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야크어는 알래스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마지막 원어민 화자인 마리 스미스 존스가 2008년에 사망하면서 사멸되었다. 이야크어는 이야크-애서배스칸어족에 속하며, 알래스카 태평양 연안 지역에서 틀링깃어와 알루티익어 등의 언어와 접촉하면서 쇠퇴했다. 2010년부터 언어 복원 노력이 진행되어, 프랑스인 기욤 르뒤이가 학습하여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지만, 원어민 화자가 없어 '휴면' 상태로 분류된다. 이야크어는 교착어이며,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따르며, 복잡한 동사 형태론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데네어족 - 데네예니세이어족
데네-예니세이어족은 예니세이어족과 나-데네어족을 묶어 제안된 가설적인 어족으로,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간 언어적 연속성을 시사하지만,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에 대한 논쟁으로 가설의 타당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 나데네어족 - 틀링깃어
틀링깃어는 북아메리카의 나-데네 어족에 속하며 알래스카만 연안과 알래스카 남동부, 캐나다 일부, 워싱턴주 등지에서 사용되고 복잡한 음운 체계와 동사 중심의 문법 구조를 가진 언어로, 알래스카 동남 대학교를 중심으로 언어 부활 노력이 진행 중이고 알래스카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북아메리카의 사어 - 온두라스 렝카어
온두라스 렝카어는 온두라스 렝카족의 언어로, 다양한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진 음운론적 특징과 주어를 나타내는 접미사를 필수로 가지는 유한 동사, 그리고 스페인어의 'ser'와 'estar'에 해당하는 두 동사 존재가 형태론적 특징이다. - 북아메리카의 사어 - 촐티어
촐티어는 기원전 200년부터 사용된 촐란어에서 기원한 동부 촐란어에 속하는 마야어의 일종으로, 스페인과의 접촉 시점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18세기 말 소멸되었으며, 필사본을 통해 알려져 마야 문자 해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알래스카주 - 알류트족
알류트족은 알류샨 열도, 슈마긴 제도, 알래스카 반도의 극서부 지역에 거주하며 '우낭안' 또는 '우낭아스'라고 불리는 원주민으로, 해양 사냥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왔으나 외부 세력과의 접촉으로 고난을 겪었고 현재는 고유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알래스카주 - 유픽족
알래스카와 러시아 극동 지역에 거주하며 "진짜 사람들"을 의미하는 유픽족은 전통적인 어로 및 수렵 생활을 유지하며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는 알래스카의 가장 큰 원주민 집단 중 하나이다.
이야크어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이야크어 |
고유 이름 | Igya'aq |
국가 | 미국 |
지역 | 코르도바, 알래스카주 |
민족 | 이야크족 |
사멸 시기 | 2008년 1월 21일 마리 스미스 존스 사망 |
어족 | 나데네어족 |
하위 어족 | 애서배스카-이야크어군 |
문자 | 라틴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eya |
Glottolog | eyak1241 |
상태 | |
언어 활력 | 소멸 |
부활 시도 | 2010년대 초반 |
분포 | |
![]() |
2. 역사
마지막 이야크어 원어민은 마리 스미스 존스(1918년 5월 14일 ~ 2008년 1월 21일)였으며, 코르도바 출신이다.[7]
영어 확산과 원주민 언어 억압 외에도, 접촉 전 시대에 틀링깃족이 야쿠타트 주변으로 북쪽 이주를 하면서 알래스카 태평양 연안 대부분 지역에서 이야크어보다 틀링깃어 사용이 장려되었다. 또한 윌리엄 왕자 해협의 알루티익족과 구리 강 계곡 사람들의 압력도 받았다. 이야크어와 틀링깃 문화는 걸프 해안을 따라 합쳐졌고, 많은 이야크어 사용 집단이 틀링깃 인구에 흡수되었다. 이로 인해 몇 세대 후 혼합 집단 대부분에서 틀링깃어가 이야크어를 대체하게 되었으며, 이는 해당 지역의 틀링깃 구전 역사에 보고되어 있다.
