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깡통은 금속 용기의 한 종류로, 주로 식품 및 음료의 장기 보존을 위해 사용된다. 19세기 초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영국에서 상업적으로 발전했다. 초기에는 납땜으로 인한 납 중독 문제가 있었으나, 기술 발전으로 인해 캔 재료, 구조, 제조 과정이 개선되었다. 깡통은 용도, 재료, 형태,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3피스 캔과 2피스 캔이 주로 사용된다. 캔은 내용물의 변질을 막고 외부 충격에 강하며 재활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주석 용출, 납땜, 플라스틱 코팅(비스페놀 A) 등 건강 및 환경 문제도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놀이, 수집, 사회 문제 등 다양한 문화적 측면과 관련이 있으며, 캔의 크기는 국가별, 용도별로 다양한 규격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술 및 응용과학 - 포장
포장은 물품의 가치와 상태를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재료와 용기를 사용하는 기술 및 결과물로, 제품 보호, 정보 전달, 판매 촉진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친환경 소재가 중요해지고 있다. - 식품 보관 용기 - 도시락
도시락은 밥과 반찬을 담아 밖에서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음식 용기 또는 그 안에 담긴 음식을 의미하며, 가정식, 옛날 도시락, 김밥 도시락 등으로 분류되고 편의점에서 간편하게 구매할 수도 있다. - 식품 보관 용기 - 지퍼백
지퍼백은 위키백과 문서의 융합, 목차 구성, 번역 등을 다루며, 한국의 관점을 반영하여 중립적 시각을 유지하고 편집 지침을 준수하며 저작권 및 출처 표기를 고려한다. - 식품 포장 - 마대 (자루)
마대는 농작물 운송에 사용되는 자루로, 튼튼하고 통기성이 좋으며 친환경적이지만, 기밀성과 수밀성이 떨어지고 인쇄가 어렵다. - 식품 포장 - 통조림
통조림은 음식을 밀봉하여 장기간 보존하는 식품 가공 방법이며, 19세기 전쟁과 함께 널리 보급되었고, 재료 준비, 충전 및 밀봉, 가열 살균, 검사 과정을 거쳐 다양한 종류로 생산된다.
깡통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종류 | 밀폐 용기 |
재질 | 강철 주석 |
용도 | 식품 저장 |
역사 | |
발명 | 1810년 |
발명자 | 피터 듀랜드 |
상업적 생산 시작 | 1812년 |
구조 및 재료 | |
재료 | 강철 알루미늄 주석 |
형태 | 원통형 |
구성 요소 | 몸체 뚜껑 이음매 |
내부 코팅 | 에폭시 폴리에스터 |
제조 과정 | |
공정 | 강철 판재 절단 성형 용접 코팅 밀봉 |
안전성 및 환경 문제 | |
납 | 주석 도금이나 납땜에 사용되는 납은 식품 안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
비스페놀 A(BPA) | 일부 캔 내부 코팅에 사용되는 화학 물질, 환경 호르몬으로 작용할 수 있음 |
재활용 | 강철 캔은 재활용 가능 알루미늄 캔도 재활용 가능 |
기타 | |
명칭 | 깡통 (한국어) 캔 (영어) 함 (중국어) |
한국어 명칭 유래 | 일제강점기 때 일본어 '깡'에서 유래 |
2. 역사
캔의 역사는 식품 보존 기술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초기에는 납 중독의 위험이 있는 납땜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19세기 후반부터 강철 캔과 위생적인 디자인이 등장하면서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20세기 초에는 대량 생산 체제가 확립되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2피스 캔과 알루미늄 캔이 도입되는 등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일반적으로 수분이 많은 식품을 금속 캔에 넣고 밀봉, 가열, 살균한 것을 '''통조림'''이라고 한다.[62] 금속의 높은 밀봉성을 이용하여 산소, 수분, 미생물 등으로부터 차단하고, 밀봉 후 가열살균 등을 함으로써 높은 보존성을 얻을 수 있다. 차, 커피, 홍차, 김, 과자 등 건조식품을 금속 캔에 넣어 밀봉한 것은 '캔입'이라 하여 통조림과 구분된다.[62]
금속 캔은 식품 외에도 석유제품, 화학약품 등에도 사용되며, 스프레이 캔은 의약부외품이나 살충제 등에 사용된다. 일斗缶이나 드럼통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JIS 등에서 모양과 크기가 규격화되어 있다.
'缶'의 옛한자는 '罐'이다. 원래 '罐'는 넓은 입구의 항아리를 의미했지만, 서구에서 금속 용기(네덜란드어 "kan", 영어 "can")가 들어오면서 '칸'의 음역으로 이 글자를 사용하게 되었다.[63] 영어의 Can은 통조림 기법을 고안한 피터 듀란드가 금속 용기의 특허를 신청할 때 틴 캐니스터(Tin '''Can'''ister, "양철통")라는 명칭을 사용했고, 이를 줄인 표현에서 유래한다.[64]
2. 1. 초기 역사

깡통 제조 공정은 프랑스인 필립 드 지라르가 고안하여 영국 상인 피터 듀란드가 1810년에 특허를 받았다.[4][5] 캔을 이용한 보존(Canning) 개념은 그 전 해 프랑스 발명가 니콜라 아페르가 유리 용기에 대한 실험적인 식품 보존 작업을 기반으로 했다. 듀란드는 식품 캔닝을 추구하지 않았지만 1812년에 자신의 특허를 영국인 브라이언 돈킨과 존 홀에게 팔았고, 그들은 공정과 제품을 개선하여 런던 사우스워크 파크 로드에 세계 최초의 상업용 캔닝 공장을 설립했다. 1813년까지 그들은 영국 해군에 최초의 주석캔 식품을 생산하고 있었다. 1820년까지 주석 용기 또는 캔은 화약, 씨앗, 테레빈유에 사용되었다.
