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도 가즈토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도 가즈토시는 일본의 역사 평론가이자 작가로, 1953년 문예춘추신사에 입사하여 편집자로 활동하다가 1995년 작가로 전업했다. 그는 '역사 탐정'을 자처하며, 특히 쇼와 시대의 일본 군부와 태평양 전쟁을 다룬 작품을 다수 집필했다. 주요 저서로는 『일본의 가장 긴 날』, 『쇼와사』 등이 있으며, 닛타 지로 문학상, 야마모토 시치헤이 상, 마이니치 출판 문화상 특별상, 기쿠치 간 상 등을 수상했다. 2021년 사망했으며, NHK 역사 다큐멘터리 등에 출연하기도 했다.

2. 내력

한도 가즈토시는 나가오카 번사(藩士)의 후손으로, 도쿄부 도쿄시 무코지마구(지금의 도쿄도 스미다구)에서 태어났다.[23] 도쿄부립 제7중학교를 거쳐 현립 나가오카 중학교 3학년 때 종전을 맞이하고 졸업 후 도쿄로 돌아왔다.[25] 우라와 고등학교를 거쳐 도쿄 대학 문학부 국문과를 졸업하였다.[24][26]

1953년 다카미 준의 추천으로 문예춘추신사(文藝春秋新社)에 입사하였다.[27] 당시 유행 작가였던 사카구치 안고의 담당 기자로, 사카구치로부터 역사를 추리하는 발상을 배웠다.[24][25] 군사 부문 기자 이토 마사노리의 담당이 되어 일본 국내의 전쟁 체험자들을 취재하며 『주간 문춘』(週刊文春)에 「인물 태평양 전쟁」을 연재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훗날 쇼와 시대 일본 군부를 그린 작품을 쓰는 토양이 되었다.[24][25]

회사 내에서 "태평양전쟁을 공부하는 모임"을 주재하고, 『분게이슌주1963년 8월호에 좌담회 「일본의 가장 긴 날」을 게재했다. 1965년에는 『일본의 가장 긴 날 - 운명의 8월 15일』을 집필하여 20만 부, 가도카와 문고화(角川文庫化)되어 25만 부가 팔렸다.[25][23][28]

『만화 독본』 편집장을 거쳐 『증간문예춘추』(増刊文藝春秋) 편집장이 되었다. 무크 「한 눈에 보는 태평양 시리즈」, 「일본의 작가 100인」 등을 제작하였다. 『주간 문춘』 편집장이 되어 록히드 사건 취재를 진두지휘하였고,[24] 1977년 『문예춘추』 편집장으로 취임하였다.[29] 1980년대에는 계간지 『구리마』(くりま)의 창간 편집장이 되었으나, 2년 뒤 휴간하였다.[24][30] 편집장 시대 13년은 저술 활동을 잠시 그쳤다.[23]

1993년 『소세키 선생, 저기요』(漱石先生ぞな、もし)로 닛타 지로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95년 문예춘추를 퇴사하고 작가로 전업하였다.[24] 스스로를 "역사탐정"(歴史探偵)이라 칭하며,[23] NHK 역사 다큐멘터리 『그때 역사가 움직였다』 등 역사 관련 방송에도 자주 출연하였다.

1998년 『노몬한의 여름』(ノモンハンの夏)으로 야마모토 시치헤이 상을, 2006년 『쇼와사』로 마이니치 출판 문화상 특별상을 각각 수상하였다. 같은 해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한 "쇼와 천황 야스쿠니 신사 A급 전범 합사에 불쾌감"의 원사료인 「도미타 메모」를 감정하여 진품으로 판단하였다.

2009년 『쇼와사 1926-1945』, 『쇼와사 전후편 1945-1989』는 단행본으로 45만 부, 헤이본샤 라이브러리로는 23만 부가 팔렸다.[31] 2015년 제63회 기쿠치 간 상을 수상하였다.[32] 2021년 1월 12일 도쿄도 세타가야구 자택에서 사망했다.[33] 사인은 노쇠였다.

2. 1.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한도 가즈토시는 나가오카 번사의 후손으로, 도쿄부 도쿄시 무코지마구(지금의 도쿄도 스미다구)에서 태어났다.[23] 아버지는 운송업과 구의원을 지냈으며, 어린 시절 오 사다하루와 안면이 있었다.[23] 도쿄부립 제7중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45년 도쿄 대공습 당시 피난 중 나카가와에서 표류하며 죽을 뻔하기도 했다.[24][25] 현립 시모쓰마 중학교를 거쳐 아버지의 생가가 있는 니가타현 나가오카시로 피난, 현립 나가오카 중학교 3학년 때 종전을 맞이했다.[25] 졸업 후 도쿄로 돌아와 우라와 고등학교(1년 수료)를 거쳐 도쿄 대학에 진학, 보트부에서 활약했다.[24][26] 도쿄 대학 문학부 국문과를 졸업했다.