2. 1. 쇠퇴
마지막 이야크어 원어민은 마리 스미스 존스(1918년 5월 14일 ~ 2008년 1월 21일)였으며, 코르도바 출신이다.영어의 확산과 원주민 언어 억압이 이야크어 쇠퇴의 유일한 이유는 아니다. 접촉 전 시대에 야쿠타트 주변으로 틀링깃족의 북쪽 이주는 알래스카 태평양 연안 대부분 지역에서 이야크어보다 틀링깃어 사용을 장려했다. 이야크어는 또한 서쪽 이웃인 윌리엄 왕자 해협의 알루티익족과 구리 강 계곡 사람들의 압력도 받았다. 이야크어와 틀링깃 문화는 걸프 해안을 따라 합쳐지기 시작했고, 많은 이야크어 사용 집단이 걸프 해안 틀링깃 인구에 흡수되었다. 이로 인해 몇 세대 후 혼합 집단 대부분에서 틀링깃어가 이야크어를 대체하게 되었으며, 이는 해당 지역의 틀링깃 구전 역사에 보고되어 있다.[7]
2010년 6월, 앵커리지 데일리 뉴스(Anchorage Daily News)는 이야크어와 예상치 못한 연관성을 가진 프랑스 대학생 기욤 르뒤이(Guillaume Leduey)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그는 12세 때부터 알래스카 원주민 언어 센터(Alaska Native Language Center)에서 얻은 인쇄물과 오디오 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스스로 이야크어를 배웠다. 그동안 그는 알래스카를 방문하거나 마지막 원어민 화자인 마리 스미스 존스와 대화한 적이 없었다.[7] 기사가 게재된 달에 그는 알래스카를 방문하여 저명한 언어학자이자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명예 교수인 마이클 E. 크라우스(Michael E. Krauss) 박사를 만났다. 크라우스 박사는 르뒤이가 정확한 이야크어 음운 발음을 익히도록 도왔고, 전통적인 이야크어 이야기의 형태소 분석을 포함하여 문법과 형태론에 대한 추가 지침을 제공했다.
2011년 6월, 르뒤이는 앵커리지와 코르도바에서 이야크어 워크숍을 진행하기 위해 알래스카로 돌아왔다. 그는 현재 이야크어 유창 화자이자 번역가, 강사로 간주된다.[8] 그의 유창함에도 불구하고, 이야크어는 원어민 화자가 없기 때문에 여전히 "휴면" 상태로 분류된다. 확장된 세대 간 파괴 척도(Expanded Graded Intergenerational Disruption Scale, EGIDS)에서 이야크어는 9등급(휴면)을 받았다. 이 언어는 민족 공동체의 유산 정체성을 상기시켜주는 역할을 하지만, 상징적인 수준 이상의 숙련도를 가진 사람은 없다.[9] 현재 르뒤이는 프랑스에서 [https://web.archive.org/web/20140301154401/http://www.eyakpeople.com/project 이야크어 프로젝트]에 교육과 커리큘럼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예기 보존 위원회(Eyak Preservation Council)는 알래스카 인문 포럼 보조금을 받아 이야크어 보존에 전념하는 웹사이트를 시작했다. 다른 자금 지원을 통해 매년 8월 코르도바에서 열리는 이야크 문화 캠프를 지원한다. 이 프로젝트는 몰입형 워크숍, 오디오 샘플이 포함된 온라인 사전, 일련의 e-러닝 수업 등 수많은 언어 자원을 제공한다. 2014년 6월, 이야크어 부활 프로젝트는 "사람들의 말"을 의미하는 "dAXunhyuuga'"라는 온라인 프로그램을 발표했다.[10]
2. 2. 복원 노력
