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명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명남은 1556년(명종 12)에 태어나 조선 시대의 문신이다. 1591년(선조 24) 생원시에 합격하고 임진왜란 때에는 경기도 광주에서 일본군과 교전했다. 1605년(선조 35)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으며, 해미현감, 용담현감을 역임했다. 광해군 재위 기간에는 예조좌랑, 위성원종공신, 사헌부장령, 예조참의 등을 지냈다. 인목대비 폐모 논의에 참여했으며, 1622년 또는 인조반정 직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인 - 선조실록
    《선조실록》은 선조 시대 40년 7개월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의 일부로, 임진왜란으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 완성되었으며, 당파적 시각과 기록의 부실함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선조 시대의 여러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서 현대 역사 연구에 활용된다.
  • 북인 - 조식 (1501년)
    조식은 조선 중기 학자이자 교육자로, 경의사상을 바탕으로 실천궁행을 강조하며 영남학파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지리산에 은거하며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썼다.
  • 1556년 출생 - 스즈키 이치조
    스즈키 이치조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근무하며 경제 정책 수립에 관여하고, 퇴임 후 중의원 의원을 역임했으나 친일반민족행위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1556년 출생 -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에스기 가게카쓰는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우에스기 겐신의 양자가 되어 오타테의 난을 겪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귀순하여 아이즈를 다스렸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패배 후 요네자와 번 초대 번주가 되어 에도 시대에 활약하다 사망했다.
  • 1619년 사망 - 후지와라 세이카
    후지와라 세이카는 1561년에 태어나 1619년에 사망한 일본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학문을 수용하고 하야시 라잔 등을 제자로 두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유학을 강의하고 『촌철록』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619년 사망 - 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2세는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왕으로, 반종교개혁을 추진하여 30년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나 초기에는 승리했으나, 이후 전쟁의 역전과 재정난 속에 아들에게 제위를 계승했다.
이명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명남 (李命男)
갑보(甲甫) 또는 신보(申甫)
출생일1556년 5월 4일
출생지조선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사망일1619년 / 1622년 9월 22일
사망 원인병사
사망지조선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국적조선
종교유교(성리학)
직업문신, 의병장, 정치인
부모이성헌, 전주이씨
배우자부인 동래정씨, 부인 전의이씨
자녀아들 이경익
친척조카 이경복, 이경항

2. 생애

이명남은 1556년 5월 4일 경기도 광주군에서 태어났다. 고조부 이지방은 무관이었으나, 조부 이감 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문반 가계가 되었다. 자(字)는 갑보(甲甫) 또는 신보(申甫)이며, 아호는 알려진 바 없다. 유년 시절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나, 이후 관직에 올라 참봉(參奉)을 지냈다.

1591년(선조 24) 생원시에 2등으로 합격하였고, 임진왜란 당시 경기도 광주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였다. 1601년 부친상으로 3년상을 마친 후, 1605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616년(광해군 8) 1월 특명으로 가자되었고, 분병조참의, 승정원 동부승지, 우부승지, 공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1616년 9월 17일 분승지로 광해군이 주관하는 수연에 참석하였고,[3] 10월 공조참의로서 과거 시험관의 한 사람이 되었다.

1618년(광해군 10) 변방의 일을 방비할 계책을 건의하는 상소를 올렸다. 1617년 2월 예조참의가 되었고, 11월 인목대비 폐모 논의에 참여하였다. 1618년 1월 4일 우의정 한효순 등이 백관을 거느리고 조정에서 인목대비 폐비를 주청할 때 참여하였으며, 1월2월의 인목대비 폐비 절목을 논의하였다.

1619년(광해군 11) 경복궁경덕궁 중건 당시 선왕의 영정을 호위한 공로로 특별 가자되었다.[5] 예조참판이 되었으나, 그해 9월 22일 혹은 1622년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족보상 사망 연대는 1619년이나 연려실기술 등에 의하면 인조반정 직전에 사망했다 한다.

시신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원지리 철곡(현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 산83-2번지) 산의 증조부 이광식 묘소 아래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활동

1556년 5월 4일 경기도 광주군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계는 고조부 이지방이 무관으로, 무반 가계였으나 조부 이감 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문반 가계가 되었다. 자(字)는 갑보(甲甫) 또는 신보(申甫)이며, 아호는 알려진 바 없다. 유년 시절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나, 이후 관직에 올라 참봉(參奉)을 지냈다.

2. 1. 1. 가계 배경

고조부는 무관 이지방이다. 증조부 이광식병마절도사참판을 지냈고, 할아버지 이감도승지, 이조·병조·형조참판대사헌을 역임하였다. 아버지 이성헌은 이량의 당여로 몰려 파직과 면직, 복관 등을 반복하였으나 진위장군호분위사정 겸 영서도찰방 등을 지냈고, 임진왜란 때에는 부장으로 활동했다. 동생은 이길남으로, 이경항의 아버지이자 송곡 이서우의 조부이다. 이명남이 태어날 무렵 증조부 이광식이 생존해 있었다.

