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완은 촉한의 정치가로, 유비, 제갈량을 섬기며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제갈량 사후 촉한의 국정을 총괄하며 대장군, 대사마를 역임했다. 그는 제갈량의 후계자로 인정받았으며, 촉한의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장완은 온화하고 합리적인 성품으로 평가받았으며, 긍정적, 비판적 평가가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46년 사망 - 동윤
동윤은 촉한의 관료로서 유선 황태자를 보좌하며 제갈량의 신임을 받아 내정을 담당했고 환관 황호의 권력 확장을 억제했으며 장완 사후 상서령에 임명되어 국정을 총괄했다. - 촉한의 섭정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촉한의 섭정 - 동윤
동윤은 촉한의 관료로서 유선 황태자를 보좌하며 제갈량의 신임을 받아 내정을 담당했고 환관 황호의 권력 확장을 억제했으며 장완 사후 상서령에 임명되어 국정을 총괄했다. - 촉한의 정후 - 관흥
관흥은 삼국시대 촉한의 장수로 관우의 아들이며, 아버지 사후 한수정후 작위를 계승하고 제갈량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시중·중감군에 임명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한 인물이다. - 촉한의 정후 - 위연
위연은 유비의 익주 공략에 참여하고 한중 태수를 역임하며 중문지계로 한중 방어에 기여했으나, 제갈량 사후 양의와 갈등을 겪다 마대에게 죽임을 당한 촉나라의 장군이다.
장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장완 |
원어 이름 | 蔣琬 |
로마자 표기 | Jiang Wan |
![]() | |
출생 | 생년 미상 |
출생지 | 후난성샹샹시 |
사망 | 246년 11월 또는 12월 |
사망지 | 쓰촨성몐양시 |
묻힌 곳 | 쓰촨성몐양시 |
가족 관계 | 류민 (사촌) 반준 (친척) |
자녀 | 장빈 장선 |
직업 | 군인, 정치인, 섭정 |
시호 | 공후 (恭侯) |
작위 | 안양정후 (安陽亭侯) |
시호 (로마자 표기) | Gong Hou |
작위 (로마자 표기) | Anyang Ting Hou |
자 | 공염 (公琰) |
자 (로마자 표기) | Gongyan |
관직 | |
대사마 | 재임: 239년 4월 또는 5월 ~ 246년 11월 또는 12월 |
주군 | 유선 |
녹상서사 | 재임: 235년 5월 ~ 243년 11월 또는 12월 |
주군 | 유선 |
전임자 | 제갈량 |
후임자 | 비의 |
대장군 | 재임: 235년 5월 ~ 243년 11월 또는 12월 |
주군 | 유선 |
후임자 | 비의 |
익주자사 | 재임: 234년 ~ 244년 |
주군 | 유선 |
전임자 | 제갈량 (태수로서) |
후임자 | 비의 |
도호 (대행) | 재임: 234년 ~ 235년 5월 |
주군 | 유선 |
상서령 | 재임: 234년 ~ 235년 5월 |
주군 | 유선 |
후임자 | 비의 |
2. 생애
장완은 젊은 시절부터 유비를 섬기며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유비를 따라 익주로 들어갔으며, 익주 점령 이후에는 광도현의 현령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유비가 광도현을 방문했을 때 업무를 소홀히 하고 술에 취해 있는 모습이 발각되어 처벌받을 위기에 처했으나, 제갈량의 변호로 면직되는 데 그쳤다. 이후 스팡 현령으로 복직했고, 유비가 한중왕이 되자 상서랑에 임명되었다.
223년 제갈량이 승상부를 개설하면서 장완은 동조연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참군으로 승진했다. 227년부터 제갈량이 북벌을 시작했을 때 장완은 장사 장익과 함께 성도에 남아 정치·군사를 담당하며 제갈량의 북벌을 지원했다. 제갈량은 장완의 능력과 충성심을 높이 평가하여 유선에게 자신이 죽은 뒤에는 장완에게 후사를 맡기라고 비밀리에 건의하기도 했다.