1953년 다카미 준의 추천으로 문예춘추신사(文藝春秋新社)에 입사, 다나카 겐고와 동기였다.[27] 사카구치 안고의 담당 기자로, 그에게서 '절대란 없는 것'이라는 역사 추리 발상을 배웠다.[24] 이어 군사 기자 이토 마사노리의 담당이 되어 전쟁 체험자들을 취재, 『주간 문춘』에 「인물 태평양 전쟁」을 연재하며 역사의 당사자는 거짓말을 한다는 것을 배웠다.[24][25]

2. 2. 문예춘추 입사와 편집자 경력

한도 가즈토시는 도쿄 대학 문학부 국문과를 졸업하고, 1953년 다카미 준의 추천으로 문예춘추신사(文藝春秋新社)에 입사했다. 동기 입사자는 다나카 겐고였다.[27] 입사 후, 사카구치 안고의 원고 담당 기자가 되어 그로부터 '절대란 없는 것'이라는 역사 추리 발상을 배웠고, 스스로 그의 제자라고 칭했다. 또한 『연합 함대의 최후』 등으로 인기를 얻던 군사 부문 기자 이토 마사노리의 담당이 되어 일본 국내 전쟁 체험자들을 취재했고, 『주간 문춘』에 「인물 태평양 전쟁」을 무기명으로 연재하며 "역사의 당사자는 거짓말을 한다"는 것을 배웠다.[24][25]

회사 내에서 "태평양전쟁을 공부하는 모임"을 주최하고, 전쟁 체험자들로부터 이야기를 듣는 모임을 개최하였다. 여기에서 『분게이슌주1963년 8월호에 게재된 28명의 좌담회 「일본의 가장 긴 날」 기획이 탄생했고, 한도는 좌담회 사회를 맡았다. 이후 취재를 통해 1965년 단행본 『일본의 가장 긴 날 - 운명의 8월 15일』을 집필했다. 이 책은 판매를 위해 오야 소이치의 이름을 빌려 '오오야 소이치 편집'으로 출판되었으며, 단행본 20만 부, 가도카와 문고판 25만 부가 팔렸다.[25][23][28]

30대 초반에는 편집자 생활과 병행하며 태평양전쟁 관련 저작을 여러 권 집필했다.[23] 이후 『만화독본』(漫画読本) 편집장으로 취임하여 1970년 휴간을 맞이한 뒤, 『증간문예춘추』(増刊文藝春秋) 편집장이 되었다. 무크지 「한 눈에 보는 태평양 시리즈」, 「일본의 작가 100인」, 「일본종신(日本縦断) ・ 만요(万葉)의 성(城)」 등을 제작했다. 『주간 문춘』 편집장이 되어서는 록히드 사건 취재를 진두지휘했다.[24] 1977년 4월, 『문예춘추』 편집장 다나카 겐고와 자리를 맞바꿔 한도가 『문예춘추』 편집장, 다나카가 『주간문춘』 편집장이 되었다. "편집장이 바뀌었습니다"라는 신문 광고와 전차 벽면 광고가 화제를 모았다.[29] 1980년대에는 계간지 『구리마』(くりま) 창간 편집장을 맡았으나, 2년 뒤 제9호로 휴간했다.[24][30] 편집장으로 재직한 13년 동안은 저술 활동을 잠시 중단하고 편집에 전념했다.[23]

2. 3. 작가 전업과 활동

한도 가즈토시는 나가오카 번사(藩士)의 후손으로, 도쿄부 도쿄시 무코지마구(지금의 도쿄도 스미다구)에서 태어났다.[23] 도쿄부립 제7중학교를 거쳐 현립 나가오카 중학교 3학년 때 종전을 맞이하고 졸업 후 도쿄로 돌아왔다.[25] 우라와 고등학교를 거쳐 도쿄 대학 문학부 국문과를 졸업하였다.[24][26]

1953년 다카미 준의 추천으로 문예춘추신사(文藝春秋新社)에 입사하였다.[27] 당시 유행 작가였던 사카구치 안고의 담당 기자로, 사카구치로부터 역사를 추리하는 발상을 배웠다.[24][25] 군사 부문 기자 이토 마사노리의 담당이 되어 일본 국내의 전쟁 체험자들을 취재하며 『주간문춘』(週刊文春)에 「인물 태평양 전쟁」을 연재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훗날 쇼와 시대 일본 군부를 그린 작품을 쓰는 토양이 되었다.[24][25]