어머니는 전주 이씨 이봉령(全州李氏 李奉令)으로 세종대왕의 5남 밀성군 이침(密城君 李琛)의 후손이다. 광성정 이전(匡城正 李銓)의 손녀이며 광원수 증 광원군 이구수(廣原守 贈 廣原君 李耉壽)의 딸이다.

2. 1. 2. 유년 시절과 과거 급제

1556년 5월 4일 경기도 광주군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승문원 주서와 승정원 주서를 지내고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한 이성헌이고, 어머니 전주이씨 이봉령(全州李氏 李奉令)은 세종대왕의 5남 밀성군 이침(密城君 李琛)의 후손으로, 광성정 이전(匡城正 李銓)의 손녀이며 광원수 증 광원군 이구수(廣原守 贈 廣原君 李耉壽)의 딸이다.

증조부는 병마절도사참판을 지낸 이광식이고, 할아버지는 도승지 이조, 병조, 형조참판대사헌을 지낸 이감이다. 아버지 이성헌은 이량의 당여로 몰려 파직과 면직, 복관 등을 반복하고 진위장군호분위사정 겸 영서도찰방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부장으로 활동했다. 동생으로는 이길남이 있는데, 이경항의 아버지이고 송곡 이서우의 조부가 된다. 그가 태어날 무렵 증조부 이광식이 생존해 있었다.

그의 가계는 고조부 이지방이 무관이 되어 무반 가계를 형성했지만 조부 이감의 대에 문과에 진출하여 문반에 올랐다.

자(字)는 갑보(甲甫) 또는 신보(申甫)이고, 아호의 존재여부는 미상이다. 그의 유년시절에 대한 기록은 실전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이후 관직에 올라 참봉(參奉)을 지냈다.

2. 2. 과거 급제와 관료 생활

1591년(선조 24) 생원시에 2등으로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임진왜란 당시 경기도 광주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였다. 임진왜란을 거쳐 1601년 부친상으로 3년상을 마쳤다. 1605년 별시문과에 급제한 이후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616년(광해군 8) 1월 특명으로 가자되었고, 바로 분병조참의(分兵曹參議)가 되었다가, 4월 승정원동부승지, 5월 우부승지 등을 지내고 공조참의가 되었다. 1616년 9월 17일 분승지(分承旨)로 광해군이 주관하는 수연에 참석하였다.[3] 10월 공조참의로 그 달에 중시, 별시가 시행되자 과거 시험관의 한 사람이 되었다.

1618년(광해군 10) 변방의 일을 방비할 계책을 건의하면서 다음과 같이 상소를 올렸다.

2. 2. 1. 관료 생활 초반 (1605년 ~ 1616년)

1605년(선조 35)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찰방을 거쳐 1606년(선조 39년) 9월 24일 해미현감(海美縣監)이 되었다. 이듬해 9월 17일 장형을 가하던 중 사람이 죽어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파직, 추고되었다.[1] 1608년(선조 42) 용담현감(龍潭縣監)이 되어 1611년까지 재직했다. 용담현감 재직 시 지역의 노인들에게 문의하고 주변 사적과 문헌을 찾아 전임 현감들의 근무기록을 일부 복원하였다.[1] 1611년 병으로 체직되었다.

1613년(광해군 5) 예조좌랑, 통훈대부 행예조정랑 지제교(行禮曹正郞 知製敎)를 거쳐[2], 1614년 8월 27일 전 정랑으로 위성원종공신 1등(衛聖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1615년(광해군 7) 6월 15일 겸필선을 거쳐 같은 달 사헌부장령이 되었다가 집의 유희량이 남이공에 대한 논계를 정지하는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아 스스로 사직을 청하였다. 그해 7월 남이공의 죄를 성토하지 않았다 하여 홍문관 부제학 유숙, 부응교 한찬남, 교리 유활, 수찬 임성지·이짐 등의 탄핵을 받고 체차되었다. 1615년8월 16일 사헌부장령이 되었다가 8월 22일 금부도사신경희를 체포하는 것을 듣지 못했다며 스스로 사직을 청하였으나 광해군이 만류하였다. 인피하고 물러났으나 1615년 윤 8월 25일 출사하라는 왕명을 받았다. 그해 9월 27일 필선, 11월 12일 다시 필선이 되어 세자를 보도하였고, 11월 27일 사헌부장령 등에 임명되었다. 그해 12월 장악원정에 임명되었다.

1616년(광해군 8) 1월 특명으로 가자되었다.

