 작품의 촬영 장소로 활용되었다. - 조선의 향교 - 개성 성균관
개성 성균관은 고려 시대에 태면에서 시작하여 유교 교육과 문관 양성을 담당한 주요 교육 기관으로, 조선 시대까지 국립 학문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시설 부족으로 박물관 기능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 조선의 향교 - 나주목 관아와 향교
나주목 관아와 향교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전라도의 대표적인 읍치였던 나주시의 역사적 위상을 보여주는 유산으로, 특히 나주향교는 조선 후기 향교 건축의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의성향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의성향교 | |
![]()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 808번지 |
문화재 정보 | |
지정 번호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150호 |
지정일 | 1982년 2월 24일 |
유형 | 유형문화재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 | 5동 |
문화재청 ID | 21,01500000,37 |
2. 역사
의성향교는 고려 초에 현 동쪽 1리 되는 곳에 공자묘(孔子廟)로 처음 건립되어 공자를 비롯한 5성을 제향하는 문묘의 기능을 수행했다.[1] 이후 향교의 역할까지 겸했으나 점차 쇠퇴하였다.
조선 초기 퇴락한 건물을 다시 지었고, 성종 때 의성현령 이종준(李宗準)이 동산으로 이전하였으며,[2] 인종 1년(1545)에 증축, 중수하였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선조 35년(1602년)에 현령 허민중(許旻重)이 복원하면서 동서무를 건립하였다. 이듬해 대성전 위판 일부가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하여 경상감사 이시발이 조사하였다.[3] 이 사건으로 안동부에 수감된 김건상은 정상을 조사받은 뒤 처벌받았고,[4] 의성현령 장현광은 "성품이 본래 오활하여 관의 업무를 다스리지 못하는 바람에 휘하 아전들이 농간을 부려서 백성들이 그 폐해를 받고 있고, 이로써 영남의 고을 하나가 나날이 조폐해지고 있으니 파직해야 한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현종 11년(1670년)에 현령 이당규(李堂揆)가 향교를 확장하였고, 숙종 7년(1681년)에 대성전을 보수하였다.[5] 영조 21년(1745년)에 대성전과 명륜당을 중건하였고, 영조 38년(1762년)에 대성전[6]과 광풍루를 중수하였다.[7] 순조 5년(1805년)에는 향교에 딸린 전답을 더 사들였다.
철종 2년(1851년) 대성전에 빗물이 새어 연목과 기와를 교체하였다.[8] 고종 8년(1871년)에는 대성전, 명륜당, 광풍루의 서까래와 기와를 교체하고 단청을 입혔으며,[9] 고종 26년(1889)에 대성전을 중수하였다.[10] 고종 27년(1890)에 감사 민시중(閔蓍重)이 대성전을 확장 중건하였다.[11]
1910년 광풍루를 중수하였으며, 1921년에 명륜당을 중건하면서 대성전, 대성전 정문, 서협문, 공수고(供需庫), 서재 등을 보수하고 광풍루에 난간을 덧붙였다.[12] 일제강점기에는 전반적으로 향교 기능이 위축되었으나 유림의 노력으로 1930년에는 위토(位土)를 정비하고 향교의 대성전과 명륜당, 광풍루, 담장 및 상탁(床卓)을 개수하였다.[13]
해방 이후 1950년 6.25 전쟁으로 위판이 소실되었다가 1954년에 복향(復享)하였다. 1968년에 향교 일곽을 보수하였으며,[14] 1971년에 광풍루를 중수하고,[15] 1980년에 대성전을 중수하였다.[16] 1982년에는 명륜당과 광풍루를 보수하였고,[17] 1991년에 서재를 신축하였으며 일곽을 보수하였다. 이후 1992년과 1993년, 1994년, 1997년에 각각 보수하였다.
2. 1. 고려 시대
의성향교는 의성읍 도동동 동산(東山) 위에 위치하며, 오토산(五土山)과 금성산을 바라보고 있다.《의성현지(義城縣誌)에 따르면 의성이 문소군이라 불리게 된 시기 초에 현 동쪽 1리 되는 곳에 공자묘(孔子廟)가 있었고, 당시에는 공자를 비롯한 5성을 제향(祭享)하는 문묘(文廟)의 구실만 한 듯하며 그 위치는 중리동 아사천(衙舍川) 인근으로 추측된다.[1] 의성의 공자묘는 고려 초 이후 향교의 역할까지 겸했으나 점점 쇠퇴해졌다.
