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요 방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요 방언은 에히메현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방언으로, 지역에 따라 도요 방언, 주요 방언, 난요 방언, 세토 내해 도서부 방언 등으로 구분된다. 각 방언은 억양, 문법,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특히 문법적으로 표준 일본어와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동사로 '야'를 사용하거나, '켄'을 '때문에'의 의미로 사용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이요 방언은 소설 《도련님》, 영화 《힘내서 가자!》 등 다양한 작품에 등장하며, 관련 인물로는 무라카미 쇼지, 다카하시 구미코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히메현의 문화 - 야구권
    야구권은 일본의 전통 유희로 노래와 춤, 가위바위보가 결합된 형태이며, 마쓰야마시에서 유래되어 축제 주요 콘텐츠로 자리 잡았으나, 쇼와 시대에 술자리 게임으로 변질되어 선정성 논란을 낳기도 했다.
  • 일본어의 방언 - 게센어
    게센어는 일본 이와테현 기센 지구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도호쿠 방언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아이누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언어라는 주장도 있으며, 현대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어휘와 문법, 발음 체계로 인해 지역 언어 부흥 운동의 대상이 되었으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 중이다.
  • 일본어의 방언 - 주고쿠 방언
    주고쿠 방언은 일본 주고쿠 지방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산인 방언과 산요 방언으로 나뉘며,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과 문법 및 어휘를 가진다.
이요 방언
언어 정보
이름이요 방언
사용 국가일본
사용 지역에히메현
화자 수?
언어 분류
어족알타이어족
어파일본어족
어계일본어
분파서일본 방언
하위 방언시코쿠 방언
언어 코드
ISO 639-3dialect
Glottologiyob1237
Glottolog 명칭Iyo-ben
IETFja-u-sd-jp38
기타
관련 항목일본어의 방언
동일본 방언
홋카이도 방언
도호쿠 방언
쓰가루 방언
게센어
간토 방언
에도말
도카이토산 방언
나고야 방언
서일본 방언
호쿠리쿠 방언
긴키 방언
주고쿠 방언
히로시마 방언
야마구치 방언
운파쿠 방언
시코쿠 방언
규슈 방언
하카타 방언
오이타 방언
미야자키 방언
하치조어
오가사와라 방언
우치나 야마토구치

2. 지역별 구분

에히메현의 방언은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 도요 방언: 니이하마시 부근부터 동쪽
  • 주요 방언: 마쓰야마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
  • 난요 방언
  • 오즈 방언
  • 우와지마 방언
  • 세토 내해 도서부 방언


억양은 전국적으로 보아도 상당히 복잡한 분포를 보인다.

2. 1. 도요 방언

니이하마시 부근부터 동쪽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사누키식 억양(교토-오사카식 억양의 아종)을 사용하며, 가가와현의 방언과 유사하다. 이 억양은 교토나 오사카의 교토-오사카 억양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1]

2. 2. 주요 방언

마쓰야마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교토-오사카식 억양을 사용하며, 지리적으로 가까운 도쿠시마현, 고치현의 방언보다 현대 교토, 오사카 지역의 억양과 더 유사하다.[1][2]

2. 3. 난요 방언


  • '''ga''' (が)는 몇몇 상황에서 '''no''' (の)를 대체한다.
  • "설명/의문 ''no''" — "무엇을 하고 있니?" (표준 일본어: 何してるの? ''nani shiteru no?'' )가 ''nani shiteru ga?'' (何してるが?)가 된다.
  • 위에 언급된 진행형의 대체 형태와 결합하여 일반적으로 ''nani shiyoru ga?'' (何しよるが?)로 표현된다.
  • "~는데 ''-noni''" (~のに) — "하지만 네가 그렇게 말했잖아!" (표준 일본어: そう言ったのに! ''sō itta noni!'' )가 ''sō itta gani!'' (そう言ったがに!)가 된다.
  • 특히 야와타하마에서는 '''-teya''' (てや)가 강조 접미사로, 일반적으로 '''sōteya''' (そうてや)에서 볼 수 있으며, 이는 ''sōdayo'' (そうだよ)와 동일하다.
  • 이는 ''sō ya to itta ya'' → ''sō yatte ya'' → ''sōteya''와 같은 축약형으로 생각된다.
  • 난요 방언
  • 오즈 방언: 1형 억양
  • 우와지마 방언: 도쿄식 억양
  • 우와지마 방언은 고치현 서남부의 방언과 유사하며, 안쪽 도쿄식 억양을 사용한다(가운데 도쿄식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1]

