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야기는 사건의 순서, 등장인물, 갈등, 서술 방식, 플롯, 배경, 주제 등의 요소를 통해 구성되는 서사 작품을 의미한다. 등장인물은 이야기의 전개에 영향을 미치며, 갈등은 등장인물의 행동을 이끄는 긴장감을 나타낸다. 서술 방식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식을, 플롯은 사건의 순서를, 배경은 시간, 장소, 맥락을, 주제는 이야기의 핵심 아이디어를 의미한다. 이야기는 인간의 정체성 형성, 기억, 의미 창출 과정과 관련되며, 심리학, 사회과학, 문학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짓기 - 초안
초안은 글쓰기 과정에서 아이디어 발전 및 텍스트 구성을 위해 작성되는 초기 버전의 글로, 작가는 초고 작성 과정에서 자유로운 실험과 여러 활동을 통해 글의 효과와 문제점을 파악하며, 맥아더 초안, 헌법 초안 요강, 이츠카이치 헌법 초안 등이 역사적 사례에 해당한다. - 글짓기 - 미디어 구성 이론
미디어 구성 이론은 뉴미디어가 다양한 맥락에서 수사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에 주목하여 메시지 전달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체성, 공동체, 저작권, 교육 방법론 등 다양한 주제와 기술 간의 관계 변화를 탐구하는 이론이다. - 기호학 - 기표와 기의
기표와 기의는 소쉬르가 제시한 기호의 두 요소로, 기표는 감각으로 인지 가능한 형태, 기의는 기표가 나타내는 개념이나 의미를 뜻하며, 이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기호학 - 행위자 연결망 이론
행위자 연결망 이론은 1980년대 프랑스에서 개발된 사회학 이론으로,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과학 기술 혁신 및 지식 창출 과정을 이해하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이야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연결된 사건을 제시하는 계정 |
관련 용어 | 문학, 구술 문학 |
이야기의 형태 | |
구술 문학 | 민담 우화 동화 민속극 민요 서사시 전설 신화 속담 연설 공연 오디오북 낭독 말 |
주요 서면 형태 | 드라마 서재극 시 서정시 서사시 산문 넌센스 문학 넌센스 시 에르고딕 문학 전자 문학 |
긴 산문 소설 | 앤솔로지 연재물 (문학) 소설/로맨스 (산문 소설) |
짧은 산문 소설 | 중편 소설 소설레트 (문학) 단편 소설 드래블 스케치 이야기 플래시 픽션 우화 종교 텍스트 지혜 문학 |
산문 장르 | |
소설 | 아동 문학 백과사전 소설 장르 소설 액션 소설 모험 소설 성장 소설 범죄 소설 에로틱 문학 판타지 문학 공포 소설 군사 소설 초자연 소설 로맨스 소설 과학 소설 초자연 소설 서부극 (장르) 역사 소설 사실주의 문학 추측 소설 |
논픽션 | 학술 출판 역사 철학 일화 서한 수필 저널리즘 편지 (메시지) 자서전 자연 작문 설득력 있는 글쓰기 여행 문학 |
시 장르 | |
서사시 | 아동 시 서사시 운문극 및 극적인 운문 운문 소설 국민 시 |
서정시 | 발라드 애가 경구 가잘 하이쿠 찬송가 리머릭 (시) 송시 카시다 소네트 빌라넬 |
목록 | 서사시 목록 시 그룹 및 운동 목록 시인 목록 |
극 장르 | |
구분 | 희극 대본 연극 (극장) 역사 (연극 장르) 도덕극 풍자 각본 비극 비극 희극 |
역사 | |
구분 | 고대 문학 고전 문학 중세 문학 문학 모더니즘 포스트모던 문학 |
목록 및 개요 | |
구분 | 문학 개요 문학 용어 사전 도서 목록 작가 목록 문학 운동 목록 문학 주기 목록 문학상 목록 시상 목록 단편 소설 모음집 소실된 문학 작품 |
이론 및 비평 | |
구분 | 문학 사회학 문학 잡지 작문 (언어) 문학 언어 서사 문학적 다툼 문학 재산 |
2. 서술의 요소
서사, 특히 허구적 서사 작품을 정의하는 데는 특정한 기본 요소들이 필요충분조건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종종 허구의 요소라고도 불린다.
