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메네오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1780년 바이에른 선제후의 의뢰를 받아 작곡한 오페라이다. 뮌헨 쿠빌리에 극장에서 초연되었으며, 모차르트의 첫 번째 성숙한 오페라로 평가받는다. 트로이 전쟁 이후 크레타 섬을 배경으로, 이도메네오 왕과 그의 아들 이다만테, 그리고 트로이의 공주 일리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 오페라는 다양한 판본으로 존재하며, 현대에도 정기적으로 공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오페라 - 마술피리 《마술피리》는 모차르트가 작곡하고 쉬카네더가 대본을 쓴 징슈필 형식의 오페라로, 타미노와 파미나의 사랑을 통해 지혜와 어둠의 대립을 그리며, 프리메이슨의 상징과 계몽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아 밤의 여왕, 파파게노 등의 인물과 유명한 아리아를 특징으로 한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오페라 - 피가로의 결혼 피가로의 결혼은 모차르트와 다 폰테가 합작한 오페라로, 보마르셰의 희곡을 원작으로 하여 귀족의 허영과 하인들의 지략을 코믹하게 그린 작품이며, 1786년 빈에서 초연되었다.
이탈리아어 오페라 - 피가로의 결혼 피가로의 결혼은 모차르트와 다 폰테가 합작한 오페라로, 보마르셰의 희곡을 원작으로 하여 귀족의 허영과 하인들의 지략을 코믹하게 그린 작품이며, 1786년 빈에서 초연되었다.
이탈리아어 오페라 -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는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룩이 작곡한 오페라로, 오페라 개혁을 시도하여 극적 흐름을 강조하고 여성 알토가 오르페오 역을 맡기도 하며, 아내를 잃은 오르페오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도메네오
2. 역사적 배경 및 초연
모차르트의 ''이도메네오'' 원본 악보, 취소선
대본은 메타스타시오에게서 영감을 받아 전체적인 구성, 등장인물의 유형, 다양한 곡과 ''세코'' 및 ''스트로멘타토'' 레시타티보에 사용된 시적인 언어로 작성되었다. 합창, 행진곡, 발레는 프랑스 양식을 따랐으며, 1막 마지막의 난파 장면은 글루크의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아''와 유사한 구조와 극적 전개를 보인다. 희생과 신탁 장면은 글루크의 ''아울리스의 이피게니아''와 ''알체스테''와 비슷하다.[3]
2023년 복원된 쿠빌리에 극장
1780년, 잘츠부르크에 있던 모차르트는 뮌헨의 바이에른 선제후 카를 테오도르 궁정으로부터 사육제에서 상연할 오페라 의뢰를 받았다. 모차르트는 11월에 뮌헨으로 가서 가수들을 훈련시키면서 작곡을 진행했다. 대본은 잔바티스타 바레스코가 앙투안 당셰의 프랑스어 대본을 바탕으로 작성했으며, 모차르트는 작곡 과정에서 바레스코와 긴밀하게 협력하며 대본을 수정하고 개선했다. 이 과정에서 모차르트는 대본 제작에 깊이 관여하게 되었다.
1781년1월 29일, 뮌헨 레지덴츠의 쿠빌리에 극장에서 크리스티안 칸나비히의 지휘 아래 초연되었다.[8] 초연 당시 무대 디자인은 큰 호평을 받았다. 뮌헨 언론 보도에서는 모차르트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작자, 작곡가, 번역가는 모두 잘츠부르크 출신이며, 항구와 넵튠 신전의 풍경이 돋보이는 데코레이션은 우리 유명 극장 디자이너인 궁정 고문관 로렌초 콰글리오의 걸작이었으며, 모든 사람들이 이를 크게 칭찬했다"라고 언급했다.[9]
''이도메네오''는 모차르트의 첫 번째 성숙한 오페라로, 이후 모든 오페라에서 서곡의 조표로 작품을 마무리하는 방식을 확립했다.[10][11] 모차르트는 이 작품을 통해 오케스트라 색채, 반주가 있는 레치타티보, 선율선에 대한 숙련도를 보여주었다.