초기 주석캔은 주석-납 합금으로 납땜하여 밀봉했는데, 이로 인해 납 중독이 발생할 수 있었다. 1888년 맥스 암스가 측면 이음매 잠금 장치를 발명하여 납땜이 캔의 외부에만 있고 식품에는 절대 닿지 않는 "위생적인 캔" 디자인이 등장했다.
2. 2.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19세기 말, 캔 재료로 납땜 대신 강철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1888년 맥스 암스는 측면 이음매 잠금 장치를 발명하여 납땜이 캔 외부에만 있고 식품에는 절대 닿지 않는 "위생적인 캔" 디자인을 개발했다.[4][5] 1904년 뉴욕 위생 캔 회사에서 현대식 3피스 디자인을 개발했다.1901년 미국에서는 아메리칸 캔 컴퍼니가 설립되어 당시 미국 주석캔의 90%를 생산했다.[6] 이 회사는 1908년 뉴욕 위생 캔 회사를 인수했고, 1920년대 초에는 3피스 디자인이 다른 모든 캔을 대체했다. 이후 캔은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기술 발전으로 강철 사용량이 20%, 주석 사용량이 50% 감소했다.
1920년대 기술 발전으로 캔 가격이 더욱 낮아지면서, 주석캔에 담긴 통조림 식품은 이미 여러 나라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었다.[7] 1935년 최초의 금속 캔 맥주가 판매되어 즉각적인 판매 성공을 거두었다.[7]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재료 부족으로 아메리칸 캔 컴퍼니의 3피스 캔 생산이 중단되었다.[7] 전쟁 이후 측면 이음매가 없는 2피스 캔이 도입되었다. 1958년 프리모 맥주에서 알루미늄 캔을 사용하기 시작했다.[7]2. 4. 현대의 발전
21세기 초에는 약 600가지 종류의 캔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측면 이음매와 이중 이음매 처리된 두 개의 끝부분이 있는 3피스 캔이고, 그 다음은 측면과 바닥이 한 조각으로 인발된 2피스 캔이다.[4] 기술 발전으로 캔 생산에 사용되는 강철과 주석의 양이 크게 감소했다.[6] 현대의 캔은 대부분 강철(99.5%)로 만들어진다.[6]3. 종류
캔은 용도, 재료, 형태,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대부분의 캔은 윗면과 바닥면이 평행한 원형인 직원기둥 형태이다. 하지만 소량 또는 특수한 모양의 내용물을 담는 캔은 윗면과 바닥면이 둥근 모서리를 가진 직사각형이나 타원형일 수 있다. 내용물에 따라서는 약간 원뿔 모양의 캔이 적합할 수도 있다.
대부분 캔에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가 있다. 3피스 캔은 윗면과 바닥면에 테두리가 있고, 2피스 캔은 윗면에만 테두리가 있다. 2피스 캔은 심압착된 컵 모양이며, 벽과 바닥 사이는 점진적으로 이행된다. 일부 캔에는 별도의 뚜껑이 있기도 하다.
20세기 중반, 일부 유제품은 테두리가 거의 없는 캔에 포장되었다. 이 캔은 평평한 표면에 구멍을 내고 납땜 방울로 밀봉했는데, 여기서 용출된 납이 우유에 섞여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일반적으로 수분이 많은 식품을 금속 캔에 넣어 밀봉, 가열, 살균한 것을 '''통조림'''이라고 한다.[62] 캔은 금속의 높은 밀봉성을 이용해 산소, 수분, 미생물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차단하고, 가열살균 등을 통해 보존성을 높인다.
캔음료는 1인이 한 번에 마실 수 있는 소량의 음료를 담은 캔으로, 캔주스, 캔커피, 캔맥주 등이 있다.
건조식품 등을 금속 캔에 넣어 밀봉한 것은 '캔입'이라 하며, 통조림과는 구분된다.[62]
금속 캔은 식품 외에도 석유제품, 화학약품 등에 사용된다. 스프레이 캔은 의약부외품이나 살충제 등을 담는 데 쓰인다. 대부분 원기둥 형태이지만, 일斗缶처럼 직육면체 등 다양한 모양이 있다. 식용유, 석유제품 등 액체용 캔에는 나사 등으로 다시 밀봉할 수 있는 주입구가 있다.
일斗缶이나 드럼통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JIS 등에서 모양과 크기가 규격화되어 있다.
3. 1. 용도별 분류
깡통은 용도에 따라 크게 식품용 캔과 비식품용 캔으로 나눌 수 있다.식품용 캔은 다시 통조림, 캔입, 캔음료로 구분된다.
- '''통조림''': 수분이 많은 식품을 금속 캔에 넣어 밀봉, 가열, 살균한 것이다.[62] 산소, 수분, 미생물 등으로부터 차단하고, 밀봉 후 가열살균 등을 함으로써 높은 보존성을 가진다. 육류(코브비프, 꼬치구이, 메추리알 등), 수산물(참치, 가다랑어, 고등어, 오징어 등), 채소(토마토, 옥수수, 콩, 버섯, 죽순, 산채 등), 과일(시럽절임), 기타 가공식품(밥, 빵, 연유, 가공치즈, 조림, 수프 등), 유지(식용유, 라드 등), 조미료 등 다양한 제품이 있다. 개나 고양이 등 애완동물용 사료를 넣은 것도 있다.
- '''캔입''': 건조식품 등을 금속 캔에 넣어 밀봉한 것으로, 통조림과는 구별된다.[62] 차, 커피, 홍차, 김, 과자, 프로틴, 분유 등에 자주 사용되며, 보통 뚜껑으로 개폐한다.