마지막 이야크어 원어민은 마리 스미스 존스(1918년 5월 14일 ~ 2008년 1월 21일)였으며, 코르도바 출신이다.[7]영어 확산과 원주민 언어 억압 외에도, 틀링깃족이 야쿠타트 주변으로 북쪽 이주를 하면서 알래스카 태평양 연안 대부분 지역에서 이야크어보다 틀링깃어 사용이 장려되었다. 또한 서쪽 이웃인 윌리엄 왕자 해협의 알루티익족과 구리 강 계곡 사람들의 압력도 있었다. 이야크어와 틀링깃 문화는 걸프 해안을 따라 합쳐졌고, 많은 이야크어 사용 집단이 틀링깃 인구에 흡수되었다. 이로 인해 몇 세대 후 혼합 집단 대부분에서 틀링깃어가 이야크어를 대체하게 되었으며, 이는 해당 지역의 틀링깃 구전 역사에 보고되어 있다.[7]
2010년 6월, 앵커리지 데일리 뉴스는 이야크어와 연관성을 가진 프랑스 대학생 기욤 르뒤이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그는 12세 때부터 알래스카 원주민 언어 센터에서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스스로 이야크어를 배웠다. 그는 알래스카를 방문하거나 마지막 원어민 화자인 마리 스미스 존스와 대화한 적이 없었다.[7]
기사가 게재된 달에 그는 알래스카를 방문하여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 명예 교수인 마이클 E. 크라우스 박사를 만났다. 크라우스 박사는 르뒤이가 정확한 이야크어 발음을 익히도록 도왔고, 문법과 형태론에 대한 추가 지침을 제공했다.[7]
2011년 6월, 르뒤이는 앵커리지와 코르도바에서 이야크어 워크숍을 진행하기 위해 알래스카로 돌아왔다. 그는 현재 이야크어 유창 화자이자 번역가, 강사로 간주된다.[8] 그의 유창함에도 불구하고, 이야크어는 원어민 화자가 없기 때문에 여전히 "휴면" 상태로 분류된다. 확장된 세대 간 파괴 척도에서 이야크어는 9등급(휴면)을 받았다. 이 언어는 민족 공동체의 유산 정체성을 상기시켜주는 역할을 하지만, 상징적인 수준 이상의 숙련도를 가진 사람은 없다.[9] 현재 르뒤이는 프랑스에서 [https://web.archive.org/web/20140301154401/http://www.eyakpeople.com/project 예기어 프로젝트]에 교육과 커리큘럼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예기 보존 위원회는 알래스카 인문 포럼 보조금을 받아 이야크어 보존에 전념하는 웹사이트를 시작했다. 다른 자금 지원을 통해 매년 8월 코르도바에서 열리는 이야크 문화 캠프를 지원한다. 이 프로젝트는 몰입형 워크숍, 오디오 샘플이 포함된 온라인 사전, 일련의 e-러닝 수업 등 수많은 언어 자원을 제공한다.
2014년 6월, 이야크어 부활 프로젝트는 "사람들의 말"을 의미하는 "dAXunhyuuga'"라는 온라인 프로그램을 발표했다.[10]
3. 언어 체계
이야크어는 나데네어족에 속하며, 애서배스칸어족과 틀링깃어를 포함한다. 데네-예니세이어족 가설이 사실로 입증된다면, 구세계와 신세계 언어를 연결하는 최초의 유전적 연결이 될 것이다.[1] 이야크어는 교착어이자 포합어이다.[1]
이야크어의 자음 체계는 아래 표와 같다.
양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중설음 | 설측음 | Plain | 순음화 | ||||||
파열음 | 무기음 | d | g | gw | g̣ | ||||
유기음 | t | k | q | ||||||
방출음 | t' | k' | q' | ' | |||||
파찰음 | 무기음 | dz | dl | j | |||||
유기음 | ts | tl | ch | ||||||
방출음 | ts' | tl' | ch' | ||||||
마찰음 | s | ł | sh | x | xw | x̣ | h | ||
비음 | (m ) | n | |||||||
접근음 | l | y | w |
이야크어의 모음 체계는 아래 표와 같다.
