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복은 촉한의 관료로, 유비, 유선 시대를 거치며 서좌, 현령, 태수, 상서복야 등을 역임했다. 제갈량이 오장원에서 위독해지자 유선의 명을 받고 그를 찾아가 국가 대계에 대한 조언을 들었으며, 장완과 비의를 후임으로 추천받았다. 장완이 한중에 주둔할 때 전감군 겸 사마를 맡았으며, 양희, 진수, 상거 등의 기록에서 과예한 인물로 칭찬받았다.

2. 생애

이복은 유비익주를 평정한 후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유비 사후 유선이 촉한을 계승한 이후에도 여러 요직을 거치며 능력을 인정받았다.

234년(건흥 12년)[23] 제갈량이 오장원에서 병을 얻자, 유선의 명을 받고 그를 방문하여 국가 대계와 후계 문제에 대한 조언을 들었다. 제갈량은 자신의 후임으로 장완을, 그 다음 후임으로 비의를 추천했다. 이복이 그 다음 후임자에 대해 묻자 제갈량은 답하지 않았다.[7]

연희 초, 대장군 장완한중에 주둔할 때 전감군 겸 사마를 맡았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20] 양희의 『계한보신찬』, 진수의 『익부기구잡기』, 상거의 『화양국지』에서는 모두 이복을 "과예[21]"한 인물로 칭찬하고 있다.

2. 1. 초기 생애

이복은 늦은 후한 시대에 현재의 쓰촨성 몐양시인 쯔퉁군 부현(涪縣)에서 태어났다.[1] 이씨는 부현의 유력 가문(호족) 중 하나였다.[14] 아버지 이권은 임공현장을 역임했지만,[15] 초평 2년(191년)에 유언에게 살해당했다.[16]

2. 2. 유비 시대

유비익주를 평정한 후, 이복은 그 밑에서 서좌(書佐), 서충국현장(西充國縣長), 성도현령(成都縣令)을 역임하였다.[3] 書佐|서좌중국어는 문서를 담당하는 하급 관리직이며, 현장은 현의 책임자이다.

2. 3. 유선 시대

유비익주를 평정한 후, 이복은 서좌, 서충국현장, 성도현령을 역임하였다. 유선이 촉한을 계승한 후에는 파서태수, 강주독, 양위장군을 지냈고 상서복야에 임명되었으며 평양정후에 봉해졌다.[23]

234년(건흥 12년),[19] 제갈량이 오장원에서 병이 들자, 유선의 명으로 제갈량을 찾아가 국가의 큰 계획과 후임자에 대한 조언을 들었다. 제갈량은 자신의 후임으로 장완을, 장완의 후임으로는 비의를 추천하였다. 이복이 그다음 후임자를 묻자 제갈량은 대답하지 않았다.[7]

연희 초, 대장군 장완한중에 주둔할 때 이복은 전감군 겸 사마를 맡았다.[20]

3. 평가

정무 처리가 예민하면서도 과단성이 있어 촉나라의 향기가 되었다.[9] 촉나라의 관리 양희는 《계한보신찬》(季漢輔臣贊, 241년 출판)에서 이부를 "결단력 있고 통찰력 있다"고 칭찬했는데, 이 책은 촉나라에서 활동한 저명한 인물들을 칭찬하는 모음집이었다.[9] 《이부기구잡기》(異部耆舊雜記) 또한 이부가 "능력 있고, 통찰력 있으며, 결단력 있고, 통찰력 있으며, 정치에 능하다"고 기록했다.[10]

4. 삼국지연의

사서가 아닌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도 제갈량이 임종을 맞이할 때 문안을 가고, 유선에게 제갈량의 사망을 알린다.

5. 가계


  • 아버지 : 이권(李權) - 자는 백예(伯豫)이며 유력 호족으로 임공현장(臨邛縣長)의 자리에 있었다.[24] 권력을 다지던 익주목 유언에게 숙청당했다.[25]
  • 본인 : 이복
  • 아들 : 이양(李驤) - 자는 숙룡(叔龍)이며 상서랑(尙書郞)과 광한태수를 지냈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이름이 났다.[13]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Sanguozhi
[3] 서적 Sanguozhi
[4] 서적 Yi Bu Qijiu Zaji
[5] 서적 Yi Bu Qijiu Zaji
[6] 서적 Yi Bu Qijiu Zaji
[7] 서적 Yi Bu Qijiu Zaji
[8] 서적 Sanguozhi
[9] 서적 Sanguozhi
[10] 서적 Yi Bu Qijiu Zaji
[11] 서적 Yi Bu Qijiu Zaji
[12] 서적 Sanguozhi
[13] 서적 Yi Bu Qijiu Zaji
[14] 서적 華陽国志 https://s:zh:華陽國志/卷二[...]
[15] 서적 三国志 https://s:zh:三國志/卷31[...]
[16] 서적 資治通鑑 https://s:zh:資治通鑑/卷0[...]
[17] 서적 華陽国志, 三国志
[18] 서적 華陽国志, 三国志
[19] 서적 三国志 https://s:zh:三國志/卷35[...]
[20] 서적 華陽国志 https://s:zh:華陽國志/卷七
[21] 웹사이트 果鋭(かえい)とは? 意味や使い方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024-04-14
[22] 서적 속한지
[23] 서적 삼국지
[24] 서적 익부기구잡기
[25] 서적 삼국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