이야기의 필수 요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스토리''': 소설, 희곡, 영화, 만화 등의 창작물에서의 줄거리이다. 플롯과는 구분된다. E. M. 포스터가 1927년에 발표한 『소설의 여러 측면』에 따르면, 이야기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이 ''일어난 시간 순서대로'' 나열된 것이 스토리이지만, 소설 등의 창작물의 저자는 이러한 사건들의 순서를 바꾸는 등 재구성한다.[74] 그러므로 이야기 세계에서 순서대로 일어난 사건들이 소설 등에서 독자에게 같은 순서로 제시된다는 보장은 없다. 추리소설에서 실제로는 처음에 행해진 범죄의 트릭이 재구성되어 마지막에 밝혀지는 것이 좋은 예이다. "아내가 중병에 걸렸다. 남편은 매일 울었다."는 스토리이고, "남편은 매일 울었다. 이유를 몰랐지만, 아내가 중병에 걸렸기 때문이었다는 것을 알았다."는 플롯이라고 설명된다.
- '''이야기의 유형''': 많은 이야기에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전형적인 스토리의 유형이 있으며, 창작의 지표 또는 연구 대상이 된다.
이 외에도 등장인물, 갈등, 서술 방식, 배경, 주제 등이 이야기의 주요 요소로 작용한다.
2. 1. 등장인물
등장인물은 서사 작품 속 개별 인물로, 그들의 선택과 행동이 줄거리를 전개시킨다. 등장인물은 일반적으로 이름이 있는 사람이며, 그들의 행동과 말은 때때로 중요한 동기를 전달한다. 등장인물은 완전히 허구일 수도 있고,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할 수도 있다. 관객의 첫인상은 등장인물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예를 들어 등장인물에게 공감하는지 여부, 마치 실제 인물인 것처럼 느끼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13] 관객이 등장인물에 익숙해짐에 따라 후반부 장면에서 등장인물이 어떻게 행동할지에 대한 기대가 생긴다. 이전 행동 패턴(캐릭터 설정)과 반대로 행동하는 등장인물은 관객에게 혼란스럽거나 불쾌하게 느껴질 수 있다. 서사에는 보통 주요 등장인물, 즉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주인공이 있으며, 중심 갈등을 겪거나 이야기 전개를 통해 지식을 얻거나 크게 성장한다. 어떤 이야기에는 조연 즉 주인공과 반대하거나, 방해하거나, 싸우는 등장인물이 있을 수도 있다. 많은 전통적인 서사에서 주인공은 특히 도덕적으로 옳은 대의를 위해 (종종 문자 그대로) 싸우는 영웅이다. 영웅은 악당 즉, 도덕적으로 옳은 대의에 맞서 싸우거나 적극적으로 악행을 저지르는 조연과 마주할 수 있다. 다른 많은 등장인물 분류 방법도 존재한다.2. 2. 갈등
넓은 의미에서 갈등은 등장인물의 생각과 행동을 이끄는 모든 긴장감을 말한다. 좁은 의미에서 갈등은 이야기 전반에 걸쳐 주인공이 마주하는 주요 문제를 의미한다. 종종 주인공은 이 갈등의 결과로 불안감, 불확실성, 우유부단함과 같은 정신적 어려움을 추가적으로 겪는데, 이는 이차적이거나 내적 갈등으로 간주될 수 있다. 긴 서사 작품에는 일반적으로 주요 갈등과 함께 발생하는 소규모 갈등 등 여러 갈등이 포함된다. 갈등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유형으로는 인물 대 인물, 인물 대 자연, 인물 대 사회, 인물 대 불가피한 상황, 인물 대 자아 등이 있다. 이야기의 끝 무렵에 갈등이 해결되면 이를 결말이라고 한다.2. 3. 서술 방식
서술 방식은 작가나 창작자가 이야기를 만들 때 사용하는 여러 방법과 기술을 말한다. 이는 이야기가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대한 것으로, 어떤 정보를 보여주고 어떤 정보를 숨길지, 어떤 종류의 언어를 사용할지, 이야기를 어떤 매체(예: 책, 영화)를 통해 보여줄지, 그리고 이야기 전체를 어떤 관점에서 보여줄지 등을 포함한다.[12] 예를 들어, '나'나 '내' 같은 말을 사용해서 주인공이 직접 이야기하는 것처럼 느껴지게 하는 1인칭 서술 방식이 있다. 반대로, 3인칭 서술 방식에서는 '그'나 '그녀'처럼 주인공을 다른 사람처럼 말한다. 이렇게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식은 서술(narration)이라고 하는데, 글에서는 꼭 필요하지만 다른 형태에서는 꼭 쓰이지 않아도 된다.2. 4. 플롯 (Plot)
