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마뼈는 머리뼈의 일부로, 크게 비늘 부분, 눈확 부분, 코 부분으로 나뉜다. 비늘 부분은 이마를 형성하며, 눈확 부분은 눈확과 코 안쪽 천장에 관여한다. 코 부분은 눈썹 활 사이에 위치하며 코뼈, 눈물뼈, 위턱뼈와 연결된다. 이마뼈는 두정골, 코뼈, 위턱뼈, 벌집뼈, 나비뼈, 광대뼈, 눈물뼈와 관절하며, 발생 과정에서 신경능 세포에서 유래하여 두 개의 일차 중심으로부터 골화된다. 출생 시에는 두 조각으로 나뉘어 이마 봉합을 이루지만, 성장하면서 사라진다. 이마뼈는 척추동물에서 쌍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공룡의 두개골 지붕을 이루는 주요 뼈이기도 하다. 눈썹활은 이마뼈의 융기로, 눈 위에 위치하며, 성별, 인종, 개인에 따라 융기 정도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마뼈 | |
|---|---|
| 개요 | |
![]() | |
![]() | |
| 라틴어 | os frontale |
| 연결 | 접형골 사골 두 개의 두정골 두 개의 비골 두 개의 상악골 두 개의 누골 두 개의 관골 |
| 상세 정보 | |
| 영어 이름 | Frontal bone |
| 라틴어 이름 | os frontale |
| AnatomographyPartsID | FMA52734 |
| DA | 해당 정보 없음 |
| MeshName | Frontal+Bone |
| 그레이 해부학 | 33 |
| 그레이 해부학 단락 | 해당 정보 없음 |
2. 구조
이마뼈는 비늘 부분, 눈확 부분, 코 부분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비늘 부분은 수직적이고 평평하며 가장 크고 이마의 주요 영역이다. 눈확 부분은 수평적이고 눈확과 코 안쪽 천장을 형성한다. 코 부분은 눈썹 활 사이에 위치하며, 아래쪽으로는 코뼈, 가쪽으로는 눈물뼈와 위턱뼈와 연결되는 톱니 모양의 '''코 패임'''으로 끝난다. 이마뼈는 머리뼈 앞쪽 아래에 있는 사다리꼴 모양 뼈로, 태아기에는 좌우 대칭이지만 소아기 이후에는 좌우가 유합된다.[1]
| 부분 | 설명 |
|---|---|
| 이마 비늘 | 이마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조개껍질 모양 부분. |
| 코 부분 | 이마뼈 아래쪽 중앙에서 아래로 돌출된 부분. |
| 눈확 부분 | 코 부분 양쪽에 있으며, 눈확 위쪽 벽을 형성한다. |
| 이마동 | 비늘 부분 아래쪽에서 눈확 부분에 걸쳐 있는 한 쌍의 납작한 빈 공간. |
2. 1. 이마 비늘 (Squama frontalis)
이마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조개껍질 모양 부분으로, 수직적이고 평평하며 가장 큰 부분이자 이마의 주요 영역이다.[1]2. 2. 눈확 부분 (Pars orbitalis)
이마뼈의 눈확 부분은 이마뼈에서 수평적인 부분으로, 눈확과 코 안쪽 천장의 형성에 관여한다. 이 부분은 코 부분의 양쪽에 있으며, 눈확의 위쪽 벽을 형성한다.2. 3. 코 부분 (Pars nasalis)
코 부분은 눈썹 활 사이에 위치하며, 아래쪽으로는 코뼈와, 가쪽으로는 눈물뼈와 위턱뼈와 연결되는 톱니 모양의 '''코 패임'''으로 끝난다.[1]3. 경계
이마뼈는 마루뼈, 코뼈, 위턱뼈, 벌집뼈, 나비뼈, 광대뼈, 눈물뼈와 각각 2개씩, 벌집뼈와는 1개씩 관절한다.
3. 1. 비늘 부분 경계
비늘 부분의 경계는 두껍고 강하게 톱니 모양이며 위쪽은 마루뼈과, 아래쪽은 나비뼈의 큰 날개와 연결된다.[4]3. 2. 눈확판 뒤쪽 경계
얇고 톱니 모양이며, 나비뼈의 작은 날개와 연결된다.[1]4. 발생
이마뼈는 신경능 세포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3] 가시돌기는 중간선 양쪽에 있는 한 쌍의 이차 중심으로부터 골화되며, 유사한 중심은 코 부분과 광대뼈 돌기에 나타난다.
