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운드 디자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운드 디자인은 소리를 활용하여 감정 표현, 분위기 연출, 행위 강조 등의 효과를 내는 기술 및 예술 분야이다. 연극, 무용 등에서 음악을 사용한 것에서 기원하며, 20세기 초 루이지 루솔로의 인토나루모리와 같은 음향 제작 기기의 개발, 녹음 기술의 발전, MIDI와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DAW)의 등장으로 발전했다. 영화, 극장,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영화에서는 '사운드 디자이너'라는 직함이 생겨났고, 극장에서는 음향 강화 시스템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게임 분야에서는 오디오 엔진 소프트웨어와 게임 오디오 통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현대 음악, 패션쇼 등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극 관련 직업 -
    춤은 인간의 신체를 사용하여 리듬에 맞춰 움직임을 표현하는 예술 형식이며, 종교 의식, 사회적 교류, 건강 등 다양한 목적과 형태로 발전해 왔고, 발레, 현대 무용, 민속 춤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연극 관련 직업 - 무대 디자인
    무대 디자인은 연극, 뮤지컬, 오페라 등 공연의 시각적 концепцию을 설정하고 무대 환경을 디자인하는 예술 분야로, 세트, 소품, 배경, 조명 등의 요소를 포함하며 연출가 및 창작팀과 협력하여 공연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한다.
  • 음향 제작 - 월 오브 사운드
    월 오브 사운드는 필 스펙터가 1960년대에 확립한 음반 제작 방식으로, 과도한 악기 사용과 에코 챔버를 활용해 풍성하고 웅장한 사운드를 만들어 팝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다양한 음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음향 제작 - 음향효과
    음향 효과는 연극, 영화, 게임, 방송 등에서 사용되는 소리로, 초기 타악기 활용에서 현대의 전자 음향 기기와 디지털 기술을 통해 더욱 정교하고 다채롭게 발전해왔으며, 영화에서는 현실적, 가상적 음향 효과를 통해 극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 무대 - 무대 공포증
    무대 공포증은 대중 앞에서 극심한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는 현상으로, 심리적, 신체적 증상을 동반하며 학업, 직업, 사회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심리 치료, 약물 치료, 자가 치료법 등을 통해 극복 가능하며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 무대 - 프로시니엄
    프로시니엄은 관객과 무대를 구분하는 아치 또는 틀로, 르네상스 시대에 현대적 형태를 갖추어 관객에게 좋은 시야와 다양한 무대 효과를 제공하지만, 무대와 객석을 분리시킨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사운드 디자인

2. 역사

1890년 런던의 한 극장에서 축음기로 아기의 울음소리를 녹음해 사용한 것이 극장에서 녹음된 소리를 사용한 최초의 사례로 알려져 있다.[3] 16년 후, 허버트 비어봄 트리는 런던에서 제작한 스티븐 필립스의 비극 《네로》에서 녹음 기술을 활용했다. 《극장 매거진》(1906)에는 악사가 디스크 레코더에 연결된 나팔에 연주하는 모습과 배우가 고문당하는 순교자들의 비명과 신음을 녹음하는 모습이 사진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리는 모두 축음기로 사실적으로 재현된다"고 언급되었다.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언급에 따르면, 알렉세이 톨스토이가 쓰고 에르빈 피스카토르가 연출한 라스푸틴에 관한 연극(1927)에는 레닌의 목소리가 녹음되어 있었다.

'사운드 디자이너'라는 용어가 아직 사용되지 않았지만, 일부 무대 감독은 "음향 효과 담당자"로 전문화되어 성대모사, 기계 및 전기 장치, 축음기 음반을 혼합하여 무대 밖에서 음향 효과를 만들고 연출했다. 이러한 효과 제작과 연출에는 자연적이고 추상적인 것 모두 많은 주의와 노력이 필요했다.[4] 20세기에는 녹음된 음향 효과가 라이브 음향 효과를 대체하기 시작했지만, 무대 관리자가 음향 효과를 찾고, 전기 기술자가 공연 중 녹음을 재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1980년부터 1988년까지 USITT의 초대 사운드 디자인 위원인 찰리 리치몬드는 북미에서 극장 사운드 디자이너에게 기대되는 의무, 책임, 표준 및 절차를 정의하기 위한 사운드 디자인 위원회의 노력을 감독했다. 그는 자신의 결론을 문서[5]에 요약했는데, 이 문서는 다소 시대에 뒤떨어졌지만 당시 기대되었던 사항을 간결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 문서는 이후 ADC와 데이비드 굿맨에게 제공되었고, 두 사람은 1990년대에 사운드 디자이너를 대표할 계획을 세웠다.

