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성헌 (153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성헌(1534년)은 1534년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난 조선 시대 문신이다. 1560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주서 등을 지냈으나, 아버지 이감이 이량의 당여로 몰려 파직되면서 함께 파직과 복관을 반복했다. 선조 때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부장으로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며, 1601년 사망했다.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묘소는 현재 강원도 원주시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01년 사망 - 이일
    이일은 1538년에 태어나 1601년에 사망한 조선 시대의 무신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제승방략』을 저술했으나 이순신을 모함한 행적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 1601년 사망 - 모리 히데카네
    모리 히데카네는 모리 모토나리의 아홉 번째 아들로 태어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한 인물이다.
  • 1534년 출생 - 오다 노부나가
    오다 노부나가는 일본 전국 시대의 무장으로, 오와리 출신에서 시작하여 일본 통일을 목표로 센고쿠 시대를 지배하며 막강한 세력을 구축했으나 혼노지의 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534년 출생 - 스즈키 마고이치
    스즈키 마고이치는 스즈키 씨 일족이 주로 계승한 사이카슈의 두령 칭호로, 여러 인물이 존재하며 그들의 행적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이 중 이시야마 합전에서 활약한 스즈키 시게히데가 가장 유명하며, 스즈키 시게자네, 스즈키 요시카네, 스즈키 시게토모 등도 관련 인물로 여겨진다.
  • 연좌제 - 계유정난
    계유정난은 1453년 수양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등의 고명대신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수양대군이 권력을 장악하여 왕위에 오르고 훈구파의 권력 독점을 야기하며 조선의 정치 구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연좌제 - 배정자
    배정자는 일제강점기에 첩보원, 관료로 활동하며 고종에게 접근하여 정보를 빼내고, 러일전쟁 직전 친러파의 평양 천도 계획을 좌절시키는 등 밀정으로 활동하다가 광복 후 반민족행위 혐의로 체포되었다.
이성헌 (153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성헌
원어명李成憲
정당무소속
출생일1534년 2월 22일
출생지조선 한성부
사망지조선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리
사망일1601년 5월 8일
국적조선
직업문신, 의병장
종교유교(성리학)
배우자초배 전주 이씨, 계배 전주 이씨 이봉령
자녀아들 이명남, 아들 이길남, 딸 이씨
부모아버지 이감, 어머니 풍천 임씨 부인
형제이복 동생 이희헌
친인척장인 광원군 이구수, 장인 이한, 할아버지 이광식, 사위 이안민, 손자 이경항, 외조부 임권, 증조부 이지방, 삼촌 이전, 이용, 당조카 이복남
별명자는 중장(仲章)
거주지조선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리
군사 복무
복무조선 육군
복무 기간1589년 ~ 1598년
계급조선 육군 부장
참전임진왜란
관직
직책조선국 승정원 주서
임기1560년 ~ 1561년
군주조선 명종 이호
학력
학력1560년(명종 15년) 별시문과에 병과 급제

2. 생애

이성헌은 1534년 2월 22일 아버지 이감(李戡)과 어머니 풍천 임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560년(명종 15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주서 등을 지냈으나,[1] 1563년(명종 18) 아버지 이감이 이량의 당여로 몰려 파직, 유배될 때 함께 파직되었다. 이후 복관과 파직을 반복했다.

1555년 이전에 광원군 이구수의 딸 전주 이씨 이봉령(李奉令)과 혼인했다. 부인 전주 이씨 이봉령은 세종대왕의 서자 밀성군의 4대손이다.[1]

1570년(선조 3) 왕명으로 서용(敍用)되자, 양사의 반대가 있었으나 왕이 듣지 않았다.[7] 이후 복직하여 성균관전적, 승문원교리를 거쳐 판관에 이르렀다. 1574년(선조 7) 6월 7일 다시 파직되고, 문외출송(門外黜送)당했다.[9] 1576년(선조 9) 한재(旱災)로 소방할 때 풀려났으며, 양사가 여러 번 반대했으나 선조가 듣지 않았다.

