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란국방산업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국방산업기구(DIO)는 이란의 군수 산업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1981년 설립되어 테헤란에 본사를 두고 있다. 팔라비 왕조 시기 군수 산업 기구(MIO)로 시작하여, 이란 혁명 이후 국방산업기구(DIO)로 재편되었다. DIO는 자체적으로 전차, 장갑차, 미사일, 잠수함, 전투기 등을 생산하며, 2006년 기준으로 57개국에 무기를 수출했다. 미국, 독일 등 여러 국가에서 DIO와 관련된 불법 무기 거래 및 제재 논란이 있었으며, 멜라트 은행 서울지점이 관련되어 한국 정부가 제재를 받기도 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란의 무기 수출을 금지하는 제재를 부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 -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20년 이란 북부 길란 지역에 적군의 지원으로 수립된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공산당과 장갸리 운동의 연립으로 시작하여 좌익 쿠데타를 거쳤으나, 볼셰비키 정책 변화, 내부 갈등, 정부군 진압으로 1921년 붕괴되었다.
이란국방산업기구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 (한국어)국방산업기구
명칭 (로마자)Sâzmân-e Sanâye'-e Defâ'-e Jomhuri-ye Eslâmi-ye Iran
유형국영 기업
산업 분야국방 (군사)
역사
설립일1981년
위치 정보
본사 위치 (도시)테헤란
본사 위치 (국가)이란
서비스 제공 지역이란, 이라크
조직
소유주국방부 (100%)
직원 수35,000명 이상
제품 및 서비스
제품탄약
소화기
포병
폭발물
전투 차량
해군 함정
민간 및 군용 항공우주
방위 전자 제품
서비스(정보 없음)

2. 역사

이란국방산업기구의 깃발


이란국방산업기구(DIO)는 1981년에 설립되었으며, 이란 수도 테헤란에 본사를 두고 있다.

1987년, 이란 국방산업기구(DIO)는 민간-군인 혼합 이사회와 실제 관리 및 계획 활동을 담당하는 전무이사(managing director)의 지배를 받았다. DIO 이사는 군수 담당 국방부 차관에게 책임을 지지만, 모든 DIO 운영에 대한 최종 책임은 SDC 의장 자격의 이란 대통령에게 있었다.

1992년 이후 자체적으로 전차, 장갑차, 미사일, 잠수함 및 전투기를 생산해 왔다.[7]

현재 DIO는 35,000명 이상의 직원을 두고 있으며, 이 중 30%가 대학 졸업자이다. 또한 이란의 중요한 군사 산업을 이끄는 핵심 조직이다.

2. 1. 설립 이전

1963년 이전 이란의 군수 산업은 여러 독립된 공장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란의 군수 산업은 팔라비 왕조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치하에서 시작되었다. 1973년에는 외국의 무기 조립 및 수리 노력을 조직하기 위해 이란 전자 산업(IEI)이 설립되었다.[1][2] 이란 이슬람 혁명 이전 이란의 무기는 대부분 미국과 유럽에서 수입되었다. 1971년부터 1975년 사이에 는 무기 구매에 열을 올려, 미국에서만 80억달러에 달하는 무기를 주문했다. 이는 미국의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고, 1976년에는 무기 수출에 관한 1968년 법률을 강화하여 무기 수출 통제법으로 개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1979년 이슬람 혁명까지 이란에 대량의 무기를 계속 판매했다.[3]

모하마드 레자 샤는 이란의 군사력을 전면 개편하기 위한 초기 노력의 일환으로 군수 산업 기구(MIO)의 창설을 명령했다. 국방군수부 산하 조직으로 운영되면서 MIO는 이란 내 모든 군수 생산을 감독했다. 이후 15년 동안 군수 공장은 소형 화기 탄약, 배터리, 타이어, 구리 제품, 폭발물, 박격포탄 및 신관을 생산했다. 또한 서독의 라이선스를 받아 소총기관총을 생산했다. 게다가 기술 지식을 이란으로 이전하기 위해 수입된 키트를 이용하여 헬리콥터, 지프, 트럭, 트레일러를 조립했다. 또한 이 기구는 연구 개발을 담당했으며, 1979년에는 여러 소련군 RPG-7, BM-21, SAM-7 미사일을 역설계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4]

이란 혁명은 MIO의 모든 군사 활동을 중단시켰다. 당시의 격변으로 인해 MIO는 외국 전문가와 기술자 없이는 운영할 수 없게 되었고, 1981년까지는 경영 능력과 산업 시설에 대한 통제력을 상당 부분 상실했다.[5]

2. 2. 설립과 발전

이란의 군수 산업은 팔라비 왕조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시대에 시작되었다. 1973년 외국의 무기 조립 및 수리 노력을 조직하기 위해 이란 전자 산업(IEI)이 설립되었다.[1][2] 1971년부터 1975년 사이에 샤는 미국에서만 800억달러에 달하는 무기를 주문했다. 미국은 1976년에 무기 수출 통제법을 제정했지만, 1979년 이란 혁명까지 이란에 대량의 무기를 계속 판매했다.[3]

모하마드 레자 샤는 군사력 전면 개편의 일환으로 군수 산업 기구(MIO) 창설을 명령했다. MIO는 국방군수부 산하 조직으로 운영되며 이란 내 모든 군수 생산을 감독했다. 초기 15년 동안 군수 공장은 소형 화기 탄약, 배터리, 타이어, 구리 제품, 폭발물, 박격포탄 및 신관을 생산했다. 또한 서독의 라이선스를 받아 소총기관총을 생산하고, 헬리콥터, 지프 등을 조립했다. 이 기구는 연구 개발도 담당하여, 1979년에는 소련군RPG-7, BM-21, SAM-7 미사일을 역설계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4]

이란 혁명은 MIO의 모든 군사 활동을 중단시켰다. MIO는 외국 전문가와 기술자 없이는 운영할 수 없게 되었고, 1981년까지 경영 능력과 산업 시설에 대한 통제력을 상당 부분 상실했다.[5]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 발발과 서방의 무기 금수 조치는 MIO 재편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81년 말, 이란 혁명 정부는 MIO 부서들을 통합하여 국방 산업 기구(DIO) 산하로 배치했다. DIO는 이때부터 모든 생산, 연구 및 개발을 감독하게 되었다.

