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아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아모스는 트로이의 마지막 왕으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이름의 어원은 루위아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부 학자들은 그를 윌루사 인근의 군벌 피야마-라두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 프리아모스는 50명의 아들과 많은 딸을 두었으며, 헥토르, 파리스, 카산드라 등이 그의 자녀에 속한다. 그는 트로이 함락 때 아킬레우스의 아들 네오프톨레모스에게 살해당한다. 프리아모스는 문학, 영화, 연극, 미술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묘사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로이아의 왕 - 다르다노스
다르다노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트로이 왕가의 시조로 여겨지는 인물로, 제우스와 엘렉트라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설과 코리토스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으며, 소아시아로 건너가 다르다노스 시를 건설하고 그의 이름은 다르다넬스 해협의 유래가 되었으며, 여러 작곡가들이 그를 주제로 오페라를 작곡했다. - 트로이아의 왕 - 라오메돈
라오메돈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트로이의 왕으로, 아폴론과 포세이돈의 도움을 받아 성벽을 건설했으나 보상을 하지 않아 신들의 분노를 샀고, 헤라클레스에게 죽임을 당한다. - 기원전 12세기 통치자 - 람세스 3세
람세스 3세는 기원전 1186년부터 115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제20왕조의 파라오로, 해양 민족과 리비아인의 침입을 막아 이집트의 안정을 유지했지만 통치 말기 경제적 어려움과 암살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메디넷 하부 신전 등의 건축 사업을 통해 업적을 기념했다. - 기원전 12세기 통치자 - 케스트리노스
케스트리노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안드로마케의 아들이자 몰로소스의 형제로, 몰로소스가 왕위를 계승하자 티아미스 강 북쪽 지역을 점령하여 그 땅이 케스트린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전승과 킴메르 보스포로스의 왕이자 겐게르 왕과 동일 인물로 여겨지는 전승이 있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펜테실레이아
펜테실레이아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한 아마존의 여왕으로, 트로이를 지원하여 용맹을 떨쳤으나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했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여러 문헌과 예술 작품, 후대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프리아모스 | |
---|---|
기본 정보 | |
이름 | 프리아모스 |
로마자 표기 | Priamos |
그리스어 | Πρίαμος |
라틴어 | Priamus |
별칭 | 마지막 트로이 왕 |
신화 체계 | 트로이 |
가계 | |
부모 | 라오메돈과 플라키아 또는 스트리모 (또는 로에오) 또는 제욱시페 또는 레우키페 |
형제자매 | 티토노스, 람포스, 히케타온, 클리티오스, 헤시오네, 킬라, 아스티오케, 프로클리아, 아이틸라, 메데시카스테, 클리토도라 |
배우자 | (1) 헤쿠바 (2) 카스티아네이라 (3) 라오토에 (4) 알렉시르호에 또는 아리스베 (5) 미상 |
자녀 | (1) 헥토르, 파리스, 카산드라, 헬레노스, 데이포보스, 트로일로스, 라오디케, 폴릭세네, 크레우사, 폴리도로스, 폴리테스, 안티포스, 팜몬, 히포노우스, 일리오나 (2) 고르기티온 (3) 리카온 (4) 아이사코스 (5) 기타 |
통치 | |
이전 통치자 | 라오메돈 |
직함 | 트로이의 왕 |
신화 속 역할 | |
역할 | 트로이의 마지막 왕 |
이미지 | |
![]() |
2. 어원
프리아모스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루위아어 어원설, 피야마-라두 동일 인물설, 그리스어 어원설(민간 어원) 등이 있다.
2. 1. 루위아어 어원설
대부분의 학자들은 프리아모스라는 이름의 어원을 루위아어 𒉺𒊑𒀀𒈬𒀀 (Pa-ri-a-mu-a-, "유별나게 용감한")에서 찾는다.[2][3] 이 단어는 키즈와트나의 자즐리파 출신 남성의 이름에서 증명되었다. 유사한 형태가 그리스어로 ''Paramoas''로 기록되어 카파도키아의 카이사레이아 근처에서 발견된다.[4]일부 학자들은 프리아모스를 윌루사 인근에서 활동했던 군벌 피야마-라두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5] 그러나 이 동일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히타이트 기록에서 그가 윌루사에 대항하여 아히야와의 동맹으로 알려져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대중적인 민간 어원은 그리스어 동사 priamai|프리아마이grc(priamai|사다grc)에서 이름을 파생시킨다. 이는 프리아모스의 누이 헤시오네가 헤라클레스에게 베일로 그의 자유를 속죄하여 그를 '산' 이야기에 기인한다.[6] 이 이야기는 ''비블리오테카''와 서기 1~2세기에 만들어진 다른 영향력 있는 신화집에 기록되어 있다.[7]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은 프리아모스 또는 파리야-무와스라는 이름이 처음 언급된 시기보다 훨씬 늦게 기록되었기에 문제가 있다.