회사 내에서 "태평양전쟁을 공부하는 모임"을 주재하고, 『문예춘추』 1963년 8월호에 좌담회 「일본의 가장 긴 하루」를 게재했다. 1965년에는 『일본의 가장 긴 하루 - 운명의 8월 15일』을 집필하여 20만 부, 가도카와 문고화(角川文庫化)되어 25만 부가 팔렸다.[25][23][28]

『만화독본』(漫画読本) 편집장을 거쳐 『증간문예춘추』(増刊文藝春秋) 편집장이 되었다. 무크 「한 눈에 보는 태평양 시리즈」, 「일본의 작가 100인」 등을 제작하였다. 『주간문춘』 편집장이 되어 록히드 사건 취재를 진두지휘하였고,[24] 1977년 『문예춘추』 편집장으로 취임하였다.[29] 1980년대에는 계간지 『구리마』(くりま)의 창간 편집장이 되었으나, 2년 뒤 휴간하였다.[24][30] 편집장 시대 13년은 저술 활동을 잠시 그쳤다.[23]

1993년 『소세키 선생, 저기요』(漱石先生ぞな、もし)로 닛타 지로 문학상(新田次郎文学賞)을 수상하였다. 1995년 문예춘추를 퇴사하고 작가로 전업하였다.[24] 스스로를 "역사탐정"(歴史探偵)이라 칭하며,[23] NHK 역사 다큐멘터리 『그때 역사가 움직였다』 등 역사 관련 방송에도 자주 출연하였다.

1998년 『노몬한의 여름』(ノモンハンの夏)으로 야마모토 시치헤이 상(山本七平賞)을, 2006년 『쇼와사』로 마이니치 출판문화상 특별상(毎日出版文化賞特別賞)을 각각 수상하였다. 같은 해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한 "쇼와 천황 야스쿠니 신사(靖国神社) A급 전범 합사에 불쾌감"의 원사료인 「도미타 메모」를 감정하여 진품으로 판단하였다.

2009년 『쇼와사 1926-1945』, 『쇼와사 전후편 1945-1989』는 단행본으로 45만 부, 헤이본샤(平凡社) 라이브러리로는 23만 부가 팔렸다.[31] 2015년 제63회 기쿠치 간상(菊池寛賞)을 수상하였다.[32] 2021년 1월 12일 도쿄도 세타가야구 자택에서 사망했다.[33] 사인은 노쇠였다.

3. 인물 및 평가

한도 가즈토시는 문예춘추사 내에서 『제군!』(諸君!)을 창간하여 매파 스캔들 노선(タカ派 スキャンダル路線)으로 불리던 다나카 겐고와는 거리를 유지하고 있었다.[27] 원자력 발전소에 대해서는 인간이 감당할 수 없는 위험한 것이라고 하여 우려해 왔다.[34] 태평양 전쟁(대동아 전쟁) 당시의 일본 군부(특히 일본 육군) 및 야스쿠니 신사에 있어 A급 전범들에 대한 합사에 대해 매우 비판하였다. 쇼와 천황에 대해서는 당시의 군부에 있어서 군부의 폭주를 눌러서 말리려 한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쇼와 천황의 전쟁 책임에 대해서도 부정하지 않았다.

일본 헌법 9조(일명 '평화헌법)에 대하여 "헌법 9조를 지키는 것이 아니라 키워야 한다"는 지론을 가진 호헌파(護憲派)로서 활동했다. 당시 문예춘추사 내에서는 쇼와사와 태평양전쟁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드물어, 한도를 두고 "너는 한도(半藤)가 아니라 반동(反動)이다"라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35][28] 자신은 그 말을 "역사에 역행한다", "앞뒤 꽉 막힌 반근대주의자"라는 의미의 비판으로 인식하였으며, 자신이 일본의 태평양 전쟁에 대해 너무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위험한 사람으로 보였다고 말하고 있다.[36]

작가 시바 료타로와는 『문예춘추』 편집자 시절부터 친분이 깊었으며, 시바 료타로가 사망한 뒤 관련 논고 ・ 저서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또한 한도는 시바가 쓰려고 했으나 쓰지 못했던 노몬한의 여름을 집필하였다. 하타 이쿠히코나 호사카 마사야스와의 공저도 많았다.