플롯은 서사에서 처음부터 중간을 거쳐 끝까지 발생하는 사건들의 순서이다. 일반적으로 인물의 행동이나 다른 사건들이 반응을 일으켜 이야기가 진행되는 인과관계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 다시 말해, 플롯은 관련된 사건들이 발생하여 후속 장면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장면들을 통해 구성된다.[14] 이러한 사건들은 인물의 이해, 결정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의 순간인 플롯 포인트를 형성한다.[14] 플롯의 전개는 종종 주인공이 갈등을 만나거나 깨닫고, 그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과 일치하며, 인물과 관객 모두에게 감정적 이해관계를 만든다. 높은 감정적 이해관계로 인한 관객의 불안한 예상감은 서스펜스라고 한다.2. 5. 배경 (Setting)
배경은 이야기가 일어나는 시간, 장소, 그리고 맥락을 의미한다. 등장인물이 거주하는 물리적이고 시간적인 환경을 포함하며, 등장인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또는 문화적 관습도 포함할 수 있다.[15] 때로는 배경이 특정한 특성을 가지고, 줄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하고, 이야기가 진행되는 동안 발전한다는 점에서 등장인물과 유사할 수 있다.[15]2. 6. 주제 (Theme)
주제는 이야기에서 제시되는 주요한 근본적인 아이디어로, 일반적으로 관객의 해석에 열려 있다. 주제는 다른 요소들보다 더 추상적이며, 주관적이다. 즉, 이야기가 끝난 후 관객들이 어떤 중요한 아이디어나 메시지가 탐구되었는지,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 그리고 작가가 의도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따라서 관객은 작가의 의도와 관계없이, 또는 작가의 의도와 상관없이 작품의 주제에 대해 작가가 의도한 것과 다른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작품이 진행됨에 따라 주제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할 수도 있다.[16]3. 서술의 역사
인도에서는 인더스 문명 유적지인 로탈에서 이야기의 흔적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다. 큰 항아리에는 새가 물고기를 부리에 물고 나무에 앉아 있는 모습과 그 아래 여우 비슷한 동물이 서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판차탄트라의 ''여우와 까마귀'' 이야기와 유사하다.[17][18] 작은 항아리에는 목마른 까마귀와 사슴의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는데, 사슴은 항아리의 좁은 입구 때문에 물을 마실 수 없었지만 까마귀는 돌을 항아리에 넣어 물을 마실 수 있었다는 내용이다.[17][18]
오래된 이야기로 유명한 것은 고대 오리엔트의 『길가메시 서사시』이다. 긴 이야기로는 고대 인도의 『마하바라타』가 잘 알려져 있다. 일본 문학에서는 현존하는 작품 중 『竹取物語』가 최초의 "이야기"로 알려져 있다. 무라사키 시키부는 『겐지 이야기』에서 이를 "이야기의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4. 인간 본성과 서술
듀크 대학교의 저명한 의식 연구자인 오웬 플래너건(Owen Flanagan)은 "증거는 모든 문화권의 인간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일종의 서술 형식으로 형성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우리는 고질적인 이야기꾼입니다."라고 썼다.[19] 이야기는 문화의 중요한 측면이며, 많은 예술 작품과 대부분의 문학 작품은 이야기를 전달하며, 실제로 대부분의 인문학은 이야기를 포함한다.[20] 이야기는 고대 이집트, 고대 그리스, 고대 중국, 인도의 역사의 문화와 신화에 나타날 정도로 고대부터 존재한다.
5. 문학 이론에서의 서술
문학 이론적 관점에서 서술은 서술자가 독자와 직접 소통하는 허구적인 글쓰기 방식으로 좁게 정의된다. 19세기 후반까지 학문적 활동으로서의 문학 비평은 시만을 다루었다. 대부분의 시는 저자와 구별되는 서술자가 없었다.