234년 제갈량이 사망하자 장완은 그의 유지를 받들어 상서령이 되었고, 곧 도호를 대행하며 익주자사를 겸임하게 되었다. 이후 대장군, 녹상서사를 지냈으며 안양정후로 봉해졌다. 제갈량 사후 촉한의 국정을 총괄하게 된 장완은, 제갈량의 북벌 실패 원인을 분석하여 한수를 이용한 새로운 북벌 계획을 구상했지만, 건강 문제와 신하들의 반대로 인해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장완은 평소 앓고 있던 지병이 악화되어 연희 9년(246년)에 세상을 떠났고, 유선은 그에게 공(恭)이라는 시호를 내렸다.[33]
장완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뛰어난 면모를 보였다. 동조연 벼슬에 있던 양희(楊戱)가 장완과 대화를 나눌 때 항상 응답하지 않자, 어떤 사람이 양희를 헐뜯으며 장완에게 그를 질책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장완은 "사람의 마음이 다른 것은 사람마다 얼굴이 다른 것과 같다"며 양희를 변호했다. 또한 독농 양민(楊敏)이 장완을 비방했을 때도, 장완은 자신을 낮추며 양민에게 죄를 묻지 않았다. 후에 양민이 사건에 연루되어 감옥에 갇혔을 때도 장완은 사사로운 감정 없이 공정하게 판결하여 양민이 중죄를 면하게 했다.
2. 1. 초기 생애와 유비 섬김
젊은 시절 장완은 외종제 유민(劉敏)과 함께 명성을 떨쳤다.[4] 209년 또는 210년경, 장완은 유비를 섬기며 관직 생활을 시작했고, 211년, 유비를 따라 익주로 갔다.[5] 214년 유비가 익주를 장악한 후,[5] 장완은 광도현(廣都縣; 현재 청두시 솽류 구 북동쪽에 위치) 현령으로 임명되었다.[6]어느 날, 유비가 광도현을 방문했을 때, 장완이 술에 취해 업무를 소홀히 하는 것을 보았다. 유비는 매우 화가 나서 장완을 처벌하려 했지만,[7] 제갈량이 유비에게 간청하며 장완을 변호했다.
장완은 국가의 그릇이지, 백리를 다스릴 인재가 아닙니다. 그의 정무 처리는 백성들을 안정시키는 것을 근본으로 하고 있으며, 외양(=겉모습)을 장식하는 것을 우선시하지 않습니다. 원컨대 주공께서는 다시 살펴 주십시오.중국어[7]
유비는 제갈량의 의견을 존중하여 장완을 처벌하지 않았지만, 그를 면직시켰다.[8]
장완이 파면된 후, 그는 문에 소의 머리가 걸려 피가 흘러내리는 꿈을 꾸었다. 그는 이 꿈을 몹시 싫어하여 점쟁이 조직(趙直)에게 그 의미를 풀이해 달라고 부탁했다.[9] 조직은 그에게 "피를 본다는 것은 판단력이 예리하다는 뜻입니다. 소의 뿔과 코는 '공'(公; 문자 그대로 '공작') 자와 유사한 형태를 이루니, 장군은 앞으로 공작과 동등한 지위에 오를 것입니다. 이는 매우 상서로운 징조입니다."라고 말했다.[10] 얼마 지나지 않아 장완은 사방현의 현령으로 복직했다.[11]
219년, 유비가 한중 전투에서 승리한 후 스스로를 "한중왕"(漢中王)이라고 선포한 후,[12] 그는 장완을 왕실 비서실의 관료로 임명했다.[12]
2. 2. 제갈량의 신임과 보좌
유비가 촉 땅을 돌아보던 중 광도현을 방문했을 때, 장완이 맡은 일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고 술에 취해 있는 것을 보고 매우 화가 나서 장완을 처벌하려 했다. 당시 군사장군이었던 제갈량은 유비에게 장완은 국가의 큰 인재이지, 작은 지역을 다스릴 인재가 아니며, 백성을 안정시키는 것을 우선시한다고 변호했다.[13] 유비는 제갈량의 말을 받아들여 장완을 벌하지 않았지만, 관직은 박탈했다.얼마 지나지 않아 장완은 스팡 현령으로 복귀했고, 유비가 한중왕이 되자 성도로 들어가 상서랑이 되었다.
223년 제갈량은 문무관원들을 소집하여 회의를 열고 장완을 동조연으로 임명했다.[14] 장완은 무재에 천거되었으나 사양하고 유옹, 음화, 방연, 요화를 대신 추천했다. 제갈량은 장완에게 자신의 능력을 드러내 천거의 타당성을 증명해야 한다고 설득했다.[14]
227년 장완은 참군으로 승진했으며,[15] 제갈량이 한중군에 주둔하던 때에는 장사 장익과 함께 부에 남아 국정을 총괄했다.