일본의 근대사의 역사관에 있어서 한도는 "40년 사관"을 제창하였다.[36] 이 주장은 메이지 이후의 일본은 40년을 주기로 흥망을 거듭하였으며, 메이지 신정부 수립으로부터 40년 뒤에 러일전쟁으로 군사대국화되었고, 그 40년 뒤인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대패하고 나아가 40년 뒤에는 버블 경제로 일본의 경제가 정점을 향하였으나 버블이 붕괴 후 40년 후에는 다시 몰락할 것이라는 예측이다.[37] 그러한 이유로써 전쟁의 비참함을 겪은 해당 세대가 교체되기까지는 40년이 걸린다는 것을 들고 있다.[37]

2018년, 아키히토의 추천으로 히사히토에게 근대사(태평양 전쟁)에 대해 진강을 했다.[14] 스스로를 역사학자가 아닌 "역사 탐정"이라고 칭했으며, NHK에서는 한도의 사후 2021년 3월에 동명의 프로그램(『역사 탐정』)을 시작했다.

《문예춘추》 비주얼판 「B급 음식」 시리즈에서도 기사를 집필하고 있었다.

4. 수상 이력

1993년 닛타지로 문학상 (『소세키 선생님 말입니다』)을 수상하였다.[15][38] 1998년에는 야마모토 시치헤이 상 (『노몬한의 여름』)을 수상하였다.[16][39] 2006년 마이니치 출판 문화상 특별상(『쇼와사』)을 수상하였고,[17][40] 2015년에는 기쿠치 칸 상을 수상하였다.[18][41]

5. 저작

5. 1. 단행본 (일부)