- '''캔음료''': 1인이 1회에 마실 수 있는 정도의 소량 음료를 담은 캔으로, 내용물에 따라 캔주스, 캔커피, 캔맥주 등으로 불린다. 초기 음료 캔은 캔따개가 필요했지만, 1960년대에 풀탭 방식의 뚜껑이 등장하면서 유리병에서 캔으로 전환이 가속화되었다.[72] 일본에서는 1989년부터 캔에서 분리되지 않는 스테이온탭(SOT)이 채택되었다.[71]
비식품용 캔은 석유제품, 화학약품 등을 담는 데 사용된다. 스프레이 캔은 의약부외품이나 살충제 등에 사용되며, 대부분 원기둥 형태이지만, 드럼통과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식용유, 석유제품 등 액체용 캔에는 나사 등으로 다시 밀봉할 수 있는 주입구가 있는 것이 많다.
스프레이 캔은 내부에 가스를 넣어 압력을 높여 액체나 분말을 살포하는 용기이며, 가스류 자체를 대량 보관하기 위한 고압 용기는 봄베(ボンベ)라고 한다.
3. 2. 재료별 분류
깡통은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강철 캔''': 주로 주석 도금 강판(tinplate)을 사용하여 만든다.
- '''알루미늄 캔''': 가볍고 재활용이 쉽다는 장점 덕분에 음료수 캔에 주로 사용된다.
- '''탈크 캔(TULC 캔)''': 東洋제관(東洋製罐)에서 개발한 캔으로, 알루미늄이나 철에 PET 수지를 접착하여 만든다. 제조 과정에서 윤활 및 냉각제가 필요 없어 물 사용량과 폐기물을 줄일 수 있고, 도장 공정이 생략되어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감소된다.[63] 바닥면이 흰색인 것이 특징이다.
- '''기타''': 과거에는 주석과 납을 합금한 캔도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3. 형태별 분류
대부분의 캔은 윗면과 바닥면이 평행한 원형인 직원기둥 형태이다. 하지만 소량 또는 특수한 모양의 내용물을 담는 캔은 윗면과 바닥면이 둥근 모서리를 가진 직사각형이나 타원형일 수 있다. 내용물에 따라서는 약간 원뿔 모양의 캔이 적합할 수 있다.[8]2피스 강철 캔은 바닥과 측면을 "압출"하여 제작하고 윗면에 "끝"을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캔은 측면에 이음매가 없다. 캔은 별도로 끼워 맞추거나 마찰 끼워맞춤 뚜껑, 또는 경첩으로 부착된 뚜껑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양한 간편 개봉 방법이 있다.[8]
액체나 분말을 살포하기 위해 내부에 가스를 넣어 압력을 높인 것을 스프레이 캔이라고 한다. 가스 자체를 대량 보관하기 위해 고압의 기체나 액체용으로 만들어진 금속 용기는 봄베라고 한다. 스프레이 캔은 다른 캔과 비슷한 두께의 금속으로 만들어지지만, 봄베는 고압을 견디기 위해 두꺼운 금속이 사용된다. 스프레이 캔은 출구를 누르면 내용물이 분출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보통 본체의 버튼을 누르기 위한 기구가 부착되어 있다. 봄베는 밸브가 사용된다. 카세트 콘로용 소형 가스 용기(봄베)는 봄베라고 불리지만 스프레이 캔과 같은 형태이며, 콘로 쪽으로 누르는 구조이기 때문에 출구를 누르는 기구는 부착되어 있지 않다.
3. 4. 구조별 분류
- '''3피스 캔''': 뚜껑, 몸체, 바닥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기에는 납땜으로 접합했지만 19세기 말부터는 이중 권축법이 사용된다.
- '''2피스 캔''': 몸체와 바닥이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고 뚜껑만 따로 접합하는 방식이다. 측면 이음매가 없다.
- '''이지 오픈 캔''': 캔따개 없이 쉽게 열 수 있도록 설계된 캔으로, 풀톱(Pull-Top) 방식과 스테이온탭(Stay-On-Tab, SOT) 방식이 있다. 풀탭은 캔에서 뚜껑이 분리되지만, 스테이온탭은 분리되지 않아 환경 문제 개선에 기여했다. 일본에서는 1989년부터 스테이온탭이 채택되었으며, 1990년대 초에는 풀탭 방식 캔이 거의 제조되지 않았다.[71][73]
- '''보틀 캔''': 나사 뚜껑이 있는 알루미늄 또는 강철 캔이다. 1996년 소형 페트병 사용 규제가 해제된 후, 2000년에 다이와제관이 페트병과 동형의 500ml 알루미늄 보틀캔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확보했다. 뚜껑을 다시 닫을 수 있고, 열전도율이 좋아 냉각이 빠르며, 금속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4. 제조 과정
캔 제조는 크게 3피스 캔과 2피스 캔의 제조 과정으로 나뉜다. 3피스 캔은 뚜껑, 몸체, 바닥을 따로 만들어 접합하고, 2피스 캔은 몸체와 바닥을 일체로 성형하고 뚜껑만 접합한다. 초기에는 뚜껑이나 바닥 접합에 납땜을 사용했지만, 19세기 말 이중 권축법이 발명된 이후로는 이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41]
4. 1. 3피스 캔 제조 과정

림이 있는 3피스 캔 제작에는 여러 단계가 있다.