2. 4. 세토 내해 도서부 방언

에히메현 세토 내해 섬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지역에 따라 히로시마벤, 빈고벤 등의 영향을 받았다.[1] 억양이마바리시하카타섬을 경계로 빈고벤(안쪽 도쿄식 억양)과 나뉘며, 하카타섬 남부에는 교토-오사카식 억양 요소가 약간 남아있다.[3] 오미시마 동부에서 이마바리시 오카무라섬에 걸쳐서는 아키나다 제도와 연결되는 히로시마벤(가운데 도쿄식 억양)으로 여겨진다.[1]

3. 특징

이요 방언은 표준 일본어 문법과 구별되는 여러 특징을 보인다. 크게 문법적 특징과 어휘적 특징으로 나눌 수 있다.

문법적으로는 조사, 동사 활용, 문장 종결 등에서 표준 일본어와 차이를 보인다. 연결동사 '다'(だ) 대신 '야'(や)를 쓰고, 이유를 나타내는 '카라'(から) 대신 '켄'(けん)을 쓰는 등 고유한 표현이 있다. 동사 '있다'는 '오루'(おる)를 쓰며, 진행형은 '-토루'(~とる), '-요루'(~よる)와 같은 독특한 활용을 보인다.

어휘적으로는 '운반하다'를 뜻하는 '카쿠'(かく), '외치다'를 뜻하는 '오라부'(おらぶ)처럼 표준 일본어 화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가 많다.

3. 1. 문법적 특징

이요 방언은 표준 일본어와 다른 여러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 격식 없는 연결동사로 '다'(だ) 대신 '야'(や)를 쓴다.
  • '때문에'라는 뜻의 '카라'(から) 대신 '켄'(けん)을 쓴다.
  • '다카라'(だから) 대신 '야켄'(やけん)을 쓴다.
  • 살아있는 대상에 대한 동사 '있다'로 '이루'(いる) 대신 '오루'(おる)를 쓴다.
  • 진행형(~ている '-te iru')을 나타내는 두 가지 다른 활용 형태가 있다.
  • '-토루'(~とる)는 '-테 오루'(-て おる)의 줄임말이다.
  • 동사 어간 + '-요루'(~よる)는 '오루'가 약해진 형태이다.
  • 예: "무엇을 하고 있니?"(何してるの? ''nani shiteru no?'' - 표준 일본어)는 '나니 시토루노?'(何しとるの?) 또는 '나니 시요루노?'(何しよるの?)가 된다.
  • 문장 끝에 오는 '노'(の)가 줄어든 형태인 '응'(ん)을 쓴다.
  • 예: 위에 나온 "무엇을 하고 있니?"의 두 번째 형태인 '나니 시요루노?'는 종종 '나니 시욘?'(何しよん?) 또는 '나니 손?'(何しょん?)으로 줄여진다.
  • '야'와 '와이'(わい)는 '요'(よ)처럼 강조하는 문장 끝 조사가 될 수 있다.
  • '~할 수 없다'라는 부정형 잠재형은 때때로 '요' + V-부정형으로 나타낸다(''요''는 良く ''요쿠''의 일본어 문법#음운 변화(音便 onbin)이므로, 글자 그대로 "잘 ~하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 예: "할 수 없다"(できない ''dekinai'' - 표준 일본어)는 '요 센'(ようせん)이 된다.
  • "갈 수 없다"(行けない ''ikenai'' - 표준 일본어)는 '요 이칸'(よう行かん)이 된다.
  • 특히 노인들 사이에서, '코가이'(こがい), '소가이'(そがい), '도가이'(どがい)는 각각 "이런 종류의~", "저런 종류의~", "어떤 종류의~"에 쓰인다(''콘나'' こんな, ''손나'' そんな, ''돈나'' どんな - 표준 일본어).
  • '조나모시'(ぞなもし)는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도련님에 사용되어 이요 방언에서 가장 유명한 문장 끝 조사였지만, 지금은 쓰이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은 주로 난요(南予, 남부) 지방에서 나타난다.