2. 1. 초기 역사

감정을 이끌어내고 분위기를 나타내며 행동을 강조하기 위해 연극과 무용에서 음악을 사용하는 것은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최초의 형태는 종교 의식에서 치유나 유희를 위한 음악이었다. 고대 일본에서는 음악과 무용을 동반한 ''가구라''라는 연극적 의식이 신토 신사에서 이루어지기도 했다.[1]

''코메디아 델라르테'' 쇼의 음악가 (Karel Dujardins, 1657)


중세 시대에는 음악과 음향효과를 이용해 퍼포먼스를 극대화시킨 ''코메디아 델라르테(즉흥 연희극)''가 공연되었다. 엘리자베스 시대 연극에서도 음악과 음향이 사용되었으며, 종, 호루라기, 경적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무대 밖에서 음악과 음향 효과를 냈다. 적절한 시간에 음악과 음향 효과를 재생하기 위해 대본에 신호가 적혔다.[2]

이탈리아 작곡가 루이지 루솔로는 1913년경부터 미래주의 연극 및 음악 공연을 위해 "인토나루모리"라고 불리는 기계적 소리 발생 장치를 제작했다. 이 장치는 기차나 폭탄과 같은 자연 및 인공 소리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것이었다. 루솔로의 논문인 ''소음의 예술''은 극장에서 추상적인 소음의 사용에 대한 가장 초기의 문서 중 하나이다. 그의 사후, 그의 인토나루모리는 현실적인 음향 효과를 만들기 위해 더욱 전통적인 연극 공연에 사용되었다.

2. 2. 녹음 기술의 발전

극장에서 사용된 첫 녹음 음향은 1890년 런던의 한 극장에서 축음기로 시연된 아기의 울음소리였다.[3] '사운드 디자이너'라는 용어가 사용되던 시기는 아니었지만, 많은 수의 무대 매니저들이 '효과 담당'을 맡아 성대모사나 여러 장치와 그라모폰을 사용해 무대 뒤에서 음향효과를 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라이브 음향효과보다는 녹음된 음향효과가 많이 쓰이기 시작했지만, 현대 관객들은 생 음향과 녹음된 음향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총소리와 같은 음향효과는 여전히 무대 매니저가 무대 뒤에서 생으로 재현하기도 한다.[4]

2. 3. 디지털 기술의 발전

1980년대에는 MIDI(미디,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face)와 음향 기술의 발전으로 사운드 디자인이 급격하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인터넷, 월드 와이드 웹(WWW)의 출현으로 음향 소스를 더 쉽고 저렴하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운드 디자이너들은 시간과 예산을 들여 레코드 가게나 도서관을 뒤지는 대신, 인터넷에서 미리 듣고 다운로드한, 더 다듬어진 소스를 활용하여 작업할 수 있게 되었다.

Tainted Blue Studios의 현대식 디지털 컨트롤 룸, 2010년


소프트웨어의 혁신 또한 사운드 디자이너들에게 더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했다. 컴퓨터, 스피커, 헤드셋만 있으면 고가의 장비나 스튜디오를 빌리지 않고도 음악을 편집하고 믹싱할 수 있게 되어, 더 빠른 창작과 감독과의 신속한 의견 교환이 가능해졌다.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DAW)과 다양한 디지털 신호 처리 알고리즘의 적용으로 더 많은 트랙과 청각 효과를 가진 복잡한 사운드트랙 제작이 가능해졌으며, 무제한 실행 취소 및 샘플 수준 편집과 같은 기능을 통해 사운드트랙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극장 음향 분야에서도 컴퓨터화된 극장 사운드 디자인 시스템의 기능이 월트 디즈니 월드의 라이브 쇼 제어 시스템에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디즈니는 1989년에 개장한 디즈니-MGM 스튜디오 테마파크의 많은 시설을 제어하기 위해 해당 시스템을 활용했다. 이러한 기능은 다양한 장치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개방형 통신 프로토콜인 MIDI 쇼 제어(MSC) 사양에 통합되었다.