1591년(선조 24) 진위장군(振威將軍)으로 호분위사정 겸 영서도찰방(虎賁衛司正兼迎曙道察訪)에 임명되었다.[13]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부장(副將)으로 참전하여 경기도 광주에서 왜군과 교전하였고, 수안으로 내려온 선조비 의인왕후를 수행하였다. 의인왕후를 수행하고 왜군과 싸워 이긴 공로로 1599년(선조 32년) 7월 24일 1계급 승진하고[14], 아마 1필을 선물로 받았다.

이정암이 쓴 한고관외사(寒臯觀外史)에 의하면, 1599년(선조 32) 4월 11일 당시 이정암이 형의 상을 당했을 때 이성헌이 아들 이명남을 데리고 이정암을 방문했다고 한다.[15] 이후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1601년(선조 34년) 5월 8일에 사망하였다.

2. 1. 가계와 출생

이성헌은 1534년 2월 22일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리(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참판, 대사헌, 대호군을 지낸 이감(李戡)이고, 어머니는 정헌공 임권(任權)의 딸 풍천 임씨이다. 증조부 이지방(李之芳)과 조부 이광식(李光軾)은 무과 출신 병마절도사였으나, 아버지 이감1543년 문과에 급제하며 문반 가문으로 성장했다.

어머니 풍천 임씨는 조광조와 가깝게 지냈던 임권(任權)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공조판서와 지중추부사를 지낸 소간공 임유겸(任由謙)이고, 백부는 관찰사를 지낸 임추(任樞)이다. 친정어머니는 영산신씨(靈山辛氏)로, 진사 신제담(辛悌聃)의 딸이며 수문전대제학 신인손(辛引孫)의 손녀이다. 어머니 풍천 임씨는 1556년에 사망하였다.

계모 예천 윤씨(醴泉尹氏)에게서 이복동생 이희헌(李希憲), 이유헌(李有憲), 이의헌(李宜憲) 등이 태어났다. 이희헌은 선조~인조 대의 의원이었고, 이유헌 역시 의과에 급제한 의관이었다.

2. 2. 혼인

1555년 이전에 광원군 이구수의 딸 전주 이씨 이봉령(李奉令)과 혼인했는데, 부인 전주 이씨 이봉령은 세종대왕의 서자 밀성군의 4대손이다.[1] 또한 전실인지 후실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이한(李澣)의 딸 전주 이씨와도 혼인했다.

2. 3. 관직 생활과 파직

1560년(명종 15년) 별시문과에 병과 10위로 급제하여 승문원 주서 등을 지냈다.[1] 1563년(명종 18) 아버지 이감이 이량의 당여로 몰려 파직, 유배될 때 함께 파직되었다. 그해 9월 복관되어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가 되었고[4], 예문관 검열 등을 역임했으나 파직되었다.

1564년(명종 19년) 다시 서용되었으나 사헌부사간원 양사에서 여러번 논계를 하였고, 승문원 박사(博士)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했다. 1565년 1월 6일 양사에서 고경명 등을 공격, 문외출송을 청하였다.[5] 같은 날 양사에서 그를 이감의 아들이라는 이유로 사판(仕版)에서 삭제할 것을 청하였으나 명종이 듣지 않았다.[6] 1월 7일 사판에서 삭제되고 문외출송되었다.

1570년(선조 3) 왕명으로 서용(敍用)되자, 5월 16일부터 양사의 논계를 받았으나 왕이 듣지 않았다.[7] 이후 복직하여 성균관전적, 승문원교리를 거쳐 판관에 이르렀다. 1574년(선조 7) 6월 6일 삼공육경이 이성헌 등을 등용할 것을 의논하였다. 이에 양사는 이들이 권간과 결탁하여 사류들을 모해한 자들이라며 다시 서용해서는 안된다고 반대하였다.[8] 6월 7일 다시 파직되고, 문외출송(門外黜送)당했다.[9]