230년 장익이 죽자 장완이 장사 자리를 이었고, 무군 장군의 벼슬이 더해졌다.[16] 제갈량이 위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자주 북진할 때, 장완은 군량, 군수물자, 병사를 충분히 지원했다.[17]
제갈량은 항상 "장완은 품은 뜻이 곧고 인품이 충성스러우며, 나와 함께 왕의 대업을 도울 사람이다."라고 칭찬했다.[18]
제갈량은 유선에게 비밀리에 글을 올려 자신이 죽은 뒤에는 장완에게 후사를 맡기라고 건의했다.[19]
2. 3. 제갈량 사후 촉한의 국정 총괄
제갈량이 건흥 12년(234년)에 세상을 떠나자, 장완은 그의 유지를 받들어 촉한의 국정을 총괄하게 되었다.[21] 상서령에 임명된 후, 곧 도호를 대행하고 익주자사를 겸임하며 행정과 군사 양면에서 지도력을 발휘했다.[21] 이후 대장군, 녹상서사를 지냈으며 안양정후로 봉해졌다.[22]당시 제갈량이 사망한 직후라 많은 사람들이 동요했으나, 장완은 평소와 다름없이 침착하게 직무를 수행하여 사람들의 신뢰를 얻었다.[23][24]
연희 원년(238년), 유선은 장완에게 조서를 내려 조위를 공격할 군대를 한중군에 주둔시키고, 오나라와 협력하여 조예를 공격할 것을 명했다.[25] 이에 따라 장완은 북벌 수행에 필요한 부서를 개설했고, 이듬해 대사마로 승진했다.[26]
장완은 제갈량의 북벌 실패 원인을 분석하여, 진령 산맥을 통한 육로 대신 한수를 이용한 수로로 위흥과 상용을 공격하는 새로운 북벌 계획을 구상했다.[27] 그러나 건강 문제와 신하들의 반대로 인해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28][29]
2. 4. 질병과 죽음
蔣琬|장완중국어은 오랜 지병으로 고생했으며, 병세가 악화되어 연희 9년(246년)에 사망했다.[33] 유선은 그에게 공(恭)이라는 시호를 내렸다.[33]3. 평가
장완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평가와 비판적 평가가 공존한다.
'''긍정적 평가'''
- '''뛰어난 행정 능력과 공정함''': 장완은 백성을 안정시키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 정치를 펼쳤다. 겉모습을 꾸미는 것보다 내실을 다지는 데 힘썼으며, 공정한 인품으로 백성들의 신뢰를 얻었다.[34]
- '''제갈량의 신임''': 제갈량은 장완을 "국가의 그릇"이라 칭하며 자신의 후계자로 유선에게 추천했다. 제갈량 사후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장완은 평정심을 유지하며 국정을 안정시켰다.[34]
- '''십인십색 고사''': 양희가 장완과의 논의에서 답변을 제대로 하지 못하자, 양희를 헐뜯는 자가 이를 장완에게 알렸다. 그러나 장완은 "사람은 얼굴 생김새가 다르듯이 생각하는 방식도 사람마다 다르다"라며 양희를 변호했다.
- '''공정한 처벌''': 자신을 "전임자(제갈량)에게 미치지 못한다"고 비방한 양민에게 원한을 품지 않고, 양민이 체포되었을 때도 개인적인 감정 없이 공정하게 판결했다.[34]
- '''사후 평가''':
- 진수는 삼국지에서 장완이 촉한의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다.[34]
- 배송지는 삼국지 주석에서 장완이 흥세 전투에서 위나라의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고 주장했다.[35]
- 상거는 화양국지에서 장완과 비의가 제갈량의 원칙을 영속시켰다고 칭찬했다.[36]
- 원굉은 '삼국명신서찬'에서 장완을 제갈량의 후계자로 높이 평가했다.[54]
- 사마의, 손권, 육손은 촉나라에 장완이 있기에 촉나라를 공격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비판적 평가'''
- '''소극적인 국정 운영''': 진수는 장완이 촉과 같은 작은 국가를 다스리고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34]
- '''북벌 계획 비판''': 왕부지는 저서 '독통감론'에서 장완의 위흥과 상용을 노린 북벌 계획을 어리석은 책략이라고 비판했다.