게임 오디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어도 접근 가능한 고급 인터랙티브 오디오 도구도 등장했다. 이러한 도구들은 사운드 제작 인력이 보다 창의적인 인터랙티브 사운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터랙티브 응용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실행 중에 "매개변수적으로" 조정되는 "동적 오디오" 기술을 활용하여, 영화와 유사한 사운드를 더 넓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3. 활용 분야

사운드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주요 활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분야내용
영화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이 월터 머치에게 처음으로 사운드 디자이너 칭호를 부여하면서 영화계에 도입되었다. 사운드 디자이너는 영화 음향의 모든 것을 책임지며, 편집 감독이나 촬영 감독과 동등한 위치에서 창조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극장뮤지컬과 연극에서 사운드 디자인은 음향 강화 시스템을 보완하고, 연극의 주제와 감정에 맞는 음향을 선정하여 분위기를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 미국의 토니 상이 대표적인 사운드 디자인 상이다.
게임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과 오디오 엔진 소프트웨어 등을 활용하여 게임에 필요한 사운드를 제작하고 통합한다. 특히, 인터랙티브 오디오 도구를 통해 동적인 사운드 연출이 가능하다.
기타현대 음악 산업, 특히 록 음악, 앰비언트 음악, 프로그레시브 록 등에서 레코드 프로듀서와 녹음 엔지니어가 사운드 디자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패션쇼나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3. 1. 영화

1972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은 월터 머치에게 영화 《지옥의 묵시록》에서의 음향 작업을 인정하여 최초로 '사운드 디자이너'라는 칭호를 부여했다.[6] 코폴라와 머치에 따르면, 사운드 디자이너는 영화 음향의 모든 것(대사, 음향 효과, 재녹음 등 최종 음향 트랙)을 책임지는 사람을 의미한다.[8] 이는 1930년대 윌리엄 캐머런 멘지스가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미술 감독에 기여한 공로로 프로덕션 디자이너 칭호를 받은 것과 유사하다.[9]

사운드 디자이너는 편집 감독이나 촬영 감독과 동등한 위치에서 영화 제작에 참여하는 핵심 인물이다.[6] 이들의 역할은 사운드 에디터와 비슷하지만,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창조적인 부분에 더 중점을 둔다.

사운드 디자이너라는 명칭은 여러 이점을 제공했다. 첫째, 노동 조합 관련 문제 없이 한 사람이 편집과 믹싱을 모두 담당할 수 있게 했다. 둘째, 스튜디오들이 사운드 부서를 축소하는 시기에 포스트 프로덕션 사운드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역할을 했다.[9]

돌비 스테레오를 비롯한 영화관 음향 강화 시스템의 발전은 영화 음향의 충실도를 높였고, 이는 사운드 디자이너에게 더 넓은 표현의 기회를 제공했다.[10] 특히, 2012년에 도입된 돌비 애트모스는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창의적인 영화 음향 사용을 가능하게 했다. 이 몰입형 음향 시스템은 청중 주변, 측면, 뒤, 위에서 소리를 낼 수 있게 하여 오디오 포스트 프로덕션 팀에게 새로운 창의적 기회를 제공했다.[10]

마틴 스코세지, 스티븐 스필버그, 조지 루카스와 같은 새로운 세대의 영화 감독들은 사운드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다.[10] 또한, 핑크 플로이드비틀즈와 같은 그룹의 컨셉 앨범에서 영감을 받아 영화 스토리텔링에 새로운 방식과 기술을 도입했다.

오늘날 '사운드 디자이너'라는 직함은 '수퍼바이징 사운드 편집자'와 혼용되기도 한다.[11]

3. 2. 극장

사운드 디자인은 프로젝션과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를 제외하면 극 연출에서 가장 늦게 출현한 분야이다.[14][15]

뮤지컬 사운드 디자인은 주로 음향 강화 시스템 보완에 중점을 둔다. 공연장에 이미 음향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면, 사운드 디자이너는 이퀄라이제이션, 딜레이, 볼륨, 스피커 및 마이크 배치 등 여러 방법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특정 프로덕션에 맞게 조정한다.[18][19] 새로운 장비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사운드 디자이너는 공연장 형태나 크기에 관계없이 공연이 제대로 들리고 관객에게 이해될 수 있으며, 배우들이 필요한 소리를 제대로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극 사운드 디자인은 보통 연극, 디자인, 색감, 그리고 그곳 음향 시스템과 친숙한 음향 선정을 필요로 한다. 사운드 디자이너와 프로덕션 감독은 함께 연극의 주제와 핵심 감정을 결정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운드 디자이너는 감독, 작곡가와 함께 원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음향을 고른다. 어떤 프로덕션은 장면이 바뀔 때만 음악을 사용하기도 하고, 다른 곳은 효과음만 사용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장면들은 음악이나 효과음, 또는 다른 추상적인 소리들로 각각 악보가 매겨져 있다.