# 튜브를 만들고 옆면 이음매를 용접하거나 납땜한다.
# 튜브에 바닥 부분을 연결한다.
# 캔에 라벨을 인쇄하거나 부착한다.
# 내용물로 캔을 채운다. 많은 식품의 경우 살균 또는 레토르트 처리가 필요하다.
# 벽과 윗부분 "끝"을 연결한다.
이중 솔기 림은 벽을 윗면 또는 바닥면에 연결하는 데 중요하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품 간에 매우 밀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부품의 림이 크게 변형된다. 벽을 형성하는 튜브의 일부는 거의 끝 부분에서 90도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다음 튜브 중앙을 향해 더 구부러져 나머지 튜브와 평행하게 될 때까지 총 180도 구부러진다.
평평한 조각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튜브 벽의 중앙을 향해 구부러져 90도 안쪽으로 돌면서 벽과 평행하게 된다. 구부러진 부분의 가장자리는 90도 더 안쪽으로, 즉 튜브 축을 향해 평평한 조각의 주요 부분과 평행하게 구부러져 총 180도 구부러진다. 안쪽으로 충분히 구부러져 원형 가장자리가 이제 튜브 가장자리보다 지름이 약간 ''작다''. 튜브 축과 평행해질 때까지 더 구부리면 총 270도 구부러진다. 이제 튜브의 바깥쪽 림을 감싼다.
튜브 축에서 바깥쪽을 보면 첫 번째 표면은 튜브의 구부러지지 않은 부분이다. 약간 더 바깥쪽에는 가장자리를 포함한 윗부분의 좁은 부분이 있다. 가장자리를 포함한 튜브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부분은 여전히 약간 더 바깥쪽에 있다. 가장 바깥쪽에는 90도 구부러진 평평한 표면의 부분이 있다.
튜브 내부에 인접한 평평한 표면의 부분이 튜브 중앙을 향해 안쪽으로 들어간 다음 튜브 축을 향해 ''앞으로'' 바깥쪽으로 움직이고 평평한 조각과 튜브의 다른 구부러진 부분이 모두 튜브 축을 향해 ''움직이는'' 복합적인 상호 작용은 이 다섯 개의 금속 두께를 안팎으로 서로 밀착시켜 용접이나 납땜이 필요 없는 매우 견고한 "건식" 접합부를 만든다. 이 과정에 대한 그림은 FAO 어업 기술 논문 285 "수산물 통조림 매뉴얼"의 20~22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다.[41]
4. 2. 2피스 캔 제조 과정
일본 東洋제관(東洋製罐)은 CO2와 제조 시 사용하는 물을 대폭 줄이기 위해 탈크캔(TULC캔: Toyo Ultimate Can)이라는 캔을 제조하고 있다.[41] 일반적으로 2피스캔은 프레스 가공 시 윤활·냉각제가 필요하지만, 탈크캔은 원료인 알루미늄 또는 철에 PET 수지를 접착하여 이것이 윤활유 역할을 함으로써 세척 공정이 필요 없다.[41] 그 결과, 물 사용량 및 그 정화에 따른 폐기물 감소가 가능해졌다.[41] 도장이 필요 없어 CO2 감소로 이어진다.[41] 캔의 특징으로는 흰색 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바닥면이 흰색이다.[41]5. 캔의 장점
캔은 빛, 물, 공기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막고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한다.[10] 금속 캔은 외부 충격에 강하고 쉽게 깨지지 않아 운송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재밀봉이 불가능한 캔은 변조 방지 효과가 뛰어나다.[10] 캔에 포장된 식품은 보존제가 필요 없이 신선하게 조리된 것과 동등한 비타민 함량을 유지한다.[10]
캔은 제품의 유통 기한을 늘려 판매 기한과 사용 기한을 연장하고 폐기물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50] 강철 캔은 열전도율이 높아 유리병이나 플라스틱 병보다 음료를 더 빠르고 쉽게 차갑게 만들 수 있다.[11] 강철과 알루미늄 캔은 모두 재활용이 용이하며,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에 기여한다.
6. 건강 및 환경 문제
주석도금강판으로 만든 캔에서 주석이 식품으로 용출되는 문제는 과거에 존재했다.[13] 주석은 부식에 강하지만, 과일, 채소처럼 산성 식품은 주석층을 부식시킬 수 있었다.[14] 일정량 이상 주석 함유 통조림 식품 섭취는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14] 1970년 도쿄도 식품 검사에서는 캔 음료에서 기준치 초과 주석 검출 사례가 잇따랐다.[75]
하지만 2002년 연구에서 조사 대상 통조림 대부분이 영국 규제 기준 미만 주석 함유량이 확인되었고, 산성 식품에 완전 도장 통조림 사용 증가가 주석 용출 감소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15] 현재는 거의 모든 강철 식품 캔 부식 방지 코팅이 주석 대신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주석 용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20]
과거 캔 이음매 납땜 과정에서 납이 사용되어 식품 오염 원인이 되기도 했다.[17] 1995년 미국 FDA는 납땜 식품 통조림 금지 규칙을 발표했으나,[19][20] 일부 납땜 및 통조림 사용 주석 라이닝에는 여전히 상당량 납이 포함되었다.[3][21]
금속 식품 캔에는 식품 부식 방지를 위해 플라스틱 라이닝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22] 이 라이닝에는 비스페놀 A(BPA)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며,[25][26][27][28] 통조림 식품 섭취와 BPA 노출 간 연관성이 제기된다. 캐나다는 2010년 BPA를 유독 물질로 선포했고,[33][34] 유럽 연합과 캐나다는 유아용 젖병에 BPA 사용을 금지했다.