'''현대적 관점'''
장완은 뛰어난 행정가이자 위기관리 능력을 갖춘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그의 온화하고 합리적인 성품은 현대 사회에서도 귀감이 될 만하다. 진수는 장완이 촉나라의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으며, 위엄 있는 권위자의 이미지를 가졌다고 칭찬했다.[34] 배송지는 장완과 비의가 위험한 행동을 삼가고, 흥세 전투에서 위나라의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내어 촉나라의 평화를 유지했으므로 훌륭한 섭정 역할을 수행했다고 주장했다.[35] 상거는 장완과 비의가 제갈량의 원칙을 이어받아, 주변 강대국들 사이에서도 촉나라를 안전하게 유지하며 약한 나라를 강하게 만들었다고 칭찬했다.[36]
3. 1. 긍정적 평가
蔣琬|장완중국어은 뛰어난 행정 능력과 공정한 인품으로 촉한의 안정에 크게 기여했다.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펼쳐 백성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제갈량의 신임을 받았으며, 그의 사후 혼란을 수습하고 국정을 안정시켰다.[34]- '''제갈량과의 관계''': 제갈량은 장완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국가의 그릇"이라고 칭찬하며, 자신의 후계자로 유선에게 추천했다.[34] 제갈량은 마속을 처형하면서 "군율 준수가 최우선"이라며 울면서 마속을 베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 '''십인십색 고사''': 양희가 장완과의 논의에서 답변을 제대로 하지 못하자, 양희를 헐뜯는 자가 이를 장완에게 알렸다. 그러나 장완은 "사람은 얼굴 생김새가 다르듯이 생각하는 방식도 사람마다 다르다"라며 양희를 변호했다. 이 사건은 '십인십색'이라는 고사성어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 '''공정한 처벌''': 장완은 자신을 "전임자(제갈량)에게 미치지 못한다"고 비방한 양민에게도 원한을 품지 않고, 양민이 체포되었을 때도 개인적인 감정 없이 공정하게 판결했다.[34]
- '''사후 평가''':
- 진수는 삼국지에서 장완이 촉한의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다.[34]
- 배송지는 삼국지 주석에서 장완이 흥세 전투에서 위나라의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고 주장했다.[35]
- 상거는 화양국지에서 장완과 비의가 제갈량의 원칙을 영속시켰다고 칭찬했다.[36] 또한 촉나라 백성들은 제갈량, 장완, 비의, 동윤을 촉한의 4명의 영웅적인 재상으로 칭했다고 기록했다.[37]
- 원굉은 '삼국명신서찬'에서 장완을 제갈량의 후계자로 높이 평가했다.[54]
- 사마의, 손권, 육손은 촉나라에 장완이 있기에 촉나라를 공격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 '''부정적 평가''': 왕부지는 저서 '독통감론'에서 장완의 위흥과 상용을 노린 북벌 계획을 어리석은 책략이라고 비판했다.
3. 2. 비판적 평가
진수는 삼국지에 장완의 전기를 썼다. 그는 장완이 촉에서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고, 위엄 있는 권위자의 이미지를 가졌다고 칭찬했다. 또한 장완과 그의 후임 비의가 제갈량의 발자취를 따른 공을 인정하며, 촉의 국경을 안전하게 지키고 평화와 화합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진수는 장완이 촉과 같은 작은 국가를 다스리고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34]5세기 역사가 배송지는 삼국지 주석에서 진수의 관점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장완과 비의가 촉의 미래를 위협할 수 있는 위험한 행동을 삼가고, 흥세 전투에서 위나라의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 촉의 국경 내에서 평화를 유지했으므로 섭정으로서 훌륭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진수가 장완과 비의가 촉을 다스리고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독자들이 진수의 결론이 혼란스럽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35]
화양국지를 저술하여 사천 지역의 역사에 대해 광범위하게 기록한 상거는 장완과 비의가 제갈량의 원칙을 영속시킨 점을 칭찬했다. 그는 두 개의 더 큰 국가에 포위된 상황에서도 촉한의 땅을 안전하게 유지하여 약한 자를 강하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촉의 백성들이 제갈량, 장완, 비의, 동윤을 촉한의 4명의 영웅적인 재상으로 칭했다고 기록했다.[37]
3. 3. 현대적 관점
장완은 뛰어난 행정가이자 위기관리 능력을 갖춘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그의 온화하고 합리적인 성품은 현대 사회에서도 귀감이 될 만하다.진수는 삼국지에서 장완이 촉나라의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으며, 위엄 있는 권위자의 이미지를 가졌다고 칭찬했다. 그는 장완과 그의 후임 비의가 제갈량의 정책을 따름으로써 촉나라의 국경을 안전하게 지키고, 백성들 사이의 평화와 화합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34]
배송지는 삼국지 주석에서 진수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장완과 비의가 위험한 행동을 삼가고, 흥세 전투에서 위나라의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내어 촉나라의 평화를 유지했으므로 훌륭한 섭정 역할을 수행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진수가 장완과 비의가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결론이 혼란스럽다고 지적했다.[35]
상거는 화양국지에서 장완과 비의가 제갈량의 원칙을 이어받아, 주변 강대국들 사이에서도 촉나라를 안전하게 유지하며 약한 나라를 강하게 만들었다고 칭찬했다.[36] 그는 또한 촉나라 백성들이 제갈량, 장완, 비의, 동윤을 촉한의 4명의 영웅적인 재상으로 칭송했다고 기록했다.[37]
4. 일화
장완은 넓은 도량과 포용력으로 유명했는데, 그와 관련된 일화는 다음과 같다.