3. 1. 음운론
이야크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다.이야크어는 애서배스칸어족의 다른 언어들과 달리 성조를 사용하지 않는다. 즉, 음의 높낮이 변화를 통해 의미를 구별하지 않는다. 어휘 강세는 보통 어간 및/또는 강세 음절에 온다. 강세 음절이 연속될 때는 "안녕"을 뜻하는 ''qʼahdiʼlah'' /qʼa̤ˈtɪ̰la̤/와 같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온다.
모든 음절은 시작 자음을 가지며, 두 개의 모음은 연속해서 나타나지 않는다. 모음만이 음절의 핵이 될 수 있다. 어간은 강세 음절이며, 접사는 가벼운 경향이 있다.
3. 1. 1. 자음
이야크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비음 과 은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 유기 파열음은 모음 앞에서만 무기 파열음과 대립한다.
- 모든 자음은 어간의 시작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 /h/는 예외이며, 이는 무음으로 해석된다. /h/는 단어의 시작이나 모음 바로 뒤에서만 [h]의 이음으로 나타난다.
3. 1. 2. 모음
이야크어는 5개의 모음 /ɪ e a ə ʊ/를 가지며, 이 중 3개는 길이, 비음화, 걸걸한 목소리(성문 폐쇄음화) 및 거친 목소리(크라우스의 용어로는 '기음')를 구별한다. 모음 는 짧게, 평탄한 목소리로만 나타나며 비음화되지 않는다. 는 또는 로 변동될 수 있으며, 는 , , 또는 로 변동될 수 있다. 거친 목소리 모음은 모두 짧은 이지만, 대부분 비음화될 수도 있다 .전설 | 중설 | 후설 | ||||
---|---|---|---|---|---|---|
구강 | 비음 | 구강 | 비음 | 구강 | 비음 | |
폐쇄 | ɪː ɪ̰ ɪ̰ː ɪ̤ | ɪ̃ ɪ̃ː ɪ̰̃ ɪ̰̃ː ɪ̤̃ | ʊː ʊ̰ ʊ̰ː ʊ̤ | ʊ̃ ʊ̃ː ʊ̰̃ ʊ̰̃ː ʊ̤̃ | ||
중설 | eː ḛ ḛː e̤ | |||||
개 | aː a̰ a̰ː a̤ | ã ãː ã̰ ã̰ː |
이야크어 표기 체계에서 장모음은 기본 모음 뒤에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장모음은 콜론 <:>으로, 성문 파열음(또는 쉰 목소리) 모음은 아포스트로피 <’>로, 거친 소리("유기음") 모음은
‘수식되지 않은’ (모달, 구강) | 성문 파열음 (쉰 목소리) | ‘유기음’ (거친 소리) | 장모음 | 장 성문 파열음 | 성문 파열음 비음 | ‘유기음’ 비음 | 장 비음화 | 장 성문 파열음 비음 |
---|---|---|---|---|---|---|---|---|
i | i’ | ih | i: | i:’ | in’ | inh | i:n | i:n’ |
A | e’ | eh | e: | e:’ | ||||
a’ | ah | a: | a:’ | an’ | anh | a:n | a:n’ | |
u | u’ | uh | u: | u:’ | un’ | unh | u:n | u:n’ |
3. 2. 형태론
이야크어는 교착어이자 포합어이다. 나데네어족에 속하며, 애서배스칸어족과 틀링깃어를 포함한다. 데네-예니세이어족 가설이 사실로 입증된다면, 구세계와 신세계 언어를 연결하는 최초의 유전적 연결이 될 것이다.이야크어 명사는 예외를 제외하고 형태음운론적으로 불변하며, 친족 및 해부학적 어간만이 대명사 소유 접두사를 취할 수 있다. 이야크어의 전동사는 후치사와 함께 하나의 단어를 구성한다. 전동사는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단어이며, 자연스러운 대화에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어 어휘소에 가깝다. 이야크어에는 100개가 넘는 기본 전동소 형태소가 존재한다. 후치사는 동사 외부의 대상과 직접 관련되며, 의미론적으로 분류된 후치사도 있다. 이야크어에는 접속사가 없으며, 많은 후치사가 종속절을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이야크어 동사 어근은 다양한 접사를 취하며, 동사 앞에는 9개의 접두사 위치와 뒤에는 4개의 접미사 위치가 있다.
