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쑤시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쑤시개는 치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인류가 최초로 고안한 발명품 중 하나로 추정된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고대에는 금속이나 마스틱 나무를 사용하기도 했다. 현재는 주로 자작나무로 만들어지며, 나무,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쑤시개는 음식 섭취 후 사용되거나, 음식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과도한 사용은 잇몸 손상 및 치아 마모를 유발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옥수수 전분으로 만든 식용 이쑤시개가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강위생용품 - 칫솔
칫솔은 칫솔모를 사용하여 치아 표면의 치태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구강 위생 용품으로,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 중국 당나라에서 돼지털을 대나무나 뼈로 만든 손잡이에 심어 처음 발명되었으며, 유럽을 거쳐 전 세계로 퍼져나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오늘날에는 일반 칫솔 외에도 전동 칫솔, 치간 칫솔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된다. - 구강위생용품 - 치실
치실은 치아 사이를 청소하는 데 사용되는 실 또는 섬유질 도구이며, 1815년에 처음 제안되었고 1898년 특허를 받은 후 다양한 종류로 개발되어 잇몸 질환과 구취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 수공구 - 손톱깎이
손톱깎이는 스테인리스강,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으로 만들어진 손톱과 발톱을 자르는 도구로, 다양한 형태와 헤드 모양을 가지며,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발명된 이후 디자인 개선을 거쳐 반려동물 발톱 관리에도 사용되고, 한국에는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는 속설이 있다. - 수공구 - 스위스 군용 칼
스위스 군용 칼은 1890년 스위스 군에서 지급하기 시작한 다양한 기능과 도구를 갖춘 휴대용 칼로, 빅토리녹스와 벵거 두 회사에서 납품 경쟁을 하다 현재는 빅토리녹스가 시장을 주도하며, 칼날, 드라이버, 병따개 등 필수 도구와 안전 장치, 인체공학적 디자인, 고품질 재료 사용을 통해 실용성과 내구성을 높여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 생활용품 - 향로
향로는 향을 피우는 데 사용되는 용기로, 고대 중국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문화권에서 종교적, 의례적, 실용적 목적으로 사용되며, 형태와 재료가 다양하고 종교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생활용품 - 깡통
깡통은 피터 듀란드가 특허를 받은 금속 용기로, 초기에는 납 중독 위험이 있었으나 강철 사용과 위생적인 디자인 발전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내용물을 담는 데 널리 사용되지만, 유해 물질 및 폐기물 관련 사회적 문제도 안고 있다.
이쑤시개 | |
---|---|
이쑤시개 | |
![]() | |
용도 | 이 사이의 음식물 제거 |
재료 | |
일반적인 재료 | 나무 대나무 플라스틱 금속 |
고급 재료 | 뼈 상아 |
형태 | |
일반적인 형태 | 얇고 뾰족한 막대 |
단면 | 원형 또는 사각형 |
역사 | |
초기 사용 | 고대부터 사용 |
발견 | 청동기 시대 무덤에서 발견 |
로마 시대 | 로마인들이 사용 |
유행 | 17세기~18세기 유럽에서 유행 |
산업화 | 19세기부터 대량 생산 |
문화 | |
예절 | 공공장소 사용에 대한 논쟁 식사 중 사용에 대한 예절 |
미술 | 예술 작품에 사용되기도 함 |
기타 | |
안전 | 삼킴 사고에 대한 우려 |
위생 | 개인 사용 권장 |
대용품 | 치실, 구강세정기 등 |
2. 역사
이쑤시개는 10만 년 전부터 쓰였으며,[25] 인류가 최초로 고안한 발명품으로 추측된다.[26] 약 18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조지아 드마니시 유적에서 발견된 호미닌 유해에는 이쑤시개를 반복적으로 사용한 흔적이 나타난다.[2][3] 스페인 코바 포라다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턱뼈는 치통 완화를 위해 이쑤시개를 사용했음을 보여준다.[4]