그러나 소설은 서술자 외에도 여러 등장인물에게 여러 목소리를 빌려줌으로써 서술자의 견해가 저자의 견해와 크게 다를 가능성을 만들었다. 18세기 소설의 부상과 함께 "저자"와 대조되는 서술자 개념이 문학 이론에서 서술자 문제를 중요하게 만들었다.[22]
6. 심리학적 접근
주어진 원본 소스에 심리학적 접근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합니다.
7. 사회과학적 접근
인간은 사건이 어떻게 발생했다고 믿는지에 대한 일관된 이야기나 서술을 만들어낼 때 종종 그 사건을 이해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서술은 우리의 인지 과정의 기초가 되며, 특히 통계 분석을 허용할 만큼 충분한 사례를 모으기 어려울 때 사회과학에 대한 설명적 틀을 제공한다. 서술은 사회과학에서 사례 연구 연구에 자주 사용된다. 여기서 상세한 서술에 의해 밝혀진 사회적 힘의 밀집된, 문맥적인, 그리고 상호 침투적인 본질은 다른 형태의 사회적 조사보다 사회 이론과 사회 정책 모두에 더 흥미롭고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과학에서 서술적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고 설명되어 왔다.[33] 그러나 이 관점에는 플롯, 장르, 함축적 의미, 서사시, 영웅/여주인공, 이야기 구조(예: 시작-중간-끝) 등 기존의 풍부한 분석 용어에 접근할 수 있다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장점은 겉으로 보기에는 허구가 아닌 문서(연설, 정책, 법률)조차도 저술되었고 보통 의도된 청중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허구라는 점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8. 기타 분야에서의 응용
미국의 음악학자 에드워드 콘(Edward Cone)은 서사적 용어가 음악에 대한 분석적 언어에도 존재한다고 지적했다.[45] 푸가의 여러 구성 요소—주제, 응답, 제시, 논의, 요약—를 예로 들 수 있다.[46]
테오도어 아도르노(Theodore Adorno)는 "음악은 스스로를 낭송하고, 자체 맥락이 되며, 서사 없이 서술한다"고 제안했다.[46] 캐롤린 아바테(Carolyn Abbate)는 "음악에서 경험하는 특정 제스처가 서술하는 목소리를 구성한다"고 제안했다.[45]
프랑스 음악학자 장-자크 나티에(Jean-Jacques Nattiez)는 "엄밀히 말해서 서사는 음악에 있는 것이 아니라 청취자가 상상하고 구성한 줄거리에 있다"고 주장했다.[47] 그는 음악을 서사성(narrativity)의 관점에서 논하는 것은 단순히 은유적이며, "상상된 줄거리"는 작품의 제목이나 작곡가가 제공한 다른 프로그램 정보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47]
영화 서술은 독자를 형성적인 서술로 이끄는 텍스트 서술자의 도움을 받을 수 없다. 대신 영화 서술은 서술 주체를 대신하여 촬영기법, 편집, 사운드 디자인(유전 음악 및 비유전 음악), 그리고 피사체가 화면상에 어떻게 그리고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배치 및 결정—'미장센'—과 같은 시각적 및 청각적 장치를 활용한다.[50]
세계의 많은 신화, 민담, 전설에서 형성적 서사의 본질이나 존재 여부는 많은 현대 학자들의 논쟁거리였다. 하지만 학계의 가장 일반적인 의견은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전통적인 신화와 민속 이야기는 특정 서사적 목적을 가지고 구성되고 재구성되며, 사회에 자연 현상에 대한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신화는 종종 다양한 민속 장르를 설명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지만, 인류학자 제임스 프레이저 경은 신화, 전설, 민담의 세 가지 주요 범주가 있다고 주장한다. 각 장르는 서로 다른 존재론적 원천에서 서사를 끌어오며, 따라서 문명 내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다.