뮤지컬과 연극 분야의 사운드 디자인 상으로는 미국의 토니 상이 있다.

3. 3. 게임

컴퓨터 게임 오디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어도 접근할 수 있는 고급 인터랙티브 오디오 도구들이 등장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도구 중 일부는 "구현 도구" 또는 "오디오 엔진"이라고 불리며,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DAW) 프로그램과 유사한 작업 방식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운드 제작 인력은 이전에는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필요했던 창의적인 인터랙티브 사운드 작업(컴퓨터 응용 프로그램 사운드 디자인의 일부)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랙티브 응용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실행 중에 매개변수적으로 조정되는 사운드를 의미하는 "동적 오디오" 기술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사운드 디자이너는 반복되지 않고 화면에 보이는 내용에 해당하는 발소리를 만들 수 있다.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은 게임 엔진과 직접 통신할 수 없는데, 이는 게임 이벤트가 예측할 수 없는 순서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반면 기존의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과 선형 미디어(TV, 영화 등)는 프로덕션이 실행될 때마다 모든 것이 동일한 순서로 발생한다. 특히 게임은 동적 또는 적응형 믹싱을 도입했다.[21][22]

비디오 게임 사운드 디자인은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한 오디오 녹음 및 편집에 대한 숙련된 지식과, 오디오 엔진 소프트웨어나 오디오 제작 도구(미들웨어)를 사용하여 오디오를 게임 엔진에 통합하는 게임 오디오 통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23] 오디오 미들웨어는 게임 엔진과 오디오 하드웨어 사이에 위치하는 타사 도구 모음이다.

컴퓨터 사운드와의 상호 작용은 대화형 사운드 제작을 허용하는 도구(예: Max/MSP, Wwise)를 사용하여 다양한 재생 시스템 또는 로직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는 사운드를 수정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나 전기 공학이 필요할 수 있다. 대화형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운드 디자이너는 재생 시스템과 효율성을 설계하는 엔지니어(예: 사운드 프로그래머)와 협력하는 경우가 많다.

3. 4. 기타 분야

현대 음악 산업, 특히 록 음악, 앰비언트 음악, 프로그레시브 록 등에서는 레코드 프로듀서와 녹음 엔지니어가 녹음의 전반적인 사운드(사운드스케이프)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0] 레코드 프로듀서는 음악가에게서 최고의 연주를 끌어내고 악기 음색, 편곡 등에 대한 음악적, 기술적 결정을 내린다. 특히 전자 음악 프로젝트에서는 전통적인 장르의 아티스트와 프로듀서가 특정 청각 효과, 앰비언스 등을 만들기 위해 "사운드 디자이너"로 불리는 아티스트의 도움을 받기도 하는데, 이들은 보통 다른 음악가들보다 전자 음악 작곡 및 신시사이저 등에 더 익숙하다.

바이노럴 사운드와 같은 전자기술과 사운드 합성을 현대 음악이나 영화 음악에 적용할 때, 사운드 디자이너(종종 전자 음악가이기도 함)는 작곡가와 함께 음악 제작의 전자적 측면을 실현하는 아티스트를 가리키기도 한다. 전자 음악 자체가 기술적으로 매우 광범위하고 다른 장르에 적용되는 기술과 종종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협업은 자연스럽고 유익하다고 볼 수 있다.

음악에서 사운드 디자인의 주목할 만한 예로는 U2의 앨범 ''The Joshua Tree''에 참여한 마이클 브룩, 제니퍼 원스의 앨범 ''Famous Blue Raincoat''에 참여한 조지 매슨버그,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 ''The Dark Side of the Moon''에 참여한 크리스 토마스, 폴 사이먼의 앨범 ''Surprise''에 참여한 브라이언 이노 등이 있다.

1974년, 수잔 시아니는 자신의 제작 회사인 Ciani/Musica. Inc.를 설립했으며, 이 회사는 뉴욕에서 최고의 사운드 디자인 음악 하우스가 되었다.[20]

패션쇼에서 사운드 디자이너는 종종 예술 감독과 협력하여 컬렉션, 상업 광고 또는 행사의 테마에 맞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소리는 다양한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와 컴퓨터 게임, 비디오 게임에서 널리 사용된다.[21][22]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의 사운드 제작에는 재사용성, 상호 작용성, 낮은 메모리 및 CPU 사용량과 같은 몇 가지 추가 요구 사항이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계산 자원은 일반적으로 그래픽에 할당된다. 오디오 제작은 오디오 압축 또는 음성 할당 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운드 재생에 대한 계산 한계를 고려해야 한다.