  • 『일본의 가장 긴 날 - 운명의 8월 15일』(오야 소이치 편, 분게이슌주신사, 1965년 / 가도카와 문고, 1980년)
  • * 『결정판 일본의 가장 긴 날』(분게이슌주, 1995년 / 분슌 문고, 2006년)
  • 『인물·태평양 해전』(오리온 출판사, 1969년)
  • 『어뢰전 제2수뢰전대』(R출판, 1970년 / 개제 「룬가 해협 어뢰전」 아사히 소노라마[항공전사 문고], 1984년)
  • * 개제 『룬가 해협 야전』(PHP 연구소, 2000년 / PHP 문고, 2003년)
  • 『일본 해군을 움직인 사람들 - 가쓰 가이슈에서 야마모토 이소로쿠까지』(리카토미 서방[리키토미 북스], 1983년)
  • * 개제 『일본 해군의 영광과 좌절 - 열전으로 읽는 조직의 성쇠』(PHP 연구소, 1994년)
  • * 개정·개제 『일본 해군의 흥망』 (PHP 문고, 1999년 / PHP 연구소, 2008년)
  • 『성단 - 천황스즈키 간타로』(분게이슌주, 1985년 / 분슌 문고, 1988년 / PHP 연구소, 2003년 / PHP 문고, 2006년)
  •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무념』(고분사, 1986년)
  • * 증정판 『야마모토 이소로쿠』(헤이본샤, 2007년 / 헤이본샤 라이브러리, 2011년)
  • 『쇼와사의 전환점』(도서출판사, 1987년 / 개제 「다큐멘터리 태평양 전쟁으로 가는 길」 PHP 문고, 1999년)
  • 『콤비 연구 - 쇼와사 속의 지휘관과 참모』(분게이슌주, 1988년)
  • * 개제 『지휘관과 참모 콤비의 연구』(분슌 문고, 1992년)
  • 『일본 참모론』(도서출판사, 1989년)
  • 야마가타 아리토모』(PHP 연구소 「막부 말·유신의 군상 제9권」, 1990년 / PHP 문고, 1996년 / 지쿠마 문고, 2009년)
  • 스모 고텐고텐』(베이스볼 매거진사, 1991년 / 분슌 문고, 1994년)
  • * 개제 『스모 인간 재미있는 화감』 (쇼가쿠칸 문고, 2008년)
  • 『역사 탐정 쇼와사를 가다』(PHP 연구소, 1992년 / PHP 문고, 1995년)
  • 『소세키 선생님이잖아, 혹시』(분게이슌주, 1992년 / 분슌 문고, 1996년)
  • 『속 소세키 선생님이잖아, 혹시』(분게이슌주, 1993년 / 분슌 문고, 1996년)
  • 『열전·태평양 전쟁』(상·하, PHP 문고, 1995년)
  • * 『완본 열전·태평양 전쟁 - 전장을 누빈 남자들의 드라마』(PHP 연구소, 2000년)
  • 『전사의 유서 - 태평양 전쟁에 흩어진 용자들의 외침』(분슌 네스코, 1995년 / 분슌 문고, 1997년, 신장판 2022년)
  • 『싸우는 이시바시 단잔 - 쇼와사에 이채를 띄는 굴복하지 않는 언론』(도요게이자이신보사, 1995년, 신장판 2001년, 2008년 / 주고 문고, 1999년 / 지쿠마 문고, 2019)
  • 나가이 가후 씨와 「쇼와」를 걷다』(프레지던트사, 1995년 / 「나가이 가후의 쇼와」 분슌 문고, 2000년 / 「하후 씨의 쇼와」 지쿠마 문고, 2012년)
  • 『역사 탐정의 즐거움』(PHP 연구소, 1996년 / 「역사 탐정 근대사를 가다」 PHP 문고, 2013년)
  • 『역사 탐정 감진장』(마이니치 신문사, 1996년)
  • 『소세키 선생님 크게 웃다』(고단샤, 1996년 / 지쿠마 문고, 2000년)
  • 『소세키 선생님이 왔다』(일본방송출판협회, 1996년 / 가쿠요 서방[인물 문고], 2000년) 지쿠마 문고, 2017
  • 『소세키 하이쿠를 즐기다』(PHP 연구소[PHP 신서], 1997년)
  • 『막부 말 짓고로 전기』(일본방송출판협회, 1997년 / 지쿠마 문고, 2001년)
  • 『노몬한의 여름』(분게이슌주, 1998년 / 분슌 문고, 2001년)
  • 『소세키 하이쿠 탐정첩』가도카와 선서], 1999년 / 분슌 문고, 2011년)
  • * 『소세키 선생님, 탐정이잖아』PHP 문고, 2016년
  • 『레이테 해전』(PHP 연구소, 1999년 / PHP 문고, 2001년, 신장판 2023년)
  • 『소련이 만주에 침공한 여름』(분게이슌주, 1999년 / 분슌 문고, 2002년)
  • 『잇사 하이쿠와 놀다』(PHP 연구소[PHP 신서], 1999년)
  • 『철저 분석 가와나카지마 합전』(PHP 연구소, 2000년 / PHP 문고, 2002년)
  • 『편지 속의 일본인』(분슌 신서, 2000년 / 분슌 문고, 2021년)
  • 『역사를 걷고, 문학을 가다』(헤이본샤, 2001년 / 분슌 문고, 2004년)
  • 『「진주만」의 날』(분게이슌주, 2001년 / 분슌 문고, 2003년)
  • 『세이초 씨와 시바 씨 - 쇼와의 거인을 말하다』(일본방송출판협회, 2001년 / 분슌 문고, 2005년)