뮌헨에서 세 차례 공연된 후, 1786년빈의 아우어스페르크 궁전에서 콘서트 형식으로 공연하기 위해 모차르트는 새로운 음악을 작곡하고 일부를 삭제했으며, 이다만테의 성악 파트를 카스트라토에서 테너로 변경하는 등 다양한 판본이 존재한다.
2. 1. 초연 이후의 논란과 재조명
2006년 한스 노이엔펠스가 연출한 도이체 오퍼 베를린 프로덕션이 취소되면서 논란이 발생했다(2006년 이도메네오 논란 참조).[13]
엘레트라: "어두운 지옥의 모든 분노를 내 마음속에서 느낄 수 있다" ("Tutte nel cor vi sento furie del cupo averno")
이도메네오: "나는 내 주변을 보리라" ("Vedrommi intorno")
이다만테: "나의 사랑하는 아버지" ("Il padre adorato")
'''2막'''
아르바체: "만약 당신의 고통이" ("Se il tuo duol")
일리아: "만약 내가 아버지를 잃는다면" ("Se il padre perdei")
이도메네오: "바다 밖으로" ("Fuor del mar")
엘레트라: "나의 연인" ("Idol mio")
'''3막'''
일리아: "미풍은 아첨한다" ("Zeffiretti lusinghieri")
아르바체: "만약 그것이 운명에 쓰여 있다면" ("Se colà ne' fati è scritto")
이다만테: "아니, 나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No, la morte io non pavento")
엘레트라: "나는 오레스테스와 아이아스의 고통을 내 마음속에서 느낀다" ("D'Oreste, d'Ajace ho in seno i tormenti")
이도메네오: "평화가 다시 찾아온다" ("Torna la pace")
4. 구성
전체적인 구성, 등장인물의 유형, 다양한 곡과 ''세코'' 및 ''스트로멘타토'' 레치타티보에 사용된 시적인 언어는 메타스타시오의 영향을 받았다. 합창, 행진곡, 발레의 스타일은 프랑스 오페라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1막 마지막의 난파 장면은 글루크의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아''와 유사하다. 희생과 신탁 장면은 글루크의 ''아울리스의 이피게니아''와 ''알체스테''와 비슷하다.[3]
바레스코가 칼차비지와 글루크의 작품, 특히 ''알체스테''에 익숙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바레스코의 극적인 구절은 칼차비지를 통해 프랑스 스타일로 쓰였다. 그러나 모차르트는 이러한 프랑스 스타일을 벗어나 이탈리아적인 ''오페라 세리아''로 돌아갔다. 가수들은 모두 고전적인 이탈리아 스타일로 훈련받았고, 레치타티보도 모두 고전적인 이탈리아 스타일이다.[3]
프랑스 전통에 따라 발레를 활용한다. 모차르트는 오페라에서 연주하기 위해 (K. 367) 발레를 작곡했는데, 륄리의 디베르티스망으로 여겼다.[4] 약 15분 정도 소요되며, 구조는 다음과 같다.