3. 2. 1. 명사
이야크어 명사는 형태음운론적으로 불변하며, 예외적으로 친족 및 해부학적 어간만이 대명사 소유 접두사를 취할 수 있다. 대명사 소유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1인칭 단수: ''si-'' (''siya:q’e’'', "나의 고모 [어머니의 자매]")
- 2인칭 단수: ''’i-'' (''’ita:’'', "너의 (단수) 아버지")
- 3인칭 단수 및 복수: ''’u-''
- 1인칭 복수: ''qa:-''
- 2인칭 복수: ''lAX-''
- 부정: ''k’u-''
- 상호: ''’Ad-''
3. 2. 2. 동사
이야크어의 전동사는 후치사와 함께 하나의 단어를 구성한다. 전동사는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단어이며, 자연스러운 대화에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어 어휘소에 가깝다. 전동사는 결합 형태소가 아니며 음운적으로 동사와 분리되어 있고, 통합될 수도 있다. "’uya’ ’Adq’Ach’ k’udAdAGu’"(그것을 스스로에게 따뜻하게 유지하는 물건/사람 안으로)와 같이 두 개의 전동사가 조합되기도 한다. 이야크어에는 100개가 넘는 기본 전동소 형태소가 존재한다.후치사는 동사 외부의 대상과 직접 관련된다. 크라우스의 분석은 의미론적이기보다는 음운론적이지만, 의미론적으로 분류된 후치사도 있다. 이 그룹에는 P-'''ga’''' "P와 같은", P-'''’u’X''' "P보다 적은", P-'''lAX''' "P보다 많은"이 있으며, 여기서 P는 모든 후치사 구문이다. 이야크어에는 접속사가 없으며, 많은 후치사가 종속절을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후치사는 동사에 붙으며, -'''da:X''' "그리고" 또는 "만약, ~할 때"가 가장 흔하다.
이야크어 동사 어근은 다양한 접사를 취한다. 동사 앞에는 9개의 접두사 위치가 있고(많은 부분이 세분 가능), 뒤에는 4개의 접미사 위치가 있다. 모든 위치는 비워둘 수 있지만, 어근은 수백 개의 형태소 중 하나로 채워져야 하며 비워둘 수 없다.
# 대상
## 직접 목적어: '''xu''' (1인칭 단수), '''’i''' (2인칭 단수), ø~'''A''' (3인칭 단수 및 복수), '''lAXi:''' (2인칭 복수), '''’Ad'''('''A''')~'''’Ad'''('''u''') (재귀), '''’i'''~'''’i(dA)''' (불확정)
## 불확정 주어 또는 목적어: '''k’u’'''
##* 불확정 대상은 특정 목적어가 없는 경우(예: 자동사)에 사용되며, 불확정 대상은 특정되지는 않지만 지정되지 않은 주어 또는 목적어가 있을 때 사용된다.
## 반타동사 표시: '''’'''~''':'''
# 시제/상/법 A (개시적 미완료): '''qu’'''~'''qa’'''~'''qe’'''~'''qi’'''
# '''’i:lih''' ~ ''':lih'''
#* 이 위치는 '''ilih'''와 같이 생각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몇몇 동사에서만 채워진다.