  • 『바람의 이름 바람의 사계』(헤이본샤 신서, 2001년)
  • 『이 나라의 말』(헤이본샤, 2002년)
  • 『머나먼 섬 가달카날』(PHP 연구소, 2003년 / PHP 문고, 2005년, 신장판 2022년)
  • 『소세키 선생님 오랜만입니다』(헤이본샤, 2003년 / 분슌 문고, 2007년)
  • 『일본국 헌법의 200일』(프레지던트사, 2003년 / 분슌 문고, 2008년)
  • 『그 후의 가이슈』(지쿠마 서방, 2003년 / 지쿠마 문고, 2008년)
  • ● 『쇼와사 1926-1945』(헤이본샤, 2004년 / 헤이본샤 라이브러리, 2009년)
  • 『사랑의 편지 사랑의 편지』(분슌 신서, 2006년)
  • 『쇼와 천황 당신의 「천황론」』(오월서방, 2006년 / 고단샤 문고, 2007년)
  • ● 『쇼와사 전후편 1945-1989』(헤이본샤, 2006년 / 헤이본샤 라이브러리, 2009년)
  • 『가후 씨의 전후』(지쿠마 서방, 2006년 / 지쿠마 문고, 2009년)
  • 『기카쿠 하이쿠와 에도의 봄』(헤이본샤, 2006년) 『기카쿠와 즐기는 에도 하이쿠』 헤이본샤 라이브러리, 2017
  • 『쇼와사 탐색 1926-46』(전 6권, 지쿠마 문고, 2006-07년)
  • 『쇼와사 잔일록 1926-45』(지쿠마 문고, 2007년)
  • 『쇼와사 잔일록 전후편』 (지쿠마 문고, 2007년)
  • ● 『막부 말사』(신초샤, 2008년 / 신초 문고, 2012년)
  • 사카구치 안고태평양 전쟁』(PHP 연구소, 2009년 / 「안고 씨의 태평양 전쟁」 PHP 문고, 2013년, 지쿠마 문고, 2024년)
  • 『스미다가와의 저편 나의 쇼와사』(소겐샤, 2009년 / 지쿠마 문고, 2013년)
  • 『쇼와·전쟁·실패의 본질』 (신코샤, 2009년). 「쇼와와 일본인 실패의 본질」(동선서판, 2011년, 중경의 문고, 2015년, 가도카와 신서, 2022년)
  • 『15세의 도쿄 대공습』지쿠마 프리마 신서 2010년)
  • 『소세키·메이지·일본의 청춘』(신코샤, 2010년). (동선서판, 2011년)
  • 『산책 일본사』(분게이슌주, 2010년 / 분슌 문고, 2012년)
  • 『명언으로 즐기는 일본사』(헤이본샤 라이브러리, 2010년)
  • 『세계는 회전 무대』(소겐샤, 2010년)
  • 『그 전쟁과 일본인』(분게이슌주, 2011년 / 분슌 문고, 2013년)
  • 묵자 부활』(헤이본샤 신서, 2011년)
  • * 증보판 『묵자 부활 “비전”을 향한 분투 노력를 위해』(헤이본샤 라이브러리, 2021년)
  • 『연합함대 사령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분게이슌주, 2011년 / 분슌 문고, 2014년)
  • ● 『러일 전쟁사』 전 3권(헤이본샤, 2012-14년) 헤이본샤 라이브러리, 2016
  • 『지식 제로에서 시작하는 태평양 전쟁 입문』겐토샤, 2013
  • 『젊은 독자를 위한 일본 근대사 내가 읽어온 책』(PHP 문고, 2014년)
  • 『「쇼와 천황 실록」에서 보는 개전과 종전』이와나미 북클렛, 2015
  • 『노골의 유유자적』포플러사 2015
  • 『또 하나의 「막부 말사」』미카사 서방 2015
  • 『「쇼와사」를 걸으며 생각한다』PHP 문고 2015
  • 『만엽집과 일본의 새벽』PHP 문고 2016
  • 『매카서와 일본 점령』PHP 연구소 2016
  • * 『미국은 어떻게 일본을 점령했는가 매카서와 일본인』PHP 문고 2019
  • ● 『B면 쇼와사 1926-1945』헤이본샤 2016, 헤이본샤 라이브러리 2019
  • 『문사의 유언 그리운 작가들과 쇼와사』고단샤 2017
  • 『역사에 "무엇을" 배울 것인가』지쿠마 프리마 신서 2017
  • 『역사와 전쟁』겐토샤 신서, 2018
  • 『역사와 인생』겐토샤 신서, 2018
  • ● 『이어받는 이 나라의 모습』다이와 서방 2018, 다이와 문고 2021
  • 『세계사 속의 쇼와사』헤이본샤 2018, 헤이본샤 라이브러리 2020
  • ● 『반도 가즈토시 다리를 만드는 사람 남기는 말』헤이본샤 2019
  • 『야스쿠니 신사의 녹색 대장』겐토샤 2020/겐토샤 문고 2021
  • 『역사 탐정 잊어버린 기록』분슌 신서 2021년 2월
  • 『인간임을 그만두지 마라』고단샤 2021년 4월
  • 『전쟁이라는 것』PHP 연구소 2021년 5월(유작)
  • (미수록 에세이집 제2탄)
  • 『역사 탐정 개전에서 종전까지』분슌 신서, 2021년 12월 (제3탄)
  • 『반도 가즈토시 나의 쇼와사』헤이본샤 신서, 2022년 4월. 회상기
  • 『쇼와사의 인간학』분슌 신서, 2023년 1월
  • 『태평양 전쟁 제독들의 결단』PHP 신서, 2023년 8월
  • 『쇼와사의 명암』PHP 신서, 2023년 12월