  • 몇몇 상황에서 '노'(の) 대신 '가'(が)를 쓴다.
  • "설명/의문 ''no''" — "무엇을 하고 있니?" (표준 일본어: 何してるの? ''nani shiteru no?'' )가 ''nani shiteru ga?'' (何してるが?)가 된다.
  • 위에 언급된 진행형의 대체 형태와 결합하여 보통 ''nani shiyoru ga?'' (何しよるが?)로 표현된다.
  • "~는데 ''-noni''" (~のに) — "하지만 네가 그렇게 말했잖아!" (표준 일본어: そう言ったのに! ''sō itta noni!'' )가 ''sō itta gani!'' (そう言ったがに!)가 된다.
  • 특히 야와타하마에서는 '-테야'(てや)가 강조 접미사로, 보통 ''sōteya'' (そうてや)에서 볼 수 있으며, 이는 ''sōdayo'' (そうだよ)와 같다.
  • 이는 ''sō ya to itta ya'' → ''sō yatte ya'' → ''sōteya''와 같은 축약형으로 여겨진다.

3. 2. 어휘적 특징

이요 방언에는 표준 일본어 화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독특한 어휘가 많다. 예를 들어 '카쿠'(かく)는 '운반하다'라는 뜻이고, '오라부'(おらぶ)는 '외치다'라는 뜻이다.

이요 방언 어휘
이요 방언표준 일본어한국어
이누 (いぬ)去る가다
카쿠 (かく)担ぐ운반하다/어깨에 메다
오라부 (おらぶ)叫ぶ외치다
유키시 (行きし)行く途中가는 중
가에리시 (帰りし)帰る途中돌아가는 중
가엣테코-와이 (帰ってこーわい)帰ります돌아가다/집에 가다
잇테코-와이 (行ってこーわい)行ってきます"다녀오겠습니다"
카만 (かまん)良い/構わない좋다
모게루 (もげる)はずれる (hazureru)분리되다
쓰이 (つい)同じ/いっしょ (issho)같다
다이기 (たいぎぃ)しんどい/面倒くさい (shindoi)피곤하다/귀찮다
누쿠이 (ぬくい)あたたかい (atatakai)따뜻하다
무구 (むぐ)むく (muku)껍질을 벗기다



예를 들어, 교실에서 "책상을 옮겨"라는 말을 할 때, 이요 방언으로는 "쓰쿠에 오 카이테"(机をかいて)라고 한다. 이것은 이 지역 밖에서는 이해하기 어렵고, 표준 일본어 화자는 "책상을 그리다" 또는 "책상을 긁다"로 해석할 수 있다.