비디오 게임의 사운드 디자인은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한 오디오 녹음 및 편집에 대한 숙련된 지식과 오디오 엔진 소프트웨어, 오디오 제작 도구 또는 미들웨어를 사용하여 오디오를 게임 엔진에 통합하는 게임 오디오 통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23] 오디오 미들웨어는 게임 엔진과 오디오 하드웨어 사이에 위치하는 타사 도구 모음이다.

컴퓨터 사운드와의 상호 작용은 대화형 사운드 제작을 허용하는 도구(예: Max/MSP, Wwise)를 사용하여 다양한 재생 시스템 또는 로직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는 사운드를 수정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또는 전기 공학이 필요할 수 있다. 대화형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운드 디자이너는 재생 시스템과 효율성을 설계하는 데 관련된 엔지니어(예: 사운드 프로그래머)와 협력하는 경우가 많다.

4. 전문 분야 및 관련 단체

"사운드 디자이너"라는 용어는 1969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이 영화 《레인 피플》에서 월터 머치의 기여를 인정하면서 영화 산업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다.[7] 코폴라와 머치는 "사운드 디자이너"를 "영화의 오디오 트랙 전체, 즉 대사 및 음향 효과 녹음부터 최종 트랙의 재녹음(믹스)까지 궁극적으로 책임을 지는 개인"으로 정의했다.[8] 이 용어는 이전의 "수퍼바이징 사운드 편집자"나 "재녹음 믹서"와 같은 명칭을 대체했다. 머레이 스피박(《킹콩》), 조지 그로브스(《재즈 싱어》), 제임스 G. 스튜어트(《시민 케인》), 칼 포크너(《지구 속 여행》) 등은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대에 이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들도 사운드 디자이너로 간주된다.

사운드 디자이너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된 것은 노조 관할권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한 사람이 편집과 믹싱을 모두 할 수 있게 하고, 스튜디오가 사운드 부서를 축소하던 시기에 포스트 프로덕션 사운드 분야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등의 이점이 있었다. 이는 윌리엄 캐머런 멘지스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프로덕션 디자이너의 역할을 확립한 것과 유사했다.[9]

오디오 제작 팀은 영화 편집자나 촬영 감독과 동등한 주요 구성원으로, 오디오 제작의 위상 격상에는 영화관 사운드 강화 시스템의 발전(특히 돌비 스테레오와 돌비 애트모스[10]), 이지 라이더, 미친 황소로 대표되는 새로운 세대 영화 제작자들의 사운드 활용, 핑크 플로이드, 비틀즈와 같은 그룹의 컨셉 앨범의 영향, 새로운 영화 제작자들이 할리우드 기성 세대와 노동 조합의 영향에서 벗어난 점 등이 작용했다.

오늘날 "사운드 디자이너"는 "수퍼바이징 사운드 편집자"와 혼용되기도 한다.[11] 수퍼바이징 사운드 편집자는 대규모 사운드 부서를 책임지며, 정교한 사운드트랙 제작을 담당한다.[12][13]

4. 1. 전문 분야

뮤지컬 사운드 디자인은 주로 제작에 필요한 사운드 강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둔다. 공연장에 이미 사운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면, 사운드 디자이너는 해당 시스템을 특정 제작에 맞게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는 이퀄라이제이션, 딜레이, 볼륨, 스피커 및 마이크 배치,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새로운 장비 추가와 같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18][19] 사운드 강화 디자이너는 연출가 및 음악 감독과 협력하여 배우와 뮤지션을 위한 마이크 사용 및 배치를 결정한다. 이들은 공연장의 형태, 크기, 음향에 관계없이 모든 관객이 공연을 잘 듣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공연자가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보장한다. 뮤지컬 사운드 디자인은 사운드 강화의 예술적 측면에 크게 초점을 맞추지만, '숲속으로'와 같은 일부 뮤지컬은 상당한 사운드 스코어를 필요로 하기도 한다.