6. 1. 주석 용출
과거에는 주석도금강판으로 만든 캔에서 주석이 식품으로 용출되는 문제가 있었다.[13] 주석은 부식에 강하지만, 과일이나 채소와 같은 산성 식품은 주석층을 부식시킬 수 있다.[14] 일정량(200 mg/kg) 이상의 주석을 함유한 통조림 식품을 섭취하면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14]2002년 연구에 따르면, 조사 대상 통조림 1200개 중 99.5%가 영국 규제 기준(200 mg/kg) 미만의 주석을 함유하고 있었다. 이는 이전 연구 결과보다 개선된 것으로, 산성 식품에 대한 완전 도장 통조림 사용 증가가 주석 용출 감소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당 연구는 이 결과가 소비자의 장기적인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으며, 기준에 미달한 두 제품은 자발적으로 리콜되었다.[15]
배의 경우처럼 색깔 변화를 통해 주석 불순물의 증거를 확인할 수도 있지만, 색깔 변화가 없다고 해서 식품에 주석이 오염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장하지는 않는다.[16]
1970년 도쿄도의 식품 검사에서는 캔 음료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주석이 검출되는 사례가 잇따랐다. 이는 원료나 물에 질산성 이온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캔의 재료인 주석이 녹기 쉽기 때문이었다.[75] 당시에는 관련 지식이 충분히 축적되지 않아 캔 음료의 이미지가 나빠지기도 했지만, 이후 알루미늄 캔으로의 전환 등 기술적인 해결책이 진행되었다.
오늘날에는 거의 모든 강철 식품 캔의 부식 방지 코팅이 주석이 아닌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주석 용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20]
6. 2. 납땜
과거에는 캔의 이음매를 납땜하는 과정에서 납이 사용되어 식품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17] 1991년 11월, 미국 통조림 제조업체들은 자발적으로 식품 통조림의 납땜 이음매를 제거했다.[18][20] 그러나 수입 식품 통조림에는 납땜 이음매가 계속 포함되었다.[18][20]1995년, 미국 FDA는 국내산 및 수입산 식품 통조림을 포함한 납땜 식품 통조림을 금지하는 규칙을 발표했다.[19][20] 하지만 FDA는 "납땜"에 대한 정의나 허용 가능한 납 수치에 대한 정량적 한계를 제시하지 않았고, 일부 납땜 및 통조림에 사용되는 주석 라이닝에는 여전히 상당량의 납이 포함되어 있었다.[3][21] 2017년에 정량적 한계가 설정되었지만, 의도적으로 납을 첨가할 수 있을 만큼 높았고, FDA 측정 결과 2010년대 많은 미국 통조림 식품에서 측정 가능한 수준의 납이 검출되었다.[3][21]
6. 3. 플라스틱 코팅 (비스페놀 A)
많은 금속 식품 캔에는 식품이 캔을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라이닝이 되어 있다.[22] 이러한 라이닝은 오염 물질을 통조림 식품으로 용출할 수 있다.[23] 이러한 오염 물질 중 일부는 알려진 건강상의 위해를 초래하는 물질이지만, 통조림 식품을 통해 섭취되는 양이 건강에 해를 끼칠 만큼 충분한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24]식품 캔의 플라스틱 라이닝에는 종종 비스페놀 A(BPA)가 포함되어 있다.[25][26][27][28] 통조림 식품을 더 많이 섭취하는 임산부의 소변에서 BPA 수치가 더 높게 나타난다.[29]
비스페놀 A(BPA)는 시판되는 깡통 플라스틱 내벽[32]에 존재하는 논란이 되는 화학 화합물로, 통조림 식품으로 옮겨진다. 캔의 내부는 식품이나 음료가 금속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폭시 코팅으로 코팅되어 있다. 식품이 캔에 오래 있을수록, 그리고 더 따뜻하고 산성일수록 BPA가 더 많이 용출된다. 2010년 9월, 캐나다는 BPA를 유독 물질로 선포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33][34] 유럽 연합과 캐나다에서는 유아용 젖병에 BPA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새로운 BPA 없는 캔 라이닝을 포함한 캔 라이닝의 다른 구성 요소들도 알려진 건강상의 위해를 초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0]
2016년 캐나다에서는 식품 캔 내부 코팅에 BPA가 흔히 사용되었다.[35] 2008년 8월 기준, 캐나다 보건부 식품국은 "식품 포장에서 비스페놀 A(BPA)에 의한 현재의 식이 노출은 신생아와 유아를 포함한 일반 대중에게 건강상 위험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라고 결론지었다. 또한 일부 동물 연구에서 낮은 수준의 BPA로부터 영향이 나타났다는 점을 언급하며, 유아 및 신생아용으로 포장된 식품(특히 분유)의 BPA 수준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36]
현대 영국에서는 대부분의 식품 캔이 비스페놀 A(BPA)를 함유한 플라스틱 코팅으로 내부를 처리해 왔다.[37] 이 코팅은 산이나 다른 물질이 캔의 주석이나 알루미늄을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하지만, 캔 내용물로 BPA가 용출될 가능성이 건강상의 위험으로 조사되었다. 영국 식품표준청(UK Food Standards Agency)은 현재 캔에서 검출되는 BPA 수준은 허용 가능하다고 판단하지만, 안전 기준치를 조사하고 있으며, 현재 BPA에 대한 임시 기준치를 두고 있다.[38]
2016년 시장 조사에서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물질을 확인한 결과, 미국 내 식품 캔 내부 코팅에서 BPA(비스페놀 A)와 기타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 흔하게 발견되었다. 식품 캔 제조업체가 2020년에 실시한 유사한 조사에서는 수입 캔에서만 BPA가 발견되었으며, BPA 이외의 코팅 물질로 인한 잠재적 피해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39]
7. 재활용 및 지속 가능성
강철은 캔을 포함한 다양한 곳에서 얻을 수 있으며, 가장 많이 재활용되는 포장재 중 하나이다.[50] 2016년 유럽의 강철 캔 재활용률은 79.5%였다.[50]
대부분의 캔 재활용은 제련소에서 이루어지지만, 캔을 직접 재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양철 캔을 사용하여 캠핑 또는 생존용 난로를 만들어 작은 식사를 요리하기도 한다.