5. 2. 공저 (일부)

한도 가즈토시는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과 공동 저술 활동을 했다. (요시다 토시오) 『전군 돌격 - 레이테 해전』, (전사연구회 편) 『원폭이 떨어진 날』, (아라카와 히로시·일러스트 타니이 켄조) 『바람·배의 사전』, (에사카 아키라) 『철퇴전의 연구 - 일본인은 왜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가』, (하타 이쿠히코·요코야마 케이이치) 『태평양 전쟁 - 일본 해군 전장의 교훈』, (토다카 카즈시게) 『일본해 해전 어떻게 이겼는가』, (요시오카 시노부 외) 『시바 료타로가 간다 "지혜의 거인"이 제시한 "좋은 일본"으로의 길』, (아라카와 히로시) 『바람의 이름 바람의 사계절』, (아카와 히로유키) 『일본 해군, 닻 올림!』, (하타 이쿠히코·요코야마 케이이치·토다카 카즈시게) 『역대 해군 대장 전람』, (호사카 마사야스·마츠모토 켄이치·하라 타케시·토미모리 에이지) 『쇼와 - 전쟁과 천황과 미시마 유키오』, (이즈츠 카즈유키 외) 『헌법을 바꿔 전쟁에 가자 라는 세상으로 하지 않기 위한 18명의 발언』, (호사카 마사야스 외) 『그 전쟁에 왜 졌는가』, (도몬 후유지 외) 『승자의 결단 - 지휘관과 참모의 전략적 사고』, (토다카 카즈시게) 『애국자의 조건』, (야마네 모토요 외) 『지금, 아이들이 위험하다! - 아이들을 구하는 "말의 힘"』, (히라마 요이치 외) 『쇼와 육해군의 실패 - 그들은 왜 국가를 파멸의 벼랑으로 몰아넣었는가』, (미쿠리야 타카시·하라 타케시) 『토베 일기·토미타 메모로 읽는 인간·쇼와 천황』, (호사카 마사야스) 『쇼와의 명장과 우장』, (호사카 마사야스) 『「쇼와」를 점검한다』, (하타 이쿠히코·마에마 타카노리) 『제로센과 전함 야마토』, (후지와라 마사히코 외) 『아버지가 아이에게 가르치는 쇼와사 - 그 전쟁 36가지 이유는?』, (카모시타 신이치·이소다 미치후미) 『시바 료타로 리더의 조건』, (안노 미츠마사) 『삼국지 담론』, (요코야마 케이이치·하타 이쿠히코·하라 고) 『역대 육군 대장 전람 메이지 편』, 『역대 육군 대장 전람 다이쇼 편』, 『역대 육군 대장 전람 쇼와 편 태평양 전쟁기』, 『역대 육군 대장 전람 쇼와 편 만주사변·지나사변기』, (호사카 마사야스·타케우치 슈지) 『점령 하 일본』, (호사카 마사야스·이노우에 료) 『「도쿄 재판」을 읽다』, (하타 이쿠히코·호사카 마사야스·이노우에 료) 『「BC급 재판」을 읽다』, (이노우에 료) 『지금 전쟁과 평화를 말하다』, (호사카 마사야스) 『「전후」를 점검한다』, (안노 미츠마사·나카무라 간) 『『사기』와 일본인』, (카네코 토타) 『지금, 일본인에게 알리고 싶은 것』, (가토 요코) 『쇼와사 재판』, (하타 이쿠히코 외) 『철저 검증 닛신·노일 전쟁』, (하타 이쿠히코·토다카 카즈시게) 『연합 함대·전함 12척을 탐정하다』, (사와치 히사에·토다카 카즈시게) 『일본 해군은 왜 잘못했는가 해군 반성회 400시간의 증언으로부터』, (호사카 마사야스 외) 『체험에서 역사로 〈쇼와〉의 교훈을 미래의 지침으로』, (타케우치 슈지 외) 『전후 일본의 "독립"』, (미야자키 하야오) 『얼간이 애국 담론』, (호사카 마사야스) 『그리고, 미디어는 일본을 전쟁으로 이끌었다』, (호사카 마사야스) 『총점검·일본 해군과 쇼와사』, (이소다 미치후미) 『승리의 조건 군사·참모의 작법』, (호사카 마사야스) 『일중한을 휘두르는 내셔널리즘의 정체』, 『적군의 쇼와사』, (호사카 마사야스 외) 『「쇼와 천황 실록」의 수수께끼를 풀다』, (미야베 미유키) 『쇼와사의 10대 사건』, (데구치 하루아키) 『세계사로서의 일본사』, (사토 마사루) 『21세기의 전쟁론 쇼와사에서 생각한다』, (노조 준이치) 원작 「쇼와 천황 이야기」, (아카와 사와코) 『쇼와의 남자』, (스카와라 분타) 『인의 없는 막말 유신 우리들은 적군의 자손』, (데구치 하루아키) 『메이지 유신은 무엇이었는가 세계사에서 생각한다』, (호사카 마사야스 외) 『헤이세이와 천황』, (이케가미 아키라) 『레이와를 사는 헤이세이의 실패를 넘어』 등이 있다.

5. 3. 한국어 번역 저서


  • 《일본의 가장 긴 하루》는 1999년 한국의 도서출판 가람기획에서 번역되었으며, 옮긴이는 이정현이다.
  • 『쇼와사 1926-1945』, 『쇼와사 전후편 1945-1989』는 2010년 한국의 루비박스에서 《쇼와사:일본이 말하는 일본제국사》(전2권)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간되었으며, 옮긴이는 박현미이다.