1574년 6월 8일 홍문관에서 차자를 올려 그와 김여부 등은 음험하고 사류를 모해한 자들이라며 임용을 반대하였고[10], 6월 11일 사간원에서 언급된 인물들의 등용에 반대하여 차자(箚子)를 올렸다.[11] 1576년(선조 9) 한재(旱災)로 소방할 때 풀려났으며, 양사가 여러 번 반대했으나 선조가 듣지 않았다. 이후 관직생활을 계속하였지만 어느 직책에 임명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2. 4. 임진왜란 참전과 사망

1591년(선조 24) 이성헌은 진위장군(振威將軍)으로 호분위사정 겸 영서도찰방(虎賁衛司正兼迎曙道察訪)에 임명되었다.[13] 이는 아들 이명남의 생원시험 입격 기록에 아버지 이름과 직책을 적는 칸을 통해 고증되었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부장(副將)으로 참전하여 경기도 광주에서 왜군과 교전하였다. 그해 수안으로 내려온 선조비 의인왕후를 수행하였다. 의인왕후를 수행하고 왜군과 싸워 이긴 공로로 1599년(선조 32년) 7월 24일 1계급 승진하고[14], 아마 1필을 선물로 받았다.

이정암이 쓴 한고관외사(寒臯觀外史) 68권의 "己亥正月初一日哭奠几筵而還舎弟佐郞往墓山" 편에 의하면, 1599년(선조 32) 4월 11일 당시 이정암이 형의 상을 당했을 때 이성헌이 아들 이명남을 데리고 이정암을 방문했는데, 이때 '十日哭辭伯氏與未子早發投宿子安山金珞家珞即吾同年故察訪金得齡子也待余極款金叅議㯋男持服在隣遣子弟吊慰甚至ㅊ李成憲生貟李命男座首金湛來訪'이라고 하여 전 판관(前 判官)이었다고 한다.[15] 그러나 그가 언제 어느 부서의 판관을 지냈는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후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1601년(선조 34년) 5월 8일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리에서 사망하였다.

3. 사후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대장리(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산 19번지) 사동(절골부락) 후산에 안장되었다.[1]

후일 증 통정대부 승정원도승지 지제교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예문관직제학 상서원정에 추증되었다가 다시 증 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동지경연 의금부 춘추관 성균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에 추증되었다.[1] 뒤에 거듭 증직되어 증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1] 호주 채유후가 쓴 그의 증손 이가우의 묘갈명(채유후의 문집 6권에 수록된 이군묘갈명)에는 증 이조판서로 나타났으나, 뒷날 강작되어 그의 다른 증손 이서우가 쓴 그의 다른 아들 이길남의 묘갈명인 선조고 증좌승지부군묘갈에는 증 이조참판으로 되어 있다.[1]