이란 혁명 수비대는 국내 군수 산업 재편을 맡았다. 이들의 지휘 하에 이란의 군수 산업은 급격히 확장되었고, 국방부가 미사일 산업에 투자하면서 이란은 곧 미사일 무기고를 갖게 되었다.[6]

2. 3. 국제 제재와 논란

1996년 12월, 독일 당국은 DIO 뒤셀도르프 지사를 급습하여 이란인 직원들을 모두 본국으로 축출했으며, 이란에 미사일 부품을 제공한 것으로 보이는 몇몇 독일 회사들에 대한 수색작업도 벌였다. 1997년 9월 10일, 독일 세관당국은 이란군 산하 '방위산업기구'(DIO)가 독일 뒤셀도르프 지사를 통해 불법으로 무기를 구입해왔다고 발표했다. 완제품이 아니라 부품을 여러 나라로부터 구입해 이란에서 조립하는 방식이었다.

2007년, 이란 핵 프로그램 관련 사건 이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란이 어떠한 형태의 무기도 수출하는 것을 금지하는 대 이란 제재를 부과했다.[8]

2009년 4월, 미국 뉴욕 검찰청은 이란과 핵무기 개발용 재료를 거래하는 등 모두 118개 혐의로 중국 기업인 리팡웨이를 기소했다. 검찰은 2006년~2008년 리팡웨이와 다롄 소재 무역회사 림트(LIMMT) 이코노믹&트레이드사가 이란 국방산업기구(DIO)와 불법적으로 거래했다고 밝혔다.[9]

2013년 1월 23일, 예멘 당국은 미국 해군과 공조해 아라비아반도 남쪽 영해에서 각종 무기를 은닉한 이란 선박을 나포했다. 2005년에 제조된 중국산 열추적 방공 미사일 'QW-1M' 10기가 실려 있었다. 중국 국영 CPMIEC의 공장에서 제조된 것이다. CPMIEC는 이란과 파키스탄에 미사일 등 무기를 팔았다는 이유로 미국 정부의 제재를 받고 있다. 자동소총 탄약통 31,600여 개도 발견됐는데, 탄약통이 이란국방산업기구(DIO)의 제품과 매우 유사했다. 무기는 후티 반군에게 전달될 예정이었다.

2. 3. 1. 한국과의 관계

2007년 10월, 이란 국방산업기구(DIO)와 연관된 이란 기업과 한국 기업 간 거래에 멜라트 은행 서울지점이 관여했다. 같은 해 11월, 이란 기업인 홍콩일렉트로닉스는 이란 파르시안 은행 계좌에서 총 250만달러를 세 차례에 걸쳐 멜라트 은행 서울지점으로 송금했다. 홍콩일렉트로닉스는 북한 무기 수출의 금융지원을 담당하는 북한 단천은행의 페이퍼 컴퍼니이다.[9]

2009년 5월 12일, 미국 국무부는 한국 정부에 멜라트 은행 서울지점의 자산 동결을 요구했다. 2010년 9월, 한국 정부는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 이행의 일환으로 멜라트 은행 서울지점에 대해 정부 사전허가 없는 금융거래 금지 등의 제재 조치를 취했다.[10]

3. 운영

1987년, 이란 국방산업기구(DIO)는 민간인과 군인이 섞인 이사회와 실제 관리 및 계획 활동을 담당하는 전무이사(managing director)의 지배를 받았다. DIO 이사는 군수 담당 국방부 차관에게 책임을 졌지만, 모든 DIO 운영에 대한 최종 책임은 SDC 의장 자격의 이란 대통령에게 있었다.[7]

1992년 이후 이란 국방산업기구는 자체적으로 전차, 장갑차, 미사일, 잠수함 및 전투기를 생산해 왔다.[7]

현재 DIO는 35,000명 이상의 직원을 두고 있으며, 이 중 30%가 대학 졸업자이다. 또한 이란의 중요한 군사 산업을 이끄는 핵심 조직이다.

2007년, 이란 핵 프로그램 관련 사건 이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란이 어떠한 형태의 무기도 수출하는 것을 금지하는 대 이란 제재를 부과했다.[8]

참조

[1] 웹사이트 Iran Electronics Industries (IEI) http://www.ieicorp.c[...] 2008-07-20
[2] 웹사이트 NTI: Country Overviews: Iran: Missile Chronology http://www.nti.org/e[...] 2014-11-11
[3] 웹사이트 A Code of Conduct for Weapons Sales Video Transcript http://www.cdi.org/a[...]
[4] 웹사이트 NTI: Country Overviews: Iran: Missile Chronology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Defense Industries Organization (DIO) - Iran Special Weapons Agencies http://www.globalsec[...] 2015-01-17
[6] 웹사이트 Dar Al Hayat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FOXNews.com - Iran Launches Production of Stealth Sub - U.S. & World http://www.foxnews.c[...] 2008-07-20
[8] 뉴스 https://www.washingt[...]
[9] 뉴스 美검찰, 이란과 핵 재료 거래 中기업 기소 서울신문 2009-04-09
[10] 뉴스 "北, 이란銀 서울점 통해 무기대금 받아"(종합2보) 연합뉴스 2011-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