- '''양민(楊敏)과의 일화''': 양민은 장완을 "모호하다", "전임자(제갈량)에게 미치지 못한다"라고 비방했다.[39] 어떤 사람이 양민에게 벌을 줄 것을 청했으나, 장완은 "나는 확실히 이전 사람만 못하므로 추궁할 만한 것이 없다"라고 답했다.[39] 오히려 그는 양민의 능력을 인정하고 그를 감쌌다. 훗날 양민이 어떤 사건에 연루되어 감옥에 갇혔을 때도, 장완은 사사로운 감정 없이 공정하게 판결하여 양민이 중죄를 면하게 했다.[40]
- '''양희(楊戱)와의 일화''': 양희는 평소 무뚝뚝하고 간결한 성격으로, 장완과 대화할 때 응답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38] 어떤 사람이 이를 두고 양희가 윗사람을 무시하는 것이라며 비난하자, 장완은 "사람마다 마음이 다른 것은 얼굴이 다른 것과 같다"라며 양희를 변호했다.[38] 그는 겉으로 순종하고 속으로 악담하는 것보다 양희처럼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다. 양희가 자신의 의견에 찬성하면 본심이 아니고, 반대하면 자신의 과오를 드러내는 것이므로 가만히 있었던 것이라 판단하고, 오히려 그의 정직함을 높이 평가했다.[38] 이 일화는 '십인십색'이라는 고사성어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일화들을 통해 장완이 합리적이고 선의를 가진 사람이었음을 알 수 있다.[41] 그는 개인적인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냉정하고 도리에 입각한 태도를 취했다.
5. 가족 관계
장완에게는 장빈(蔣斌)과 장현(蔣顯)이라는 두 아들이 있었다. 장남 장빈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안양정후(安陽亭侯)가 되었고, 수무장군(綏武將軍) · 한성호군(漢城護軍)을 지냈다.[43] 263년 위나라의 촉 정벌 때 위나라 장군 종회가 장빈에게 편지를 보내 장완의 묘소를 찾게 해달라고 요청했고, 장빈은 이를 허락했다.[44][45] 종회는 장완의 묘소를 찾아 참배했다.[46] 이후 장빈은 종회를 따라 청두에 갔으나, 종회의 난 때 병사들에게 살해되었다.[47] 차남 장현은 태자복(太子僕)을 지냈으며, 종회의 난 때 형과 함께 사망했다.[48]
장완의 외종제 유민(劉敏)은 후난성 링링구 출신으로,[42] 좌호군(左護軍) · 양위장군(揚威將軍)을 지내며 왕평과 함께 한중을 지켰다. 244년 위나라 조상의 침공 때 왕평과 함께 흥세산(興勢山)을 점령하고 많은 깃발을 꽂아 위나라 군대를 물리치는 데 공을 세워 운정후(雲停候)에 봉해졌다.[42]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Huayang Guo Zhi
[37]
서적
Sanguozhi
[38]
서적
Sanguozhi
[39]
서적
Sanguozhi
[40]
서적
Sanguozhi
[41]
서적
Sanguozhi
[42]
서적
Sanguozhi
[43]
서적
Sanguozhi
[44]
서적
Sanguozhi
[45]
서적
Sanguozhi
[46]
서적
Sanguozhi
[47]
서적
Sanguozhi
[48]
서적
Sanguozhi
[49]
웹사이트
婁底市婁星区人民政府 蔣琬
http://www.louxing.g[...]
[50]
서적
華陽国志
[51]
논문
蜀漢的軍事優先型経済体系
汲古書院
2018
[52]
서적
三国志
[53]
서적
三国志
[54]
문서
蔣琬は「公琰殖根 不忘中正 豈曰模擬 實在雅性 亦既羈勒 負荷時命 推賢恭己 久而可敬」と謳われている
[55]
문서
장완비의강유전(蒋琬費禕姜維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