자넷 베이컨은 1921년 출판물인 ''아르고호의 항해''에서 프레이저의 분류를 확장했다.[56]
구분 | 설명 |
---|---|
신화 |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자연 현상이나 기원이 잊혀진 의례적 관행을 설명하며, 인류의 가장 큰 질문들에 대한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사회적 기능을 하는 서사이다. |
전설 | 실제 사람들의 운명이나 실제 장소에서의 모험을 기반으로 한 진실된 전통이다. 미국 민속에서는 데이비 크로켓이나 폴 번연의 이야기를 전설로 간주할 수 있다. |
민담 | 믿음을 요구하지 않으며, 전적으로 상상의 산물이다. 민담은 신화와 전설이 가지는 기본적인 사실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
많은 문화권에서 이야기는 역사, 신화, 가치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야기는 종종 원주민 문화에서 젊은 세대에게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된다.[61]
예를 들어, 많은 원주민 이야기는 가치나 교훈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서부 아파치족 부족에서는 이야기를 통해 사람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행동을 따르지 않을 때 닥칠 불행을 경고할 수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는 아이들에게 삶의 가치와 교훈을 가르치기 위해 이야기하기를 사용한다. 이야기하기는 오락을 제공하지만, 그 주된 목적은 교육이다.[64] 멕시코 문화에서는 많은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개성, 순종, 정직, 신뢰, 연민과 같은 가치를 가르치기 위해 이야기를 들려준다.[65]
떠오르는 정보전 분야 중 하나는 "서사의 전투"이다. 서사의 전투는 정보 환경의 인지 영역에서 벌어지는 본격적인 전투로, 전통적인 전쟁이 물리적 영역(공중, 육지, 해상, 우주 및 사이버 공간)에서 벌어지는 것과 같다.
역사서술(Historiography)에서 로렌스 스톤(Lawrence Stone)에 따르면, 서술(narrative)은 전통적으로 역사가들이 사용해 온 주요 수사적 장치(rhetorical device)였다. 1979년, 새로운 사회사(social history)가 사회과학적 분석 모델을 요구하던 시기에 스톤은 서술로의 회귀를 감지했다.
이야기 전달권은 (직접적인, 간접적인, 상상의 이야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이야기를 공유하는 윤리로 광범위하게 정의될 수 있다.[71]
참조
[1]
harvard
1979
[2]
journal
Narratives and the romantic genre in IR dominant and marginalized stories of Arab Rebellion in Libya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8-06-25
[3]
harvard
1999
[4]
harvard
2012
[5]
harvard
1984
[6]
harvard
1966
[7]
harvard
1969
[8]
journal
The Power of Storytelling: How Oral Narrative Influences Children's Relationships in Classrooms
http://www.ijea.org/[...]
2023-01-25
[9]
book
Utilizing Traditional Storytelling to Promote Wellness in American Indian events within any given narrative
2002
[10]
book
Oral tradition as history
https://archive.org/[...]
[11]
book
Narratives in Social Science Research
https://methods.sage[...]
SAGE Publications
2021-09-04
[12]
harvard
2004
[13]
journal
Character in Contemporary Fiction
https://www.jstor.or[...]
2004
[14]
book
Elements of Fiction Writing – Plot
F+W Media
[15]
book
Write Great Fiction – Description & Setting
F+W Media
[16]
journal
Readers' varying interpretations of theme in short fiction
https://www.scienced[...]
2001-09-01
[17]
book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18]
book
An Encyclopaedia of Indian Archaeology: Subjects
E.J. Brill
[19]
book
Consciousness Reconsidered
[20]
website
Humanities tell our stories of what it means to be human
https://news.asu.edu[...]
2019-10-18
[21]
book
Morphology of the Folk Tale
[22]
journal
Structural Analysis of Narrative
1969
[23]
book
Russian formalism: a metapoetics
https://www.worldcat[...]
Cornell University Press
2016-11
[24]
journal
Narrative Theory and Aesthetics in Literature
2017-06-28
[25]
website
Narrative Psychology: General Overview
https://web.lemoyne.[...]
2004-03
[26]
citation
The Self as a Center of Narrative Gravity
https://web-archive.[...]
Hillsdale, NJ: Erlbaum
2023-01-25
[27]
journal
Redemptive Self: Narrative Identity in America Today
[28]
journal
From narrative wreckage to islands of clarity: Stories of recovery from psychosis
2007-08
[29]
book
Health, Illness and Culture: Broken Narratives
Routledge
[30]
book
Pink Ribbon Blues: How Breast Cancer Culture Undermines Women's Health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1]
news
What if You Can't Find the Silver Lining in Your Illness?
https://www.nytimes.[...]
2022-11-24
[32]
journal
Personality and language use in self-narratives
[33]
citation
Stories in Organizational Research
https://sk.sagepub.c[...]
