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고리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고리 1세는 878년에 태어나 945년에 사망한 키예프 루스의 대공이었다. 류리크의 아들이며, 903년경 올가와 결혼하여 스뱌토슬라프 1세를 낳았다. 914년에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하여 주변 부족을 복속시키고 공물을 징수했으며, 유목 민족 페체네그족과의 충돌, 비잔티움 제국 원정을 벌였다. 941년에는 비잔티움 제국을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944년에는 공물을 받고 귀환했다. 과도한 조공 징수로 인해 드레블랴네족에게 살해당했으며, 그의 아들 스뱌토슬라프 1세가 뒤를 이었고, 올가가 섭정으로 통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45년 사망 - 혜종 (고려)
    혜종은 고려 태조 왕건의 장남이자 제2대 왕으로, 왕위 계승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박술희의 지지를 받아 즉위했으나, 측근 세력과 이복동생들의 왕위 위협 속에서 재위 2년 만에 사망했다.
  • 945년 사망 - 기노 쓰라유키
    기노 쓰라유키는 866년 또는 872년에 태어난 일본의 시인으로, 《고킨와카슈》의 편집자이자 가나 서문을 작성했으며, 36가선 중 한 명으로 꼽히며, 《도사 일기》를 저술했다.
  • 키예프 공작 - 키예프의 올가
    키예프의 올가는 10세기 키예프 루스의 통치자이자 이고르 1세의 부인으로, 남편의 암살 후 섭정으로서 드레블랴네인에 대한 잔혹한 복수, 세제 개혁을 통한 중앙 집권화 강화, 그리스 정교로의 개종을 통해 루스의 기독교화에 영향을 미쳐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키예프 공작 - 스뱌토슬라프 1세
    스뱌토슬라프 1세는 이고리 대공과 올가 대공비의 아들로, 964년부터 친정을 시작하여 카자르 칸국을 정복하는 등 적극적인 팽창 정책을 펼쳤으나, 불가리아 제국과의 전쟁 후 귀환 중 페체네그족의 공격으로 사망한 키예프 대공이다.
이고리 1세

2. 생애

878년 류리크의 아들로 태어났다. 903년경 오늘날 러시아의 프스코프 지역에서 올가와 결혼했으며, 아들 스뱌토슬라프 1세를 낳았다.[8]

이고리 1세의 치세 초에는 바략인 "동족" 올레크가 어린 이고리 1세의 섭정을 맡았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올레크는 루스의 중심지를 노브고로드에서 키예프로 옮겼다. 그 과정에서 키예프를 지배하고 있던 아스코르트와 디르를 살해했다고 전해진다.[8]

이고리 1세 시대는 키예프 공국의 슬라브화가 진행된 시기였으며, 류리크의 아들이 아니었다면 동슬라브인 최초의 군주일 가능성도 높다 (이고리의 이름은 고대 노르드어의 잉그바르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휘하에는 바이킹 (노르만인) 정예 부대가 있었지만, 그 자신에게는 그다지 바이킹적인 자질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903년프스코프에서 올가를 왕비로 맞이했다. 910년대에는 섭정 올레크를 대신하여 군무에 종사했다. 912년에서 941년 사이에는 연대기 기록에 공백이 있어 그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9] 914년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하였다.

3. 키예프 대공 즉위

914년올레크 베시의 뒤를 이어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하였다.[8] 드레블랴네족을 공격하여 승리하고, 올레크 때보다 더 많은 공물을 요구했다.

이후 주변 부족들을 평정하고 공납을 부과했다. 이때 동쪽에서 유목민인 페체네그족이 나타났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915년에 처음 루스 지배 하의 땅에 나타났으며 이고리와 적대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도나우강 방면으로 물러갔다. 하지만 920년에는 이고리와 페체네그인 간의 전투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키예프 공국과 항쟁이 시작된다.

4. 통치

914년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한 이고리 1세는 주변 부족들을 평정하고 공납을 부과했다. 동쪽의 유목민족 페체네그와는 초기에는 평화로웠으나, 920년에는 전투가 벌어졌다.

드레블랴네족을 복속시켜 더 많은 공물을 요구하는 등 키예프 공국의 슬라브화 정책을 추진했다.

941년부터 944년까지 비잔티움 제국 원정에 나섰고, 945년 비잔티움 제국과 평화 조약을 맺었다. 그러나 같은 해, 과도한 세금 징수에 반발한 드레블랴네족에 의해 살해당했다.

4. 1. 순회 징공

953년경,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노스 7세는 제국 통치론을 저술했다. 그 안에 '로스(루스)에 관하여'라는 항목이 있다.

겨울 11월경, 로스(루스)의 사람들은 키예프 공을 선두로 징세 순찰(폴류디에)에 나선다. 징세 순찰은 강을 통나무배로 이동하며 이루어졌다. 드레블랴네족 등 다수의 공동체 거점을 방문하여 묵고, 식량을 내게 하고, 공물을 징수하여 봄 4월에 키예프로 돌아간다.