4. 대화 표현 예시


  • "요모다"는 적당히 빈둥거리는 모양, 무책임함을 나타낸다.
  • "호야켄, ~"는 "그러니까, ~"라는 뜻이며, "세야켄", "~야켄(킨)" 등으로 변형되어 사용된다.
  • "호-난"은 "그렇구나"라는 뜻이다.
  • "세츠칸시이"는 뻔뻔하다는 의미이다.
  • "~응요", "~난요", "~요"는 "~인 거에요"라는 뜻이다.
  • "~조나모시", "~나모시"는 "~입니다, 말이죠"라는 뜻이다. ("조나모시"는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동사 미연형에 "렌/라렌"을 붙이면 금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타베라렌"은 "먹으면 안 된다"라는 뜻이다. 이는 토사벤이나 아와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 "(집에) 오루"는 "(집에) 있다"라는 뜻이다. 대화에서 "오루?"라고 물으면 "오루요", "오로", "오로와이" 등으로 답변한다.
  • "~마이"는 부가 의문이다. 예시로는 "~세엔토이쿠마이", "이카마이" 등이 있다.
  • "인데코-와이", "카엣테코-와이"는 "돌아가겠습니다", "돌아갈게요"라는 뜻이다.
  • "이노로와이"는 이요와 토사 지역에서 사용된다.
  • "~오 카쿠"는 "~을 당기다", "~을 옮기다", "짊어지다"라는 뜻이다.
  • "츠카-사이"는 "주세요"라는 뜻이다. 도요 방언에서는 "츠카-사이"이지만, 난요 방언에서는 "얀나하이"가 된다.
  • "츠무"는 "~를 자르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카미오 츠무"(머리를 자르다), "츠메오 츠무"(손톱을 자르다)와 같이 사용한다.
  • "단단"은 "고맙습니다"라는 뜻의 옛 표현이다.
  • "가이니~", "가이나~"는 "엄청~, 엄청난~"이라는 뜻이다.
  • "이나게나"는 "이상한, 별난, 이상한, 괴상한"이라는 뜻이다.
  • "우시나사시타"는 "잃어버렸다", "우시나사스"는 "잃어버리다(분실하다)"라는 뜻이다.
  • "~네야"는 동의를 얻고 싶을 때 사용하는 부가 의문이다. 시코쿠 지역에서 사용된다.
  • "시마우"는 "정리하다"라는 뜻이다. 예문으로 "시모우토케"가 있다.
  • "마가루"는 "만지다(접촉하다)"라는 뜻이며, "마가루나요"는 "만지지마"라는 뜻이다.
  • "마조우"는 "갚다", "변상하다"라는 뜻이며, 명령형은 "마조에"이다.
  • "이로우", "이라우"는 "마가루"와 유사한 의미이다.
  • "세라렌"은 "하지마", "하지마세요"라는 뜻이다.
  • "오시나"는 "해 보면 어때요", "해 보렴"이라는 뜻이다.
  • "호우시코"는 "쇠뜨기"를 의미한다.
  • "토리노코요우시"는 "모조지"를 의미한다.
  • "몬타"는 "돌아갔다"라는 뜻이다. "이마 몬타데"는 "지금 돌아갔어"라는 의미이다.
  • "시요루", "난숀?"은 "무슨 일 하니?"라는 뜻이다.
  • "오도레!", "온도레!"는 "너!", "이 자식!"이라는 뜻이다. "오도레 난숀조!"는 "이 자식아 뭐 하는 거야!"라는 의미이다.
  • "코나아!"는 "이런 녀석!"이라는 뜻이다.
  • "코나쿠소!"는 "제기랄!"이라는 뜻이다.
  • "난조!"는 "뭐야!"라는 뜻이다.
  • "타고루"는 기침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 "얏하-이"는 "야-이"나 "꼴좋다"라는 의미이다.
  • "쇼벤오 히루"는 오줌을 누다는 뜻이다.