2. 2. 피야마-라두 동일 인물설
일부 학자들은 프리아모스를 윌루사 인근에서 활동했던 군벌 피야마-라두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5] 그러나 이러한 동일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히타이트 기록에서 그가 윌루사에 대항하여 아히야와의 동맹으로 알려져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매우 희박하다고 할 수 있다.2. 3. 그리스어 어원설 (민간 어원)
대부분의 학자들은 프리아모스라는 이름의 어원을 루위아어 𒉺𒊑𒀀𒈬𒀀 (Pa-ri-a-mu-a-, "유별나게 용감한")에서 찾는다.[2][3] 이는 키즈와트나의 자즐리파 출신 남성의 이름으로 증명되었다. 유사한 형태가 그리스어로 'Paramoas'로 기록되어 카파도키아의 카이사레이아 근처에서 발견된다.[4]일반적인 민간 어원은 프리아모스라는 이름을 그리스어 동사 priamai|프리아마이grc('사다'라는 뜻)에서 파생시킨다. 이는 프리아모스의 누이 헤시오네가 헤라클레스에게 베일로 그의 자유를 속죄하여 그를 '산' 이야기에 기인한다.[6] 이 이야기는 ''비블리오테카''와 서기 1~2세기에 만들어진 다른 영향력 있는 신화집에 기록되어 있다.[7]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은 프리아모스 또는 파리야-무와스라는 이름이 처음 언급된 시기보다 훨씬 늦게 기록되었기에 문제가 있다.
3. 외모 묘사
말라라스와 다레스 프리기우스는 프리아모스의 외모에 대해 기록을 남겼다. 말라라스는 《연대기》에서 프리아모스를 "당시 시대에 비해 키가 크고, 덩치가 크고, 훌륭하고, 혈색이 좋고, 눈이 밝고, 코가 길고, 눈썹이 마주보고, 눈이 날카롭고, 회색이고, 자제력이 있다"라고 묘사했다.[8] 다레스 프리기우스는 프리아모스가 "잘생긴 얼굴과 듣기 좋은 목소리를 가졌다. 그는 덩치가 크고 거무스름했다"라고 기록했다.[9]
3. 1. 요한 말라라스의 묘사
말라라스의 《연대기》에서 프리아모스는 "당시 시대에 비해 키가 크고, 덩치가 크고, 훌륭하고, 혈색이 좋고, 눈이 밝고, 코가 길고, 눈썹이 마주보고, 눈이 날카롭고, 회색이고, 자제력이 있다"라고 묘사되었다.[8] 한편, 다레스 프리기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잘생긴 얼굴과 듣기 좋은 목소리를 가졌다. 그는 덩치가 크고 거무스름했다"라고 묘사되었다.[9]3. 2. 다레스 프리기우스의 묘사
다레스 프리기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프리아모스는 "잘생긴 얼굴과 듣기 좋은 목소리를 가졌다. 그는 덩치가 크고 거무스름했다"라고 묘사되었다.[9]4. 가족 관계 및 자녀
프리아모스는 여러 부인과 첩을 두어 많은 자녀를 낳았다. 자세한 내용은 프리아모스의 자녀 목록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프리아모스는 약 80세에 네오프톨레모스에게 살해당했다.
4. 1. 주요 자녀
프리아모스는 본처인 헤카베와 프리게아의 왕 디마스의 딸, 그리고 다른 많은 부인과 첩을 통해 50명의 아들과 많은 딸을 두었다고 전해진다. 이 자녀들에는 헥토르, 파리스, 헬레노스, 카산드라, 데이포보스, 트로일로스, 라오디케, 폴릭세나, 크레우사, 폴리도로스와 같은 유명한 신화 속 인물들이 포함된다.