고대에는 청동이나 금으로 만든 이쑤시개가 매장 유물로 발견되기도 했다. 1986년 플로리다에서는 7500년 된 고대 아메리카 원주민 유해가 발견되었는데, 어금니 사이에 작은 홈이 발견되어 이쑤시개를 사용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4]
대한민국에서는 옛날에 버드나무 가지를 이쑤시개로 사용했다.[25] 이 때문에 이쑤시개를 버드나무 가지란 뜻의 '양지(楊枝)'라고 불렀으며, 양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음이 변형되어 오늘날에는 이를 닦는 것을 뜻하는 '양치'라는 단어로 바뀌었다.[27]
2. 1. 동아시아의 역사
중국에서는 4천 년 전부터 작은 이쑤시개가 사용되었으며, '삼사(三緒)'라고 불렸다.[25] 인도에서는 니임 나무 가지로 이를 닦는 습관이 있었고, 불교 전파와 함께 '던타카슈타(dantakashuta)'라는 이쑤시개가 중국에 전해졌다. 그러나 중국에는 니임 나무가 없었기 때문에, 대용으로 충치 통증 완화 효과가 있는 양류의 가지(양지)가 사용되었다.[12][13][14]이쑤시개는 불교와 함께 일본에도 전해졌으며, 도겐은 『정법안장』 세면 권에서 이쑤시개를 이용한 구강 위생과 그 공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에도 시대에는 '소양지(小楊枝)', '처양지(妻楊枝)'라고 불리는 이쑤시개가 등장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2년 12월, '자원의 절약 및 자원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일회용품 사용이 금지되었고, 이로 인해 음식점 등에서는 옥수수 전분을 원료로 한 식용이 가능한 이쑤시개가 사용되고 있다.[20]
3. 재료 및 제조
고대에는 은으로 만든 정교하고 예술적인 이쑤시개가 있었고, 로마 시대에는 마스틱 나무로 만든 이쑤시개도 있었다. 17세기에는 귀금속과 보석으로 장식된 사치품 이쑤시개도 있었다. 미국 남부에서는 너구리의 음경골을 가늘게 다듬어 이쑤시개로 사용했는데, 이를 "쿤 로드(coon rod)"라고 불렀다.[5]
최초의 이쑤시개 제조 기계는 1869년 마크 시뇨렐로가 개발했고, 1872년에는 실라스 노블과 J. P. 쿨리가 또 다른 기계의 특허를 받았다.[6] 현대에는 주로 자작나무를 사용하여 이쑤시개를 대량 생산한다. 통나무를 얇게 잘라 만든 판을 자르고, 다듬고, 표백하여 개별 이쑤시개를 만든다.[7] 오늘날에는 치실, 칫솔, 구강 세척기와 같은 치간 세척 방법들이 선호된다.
3. 1. 종류
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지며, 길이는 대략 10cm 미만이다. 끝이 뾰족하게 깎여 있고,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이나 장식이 있는 경우도 있다. 흑나무로 만든 것이 많아 '흑나무'라고도 불린다. 저렴한 제품은 자작나무 등 무른 나무나 합성수지로 만들며, 위생상 일회용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반면, 씻어서 반복 사용 가능한 고급품도 있는데, 상아(象牙)나 금(金)으로 만든 것도 있다.
일본에서는 끝부분에 꼬마인형(こけし) 모양의 장식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15] 이 장식은 제조사별로 달라, 어디에서 만들었는지 구별하는 브랜드와 같은 역할을 한다.[15] 꼬마인형 장식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고산의 이쑤시개 장인이 꼬마인형을 본떠 디자인했다는 설[16], 제조 과정에서 생기는 섬유질을 마찰로 처리하면서 검게 되는 것을 가리기 위해 25개 회사가 협의하여 꼬마인형의 검은 머리를 본떠 홈을 팠다는 설[17], 일본산 이쑤시개 제조 기계의 정밀도를 어필하기 위해 붙였다는 설[18] 등이 있다. 꼬마인형 부분을 부러뜨려 젓가락 받침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근거 없는 소문이다.[16]
서구에서는 단면이 삼각형 등 다각형인 평평한 이쑤시개가 일반적이다. 일본 이쑤시개의 길이는 주로 60mm인 반면, 서구의 이쑤시개는 67mm에서 90mm로 더 길고, 양쪽 끝이 모두 뾰족하거나 장식용 리본이 붙은 경우도 있다. 미국에서는 끝에 박하(ミント) 향료를 바른 이쑤시개도 있다.

고대에는 은으로 만든 정교한 이쑤시개도 있었고, 로마 시대에는 마스틱 나무로 만든 이쑤시개도 있었다. 17세기에는 귀금속과 보석으로 장식된 사치품 이쑤시개도 있었다. 미국 남부에서는 너구리의 음경골을 가늘게 다듬어 이쑤시개로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를 "쿤 로드(coon rod)"라고 불렀다.[5]
4. 용도
주로 이빨 사이에 낀 음식물을 제거하는 도구로 사용되지만, 음식과 함께 먹을 때 식기로 사용되거나, 부서지기 쉬운 음식을 뭉치게 할 때에도 사용된다.