2. 2. 조선 시대
의성향교는 고려 초에 현 동쪽 1리 되는 곳에 공자묘(孔子廟)로 처음 건립되어 공자를 비롯한 5성을 제향하는 문묘의 기능을 수행했다.[1] 이후 향교의 역할까지 겸했으나 점차 쇠퇴하였다.조선 초기 퇴락한 건물을 다시 지었고, 성종 때 의성현령 이종준(李宗準)이 동산으로 이전하였으며,[2] 인종 1년(1545)에 증축, 중수하였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선조 35년(1602년)에 현령 허민중(許旻重)이 복원하면서 동서무를 건립하였다. 이듬해 대성전 위판 일부가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하여 경상감사 이시발이 조사하였다.[3] 이 사건으로 안동부에 수감된 김건상은 정상을 조사받은 뒤 처벌받았고,[4] 의성현령 장현광은 파직되었다.
현종 11년(1670년)에 현령 이당규(李堂揆)가 향교를 확장하였고, 숙종 7년(1681년)에 대성전을 보수하였다.[5] 영조 21년(1745년)에 대성전과 명륜당을 중건하였고, 영조 38년(1762년)에 대성전[6]과 광풍루를 중수하였다.[7] 순조 5년(1805년)에는 향교에 딸린 전답을 더 사들였다.
철종 2년(1851년) 대성전에 빗물이 새어 연목과 기와를 교체하였다.[8] 고종 8년(1871년)에는 대성전, 명륜당, 광풍루의 서까래와 기와를 교체하고 단청을 입혔으며,[9] 고종 26년(1889)에 대성전을 중수하였다.[10] 고종 27년(1890)에 감사 민시중(閔蓍重)이 대성전을 확장 중건하였다.[11]
2. 3. 일제강점기
1910년 광풍루를 중수하였으며, 1921년에 명륜당을 중건하면서 대성전, 대성전 정문, 서협문, 공수고(供需庫), 서재 등을 보수하고 광풍루에 난간을 덧붙였다.[12] 일제강점기에는 전반적으로 향교 기능이 위축되었으나 유림의 노력으로 1930년에는 위토(位土)를 정비하고 향교의 대성전과 명륜당, 광풍루, 담장 및 상탁(床卓)을 개수하였다.[13]2. 4. 해방 이후
해방 이후 1950년 6.25 전쟁으로 위판이 소실되었다가 1954년에 복향(復享)하였다.[14] 1968년에 향교 일곽을 보수하였으며,[14] 1971년에 광풍루를 중수하고,[15] 1980년에 대성전을 중수하였다.[16] 1982년에는 명륜당과 광풍루를 보수하였고,[17] 1991년에 서재를 신축하였으며 일곽을 보수하였다. 이후 1992년과 1993년, 1994년, 1997년에 각각 보수하였다.3. 건축
3. 1. 건물 배치
3. 2. 주요 건물
3. 2. 1. 대성전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3. 2. 2. 명륜당
명륜당에 대한 소스나 요약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3. 2. 3. 광풍루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자료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3. 2. 4. 기타
요약(summary)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source) 또한 비어있으므로, 주어진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텍스트를 출력합니다.```text
4. 현대적 활용
참조
[1]
간행물
의성향교
http://www.cultureli[...]
[2]
서적
문소향교성전중수기
성균관
2003
[3]
실록
선조실록
"선조 36년 12월 9일"
[4]
실록
선조실록
"선조 36년 12월 14일"
[5]
문서
대성전 암막새 명문
1681
[6]
서적
성전중수기
성균관
2003
[7]
서적
항교성전중수여포우변통기
성균관
2003
[8]
서적
성전중수기
성균관
2003
[9]
서적
향교중수기
성균관
2003
[10]
서적
성전중수기
성균관
2003
[11]
서적
문소향교성전중수기
성균관
2003
[12]
서적
명륜당중건기
성균관
2003
[13]
서적
문묘중수기
성균관
2003
[14]
서적
의성향교중수기
성균관
2003
[15]
서적
의성향교광풍루중수기
성균관
2003
[16]
서적
대성전중수기
성균관
2003
[17]
서적
의성향교중수기
성균관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