철강은 생태학적 관점에서 폐쇄 루프 재료로 간주될 수 있다. 소비 후 폐기물은 수거, 재활용되어 새로운 캔이나 다른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53] 철강 스크랩 1톤을 재활용하면 CO₂ 1.5톤, 철광석 1.4톤, 석탄 740kg을 절약할 수 있다. 철강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활용되는 재료이며, 전 세계 철강 제품의 85% 이상이 수명이 다한 후 재활용된다. 2017년에는 약 6.3억ton의 철강 스크랩이 재활용되어 9.45억ton의 CO₂ 배출량을 줄였다.[54]
강철 캔은 품질 저하 없이 반복해서 재활용될 수 있다.[55] 식품 등급 강철의 경우,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주석을 고철에서 제거해야 한다. 이는 낮은 음극 전압에서 고 pH 용액으로 주석을 용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56]
캔 하나를 재활용하면 세탁기 한 번 돌릴 전력, TV 1시간 시청, 또는 10W LED 전구 24시간 사용량에 해당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57] 강철 음료수 캔은 전기 아크로 또는 기본 산소로에서 용융하여 재활용된다.
대부분의 강철 캔에는 Metal Recycles Forever Mark[58], Recyclable Steel[59], Choose Steel 캠페인 로고[60]와 같은 재활용 식별 표시가 있다. 유럽에서는 Every Can Counts라는 캠페인을 통해 직장 내 캔 재활용을 장려하고 있다.[61]
음료 포장은 원재료 채취, 가공, 제조부터 재활용까지 모든 생산 단계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그러나 강철 캔은 항상 재활용될 수 있어 환경적으로 가장 우수한 제품이다. 철강 산업은 사용한 캔을 필요로 하며, 이를 새로운 철강 제품 생산에 사용한다. 캔 재활용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8. 한국 문화와 캔
한국에서 캔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며,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여러 영향을 미친다. 아이들은 캔을 이용해 깡통차기나 깡통신 등의 놀이를 즐기기도 한다. 또한, 디자인이 독특하거나 희귀한 캔을 수집하는 수집가들도 있다. 타마의 전 퍼커셔니스트 이시카와 코지와 경제 분석가 모리나가 타쿠로가 유명한 캔 수집가로 알려져 있다.
캔은 편리하지만 빈 캔으로 인한 쓰레기 문제도 발생한다. 쓰레기 무단 투기는 도시 경관을 해치고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낭비하게 한다. 따라서 지자체와 제조업체는 쓰레기 무단 투기를 금지하고 있으며, 금속 캔은 페트병보다 재활용률이 높다.[74] 빈 캔을 담배 꽁초를 담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유아 등이 실수로 마시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최근 스포츠 경기장, 콘서트장 등에서는 캔 음료 반입을 제한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J리그는 모든 경기장에서 캔 음료 반입을 금지하고 있으며, 입장 시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텀블러에 옮겨 담도록 안내하고 있다.
8. 1. 캔과 관련된 놀이
사용한 캔은 아이들이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깡통차기나 깡통신 등의 놀이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8. 2. 캔 수집
사용한 음료수 캔 디자인이나 유통량이 적은 희귀한 캔 등을 목적으로 수집하는 수집가가 있다. 유명한 수집가로는 타마의 전 퍼커셔니스트 이시카와 코지와 경제 분석가 모리나가 타쿠로가 있다.
수집할 때 윗부분의 풀톱 부분을 열면 보기가 좋지 않고, 그렇다고 내용물을 넣은 채로 두면 내용물의 부패는 물론, 녹 등 캔에도 손상을 줄 수 있다. 그래서 캔 바닥에 옛날 음료수 캔처럼 두 곳에 구멍을 뚫고 내용물을 빼내 캔을 세척하여 보관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8. 3. 캔과 관련된 사회 문제
캔 음료는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지만, 빈 캔으로 인한 쓰레기 문제가 발생한다. 캔을 아무 곳에나 버리는 쓰레기 무단 투기는 도시 경관을 해치고,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낭비하게 만든다. 따라서 지자체와 제조업체는 쓰레기 무단 투기를 금지하고 있다. 실제로 금속 캔은 페트병보다 재활용률이 높다.[74] 빈 캔을 담배 꽁초를 담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유아 등이 실수로 마시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최근 스포츠 경기장, 콘서트장, 이벤트 현장 등에서는 쓰레기 문제나 흥분한 관객이 캔을 던지는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캔 음료 반입을 제한하는 곳이 늘고 있다. 예를 들어 J리그는 모든 경기장에서 캔 음료 반입을 금지하고 있으며, 입장 시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텀블러에 옮겨 담도록 안내하고 있다.
9. 관련 규격
캔의 크기와 형태는 국가별, 용도별로 다양한 규격이 존재한다.