# 복수 강조어: '''qA''' (주어 ''및'' 목적어)
# 분류(명사) 및 주제(동사) 한정어: 가장 가변적이고 특징적인 이야크어 접사 위치. '''gu''', '''XA''', '''lAXA''', '''dA''', '''yA''', 그리고 '''lA'''는 단독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나머지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조합으로 나타난다.
## '''GA, gu'''
## '''XA'''
## '''qi:''', '''lAXA''', '''ti:''', '''ku:n''', '''k’ush''', '''tsin''', '''tsi:'''
## '''dA''', '''yA'''
## '''lA'''~''':n'''
#* 형태소는 위치 C에서만 특정된 의미를 가지며, 명사적으로만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lAXA''', "딸기 모양, 공 모양, 눈" 또는 '''qi:''' + '''dA''' "발"과 같다. 다른 형태소는 무제한적이고 광범위한 의미를 갖지만 특정 영역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명사 분류자 또는 동사 주제가 될 수 있다.
#** '''gu'''+'''lA'''는 명사 분류자이며 액체 또는 점성 물질을 지칭한다. '''gu'''가 단독으로 나타날 때는 바구니 뿌리, 실 또는 머리카락(밧줄은 아님)을 명사적으로 지칭하며, -'''L'''-'''qu'''와 함께 동사 주제로 사용되어 "쫓다"의 의미를 가진다.
#** '''XA'''+'''dA'''는 성냥개비나 통나무(막대기는 아님) 또는 구름 등을 명사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dA'''는 단독으로 굶주림, 썰매, 화살, 소리(특정 유형만) 및 고체 아닌 둥근 물체(계란, 잘린 머리, 심장 포함)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매우 광범위한 선택을 주제적으로 나타낸다.
#** 이것은 위치 5에서 가능한 형태소의 의미의 폭에 대한 매우 제한적인 예시이다.
# 시제/상/법 B1: '''GA''', ø ~ '''A''', ''':''' ~ '''A'''
# 주어: '''xw''' (1인칭 단수), ø ~ '''y'''('''i''') (2인칭 단수), '''lAX''' (2인칭 복수), ø (기타 모두)
# 시제/상/법 B2: ''sA ~ s'' (완료), ('''y''')'''i''' ~ ø (결정적이지 않은 기능)
# 동사 태 분류자: ø, '''dA'''~'''di''', '''L''', '''LA'''~'''Li'''
# 동사 어간
# 파생: '''g''' (습관적 행동), '''X''' ~ ø (진행형)
# 상: '''L''' (완료); 파생: '''k’''' (관습적)
# 부정문: '''G'''
# 3인칭의 인간 주어 또는 객체: '''inh''' (단수), '''inu:''' (복수); 명령형의 비인간 객체: '''uh'''
최대 접사 위치가 채워진 문법적인 예시: '''dik’ lAXi:qAqi’dAxsLXa’Xch’gLG''' "나는 당신들의 (복수, 강조) 발을 간지럽히지 않았다."
- '''dik’''', 부정 입자
- 접두사 위치 1: '''lAXi:''', 직접 목적어, 당신 복수
- 위치 4: '''qA''', 복수 강조
- 위치 5C & D: '''qi’''' + '''dA''', 발에 관한
- 위치 6: ø, 부정 능동 완료
- 위치 7: '''x''', 1인칭 단수 주어
- 위치 8: '''s''', 완료
- 위치 9: '''L'''
- 어간: '''Xa’Xch’''', 간지럽히다
- 접미사 위치 1: '''g''', 반복
- 위치 2: '''L''', 완료
- 위치 3: '''G''', 부정
이야크어에는 희구법과 명령법의 두 가지 기원법과, 완료상과 미완료상의 두 가지 상이 있다. 동사는 내적, '능동적', '중립적'일 수 있다.
