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합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합어는 형태론적 통합 정도가 높고 단어당 많은 형태소를 포함하는 언어를 의미한다. 언어학에서 포합어는 "많은"을 뜻하는 그리스어 어근 'poly'와 "함께 놓기"를 의미하는 'synthesis'의 합성어로, 동사와 논항 간의 일치가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명사 병합을 통해 복합어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1819년 피터 스티븐 듀폰소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으며, 윌리엄 폰 훔볼트의 사후 저서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포합어는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며, 동사의 형태소 구성 방식에 따라 접사적 다합성, 구성적 다합성으로 나뉜다. 포합어를 통해 명사를 포합하여 구의 의미가 변화하기도 하며, 동사의 논항이 삭제되는 작용이 나타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포합어 | |
---|---|
개요 | |
정의 | 하나의 단어에 많은 형태소가 결합되어 있는 언어 |
특징 | 높은 형태소 밀도 복잡한 단어 구조 문장 전체의 의미를 하나의 단어로 표현 가능 |
명칭 | |
영어 | Polysynthetic language |
일본어 | 抱合語 (ほうがご) |
한국어 | 포합어 (包合語) |
유형 | |
형태적 유형론 | 종합적 언어의 하위 유형 |
기타 유형 | 교착어 굴절어 |
예시 | |
언어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나바호어 체로키어 바스크어 아이누어 |
예시 문장 (유픽어) | tuntussuqatarniksaitengqiggtuq |
예시 문장 (의미) | 그는 순록을 사냥하러 간다고 다시 말하지 않았다. |
예시 문장 (형태소 분석) | tuntu-ssur-qatar-ni-ksaite-ngqiggte-uq |
예시 문장 (형태소 의미) | 순록-사냥-미래-말하다-아니다-다시-3인칭 단수 |
2. 의미
"포합어"라는 단어는 "많음"을 뜻하는 그리스어 어근 ''poly''와 "함께 놓기"를 의미하는 ''synthesis''로 구성되어 있다.
피터 스티븐 듀폰소(일명 피에르 에티엔 듀폰소)는 1819년에 "포합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여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했다.[7] 듀폰소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가 복잡한 구조와 풍부한 문법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특징이 그린란드에서 케이프 혼까지 모든 언어에서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특징을 "포합어"라고 칭하며, 옛 대륙과 새로운 대륙의 언어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보았다.[7]
생성 문법에서는 포합어의 문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이 제시되었다. 요한나 마티센은 포합어를 접사적 포합어와 구성적 포합어로 구분했다.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포합어가 발견된다.
대부분의 경우 명사를 포합하여 만들어진 구는, 명사가 동사에 포합되지 않은 유사한 구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차이는 진술의 일반성·한정성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다. 포합된 구는 보통 일반적이며 한정되지 않고, 포합되지 않은 구는 보다 특수하다.[7]
언어학에서 단어는 문장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의미를 가지는 단위로 정의된다. 단어는 형태소라고 불리는 더 작은 의미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포합어는 형태론적 통합 정도가 높고, 단어당 많은 형태소를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포합은 언어가 동사와 그 인자(주어, 목적어 등) 사이에 광범위한 일치를 가질 때 종종 달성된다. 동사는 문법적 주어와 목적어와의 일치에 대해 표시된다. 많은 포합어는 명사 병합을 통해 복합어를 형성하기도 한다.
포합어의 또 다른 일반적인 특징은 두표지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3. 역사
빌헬름 폰 훔볼트는 듀폰소의 용어를 차용하여 언어 유형론 중 하나로 포합어를 제시했다.[7] 초기에는 포합어가 미개한 언어의 특징으로 여겨졌으나, 듀폰소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의 복잡한 포합어적 특성이 더 문명화된 과거의 유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듀폰소의 동료인 앨버트 갤러틴은 이러한 이론에 반박하며, 종합성이 더 낮은 문화 수준의 징표이며, 포합어는 지적 진화의 가장 낮은 수준의 특징이라고 주장했다.[7]
이후 에드워드 사피어 등은 이러한 견해에 반박하며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의 다양성을 강조했다.[7] 사피어는 언어를 분석적, 종합적, 포합적으로 분류하고, 각 언어가 여러 유형의 특징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합성(polysynthetic)이라는 용어가 명확하게 정의된 적이 없다고 비판하며, 언어를 상대적으로 합성적이거나 분석적인 것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제안했다.[7]
4. 현대적 접근
5. 분포
어족 및 언어 축치-캄차달 언어[5] 케트어 (가능성 있음) 니브흐어 (가능성 있음) 아이누어 자이롱어 문다어족 북서캅카스어족 알곤킨어족 카도어족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이로쿼이어족 나데네어족 살리시어족 수어족 유토-아즈텍어족 와카시어족[6] 야나어/야히어 및 기타 호칸어족 마야어족 토토나카어족 미세-소케어족 푸레페차어 테키스트라테코어족 우아베어 치브차어족 아이마라어족 케추아어족 투피-구아라니 어족 아라와크어족 많은 아마존 언어 마푸둥군 다수의 파푸아어 (예: 아우투어, 이마스어) 북부 오스트레일리아어 (예: 매크로-건윈이구안어, 무린파타어, 고전 티위어, 에닌딜리아과어) 고아시아어족 중 하나인 축치어 이로쿼이어족의 모호크어 알곤킨어족의 샤이엔어
북서 코카서스어족은 동사에 관해서는 고도로 복합적이며, 약간의 포합도 보인다.
2의 의미에서의 포합어는 시베리아에서 북아메리카에 걸쳐 특히 많이 나타난다.
6. 포합과 의미론적/통사론적 변화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엄격한 것은 아니다. 명사 포합으로 의미적 변화가 생기지 않는 언어도 있다(다만 그래도 아래와 같이 통사론적으로 변화하는 경우도 있다).[7]
일반적으로 명사가 포합되면 동사가 취하는 논항(argument: 동사의 주어, 예를 들어 직접·간접 목적어, 수단, 위치 등)이 하나 삭제되는 작용이 있으며, 이것이 명시되는 언어도 있다. 즉, 그 동사가 타동사라면 직접 목적어를 포합한 동사 단어는 형식적으로 자동사가 되어 그것이 명시된다.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언어나, 적어도 형태론적으로 명시되지 않는 언어도 있다.[7]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Linguistics
1954
[2]
서적
1997
[3]
간행물
Chicago Linguistic Society #38
[4]
서적
On the Ontology and Diachronisis of Polysynthesis
[5]
논문
Incorporation in Chukchi
1995
[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olysynthesi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7]
서적
言語学大辞典 第六巻
三省堂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