처음 4개의 춤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마지막 3개의 춤은 별개로 구성되어 있다. 발레는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파사칼리아에만 존재), 바순, 호른, 트럼펫, 팀파니, 현악기를 위해 작곡되었다. 만하임 오케스트라의 기법을 보여주며, 악보에는 참여할 무용수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모차르트가 디베르티스망을 오페라의 어느 부분에 넣으려고 했는지는 불분명하다. ''노이에 모차르트-아우스가베''에서는 1막 후에 연주되었다고 제안하지만, 다니엘 하르츠는 3막 마지막 합창 후에 연주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샤콘느부터 ''파 seul''까지는 "attacca" 전환을 통해 일관성을 이룬다. 내림 나장조의 파스피에, 사장조의 가보트, 내림 마장조의 미완성 ''파사칼리아''는 발레의 전반부와 분리되어 있으며, 연주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6]
글루크의 영향은 샤콘느가 글루크의 발레에서 음악적 인용구로 시작한다는 점에서 나타난다. ''이피게니에 앤 올리드''.[7]
4. 1. 음악적 특징
모차르트는 이 오페라에서 오케스트라의 색채, 반주가 있는 레치타티보, 선율선에 대한 숙련도를 보여주었다.[3] 특히, 만하임 오케스트라의 영향을 받은 화려한 관현악 기법이 돋보인다. 24세에 쓰여진 이 오페라는 모차르트의 첫 번째 충실한 오페라 세리아였지만, 어떤 면(합창 등)에서는 실험적인 극에 머물러 있으며, 줄거리를 발전시키기보다는 장면을 잇는 것에 그치고 있다.[16]
악기 편성은 다음과 같다.
목관악기: 플루트 2개, 피콜로 (2막의 폭풍에서만 사용), 오보에 2개, 클라리넷 2개, 바순 2개. B 클라리넷(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악기)은 제15번과 제19번에서 사용된다.
금관악기: 호른 4개 (D조, C조, B♭조(알토)/B조(hochde), G조), 트럼펫 2개 (D조), 트롬본 3개 (3막에서 해왕성의 무대 밖 목소리에만 사용)
세코 레치타티보의 통주 저음은 쳄발로와 첼로로 구성된다. (고악기 연주 관행에서는 종종 포르테피아노만 사용하기도 한다)
피콜로와 트롬본의 유무 및 호른의 수는 악보에 따라 다르다.
서곡은 D 장조, 4/4 박자이며, 발전부가 제시부와 재현부를 잇는 매우 짧은 전환부인 수정된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 있다. 소나타 형식의 다른 일반적인 특징들도 나타난다. 제시부는 조바꿈을 통해 으뜸음 (D 장조)에서 딸림음 (A 장조)으로 조바꿈하며, 재현부는 으뜸음에 중심을 둔다. 서곡은 D 장조 화음으로 끝나는 코다로 마무리된다. 이 부드럽고 조심스러운 화음은 서곡을 으뜸음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뒤따르는 장면의 고유 조성인 G 단조의 딸림음 화음으로 밝혀진다.[16]
5. 줄거리
트로이 전쟁 직후, 크레타 섬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전쟁에서 패배한 트로이의 공주 일리아는 크레타로 끌려와 이도메네오 왕의 아들 이다만테 왕자를 사랑하게 되지만, 적국의 왕자라는 사실에 갈등한다. 이다만테는 포로들을 풀어주며 일리아에게 구애하지만, 일리아는 마음을 열지 못한다. 한편, 엘레트라는 일리아를 질투하며 이다만테의 관대한 처사에 분노한다.[1]