미국에서는 캔 제조업체 협회(Can Manufacturers Institute)에서 캔 크기를 정의하고 있다. 캔의 외형 치수는 인치 단위로 표시하며, 예를 들어 307 × 512는 지름 3과 7/16인치, 높이 5와 3/4인치를 의미한다. 오래된 캔 번호는 내용물의 무게를 기준으로 계산되기도 한다.[40]
캔 이름 | (인치) | 용량 (미국 액체 온스) | 2번 캔 환산량 | 일반적인 제품 |
---|---|---|---|---|
6Z | 2 × 3 | 6.08 | 0.295 | |
8Z Short | 2 × 3 | 7.93 | 0.386 | |
8Z Tall | 2 × 3 | 8.68 | 0.422 | |
No. I (피크닉) | 2 × 4 | 10.94 | 0.532 | |
No. 211 실린더 | 2 × 4 | 13.56 | 0.660 | |
No. 300 | 3 × 4 | 15.22 | 0.741 | 크랜베리 소스, 돼지고기와 콩 |
No. 300 실린더 | 3 × 5 | 19.40 | 0.945 | |
No. I Tall | 3 × 4 | 16.70 | 0.813 | |
No. 303 | 3 × 4 | 16.88 | 0.821 | 과일, 채소, 수프 |
No. 303 실린더 | 3 × 5 | 21.86 | 1.060 | |
No. 2 진공 | 3 × 3 | 14.71 | 0.716 | |
No. 2 | 3 × 4 | 20.55 | 1.000 | 주스, 수프, 채소 |
점보 | 3 × 5 | 25.80 | 1.2537 | |
No. 2 실린더 | 3 × 5 | 26.40 | 1.284 | |
No. 1.25 | 4 × 2 | 13.81 | 0.672 | |
No. 2.5 | 4 × 4 | 29.79 | 1.450 | 과일, 채소 |
No. 3 진공 | 4 × 3 | 23.90 | 1.162 | |
No. 3 실린더 | 4 × 7 | 51.70 | 2.515 | |
No. 5 | 5 × 5 | 59.10 | 2.8744 | 과일 주스, 수프 |
No. 10 | 6 × 7 | 109.43 | 5.325 | 과일, 채소 |
미터법을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250, 500, 750 ml 및 1L 크기의 깡통이 제조된다. 미국에서 수입된 캔은 종종 3.8L(), 1.9L(½미국 갤런), 946ml(2미국 파인트/1쿼트)와 같이 특이한 크기이다.
영국과 호주에서는 캔의 크기를 일반적으로 순중량으로 측정한다. 표준 크기의 캔은 약 400g을 담을 수 있지만, 내용물의 밀도에 따라 385g에서 425g까지 다양하다. 더 작은 반 크기의 캔은 약 200g을 담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70g에서 225g까지 다양하다.
참조
[1]
서적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Third Edition
OUP USA
2010-10-28
[2]
서적
Encyclopedia of Packaging Technology
https://archive.org/[...]
Wiley
[3]
웹사이트
It's time to eliminate lead from tin coating and solder on metal food cans - EDF Health
https://blogs.edf.or[...]
2021-01-11
[4]
서적
Food packaging
CRC Press
2016
[5]
웹사이트
BBC News – The story of how the tin can nearly wasn't
https://www.bbc.co.u[...]
Bbc.co.uk
2013-04-21
[6]
웹사이트
American Can Company: Revolution in Containers
http://www.oilcans.n[...]
2010-07-16
[7]
서적
Sparrows Point: Making Steel—the Rise and Ruin of American Industrial Migh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8]
서적
Fundamentals of Packaging Technology
Institute of Packaging Professionals
[9]
웹사이트
Beverage Tata Steel in Europe
https://www.tatastee[...]
2018-07-09
[10]
웹사이트
Steel For Packaging – Home
http://www.steelforp[...]
2018-07-09
[11]
웹사이트
Does a Drink Stay Colder in a Metal Can or a Plastic Bottle?
https://sciencing.co[...]
2018-07-09
[12]
서적
Illustrated Glossary of Packaging Terminology
http://www.iopp.org/[...]
Institute of Packaging Professionals
[13]
서적
Putting Food By: Fifth Edition
https://books.google[...]
Penguin
2010-05-25
[14]
학술지
Tin in canned food: a review and understanding of occurrence and effect
[15]
웹사이트
Tin in canned fruit and vegetables (Number 29/02)
http://www.food.gov.[...]
Food Standards Agency
2002-08-22
[16]
학술지
Pink discoloration in canned pears I.—Role of tin in pigment formation
[17]
웹사이트
Lead in Food and Foodwares
https://www.fda.gov/[...]
2024-03-06
[18]
뉴스
Lead in Cans: Still a Problem, Still Preventable
https://www.latimes.[...]
1993-04-29
[19]
웹사이트
Code of Federal Regulations
https://www.accessda[...]
United States of America
2017-04-01
[20]
웹사이트
Shelf-Stable Food Safety
https://www.fsis.usd[...]
USDA 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
[21]
웹사이트
Latest federal data on lead in food suggests progress made in 2016 was fleeting - EDF Health
https://blogs.edf.or[...]
2019-10-03
[22]
웹사이트
Buyer Beware: Toxic BPA and regrettable substitutes found in the linings of canned food
http://www.toxicfood[...]
[22]
웹사이트
Is Canned Food Safe from BPA Now?
https://ceh.org/your[...]
[22]
웹사이트
Innovations in Food Cans
https://www.cancentr[...]
Can Manufacturers Institute
[23]
학술지
Chemical contaminants in canned food and can-packaged food: a review.
2023
[24]
뉴스
Are Cans BPA-Free in the UK?
https://www.food.gov[...]
Food Standards Agency
2018-10-26
[24]
학술지
Dietary Predictors of Phthalate and Bisphenol Exposures in Pregnant Women.
2019-09-01
[24]
웹사이트
Buyer Beware: Toxic BPA and regrettable substitutes found in the linings of canned food
http://www.toxicfood[...]
[24]
학술지
Chemical contaminants in canned food and can-packaged food: a review.
2023
[24]
웹사이트
Is Canned Food Safe from BPA Now?
https://ceh.org/your[...]
[24]
웹사이트
Department of Ecology - Committees, Boards, and Workgroups
https://www.ezview.w[...]
[24]
웹사이트
Priority Consumer Products Draft Report to the Legislature: Safer Products for Washington Implementation Phase 2
https://apps.ecology[...]