내적 | 능동적 | 중립적 | |
---|---|---|---|
완료상 | 하고 있다, 되고 있다 | 했다, 되었다 | 이다 |
미완료상 | 할 것이다, 될 것이다 | 하고 있다 | 이다 |
희구법 | 그렇게 하도록, 그렇게 되도록 | 그렇게 하도록 | 그렇게 되도록 |
명령법 | 그렇게 해!, 그렇게 돼! | 그렇게 해! | 그렇게 해! |
접두사 위치 2의 형태소는 내적 미완료상을 수정하고, 위치 6에서는 내적, 능동적 및 중립적의 완료상, 희구법 및 명령법을 수정하며, 위치 8에서는 내적 희구법, 능동적 완료상 및 희구법, 중립적 완료상, 미완료상, 희구법 및 명령법을 수정하고, 접미사 위치 2에서는 내적, 능동적 및 중립적 완료상을 수정하며, 접미사 위치 3에서는 부정성을 수정한다.
또한 반복, 습관, 진행의 세 가지 파생 방식이 있다. 부정사는 변동이 있지만, 명령형과 거의 같은 형태를 취한다.
3. 3. 통사론
이야크어 자료는 대부분 서술적인 내용이며, 자연스러운 대화는 거의 없다(서술 속에 포함된 경우에만 해당). 따라서 자연스러운 구어보다는 이야기체와 표현 방식의 문법에 대한 이해가 더 잘 이루어져 있다. 이야크어의 기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이며, 예를 들어 "''Johnny ’uyAqa’ts’ sALxut’L''"은 "Johnny는 자신의 손을 쐈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이 정확한 패턴을 따르는 문장은 상대적으로 적으며, SV 또는 OV 어순을 더 흔하게 볼 수 있다. 타동사의 전체 어순은 I S O [C P] V]이다.- I, 도입부: 접속사(예: '그래서', '그 다음에' 등)와 하나 이상의 부사, 특히 시간 및 장소 부사로 구성된다.
- S, 주어
- O, 목적어
- V, 동사 부분: 동사 외에 두 개의 하위 구역을 포함한다.
- C, 보어 하위 구역: 이야크어 문법에서 보어는 명사 또는 명사구(예: 지시 대명사 아님)이며, 일반적인 문법에서 '보어'의 일반적인 용어와 같은 의미를 갖지 않는다. 이는 이야크어의 전통적인 분류 때문이다.
- P, 동사 앞 하위 구역: 동사 앞 어구(전치사 및 후치사) 및 대명사를 포함한다.
주어와 목적어 범주는 명사, 명사구, 또는 지시사구로 구성될 수 있다. 동사를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는 비어 있을 수 있다.
4. 단어 예시
참조
[1]
뉴스
Alaska OKs Bill Making Native Languages Official
https://www.npr.org/[...]
2014-04-21
[2]
간행물
A history of Eyak language documentation and study: Fredericæ de Laguna in Memoriam
http://ccil.org/~cow[...]
2006
[3]
웹사이트
ADN.com
https://archive.toda[...]
[4]
뉴스
Last Alaska language speaker dies
http://news.bbc.co.u[...]
2008-01-24
[5]
기사
How Do You Learn a Dead Language?
http://www.slate.com[...]
2008-01-28
[6]
뉴스
No Tears For Dead Tongues
https://www.forbes.c[...]
2008-02-21
[7]
웹사이트
Extinct Alaska Native language interests French student
http://www.adn.com/2[...]
2011-07-15
[8]
웹사이트
Preserving Alaska Native culture
http://www.thecordov[...]
2011-07-15
[9]
웹사이트
Ethnologue
http://www.ethnologu[...]
[10]
웹사이트
Program seeks to revitalize extinct Eyak language
http://www.ktva.com/[...]
2014-06-25
[11]
문서
"''Eyak''を発音記号であらわすと、EE-yakとなる"
http://dictionary2.c[...]
[12]
뉴스
Last full-blooded Eyak and fluent speaker of Native language dies
http://www.adn.com/n[...]
Associated Press
2008-01-22
[13]
서적
On the Origin of Languages (Studies in Linguistic Taxonomy)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