4. 2. 가계도
프리아모스는 헤카베, 디마스의 딸 등 여러 부인과 첩을 통해 50명의 아들과 많은 딸을 두었다고 전해진다. 이 자녀들에는 헥토르, 파리스, 헬레노스, 카산드라, 데이포보스, 트로일로스, 라오디케, 폴릭세나, 크레우사, 폴리도로스와 같은 유명한 신화 속 인물들이 포함된다.5. 생애
프리아모스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아마존과의 전투에서 프리기아의 왕 미그돈을 도왔다고 언급된다. 헥토르가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한 후, 프리아모스는 아킬레우스에게 아들의 시신을 돌려달라고 간청한다. 아킬레우스는 프리아모스의 간청에 감동하여 헥토르의 시신을 돌려주고, 양측은 임시 휴전에 합의한다. 이후 프리아모스는 트로이 함락 때 아킬레우스의 아들 네오프톨레모스에게 죽임을 당한다.[11]
5. 1. 아마존과의 전투 지원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3권에서 프리아모스는 헬레네에게 자신이 과거 아마존과의 전투에서 프리기아의 왕 미그돈을 도왔다고 말한다.5. 2. 헥토르의 죽음과 시신 수습
헥토르가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하자 아킬레우스는 헥토르의 시신을 존중하지 않고 돌려주기를 거부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24권에 따르면, 제우스는 헤르메스를 보내 헥토르의 아버지이자 트로이의 왕인 프리아모스를 그리스 진영으로 안내했다. 프리아모스는 아킬레우스에게 눈물로 아들의 시신을 돌려달라고 간청하며, 아킬레우스의 아버지 펠레우스를 떠올리게 했다. 프리아모스는 "나는 세상에 그 누구도 전에 겪어보지 못한 일을 겪었소. 내 아들을 죽인 자의 손에 입을 맞췄소."[10]라며 자비를 구했다. 아킬레우스는 감동하여 헥토르의 시체를 돌려주고, 양측은 임시 휴전에 합의했다. 아킬레우스는 프리아모스에게 헥토르의 장례식을 치르고 장례 경기를 열도록 허락하며, 최소 9일 동안은 그리스인들이 전투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러나 열두 번째 날, 전쟁은 재개될 것이었다.5. 3. 트로이 함락과 죽음
헥토르가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하자 그리스의 전사는 헥토르의 시신을 존중하지 않고 돌려주기를 거부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24권에 따르면, 제우스는 신 헤르메스를 보내 헥토르의 아버지이자 트로이의 통치자인 프리아모스 왕을 그리스 진영으로 안내한다. 프리아모스는 아킬레우스에게 눈물로 아들 잃은 아버지에게 자비를 베풀어 헥토르의 시신을 돌려달라고 간청하며, 아킬레우스 자신의 아버지인 펠레우스를 떠올리게 한다. 프리아모스는 아킬레우스에게 "나는 세상에 그 누구도 전에 겪어보지 못한 일을 겪었소. 내 아들을 죽인 자의 손에 입을 맞췄소."[10]라고 말하며 자비를 구한다. 깊이 감동한 아킬레우스는 마음을 풀고 헥토르의 시체를 트로이인에게 돌려준다. 양측은 임시 휴전에 합의했고, 아킬레우스는 프리아모스에게 헥토르의 장례식을 제대로 치르고 장례 경기를 열도록 허락한다. 그는 어떤 그리스인도 적어도 9일 동안 전투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지만, 열두 번째 평화의 날에 그리스인들은 다시 일어설 것이고 강력한 전쟁은 계속될 것이다.프리아모스는 트로이 함락 동안 아킬레우스의 아들 네오프톨레모스(일명 피로스)에게 살해된다. 그의 죽음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2권에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베르길리우스의 묘사에서 네오프톨레모스는 먼저 프리아모스의 아들 폴리테스를 제우스 제단에서 피난처를 구하는 아버지 앞에서 죽인다. 프리아모스는 네오프톨레모스를 꾸짖고 창을 던졌지만 해를 입히지 못하고 그의 방패를 맞춘다. 그러자 네오프톨레모스는 프리아모스를 제단으로 끌고 가 그곳에서 그를 죽인다. 프리아모스의 죽음은 일부 그리스 화병에도 묘사되어 있다. 이 버전에서 네오프톨레모스는 프리아모스의 어린 손자 아스티아낙스의 시신으로 프리아모스를 때려 죽인다.[11]
6. 문화적 묘사
프리아모스는 회화, 영화, TV 드라마, 연극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졌다. 특히 그의 아들 헥토르의 죽음과 관련된 장면들이 많이 묘사되었다.
6. 1. 영화
- 헬렌 오브 트로이 - 세드릭 하드위크(Cedric Hardwicke)가 연기.
- 트로이의 목마 - 카를로 탐베를라니(Carlo Tamberlani)가 연기.
- 트로이 - 피터 오툴(Peter O'Toole)가 연기.
- 트로이: 몰락한 도시 - 데이비드 델펄(David Threlfall)가 연기.
6. 2. TV 드라마
헬렌 오브 트로이에서 존 리스 데이비스(John Rhys-Davies)가 연기했다.6. 3. 연극
- 연극 ''트로이 사람들''에서 프리아모스 왕은 조연으로 등장한다.
- ''프리아모스 왕''이라는 연극 작품이 있다.
6. 4. 미술
참조
[1]
웹사이트
Priam {{!}} Myth, Significance, & Trojan War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3-30
[2]
논문
Troia im Kontext des historisch-politischen und sprachlichen Umfeldes Kleinasiens im 2. Jahrtausend
[3]
서적
Die hethitische Literatur: Texte, Stilistik, Motive
https://books.google[...]
[4]
논문
The Language of the Trojans
Bryn Mawr Commentaries
[5]
논문
A Tale of Two Cities
[6]
서적
The Penguin Book of Classical Myths
Penguin Books
[7]
서적
Library
http://www.perseus.t[...]
[8]
서적
Chronography
https://topostext.or[...]
[9]
서적
History of the Fall of Troy
https://www.theoi.co[...]
[10]
서적
The Iliad
Penguin Books
[11]
서적
Lexicon Iconographicum Mythologiae Classicae
[12]
서적
아폴로도로스, 2권 6・4
[13]
서적
아폴로도로스, 3권 12・3
[14]
서적
아폴로도로스, 3권 12・5
[15]
서적
『イーリアス』24巻250行
[16]
서적
『イーリアス』24巻251行
[17]
서적
아폴로도로스, 摘要(E)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