2. 2. 2. 관료 생활 후반 (1617년 ~ 1622년)

1617년(광해군 9) 2월 예조참의가 되었다. 그해 11월 인목대비 폐모 논의에 참여하고 1618년(광해군 10) 1월 4일 우의정 한효순, 연원부원군 이광정 등이 백관(百官)을 거느리고 조정에서 인목대비 폐비를 주청할 때 참여하였다. 1618년 1월2월의 인목대비 폐비 절목을 논의하였다. 이때 임금이 합천에 내려간 정인홍을 효유하는데 예조참판 윤수민(尹壽民)과 참의인 그를 보내려 했으나, 그가 늙고 병들었다는 이유로 취소하고, 동부승지 이위경(李偉卿)을 대신 내려보냈다.[4]

이후 우부승지를 거쳐 그해 6월 8일 좌부승지, 7월 5일 다시 우부승지가 되었으며, 변방의 일을 방비할 계책을 건의하였다.[4]

1619년(광해군 11) 경복궁경덕궁의 중건 당시 선왕의 영정을 호위하느라 여러 번 다녀온 공로로, 그해 9월 병으로 물러났지만 특별 가자되었다.[5]

바로 예조참판이 되었으나 그해 9월 22일 혹은 1622년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족보상 사망 연대는 1619년이나 연려실기술 등에 의하면 반정 직전에 사망했다 한다.

2. 3. 사망과 사후

족보 기록 상에는 1619년에 사망했다 하나 연려실기술과 계해정사록에 의하면 인조반정 직전에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시신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원지리 철곡(현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 산83-2번지) 산의 증조부 이광식, 6촌 형 이복남 묘소 아래에 묻혔다. 그의 묘소 아래에는 동생 이길남의 손자 송곡 이서우의 묘소가 있고, 묘소 남쪽에는 2011년 건립된 서울추모공원이 있다.

3. 가계

이명남의 외증조부는 조선 세종의 서자 밀성군 침의 손자인 광성정 이전이고, 외조부는 광원군 이구수이다.[6] 첫 번째 부인의 아버지는 정광필의 종증손녀이자 현령을 지낸 정순하이며, 다른 부인의 아버지는 이대임이고, 장모는 능성 구씨로 구윤손의 딸이다.

3. 1. 직계 가계

또는 예산 윤씨(禮山尹氏)1538년 10월 28일 - 1624년 11월 11일윤연수(尹連壽)의 딸이복 숙부이희헌(李希憲)1569년 6월 15일? - 1651년 11월 28일이복 숙부이유헌(李有憲)이복 숙부이의헌(李宜憲)아버지이성헌(李成憲)1534년 2월 22일 - 1601년 5월 8일전모
또는 계모전주 이씨(全州李氏)생몰년 미상이한(李澣)의 딸어머니전주 이씨 이봉령(全州李氏 李奉令)1536년 10월 29일 ~ 1613년 2월 24일광원군 이구수의 딸동생이길남(李吉男)1561년 8월 22일 ~ 1644년 2월 22일제수하동 정씨1567년 ~ 1642년정욱(鄭彧)의 딸, 정숭조의 증손녀조카이경복(李慶復)질부청주 한씨한영(韓詠)의 딸조카이경항(李慶恒)1601년 ~ 1643년여동생우계 이씨매부이안민(李安民)1568년 ~ 1640년 7월 13일목사, 본관은 덕수외조카이강(李木+畺)외조카이첨(李木+詹)외조카이격(李格)군수외조카이환(李桓)부인동래 정씨(東來鄭氏)1554년 ~ ?현령 정순하(鄭純嘏)의 딸, 정광필의 종증손녀부인안씨1555년 1월 29일 ~ 1593년 1월 6일부인전의 이씨(全義李氏)1574년 6월 17일 ~ 1643년 4월 20일이대임(李大任)의 딸장녀우계 이씨사위이한(李澣)고성 이씨외손자이해생(李亥生)외손자이효생(李孝生)외손녀사위전수범(全守範)아들이경익(李慶益)1573년 ~ 1624년며느리창녕 성씨성철(成哲)의 딸손녀우계 이씨손녀사위남명우(南溟羽)손녀우계 이씨? ~ 1633년 2월손녀사위남명익(南溟翼)1602년 1월 3일 ~ 1645년 10월 2일자 남언성(南彦成), 녀 성대현(成大顯)손녀우계 이씨손녀사위안진(安震)순흥 안씨첩이름모름


3. 2. 외가 및 처가

이명남의 외증조부는 세종의 서자 밀성군 침의 손자인 광성정 이전(1493년 ~ 1545년)이다.[6] 외조부는 광원군 이구수(1514년 ~ 1567년)이다.[6]

장인은 정광필의 종증손녀이자 현령을 지낸 정순하(1518년 ~ ?)이며, 다른 장인은 전의 이씨 이대임(생몰년 미상)이다. 장모는 능성 구씨로 구윤손의 딸이다.

참조

[1] 문서 용담현읍지
[2] 문서 아들 이경익의 사마방목 입격기록
[3] 문서 수연등록 (壽宴謄錄) 1616-09-17
[4] 기사 "우부승지 이명남이 변방의 일에 대비할 계책 등을 아뢰다" 1618-07-13
[5] 기사 "궁궐 역사에 재목, 돌 등을 상납한 자에게 보상하다" 1619-09-10
[6] 문서 조선 후기의 재상 이경여(李敬輿)·이후여의 증조부가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