연극 사운드 디자인은 종종 연극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 및 사운드(사운드 스코어)를 선택하고, 이를 재생하는 음향 시스템을 설계, 설치, 보정 및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운드 디자이너와 연출가는 함께 연극에서 탐구할 주제와 감정을 결정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운드 디자이너는 연출가, 그리고 경우에 따라 작곡가와 협력하여 원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데 사용될 사운드를 결정한다. 일부 제작에서는 사운드 디자이너가 직접 연극 음악을 작곡하기도 한다. 사운드 디자이너와 연출가는 일반적으로 연극에서 사운드가 사용될 시점("큐")을 함께 결정한다. 일부 제작에서는 장면 전환 시에만 음악을 사용하지만, 다른 제작에서는 음향 효과를 사용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장면은 음악, 음향 효과, 또는 그 중간의 추상적인 소리로 강조될 수 있다. 일부 사운드 디자이너는 뛰어난 작곡가로서 사운드 디자인뿐만 아니라 제작을 위한 음악을 작곡하고 제작하기도 한다. 많은 연극 사운드 디자인은 상당한 사운드 보강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4. 2. 관련 단체


  • 연극 음향 디자이너 및 작곡가 협회(TSDCA)
  • 사운드 디자이너 협회는 영국에서 연극 음향 디자이너를 대표하는 무역 협회이다.
  • 미국 무대 예술가 연합(USA) USA829 지부는 IATSE에 통합되어 있으며, 미국에서 연극 음향 디자이너를 대표한다.
  • 영국령 캐나다의 연극 음향 디자이너는 캐나다 디자이너 협회(ADC)가, 퀘벡은 퀘벡 예술 전문가 협회(APASQ)가 대표한다.

5. 한국의 사운드 디자인

한국 영화, 드라마, 게임 산업이 발전하면서 사운드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K-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한국 사운드 디자이너들의 국제적인 협업 기회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등 한국 영화의 아카데미상 수상은 한국 영화 사운드 디자인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Traditional Japanese Theater Columbia University Press
[2] 서적 Sound and Music For The Theatre Back Stage Books, an imprint of Watson-Guptill Publications
[3] 서적 Theatre In The Victori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Noises Off Frederick Muller
[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24-08-00
[6] 웹사이트 Sound designer http://filmsound.org[...] 2015-10-13
[7] 서적 The conversations: Walter Murch and the art of editing film Bloomsbury 2003
[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Sound Design http://www.theawsc.c[...] Advertising Week 2015-10-13
[9] 웹사이트 William Cameron Menzies: One Forceful, Impressive Idea http://www.davidbord[...] 2015-10-13
[10] 웹사이트 Dolby Atmos for content creators https://professional[...] 2022-01-06
[11] 서적 Sound Design: The Development of Sound Design for Hollywood Films and its Impact on Modern Cinema https://books.google[...] diplom.de 2015-10-13
[12] 서적 The Film Editing Room Handbook: How to Tame the Chaos of the Editing Room https://books.google[...] Peachpit Press 2015-10-13
[13] 서적 Sound Design for Film and Television https://books.google[...] GRIN Verlag 2015-10-13
[14] 학술지 A New Music and Sound Effects System for Theatrical Productions http://www.aes.org/e[...] Audio Engineering Society 2011-03-23
[15] 서적 Sound and music for the theatre: the art and technique of design https://books.google[...] Focal Press
[16] 웹사이트 How to License Music https://www.musicbed[...] 2022-01-06
[17] 웹사이트 How to succeed in Theater Sound Design, Podcast Sound Design, and Podcast Production – with Kirsty Gillmore, Jeff Schmidt, and Matthew McLean https://www.asoundef[...] 2020-01-08
[18] 웹사이트 2010–2011 Tony Award Rules http://www.tonyaward[...] American Theatre Wing 2011-12-26
[19] 웹사이트 Best Sound Design Categories to Return to the Tony Awards http://www.tonyaward[...] 2017-04-27
[20] 웹사이트 MUSIC https://www.sevwave.[...]
[21] 학회 Processes and tools for sound design in computer games 2002-09-00
[22] 웹사이트 A Game Audio Technology Overview http://www.smcnetwor[...] 2011-02-22
[23] 웹사이트 About Audio Middleware https://www.yannisbr[...] 2016-03-09
[24] 뉴스 Starting in 2007–08, Sound Designers Will Be Recognized by Tony Awards http://www.playbill.[...] 2007-06-19
[25] 뉴스 Tony Award Administration Committee Eliminates Sound Design Categories http://www.playbill.[...] Playbill 2014-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