이것이 이고리 1세 시대의 징세 순찰에 의한 각 부족 지배의 모습이다. 이러한 행위가 성립하는 배경에는 공물을 바칠 만한 슬라브 민족의 농업, 공업, 상업의 발전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5. 군사 활동

914년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한 이고리 1세는 활발한 군사 활동을 펼쳤다. 941년부터 944년까지 비잔티움 제국 원정에 나섰으며, 945년에는 비잔티움 제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8]

이고리 1세의 군사 활동은 크게 두 차례의 루스-비잔틴 전쟁으로 나눌 수 있다.


  • 941년 루스-비잔틴 전쟁
  • 944년 루스-비잔틴 전쟁


941년과 944년의 원정 이후, 945년에는 루스-비잔틴 조약을 체결하여 비잔티움 제국과 평화 관계를 맺었다.

913년944년에는 카스피 해에서 루스족의 카스피 원정이 있었으나, 이고리 1세가 이 원정에 직접 참여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9]

5. 1. 루스-비잔틴 전쟁 (941년)

941년, 이고리 1세는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하기 위해 원정을 시작했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1만 명의 루스 군은 육로와 수로를 통해 흑해 연안의 비티니아에서 전투를 시작하여 흑해를 따라 이라클리아, 파플라고니아, 니코메디아 지역을 정복해 나갔다. 이고리 1세 등은 수많은 항구에 불을 지르고 포로들을 잔혹하게 살해했으며, 교회와 수도원, 마을에도 불을 질러 약탈했다.[10]

당시 동로마 군은 동부 속주로 원정 중이었고, 해군의 대부분도 지중해흑해를 순항 중이어서 콘스탄티노플은 방어가 허술한 상태였다. 그러나 동로마 측은 남겨진 15척의 낡은 배를 수리하여 출격했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그 후 동쪽에서 루스 군을 무찌르기 위해 그리스 전사들이 와서 루스 군을 포위했다. 그들과 루스 군 사이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고, 그리스인들이 승리했다.

루스 군은 배를 타고 도주했고, 테오파네스가 이끄는 동로마 함대는 그리스의 불(그리스 화약)을 사용하여 루스 군의 배에 불을 질렀다. 루스 인들은 화염에 당황하여 바닷물에 뛰어들었다. 살아남은 루스 인들은 고국으로 돌아가 그리스의 불에 대해 알렸다.[10]

이고리 1세는 다시 그리스를 공격하기 위해 전사를 모으기 시작했다.

5. 2. 루스-비잔틴 전쟁 (944년)

944년, 이고리 1세는 비잔티움 제국에 복수하기 위해 바랴그인, 루스인, 페체네그인 등 다양한 부족의 전사들을 모아 원정을 준비했다.[10]

원정 도중, 비잔티움 황제 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는 루스 군대의 규모에 대한 소식을 듣고 이고리에게 사절을 보내 협상을 제안했다. 황제는 루스 군대가 침공을 멈추면 많은 공물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이고리는 자신의 친위대(드루지나)와 상의했고, 드루지나들은 싸우지 않고 금, 은, 직물을 얻는 것이 더 낫다고 조언했다. 그들은 누가 이길지, 누가 바다를 차지할지 알 수 없으며, 죽음은 모든 사람에게 공통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고리는 드루지나들의 조언에 따라 비잔티움 제국으로부터 공물을 받고 키예프로 돌아갔다.[10]

드루지나들의 조언은 복수보다 공물을 우선시하는 당시 키예프 루스 사회의 모습을 보여준다. 9세기에서 10세기 키예프 루스는 숲, 강, 늪지에서 어로와 채집으로 살아가는 사람들과 농촌이 혼재된 사회였으며, 전사들을 중심으로 한 족장이 지배하는 구조였다. 산업 발전으로 순회 징수가 가능했지만, 지배 지역으로부터 얻는 공물은 적었고, 풍요로운 지역으로 원정하여 부를 얻는 것이 지배 계급에게는 중요한 "생업"이었다.

6. 루스-비잔틴 조약 (944년)

944년, 이고리 1세는 동로마 제국과 강화 조약을 맺었다. 그러나 이번 조약은 올레크가 체결한 이전 조약(907년 조약)에 비해 루스 상인의 권리가 제한되고, 위반 시의 벌칙이 강화되는 등 루스에게 불리한 내용이었다.[1] 황제는 선서를 위해 키예프에 사절을 보냈고, 이고리는 사절들을 슬라브의 뇌신 페룬 언덕으로 초대했다. 이고리와 그의 가신들은 페룬에게 맹세했고, 기독교도인 바랴그인과 코자르인은 교회에서 선서했다.[2] 이 조약에는 각지의 유력자로 보이는 이름이 다수 열거되어 있어, 당시 키예프 공국의 힘이 아직 주변 지역까지 미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3]