5. 이요벤과 관련된 인물 및 작품


  • 村上ショージ|무라카미 쇼지일본어 - 요시우미정(현 이마바리시) 출신의 희극 배우이다.
  • 토모치카 - 마쓰야마시 출신의 희극 배우이다.
  • 다카하시 구미코 (작가) - 전 챗몬치 멤버, 현 시코쿠추오시 출신이다.
  • 시라하마 아란 - 마쓰야마시 출신이다.
  • 혼다 토모코 - 마쓰야마시 출신, 전 후지 TV 아나운서이다. 2007년 3월 18일 방송된 『맑으면 좋겠네! Let's 코미미대』에서 잠깐 이요벤을 사용했다.
  • 도련님 - 마쓰야마를 배경으로 한 나쓰메 소세키의 청춘 소설이다.
  • 소세키 선생이오, 만약 - 나쓰메 소세키를 주제로 한 한도 가즈토시의 수필이다.
  • 언덕 위의 구름 - 주로 마쓰야마 출신의 군인인 아키야마 요시후루·사네유키 형제와 하이쿠 시인 마사오카 시키 등이 이요벤을 사용한다.
  • 대번 - 시시 분로쿠의 인기 소설이다. 우와지마 근교 출신인 주인공 시세 조종사가 특징적인 이요 사투리를 사용한다.
  • 음양좌 - 일본의 헤비메탈 밴드이다. 멤버들의 출신지인 난요 지방의 사투리를 활용한 악곡("가이나가테야", "오라비나하", "마이아가루" 등)이 있다.
  • 힘내서 가자! - 마쓰야마가 배경인 영화 및 드라마이다. 영화는 1998년 이소무라 이치로 감독, 다나카 레나 주연으로 제작되었다. 드라마는 2005년 7월~9월 간사이 TV 방송에서 방영되었다. 두 작품 모두 이요벤이 사용되었다.
  • 사국 - 1999년에 개봉된 영화이다. 무대는 고치현으로 도사벤이 중심이지만, 에히메현 필름 커미션의 협조 등으로 곳곳에서 이요벤을 들을 수 있다.
  • 타르트 - 에히메현의 향토 과자 타르트를 본뜬 에히메 출생 캐릭터이다. 이요벤을 사용한다.
  • LUNKHEAD - 니이하마시 출신의 록 밴드이다. 상경 후에도 MC 등에서 이요벤을 자주 사용하며, "돌아가는 길", "우리들은 살아간다" 등의 곡도 이요벤으로 부른다.
  • 47 도도부현견 - 성우 버라이어티 SAY! YOU! SAY! ME!에서 방영된 단편 애니메이션이다. 각 지역의 명산을 본뜬 개들이 등장하며, 에히메현은 귤을 본뜬 에히메견으로 등장한다. "~조나 모시", "마셔봐~" 등을 말한다. 성우는 에히메현 출신 미즈키 나나가 맡고 있다.(미즈키는 니이하마시 출신)
  • Another - 아야쓰지 유키토의 미스터리 소설을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이다. 주인공의 반 친구 사루타 노보루가 어미에 "~조나"를 붙여 말한다. 각본의 히가키 료와 캐릭터 디자인의 이시이 유키코가 에히메현 출신이었기 때문에 이요벤이 사용되었다.
  • 하이스쿨 플릿 - 하루카제 클래스 항해과 가쓰다 사토코가 어미에 "~조나"를 붙여 말한다. 설정 상으로는 좀 더 수준 높은 이요벤도 사용할 수 있지만 자제하고 있다고 한다. 목소리는 후쿠시마현 출신 아야즈키 치사토가 맡고 있다.
  • 마에다 류지 - 마쓰야마시 출신, 요시모토 흥업 소속 개그 트리오 나니와 스완키즈 멤버이다. "난데조!", "타노마이."와 같은 이요벤을 사용한 개그가 있다.
  • SHO - 우와지마시 출신, 신일본 프로레슬링 소속 프로레슬러이다. 악역 전환 후 코멘트에서 "~야.", "~얀?", "~야로."라고 말하는 우와지마벤을 자주 사용한다.
  • 히코로히 - 희극 배우이다. 주로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 간혹 이요벤 또는 긴키 방언을 사용한다.
  • 오이시 마사요시 - 우와지마시 출신의 싱어송라이터이다. 토크 프로그램에서 가끔 우와지마벤을 사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ヒコロヒー、和牛・水田など「愛媛芸人」が台頭 県民性から読み解く人気の共通点とは? 道理で笑える ラリー遠田 もものせめる。 https://dot.asahi.co[...] 朝日新聞出版 2022-01-29
[2] 서적 金田一春彦著作集8―国語学編8―
[3] 간행물 『しまなみ海道』と瀬戸内海方言の東西流通 https://doi.org/10.1[...] 尾道大学地域総合センター 2023-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