SAGE Publications Ltd
2021-09-04
[34]
journal
Narrative inquiry: Research tool and mediu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35]
journal
Narrative Inquiry: More Than Just Telling Stories
[36]
논문
Validity Issues in Narrative Research
https://journals.sag[...]
2007-05-01
[37]
서적
Emerging Criteria for Quality in Qualitative and Interpretive Research
https://methods.sage[...]
SAGE Publications, Inc.
2021-09-04
[38]
논문
Assuring Quality in Narrative Analysis
https://journals.sag[...]
1996-04-01
[39]
서적
The Syntax of Social Life: the theory and Method of Comparative Narratives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40]
논문
Some Aspects of Narrative Method
1993
[41]
논문
A Case for Cases, Comparative Narratives in Sociological Explanation
2009
[42]
서적
Singular Mechanisms and Bayesian Narra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43]
논문
History, Case Studies, Statistics, and Causal Inference
2009
[44]
서적
Musicology: The Key Concepts
Routledge
2009
[45]
서적
Musicology
[46]
서적
Musicology
[47]
서적
Musicology
[48]
서적
Handbook of narratology
De Gruyter
2014
[49]
논문
Narrative Voices--Ephemera or Bodied Beings
2001-08-01
[50]
서적
The Dynamics of Narrative Form
DE GRUYTER
[51]
논문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Mythology
https://www.emerald.[...]
2006-07-01
[52]
서적
Symbolism and imagery in the story of Cupid and Psyche in Apuleius' Metamorphosis
1979
[53]
논문
Narrative Form and the Structure of Myth
2006
[54]
서적
Plato: A Guide for the Perplexed
Bloomsbury Academic
[55]
논문
Apollodorus: The Library. With an English translation by Sir James George Frazer, F.B.A., F.R.S. (The Loeb Classical Library.) Two vols. Small 8vo. Pp. lix + 403, 546. London: William Heinemann; New York: G. P. Putnam's Sons, 1921. 10s. each vol.
1922-08-01
[56]
논문
The Voyage of the Argonauts. By Janet Ruth Bacon. Pp. 187, with six illustrations and three maps. London: Methuen, 1925. 6s.
1925
[57]
논문
The Forms of Folklore: Prose Narratives
1965-01-01
[58]
논문
Gods of the Ancient Northmen
1980-04-01
[59]
논문
Alain de Benoist's Anti-Americanism
1993-12-21
[60]
논문
Mitra-Varuna: An Essay on Two Indo-European Representations of Sovereignty. Georges Dumézil, Derek Coltman
1990-04-01
[61]
웹사이트
Native storytellers connect the past and the future: Native Daughters
http://cojmc.unl.edu[...]
2017-02-04
[62]
간행물
From Native North American Oral Traditions to Western Literacy: Storytelling in Education
2003
[63]
서적
"Stalking with Stories". Names, Places, and Moral Narratives Among the Western Apache.
1984
[64]
논문
Utilizing Traditional Storytelling to Promote Wellness in American Indian Communities
2002
[65]
서적
Traditional storytelling today: An international sourcebook
Chicago: Fitzroy Dearborn
1999
[66]
간행물
Learning Life Lessons from Indigenous Storytelling with Tom McCallum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
1998
[67]
논문
Bringing Navajo Storytelling Practices into Schools: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Cultural Integrity
2007
[68]
간행물
Commander's Handbook for Strategic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y
US Joint Forces Command
2010
[69]
논문
The Revival of Narrative: Reflections on a New Old History
1979
[70]
논문
The Revivalism of Narrative: A Response to Recent Criticisms of Quantitative History, The Dangers of Synthesis
1984, 1986
[71]
서적
Storytelling rights: the uses of oral and written texts by urban adolescen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72]
서적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73]
사전
大辞泉【物語】
大辞泉
[74]
웹사이트
storyの意味 - goo辞書 英和和英
https://dictionary.g[...]
2019-02-28
[75]
학술지
Storytelling Is Intrinsically Mentalistic: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of Narrative Production across Modalities
https://pubmed.ncbi.[...]
2018-09
[76]
웹사이트
Careful! Scary health news can be harmful to your health
https://www.health.h[...]
2021-06-17
[77]
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78]
서적
이야기 치료
학지사
2004-04-06
[79]
서적
이야기 치료
학지사
2004-04-06
[80]
서적
이야기 치료
학지사
2004-04-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