일본식 과자를 대접할 때, 과자를 자르거나 입에 옮길 때 이쑤시개를 함께 놓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둥근 모양의 이쑤시개가 아니라, 나무껍질이 붙은 네모난 큰 이쑤시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이쑤시개는 현재에도 '''구로모지(黒文字)'''라고 불리며, 녹나무과의 낙엽관목인 구로모지(クロモジ)의 가지를 사용하는 데서 유래한다.
고급스러움을 더하려는 의도인지, 하나하나 종이로 만든 칼집이 붙어 있는 것도 있으며, 사용할 때 칼집에서 빼서 사용한다. 모양은 부드러운 일본식 과자를 눌러 자르는 형태로, 입을 크게 벌리지 않고 한입에 들어가도록 나누는 데에도 사용되므로, 끝부분이 약간 주걱처럼 얇아지는 경우도 있다.
5. 단점 및 주의사항
이쑤시개는 치아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지만, 자주 사용하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며, 부상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치과 의사들은 잇몸이나 치아 법랑질, 치아 뿌리 등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쑤시개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8] 이쑤시개는 베니어와 크라운을 손상시키거나, 조각이 부러져 잇몸에 박히거나 실수로 삼키는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9] 소규모 연구에 따르면 이쑤시개와 삼각형 나무 막대기는 치태 제거 능력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10]
대한민국에서는 1992년 12월부터 「자원의 절약 및 자원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일회용품 사용이 금지되면서, 음식점 등에서는 옥수수 전분을 원료로 한 식용 가능한 이쑤시개가 사용되고 있다.[20] 이는 가축 사료로 사용되는 남은 음식물에 일반 이쑤시개가 섞여 있으면 가축의 위를 뚫는 경우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남은 음식물에 섞여 있어도 제거하지 않고 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20]
녹말 이쑤시개는 사람이 조리하여 먹는 것도 가능하며,[20][21] 2020년대에는 튀겨서 과자처럼 먹는 영상이 SNS에서 화제가 되면서 다양한 조리법이 공유될 정도로 유행하고 있다.[22] 그러나 2024년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녹말 이쑤시개가 식품으로서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성명을 발표했다.[22] 현지 언론은 이쑤시개에 첨가된 소르비톨을 과다 섭취하면 구토, 설사,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22]
6. 국가별 이쑤시개
각 나라마다 이쑤시개 사용 문화는 그 나라의 역사, 사회, 환경적 요인을 반영하여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한민국에서는 1992년 자원 절약 및 재활용 촉진 법률 시행으로 일회용품 사용이 금지되면서, 옥수수 전분을 원료로 한 식용 가능한 녹말 이쑤시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녹말 이쑤시개는 가축 사료로 사용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섞여도 문제가 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다.
일본에서는 일본식 과자를 먹을 때 녹나무과의 낙엽관목인 구로모지(黒文字)의 가지로 만든 특별한 이쑤시개를 사용하는데, 고급스러운 느낌을 준다. 오사카부 가와치나가노시는 이쑤시개 생산량 일본 1위이다.[19]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나무로 만든 네모난 이쑤시개를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일본식의 뾰족한 이쑤시개로 변화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일본 이쑤시개를 4등분한 정도의 가늘고 얇은 이쑤시개를 사용하며, 다른 사람들 앞에서 사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적다.[1]
이탈리아에서는 사무라이(samurai)|사무라이it라는 이름의 일본제 이쑤시개가 널리 사용되며, 양쪽 끝이 뾰족한 것이 특징이다.
6. 1. 한국
1992년 12월, 대한민국에서는 자원의 절약 및 자원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일회용품 사용이 금지되었다. 이로 인해 음식점 등에서는 옥수수 전분을 원료로 한 식용 가능한 이쑤시개가 사용되고 있다.[20] 녹말 이쑤시개는 가축 사료로 쓰이는 남은 음식물에 섞여 있어도 제거하지 않고 사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 이쑤시개는 가축의 위를 뚫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20]녹말 이쑤시개는 사람이 조리하여 먹는 것도 가능하며,[20][21] 2020년대에는 튀겨서 스낵 과자처럼 먹는 영상이 SNS에서 화제를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응용 레시피가 게시될 정도로 유행하고 있다.[22] 이러한 상황에 대해 2024년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녹말 이쑤시개가 식품으로서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현지 언론은 이쑤시개에 첨가된 소르비톨을 과다 섭취하면 구토, 설사, 염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22]
6. 2. 일본
일본식 과자를 대접할 때, 과자를 자르거나 입에 옮길 때 이쑤시개를 함께 놓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둥근 모양의 이쑤시개가 아니라, 나무껍질이 붙은 네모난 큰 이쑤시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이쑤시개는 현재에도 '''구로모지(黒文字)'''라고 불리며, 녹나무과의 낙엽관목인 구로모지(クロモジ)의 가지를 사용하는 데서 유래한다.고급스러움을 더하려는 의도인지, 하나하나 종이로 만든 칼집이 붙어 있는 것도 있으며, 사용할 때 칼집에서 빼서 사용한다. 모양은 부드러운 일본식 과자를 눌러 자르는 형태로, 입을 크게 벌리지 않고 한입에 들어가도록 나누는 데에도 사용되므로, 끝부분이 약간 주걱처럼 얇아지는 경우도 있다.