이때, 이도메네오 왕이 귀환 중 실종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엘레트라는 일리아가 왕비가 될까 봐 불안에 휩싸인다. 하지만 이도메네오는 넵투누스 덕분에 목숨을 건지고, 뭍에 도착하면 처음 만나는 사람을 제물로 바치겠다는 맹세를 떠올린다. 공교롭게도 그가 처음 만난 사람은 아들 이다만테였고, 이도메네오는 절망하며 아들을 밀어낸다.[1]
이후 이도메네오는 아들을 아르고스로 보내려 하고, 일리아는 이도메네오를 아버지로, 크레타를 고향으로 삼겠다고 말한다. 시돈 항구에서 이도메네오가 아들과 작별하려 할 때, 폭풍과 함께 바다뱀이 나타나고, 이도메네오는 자신이 맹세를 어겼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왕궁 정원에서 일리아는 이다만테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이다만테는 뱀과 싸우러 간다. 백성들은 이도메네오에게 희생자를 밝히라고 요구하고, 왕은 아들이 희생자임을 고백한다.[1]
신전 밖에서 기도를 올리던 중, 이다만테가 괴물을 죽였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이도메네오는 아들을 희생시키려 하지만, 일리아가 대신 희생하겠다고 나선다. 이때 넵투누스의 목소리가 들리고, 이도메네오는 왕위를 일리아와 이다만테에게 넘기라는 명령을 받는다. 모두가 안도하는 가운데, 엘레트라만이 절망하며 죽음을 갈망한다. 이도메네오는 이다만테와 일리아를 새로운 통치자로 소개하고, 백성들은 이들의 결합을 축복하며 평화를 기원한다.[1]
5. 1. 제1막
트로이 전쟁 직후, 크레타 섬. 패배한 트로이의 왕 프리아모스의 딸 일리아는 전쟁 후 크레타로 끌려왔다. 그녀는 크레타 왕 이도메네오의 아들 이다만테 왕자를 사랑하지만, 적국의 왕자라는 사실에 자신의 사랑을 인정하기를 망설인다. 이다만테는 호의의 표시로 트로이 포로들을 석방한다. 그는 일리아에게, 그들의 아버지들이 적이었던 것은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고 말하며 구애하지만, 일리아는 그의 사랑을 거부한다. 트로이인과 크레타인들은 함께 평화의 귀환을 환영하지만, 그리스 왕 아가멤논의 딸 엘레트라는 일리아를 질투하며, 이다만테의 관대함에 분노한다. 왕의 측근 아르바체는 이도메네오가 트로이에서 크레타로 돌아오던 중 바다에서 실종되었다는 소식을 전한다. 엘레트라는 트로이인인 일리아가 곧 크레타의 여왕이 될까 두려워하며, 지하 세계의 푸리아이가 그녀의 마음 속에서 솟아나는 것을 느낀다.
이도메네오는 넵투누스(바다의 신)에 의해 구조되어 크레타 해변으로 밀려온다. 그곳에서 그는 넵투누스에게 맹세했던, 육지에 안전하게 도착하면 처음 만나는 생물을 희생하겠다는 맹세를 떠올린다. 이다만테가 그에게 다가오지만, 두 사람은 오랫동안 서로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 알아보기가 어렵다. 이도메네오는 마침내 자신의 맹세를 위해 희생해야 할 청년이 자신의 아들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다만테에게 다시는 자신을 찾지 말라고 명령한다. 아버지의 거절에 슬픔에 잠긴 이다만테는 도망친다. 이도메네오의 배에서 내린 크레타 군대는 그들의 아내들과 재회하고, 모두 넵투누스를 칭송한다.
5. 2. 제2막
왕궁에서 이도메네오는 아르바체에게 조언을 구하는데, 아르바체는 이다만테를 추방하면 또 다른 희생이 필요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도메네오는 아들 이다만테에게 엘렉트라를 그녀의 고향인 아르고스로 호송하라고 명령한다. 이도메네오가 일리아에게 친절하게 말을 걸자, 일리아는 모든 것을 잃었기에 그를 아버지로, 크레타를 고향으로 삼겠다고 선언한다. 그녀가 떠나자 이도메네오는 이다만테를 추방한 것이 일리아의 행복뿐만 아니라 자신의 행복도 앗아갔음을 깨닫는다. 엘렉트라는 이다만테와 함께 아르고스로 가게 된 것을 환영한다.