4. 1. 막내 골화
이마뼈는 막 내에서 골화되며, 각각의 눈확 위 가장자리 위에서 두 번째 달 말경에 나타난다. 각 중심으로부터 골화는 위로 확장되어 비늘의 해당 절반을 형성하고, 뒤로 확장되어 눈확판을 형성한다.[3]4. 2. 이마 봉합 (Sutura frontalis)
태아 시기와 출생 직후에 이마뼈는 좌우 두 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두 이마뼈가 봉합한 흔적을 이마봉합(frontal suture영어)이라 한다.[3] 영어로는 이마봉합이 특별히 현저한 경우 metopic suture라고 구분하지만 한국어로는 둘 다 이마봉합이라고 한다. 출생 시 이마뼈는 이마 봉합에 의해 분리된 두 조각으로 구성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여덟 살까지, 특히 아래쪽 부분을 제외하고는 막내 골화에 의해 소실되지만 때때로 평생 지속된다.4. 3. 이마굴 (Sinus frontalis)
이마굴의 발달은 일반적으로 생후 1~2년에 시작되지만, 출생 시에 시작될 수도 있다.[3] 이마굴은 7~8세까지 상당한 크기에 이르지만, 사춘기가 지나야 완전히 발달한다.[3]5. 관절
이마뼈는 마루뼈 2개, 코뼈 2개, 위턱뼈 2개, 벌집뼈 1개, 나비뼈 1개, 광대뼈 2개, 눈물뼈 2개와 관절한다.
6. 다른 동물
대부분의 척추동물에서 이마뼈는 사람과 달리 한 덩어리로 융합되지 않고 쌍으로 존재한다(이마봉합 참조). 이마뼈는 보통 머리 윗부분, 눈 사이에 위치하지만, 포유류가 아닌 많은 동물에서는 눈구멍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파충류, 경골어, 양서류의 경우, 이마뼈는 포유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추가 뼈에 의해 눈구멍과 분리되기도 한다. 이러한 뼈인 전두개골과 후두개골은 눈구멍의 위쪽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이마뼈의 양쪽에 위치한다.
6. 1. 공룡
이마뼈는 공룡 두개골에서 쌍을 이루는 주요 정중선 뼈 중 하나이다. 이 뼈는 뇌, 눈, 콧구멍을 덮는 뼈인 두개골 지붕의 일부이다. 이마뼈는 두개골의 다른 여러 뼈와 접촉하는데, 앞쪽 부분은 코뼈 및 앞머리뼈와 연결되고, 뒤쪽 부분은 눈확뒤뼈 및 마루뼈와 연결된다. 이 뼈는 눈확 위쪽 가장자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룬다.7. 부위
이마뼈는 머리뼈를 구성하는 뼈 중 하나로, 이마 부위를 형성한다. 이마뼈의 주요 부위로는 눈썹활이 있으며, 안와 위쪽 가장자리에 활 모양으로 융기된 부분이다. 눈썹이 자라는 영역이며, 남성이 여성보다 더 융기되어 있다.
7. 1. 눈썹활 (Arcus superciliaris)
눈썹활(superciliary arch영어)은 이마뼈의 일부로, 안와 위쪽 가장자리에 좌우로 분리되어 활 모양으로 융기된 부분을 말한다.[5] '눈썹위활'이라고도 한다.사람의 이마뼈에서 눈썹활은 이마와 안와 사이에서 활 모양을 그리며, 좌우 눈 위에 각각 하나씩 자리한다.[5] 좌우 눈썹활 사이에는 미간이라는 약간 융기된 부분이 있다.[6] 눈썹활은 안와상융기에서 진화된 구조이며, 눈썹활이 덮고 있는 피부 영역에는 눈썹이 자란다.
7. 1. 1. 눈썹활의 특징
눈썹활의 융기 정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여성보다 남성에서 융기가 강한 경향이 있다.[7] 발달 과정에서 융기 정도는 변화하며, 특히 남성의 사춘기에는 크게 융기한다.[8] 초기 인류는 현생 인류보다 융기 정도가 훨씬 크며,[9] 인종적, 개인적 차이도 커서 얼굴의 "깊은 조각"과도 관련되어 있다.병리학적으로는 말단비대증에서 눈썹활의 팽륭(두드러지게 튀어나옴)이 나타난다.[10]
7. 1. 2. 눈썹활의 역할
눈썹활의 역할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과거에는 교합력 수용, 안와-뇌두개 결합 등의 가설이 제기되었으나, 현재는 이러한 가설들을 부정하는 검증 결과가 나와 명확한 역할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11]참조
[1]
서적
Gray's Anatomy
1918
[2]
서적
Gray's Anatomy E-Book: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5-08-07
[3]
논문
Role of neural crest in congenital heart disease
[4]
서적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5]
인용
[6]
인용
[7]
인용
[8]
간행물
精巣機能とその異常 ~精巣機能障害と男性不妊症~
https://web.sapmed.a[...]
札幌医科大学講義
2023
[9]
뉴스
人類の顔の進化で眉ができあがった
https://www.natureas[...]
Nature Japan
2018
[10]
웹사이트
クッシング病(下垂体性ACTH分泌亢進症)(指定難病75)
https://www.nanbyou.[...]
難病情報センター
2024-09-02
[11]
뉴스
人類の顔の進化で眉ができあがった
https://www.natureas[...]
Nature Japan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