오사카부 가와치나가노시가 판매 및 생산 등을 포함한 취급량에서 일본에서 1위이다.[19]
6. 3. 중국
중국에서는 나무로 만든 네모난 것이나 약간 납작한 모양의 이쑤시개도 사용되었지만, 치아 사이에 넣기 어려워 일본의 것과 같은 모양으로 바뀌고 있다.6. 4. 베트남
베트남에서는 일본의 이쑤시개를 세로로 4등분한 정도의 가늘고 얇은 이쑤시개를 사용한다. 또한, 다른 사람들 앞에서 사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거의 없으며, 특히 젊은 여성들도 아무렇지 않게 사용한다.[1]6. 5. 이탈리아
사무라이(samurai)|사무라이it라는 이름의 일본제 이쑤시개가 이탈리아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양쪽 끝이 뾰족한 것이 특징이다.참조
[1]
웹사이트
The Marketing Genius Who Brought Us the Toothpick
http://www.slate.com[...]
2012-11-23
[2]
논문
Tooth wear and dentoalveolar remodeling are key factors of morphological variation in the Dmanisi mandibles
2013-10-22
[3]
뉴스
'Ancient humans' used toothpicks
https://www.bbc.com/[...]
2013-10-08
[4]
뉴스
Dentistry as practiced 5510 B.C.
Toronto Star
1986-06-22
[5]
웹사이트
Coonrod: Arkansas Tooth-pick
https://www.thegagen[...]
1998-07-05
[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Toothbrush and Toothpaste
http://inventors.abo[...]
[7]
방송
Toothpicks; acrylic bathtubs; helicopters; beer
[8]
웹사이트
Does using toothpick dangerous to your teeth?
https://northbrookde[...]
[9]
웹사이트
But It's Just a Little Toothpick, How Threatening Can It Be
https://northerndent[...]
2021-06-10
[10]
논문
An Overview of Different Interdental Cleaning Aids and Their Effectiveness.
2019-06-01
[11]
웹사이트
爪楊枝
2022-12-08
[12]
서적
岩波新漢語辞典
岩波書店
1995-04-13
[13]
웹사이트
人はいつから歯みがきを始めたのか
https://www.lion-den[...]
ライオン歯科衛生研究所
[14]
서적
身近なモノ事始め事典
東京堂出版
[15]
서적
最後の職人伝「手業」に学べ 人の巻
平凡社
[16]
뉴스
日本経済新聞社
1987-10-07
[17]
웹사이트
「つまようじの溝なくします」→きっかけは小さなクレーム 大事にしてきた伝統…でも、実はナイス判断だった?
https://maidonanews.[...]
2023-12-12
[18]
방송
https://tvtopic.goo.[...]
[19]
웹사이트
「つまようじのまち」盛り上げる
https://www.sankei.c[...]
2018-10-30
[20]
서적
トリビアの泉〜へぇの本〜 6
講談社
[21]
웹사이트
爪楊枝は茹でたらツルリと旨い!
https://dailyportalz[...]
2010-11-15
[22]
웹사이트
爪楊枝を揚げて食べる人が続出。韓国当局が安全性が保証されていないとしてやめるよう警告
https://karapaia.com[...]
ミンキュア
2024-01-28
[23]
서적
ギネス世界記録 2014
KADOKAWA
2013-09-12
[24]
방송
【野添所長ついにボートに乗る!!】モーターを爆音解説!! 碧南出張編第3弾
https://www.youtube.[...]
JLCレジャーチャンネル
2024-02-24
[25]
웹인용
[분수대] 이쑤시개
https://www.joongang[...]
2007-02-01
[26]
웹인용
인류 최초의 발명품 이쑤시개
https://mdl.dongasci[...]
[27]
웹인용
“옛날에는 무엇으로 이를 닦았을까?” 치약의 역사
https://news.chosun.[...]
조선일보
2014-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