시돈 항구(크레타의 가상의 도시)에서 이도메네오는 아들에게 작별을 고하고, 그가 떠나 있는 동안 통치술을 배우라고 당부한다. 그러나 배가 출항하기 전에 폭풍이 몰아치고, 바다뱀이 나타난다. 이를 넵투누스의 사자로 인식한 왕은 신에게 한 맹세를 어긴 것에 대한 속죄로 자신을 희생하겠다고 자청한다.[1]
5. 3. 제3막
초판 대본의 표제지 (, )
왕궁 정원에서 일리아는 산들바람에게 이다만테에게 자신의 사랑을 전해달라고 부탁한다. 이다만테가 나타나 뱀과 싸우러 가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거절당한 사랑의 고통을 겪느니 차라리 죽겠다고 말하고, 일리아는 자신의 사랑을 고백한다. 그들은 엘레트라와 이도메네오에 의해 놀란다. 이다만테가 아버지에게 왜 그를 떠나게 하는지 묻자, 이도메네오는 청년이 떠나야만 한다고 대답할 뿐이다. 일리아는 복수에 사로잡힌 엘레트라에게 위로를 구한다. 아르바체가 도착하여, 넵투누스(포세이돈)의 대사제를 선두로 한 백성들이 이도메네오를 찾고 있다는 소식을 전한다. 대사제는 넵투누스의 괴물로 인한 파괴를 왕에게 알리며, 이도메네오에게 신이 요구하는 희생자의 이름을 밝히라고 촉구한다. 왕이 자신의 아들이 희생자라고 고백하자 백성들은 경악한다.[1]
신전 밖에서 왕과 대사제는 넵투누스의 사제들과 함께 신이 달래지기를 기도한다. 아르바체는 이다만테가 괴물을 죽였다는 소식을 전한다. 이도메네오는 넵투누스의 새로운 보복을 두려워하며, 이다만테가 희생 의복을 입고 등장하여 아버지의 고통을 이해하고 죽을 준비가 되었다고 말한다. 고통스러운 작별 인사를 나눈 후, 이도메네오가 아들을 희생시키려 하자 일리아가 나타나 대신 자신의 목숨을 바치겠다고 한다. 넵투누스의 목소리가 들린다. 이도메네오는 왕위를 일리아와 이다만테에게 넘겨야 한다. 모두가 안도하지만, 엘레트라는 죽음을 갈망한다. 이도메네오는 이다만테와 그의 신부를 새로운 통치자로 소개한다. 백성들은 사랑과 결혼의 신에게 왕족 커플을 축복하고 평화를 가져다 달라고 외친다.[1]
6. 다양한 판본과 해석
대본은 전체적인 구성, 등장인물의 유형, 다양한 곡과 ''세코'' 및 ''스트로멘타토'' 레시타티보에 사용된 매우 시적인 언어에서 메타스타시오에게서 영감을 받은 것이 분명하다. 합창, 행진곡, 발레의 스타일은 매우 프랑스적이며, 1막 말에 나오는 난파 장면은 글루크의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아''와 유사한 구조와 극적인 전개를 보인다. 희생과 신탁 장면은 글루크의 ''아울리스의 이피게니아''와 ''알체스테''와 유사하다.[3]
쿠르트 크라머는 바레스코가 칼차비지와 글루크의 작품, 특히 후자의 ''알체스테''에 익숙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바레스코의 가장 극적인 구절에서 볼 수 있는 많은 부분이 칼차비지를 통해 중재된 최신 프랑스 스타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랑스 스타일의 혼합(몇몇 합창을 제외하고)이 글루크와 프랑스를 벗어나 보다 이탈리아적인(''오페라 세리아'') 뿌리로 돌아간 것은 모차르트 덕분이다. 결국, 가수들은 모두 고전적인 이탈리아 스타일로 훈련받았고, 레시타티보도 모두 고전적인 이탈리아 스타일이다.[3]
1786년 빈 상연을 위해 개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오페라에는 다양한 판본이 존재한다.