[25]
웹사이트
https://www.fr.de/ve[...]
[26]
웹사이트
https://www.br.de/na[...]
[27]
웹사이트
https://www.mz.de/le[...]
[28]
웹사이트
https://www.bund.net[...]
[29]
학술지
Dietary Predictors of Phthalate and Bisphenol Exposures in Pregnant Women.
2019-09-01
[30]
웹사이트
Buyer Beware: Toxic BPA and regrettable substitutes found in the linings of canned food
http://www.toxicfood[...]
[30]
학술지
Chemical contaminants in canned food and can-packaged food: a review.
2023
[30]
웹사이트
Is Canned Food Safe from BPA Now?
https://ceh.org/your[...]
[30]
웹사이트
Innovations in Food Cans
https://www.cancentr[...]
Can Manufacturers Institute
[30]
웹사이트
CMI Washington State Canned Food Market Basket Survey
https://www.cancentr[...]
Can Manufacturers Institute
2020
[30]
웹사이트
Department of Ecology - Committees, Boards, and Workgroups
https://www.ezview.w[...]
[30]
웹사이트
Priority Consumer Products Draft Report to the Legislature: Safer Products for Washington Implementation Phase 2
https://apps.ecology[...]
[31]
학술지
The Politics of Plastics: The Making and Unmaking of Bisphenol A 'Safety'
https://www.ncbi.nlm[...]
[32]
웹사이트
Campbells Eliminating BPA in Soup Cans
http://www.torontosu[...]
www.torontosun.com
[33]
간행물
Regulatory Impact Analysis Statement
http://www.gazette.g[...]
2010-10-13
[34]
뉴스
Canada first to declare bisphenol A toxic
https://www.theglobe[...]
2010-10-13
[35]
뉴스
BPA still found in most food can linings: Regulators call bisphenol A safe, but scientists warn of harm from very low doses
https://www.cbc.ca/n[...]
2016-03-30
[36]
웹사이트
Bisphenol A
https://www.canada.c[...]
2004-07-26
[37]
뉴스
Revealed: the nasty secret in your kitchen cupboard
https://www.independ[...]
2010-04-01
[38]
웹사이트
Are Cans BPA-Free in the UK?
https://www.food.gov[...]
Food Standards Agency
2018-10-26
[39]
웹사이트
Priority Consumer Products Draft Report to the Legislature: Safer Products for Washington Implementation Phase 2
https://apps.ecology[...]
Can Manufacturers Institute
2020
[40]
웹사이트
Can standards
http://www.cancentra[...]
cancentral.com
[41]
서적
Manual on fish canning
http://www.fao.org/3[...]
[42]
뉴스
Steel packaging
https://www.worldste[...]
[43]
웹사이트
Steel Cans – Developments in Design and Materials
https://www.azom.com[...]
2002-10-11
[44]
웹사이트
Magnets for transport of aerosol cans and tins
https://www.goudsmit[...]
Goudsmit Magnetics
[45]
웹사이트
How cans are filled
http://www.canmakers[...]
The Can Makers
[46]
웹사이트
Recycling
http://www.buntingeu[...]
2018-03-15
[47]
서적
Encyclopedia of Kitchen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Group
2004-09-27
[48]
웹사이트
The Canmaker
http://www.canmaker.[...]
[49]
웹사이트
Ergonomics designs of aluminum beverage cans & bottles
https://www.research[...]
2005-08-01
[50]
웹사이트
APEAL – Steel for packaging: cans, Home, Food, Beverage, Aerosol, Paint, and Specialty cans
http://www.apeal.org[...]
[51]
웹사이트
64.9% of steel cans are recycled
http://www.worldstee[...]
worldsteel.org
2007-01-10
[52]
웹사이트
Recyclings FAQ
http://www.cancentra[...]
cancentral.com
[53]
웹사이트
The sustainable material Tata Steel in Europe
https://www.tatastee[...]
[54]
뉴스
Blog: steel – the surprising recycling champion
https://www.worldste[...]
[55]
뉴스
Steel – the Permanent Material in the Circular Economy
https://www.worldste[...]
[56]
웹사이트
Tin can processing: Leaching and electrolysis of tin from steel cans
https://www.doitpoms[...]
Cambridge University
2008
[57]
웹사이트
Circular Economy
http://circularecono[...]
[58]
웹사이트
Recycles Mark Metal Packaging Europe
http://www.metalpack[...]
[5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anzbac.c[...]
[60]
뉴스
Home
http://www.votesteel[...]
[61]
뉴스
Every Can Counts – Who we are
https://www.everycan[...]
[62]
서적
食品保蔵・流通技術ハンドブック
建帛社
2006
[63]
웹사이트
Ethernet Marches On
http://www.glocom.ac[...]
国際大学グローバ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センター
[64]
웹사이트
製缶技術の変遷・金属缶の歴史
https://www.seikan-k[...]
[65]
웹사이트
人名用漢字の新字旧字 第59回 「缶」と「罐」
https://dictionary.s[...]
三省堂WORD-WISE WEB
[66]
서적
漢語大字典
四川辞書出版社、崇文書局
[67]
논문
古文字考釈五題
[68]
논문
古文字考釈四則
[69]
논문
談“宝”論“富”
[70]
서적
字源
天津古籍出版社、遼寧人民出版社
[71]
웹사이트
缶のふたの歴史-容器を学ぼう!
https://www.toyo-sei[...]
[72]
웹사이트
http://www.chukai.ne[...]
[73]
본문
[74]
본문
[75]
뉴스
カン入りジュース また大量スズ 都、六社に回収指示
朝日新聞
1970-12-04
[76]
위키낱말사전
깡통
wikt:깡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