2017년 6월의 성남 판교대장 도시개발사업으로 2017년 8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산 19번지에서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단강1리 작실로 이장되었다.[1] 근처에는 그의 증손 송곡 이서우의 사당인 영정각이 있다.[1] 그의 묘소 오른쪽 옆에는 둘째아들 이길남 내외의 묘소가 같이 이장, 조성되었다.[1]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이광식1493년 11월 7일 ~ 1563년 12월 15일, 병마절도사 역임
조모함안 이씨1492년 12월 1일 ~ 1536년 10월 7일, 평안도관찰사 증 이조판서 양간공 이세응의 딸
백부이계변
숙부이전1517년 1월 21일 ~ ?
사촌이준헌이복남의 아버지
사촌이경헌, 이승헌임진왜란탄금대에서 전사
사촌이봉헌
사촌 누이우계이씨
사촌 매제한강1535년 ~ 1629년 4월 26일[16]
당조카한호문
숙부이용1533년 ~ 1591년 1월
숙모칠원윤씨, 여산송씨윤탁연의 누이, 송맹경의 딸
고모우계이씨
고숙윤강본관은 파평
고종 사촌파평윤씨
사촌 매제이중경1517년 ~ 1568년, 본관은 광주, 참판 역임
아버지이감1516년 10월 27일 ~ 1583년
어머니풍천 임씨1515년 4월 12일 - 1556년 2월 1일, 좌참찬 정헌공 임권의 딸
여동생우계이씨(2명)1명은 1541년 12월 1일 ~ 1607년 5월 17일
매제윤유후1541년 1월 11일 - 1606년 8월 13일
계모예천 윤씨1538년 10월 28일 - 1624년 11월 11일), 윤연수의 딸, 예산윤씨라고도 함
이복 동생이의헌, 이희헌이희헌: 1569년 6월 15일? - 1651년 11월 28일
이복 제수청주 한씨, 금천 장씨청주 한씨: 아버지 미상, 1570년 6월 15일 - 1593년 6월 13일, 금천 장씨: 사과 장득해의 딸, 1583년 7월 18일 - 1636년 1월 26일
이복 동생이유헌
이복 여동생이씨, 권봉수
부인전주이씨(2명)이한의 딸, 밀성군 이침 증손 광원군 이구수의 딸 이봉령(1536년 10월 29일 ~ 1613년 2월 24일)
아들이명남1556년 5월 4일 ~ 1619년 / 1622년
자부동래 정씨, 전의 이씨정순하, 이대임의 딸
아들이길남자는 석보, 초명은 영남, 1561년 8월 22일 - 1644년 2월 22일
자부하동 정씨1562년 - 1642년, 정숭조의 손자 군수 정욱의 딸
손자이경복1595년 3월 24일 ~ ?년 7월 6일
손부청주한씨1596년 5월 25일 ~ ?년 1월 25일, 교리 한영의 딸
손자이경항1601년 ~ 1643년
손부전주이씨1600년 ~ 1667년, 효령대군 보 7대손, 파성군 철동 4대손 전라좌도수군절도사 이경유의 딸
우계이씨1565년 ~ ?년 3월 26일
사위이안민1568년 ~ 1640년 7월 13일, 덕수이씨, 목사
외손자이강, 이담, 이격, 이환이격: 군수
외손녀사위정언유나주인, 상주목사 정호선(丁好善)의 자
외할아버지임권1486년 1월 5일 ~ 1557년 6월 17일, 호는 정용재 또는 정곡, 정용, 시호는 정헌
외할머니영산신씨진사 신제담의 딸
외증조부임유겸1456년 ~ 1527년, 공조판서, 지중추부사, 시호는 소간
외숙부임중신1517년 3월 24일 ~ 1580년 8월 28일
외종조부임추1482년 ~ 1534년, 관찰사
처부광원군 이구수1514년 ∼ 1567년, 왕족, 이경여, 이수여 형제의 증조부
처조부광성정 이전세종대왕의 서자 밀성군 침의 손자
처부이한본관은 전주


5. 기타

그는 아버지 이감이 이량, 윤원형 등과 가깝게 지낸 일로, 1563년(명종 18) 이후 연좌되어 여러 번 파직과 복관을 반복했다.[3]

참조

[1] 실록 송찬·유창문·성의국·윤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1563-01-04
[2] 실록 오상·기대항·이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1563-05-21
[3] 실록 양사에서 이양·이감 등의 죄가 잘못 적용되어 여론이 격분함을 아뢰다 1565-01-06
[4] 실록 김홍윤·이문형·윤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1563-09-29
[5] 일기 미암일기 1574
[6] 실록 양사에서 이양·이감 등의 죄가 잘못 적용되어 여론이 격분함을 아뢰다 1565-01-06
[7] 실록 대간이 김개의 직첩 환수, 이성헌의 서용 명령 환수를 청하다 1570-05-16
[8] 일기 미암일기 1574-06-06
[9] 실록 파직되어 문외 출송되었던 사람들의 명단 1574-06-07
[10] 일기 미암일기 1574-06-08
[11] 일기 미암일기 1574-06-11
[12] 실록 헌부가 사대부가 대경의 예를 모른다고 문안을 조사하여 아뢰다 1582-08-03
[13] 방목 이명남 생원시 입격 기록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14] 실록 중전이 수안에 있을 때 공을 세운 최흥원 등에게 상을 내리다 1599-07-24
[15] 역사서 己亥正月初一日哭奠几筵而還舎弟佐郞往墓山
[16] 서적 한양위 묘갈편 경기도 편역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