6. 1.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판본
20세기 초,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이도메네오》를 자신의 음악 스타일로 재해석한 판본을 발표했다. 슈트라우스는 모차르트 악보의 약 1/3을 자신의 음악으로 대체했으며, 심지어 1928년 자신의 오페라 《이집트의 헬레나》에서 "트로이의 몰락" 모티프를 도입하기도 했다.[14] 또한, 남아있는 음악의 상당 부분을 재배치했다. 예를 들어, 일리아의 오프닝 아리아 "Padre, germani, addio!|italic=noit"는 긴 도입 레치타티보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지만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이다만테(이 버전에서는 테너가 부르도록 특별히 쓰여짐)가 등장했을 때 그는 모차르트의 《Non piu, tutto ascoltai, K490》(모차르트가 《이도메네오》의 원래 개정판에 추가한 곡)을 "Non ho colpa|italic=noit" 대신 불렀다.[14]
슈트라우스는 로타 발러슈타인의 독일어 대본을 사용했지만, 음악 재배치를 반영하기 위해 약간의 변경을 가했다. 이와 더불어, 공주 엘레트라를 여사제 이스메네로 바꾸는 등 플롯에도 몇 가지 주요 변경 사항이 있었다.[14] 비평가들은 슈트라우스의 추가 곡들이 고전적인 작곡 스타일과 슈트라우스 특유의 사운드를 흥미롭게 혼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14]
1984년, 뉴욕의 모스틀리 모차르트 페스티벌은 슈트라우스의 버전을 공연했는데, 제리 해들리가 타이틀 롤을, 델로레스 지글러가 이다만테를, 알레산드라 마르크가 이스메네를 맡았다.[14]
6. 2. 현대적 재해석
오늘날 《이도메네오》는 표준 오페라 레퍼토리의 일부로 자리 잡았으며, 여러 음반으로 발매되었고 정기적으로 공연된다.[13]
2006년에는 한스 노이엔펠스가 연출하여 2003년 도이체 오퍼 베를린에서 상연이 취소된 사건과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2006년 이도메네오 논란 참조).
7. 한국에서의 수용과 의의
Idomeneode는 한국에서 자주 공연되는 작품은 아니지만, 바로크 오페라와 고전주의 오페라의 중요한 연결 고리로서 오페라 연구와 공연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17] 특히, 2009년 임선혜가 참여한 음반은 한국 성악가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17] 이 음반에서 임선혜는 일리아 역을 맡았으며, 르네 야콥스가 지휘하고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와 리아스 캄머코어가 연주 및 합창을 맡았다.[17]
이 작품은 권력, 희생, 사랑, 용서와 같은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한국 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과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제공한다.
참조
[1]
IPA
[2]
서적
Mozart and His Opera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간행물
Antike und christliches Mittelalter in Varescos ''Idomeneo'', dem Libretto zu Mozarts gleichnamiger Oper
[4]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The Letters of Wolfgang Amadeus Mozart
https://www.gutenber[...]
New York and Philadelphia
[5]
웹사이트
"''Idomeneo'' (Mozart)"
http://en.tchaikovsk[...] [6]
Neue Mozart-Ausgabe
"Balletmusik zur Oper ''Idomeneo''"
https://dme.mozarteu[...]
2021-05
[7]
웹사이트
Program notes: Mozart: Ballet Music from ''Idomeneo'', K.367
https://www.sfsympho[...]
San Francisco Symphony
2019-06
[8]
웹사이트
Christian Cannabich
http://christermalmb[...] [9]
서적
Haydn, Mozart and the Viennese School: 1740–1780
W. W. Norton
1995
[10]
서적
Essays on Opera, 1750–1800
Routledge
[11]
웹사이트
Musing on Mozart and Studying with Boulanger
https://www.classica[...]
2008-11-27
[12]
서적
Mozart's Letters, Mozart's Life
Norton
[13]
서적
My Road to Opera
Houghton Mifflin
[14]
뉴스
"Music: Strauss's Setting of Mozart's ''Idomeneo''"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5]
Almanacco
[16]
서적
W. A. Mozart: Idomeneo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17]
웹사이트
Source of recordings
http://operadis-oper[...]
2013-02-21
[18]
Netherlands Film Festival
"''Idomeneo'' (1993)"
https://www.filmfest[...] [19]
Met Opera on Demand
"''Idomeneo'' (2017)"
https://www.metopera[...] [20]
웹사이트
Mozart: Idomeneo
https://www.prestomu[...]
2020-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