7. 드레블랴네족과의 갈등과 죽음

945년 키예프 루스의 과도한 세금 징수 정책에 반감을 가졌던 드레블랴네족들은 이고리 1세를 살해했다.[10]

선대 올레그 시대부터 키예프는 우크라이나 지방의 부족에게 순회 징수를 실시했는데, 그중 일부 부족인 드레블랴네족은 그 대우에 불만을 품고 올레그의 죽음 직후에 봉기한 경위가 있었다. 이고리 1세의 치세에 그들은 평정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드레블랴네족의 족장 말은 943년경에 헌납을 보내는 것을 멈추고, 이고리 1세의 사자에게도 반항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

945년, 이고리 1세는 직접 군사를 이끌고, 드레블랴네족의 본거지 이스콜로스테니(현재의 코로스텐)로 진군했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드루지나들이 이고리에게, 스베넬리드의 어린 친위대(오토로구)에 비해 자신들의 옷과 무기가 가난하다며 공물을 가지러 가자고 부탁했기 때문이다. 이고리는 그들의 소원을 받아들여, 드레블랴네족에게 원정을 감행했다. 이고리와 드루지나들은 드레블랴네족으로부터 기존의 공물에 더하여, 추가 공물을 바치게 했다.

대부분의 드루지나는 귀국했지만, 이고리는 더 많은 재물을 원해, 소수의 드루지나와 함께 이스콜로스테니로 되돌아가려고 했다. 그러나 말은 "만약 그(이고리 1세)를 죽이지 않으면, 우리 모두 멸망할 것이다"라고 말하고, 이스콜로스테니의 마을에서 드레블랴네족이 출진하여, 이고리 일행을 전멸시켰다. 이고리의 묘는 이스콜로스테니에 있다.

비잔틴의 역사가 레오 디아코누스의 기록에 따르면, 이고리 1세는 두 개의 자작나무 사이에 묶여, 휘어진 나무의 탄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능지형에 처해졌다고 한다.[10] 두 동강으로 찢어졌다는 설도 있다.

표도르 브루니가 상상한 이고르의 죽음

8. 이고르의 죽음 이후

이고리 류리코비치가 945년 드레블랴네족에게 살해당한 후, 그의 아내 올가가 아들 스뱌토슬라프 1세를 대신해 섭정을 맡았다. 올가는 드레블랴네족에게 가혹하게 복수했다. 우선, 이고리의 죽음에 대한 배상으로 드레블랴네족이 보낸 사신들을 생매장했다.[1] 그리고 드레블랴네족의 수도 이스코로스텐을 불태워 도시 전체를 파괴했다.[1]

올가는 복수 이후 키예프 루스의 조공 징수 시스템인 폴류디에(Полю́дьеru)를 개혁했다.[1] 이는 드레블랴네족의 반란을 계기로 기존의 조공 징수 방식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했기 때문이었다.

9. 역사적 평가

이고리 1세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콘스탄틴 주커만은 『원초 연대기』의 연대기를 수정하여 이고르의 실제 통치 기간이 941년 여름부터 945년 초 사망까지 3년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주커만은 연대기에서 이고르에게 33년의 통치 기간을 부여한 것은 비잔틴 자료를 잘못 해석한 결과라고 본다.[11]

바실리 타티셰프는 이오아킴 연대기를 인용하여 이고리의 어머니가 스웨덴 공주 에판다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많은 역사가들은 이 연대기의 존재 자체에 의문을 제기한다. 타티셰프에 따르면, "잉고르"라는 이름은 핀란드어 이름 "잉게르"에서 유래했다.[12] 그는 또한 여러 필사본을 바탕으로 이고리의 출생 연도를 다르게 제시하는데, 분열주의자 필사본에서는 875년, 니즈니노브고로드 필사본에서는 861년, 오렌부르크 필사본에서는 865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русских летописей. Том 1. Лаврентьевская летопись https://books.google[...] Litres 2022-05-15
[2] 서적 The Age of the Viking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03-01
[3] 서적 Генеалогія Рюриковичів і Гедиміновичів 1992-01-01
[4]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03-01
[5] 서적 The Nature and the Image of Princely Power in Kievan Rus', 980-1054: A Study of Sources https://books.google[...] BRILL 2013-10-10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yzantium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2-01-01
[7] 서적 The Emergence of Russia 750-12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6-06
[8] 서적 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Laurentian Text http://www.mgh-bibli[...] Crimson Printing Company 1953-01-01
[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dieval Russ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1-09-15
[10] 웹사이트 Korosten (Iskorosten): A small town with a great history http://www.geocities[...] geocities.com 2008-02-27
[11] 간행물 On the Date of the Khazars' Conversion to Judaism and the Chronology of the Kings of the Rus Oleg and Igor: A Study of the Anonymous Khazar Letter from the Genizah of Cairo http://www.persee.fr[...] 1995-01-01
[12] 문서 Tatishchev. The History of Russia. Part 1, Chapter 4 http://www.magis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