6. 출연


  • 그때 역사가 움직였다(NHK 종합)
  • 한도 가즈토시가 말하는 "쇼와사"(히스토리 채널, 전 4회)[42][19]
  • 한도 가즈토시가 말하는 "막말사"(히스토리 채널, 전 4회)[43][20]
  • 일본의 가장 긴 여름[28][7]
  • SWITCH 인터뷰 달인들 "미야자키 하야오×한도 가즈토시"(NHK E 텔레, 2013년 8월 3일)[44][21]
  • ETV 특집 "한결같이 노 저어 온〜 '역사 탐정' 한도 가즈토시의 유언〜" (NHK E 텔레, 2021년 1월 30일)
  • ETV 특집 "한도 가즈토시 '전쟁'을 풀다"(NHK E 텔레, 2022년 11월 12일)[22]

참조

[1] 간행물 Book Trends 『隅田川の向う側』を書いた半島一利氏に聞く 週刊東洋経済 2009-04-18
[2] 문서
[3] 서적 歴史家の顔を持つ、多芸多才な"奇人" 新書館 2003
[4] 간행물 幕末史と日本人 オール讀物 2009-04
[5] 웹사이트 東京大学漕艇部 昭和20年代概観 http://souteibu.jp/t[...] 2019-07-02
[6] 간행물 文藝春秋vs新潮社 ライバル出版社の新戦略 創 1988-10
[7] 간행물 阿川佐和子のこの人に会いたい 第837回 作家 半藤一利 週刊文春 2010-08-05
[8] 서적 雑誌の時代 その興亡のドラマ 主婦の友社 1979
[9] 간행물 文藝春秋vs新潮社 ライバル出版社の新戦略 創 1988-10
[10] 간행물 著者インタビュー 次のベストセラー作家を探せ! 半藤一利 宝島 2009-12
[11] 뉴스 吉永小百合さんに菊池寛賞 半藤一利さん、国枝慎吾さんらも https://www.nikkei.c[...] 2015-10-14
[12] 뉴스 作家の半藤一利さん死去 90歳 https://www3.nhk.or.[...] NHK 2021-01-12
[13] 간행물 続3・11後の私 半藤一利 『ソ連対日参戦は絶対ない』 日本人は戦争中から進歩なし サンデー毎日 2011-09-11
[14] 간행물 特集・悠仁親王殿下の教育私はこう考える 正論 2019-08
[15] 웹사이트 新田次郎文学賞受賞作一覧1-38回 http://prizesworld.c[...] 2019-07-02
[16] 웹사이트 山本七平賞受賞作品一覧 https://www.php.co.j[...] PHP研究所 2019-07-02
[17] 웹사이트 毎日出版文化賞受賞作・候補作一覧1-72回 http://prizesworld.c[...] 2019-07-02
[18] 웹사이트 菊池寛賞受賞者一覧 https://bungakushink[...] 公益財団法人日本文学振興会 2019-07-02
[19] 웹사이트 半藤一利が語る「昭和史」 http://www.historych[...] 2019-07-02
[20] 웹사이트 ヒストリーチャンネルオリジナル制作番組 過去放送分 https://www.historyc[...] 2019-07-02
[21] 웹사이트 NHKネットクラブ 番組詳細 SWITCHインタビュー 達人達(たち)「宮崎駿×半藤一利」 https://pid.nhk.or.j[...] NHK 2019-07-02
[22] 웹사이트 半藤一利 「戦争」を解く https://www.nhk.jp/p[...] NHK 2022-11-13
[23] 간행물 Book Trends 『隅田川の向う側』を書いた半島一利氏に聞く 週刊東洋経済 2009-04-18
[24] 서적 歴史家の顔を持つ、多芸多才な"奇人" 新書館 2003
[25] 간행물 幕末史と日本人 オール讀物 2009-04
[26] 웹사이트 東京大学漕艇部 昭和20年代概観 (PDF) http://souteibu.jp/t[...] 2019-07-02
[27] 간행물 文藝春秋vs新潮社 ライバル出版社の新戦略 創 1988-10
[28] 간행물 阿川佐和子のこの人に会いたい 第837回 作家 半藤一利 週刊文春 2010-08-05
[29] 서적 雑誌の時代 その興亡のドラマ 主婦の友社 1979
[30] 간행물 文藝春秋vs新潮社 ライバル出版社の新戦略 創 1988-10
[31] 간행물 著者インタビュー 次のベストセラー作家を探せ! 半藤一利 宝島 2009-12
[32] 뉴스 吉永小百合さんに菊池寛賞 半藤一利さん、国枝慎吾さんらも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5-10-14
[33] 뉴스 作家の半藤一利さん死去 90歳 https://www3.nhk.or.[...] 2021-01-12
[34] 간행물 続3・11後の私 半藤一利 『ソ連対日参戦は絶対ない』 日本人は戦争中から進歩なし サンデー毎日 2011-09-11
[35] 문서
[36] 서적 半藤 2017
[37] 서적 半藤 2017
[38] 웹사이트 新田次郎文学賞受賞作一覧1-38回 https://prizesworld.[...] 2019-07-02
[39] 웹사이트 山本七平賞受賞作品一覧 https://www.php.co.j[...] 2019-07-02
[40] 웹사이트 毎日出版文化賞受賞作・候補作一覧1-72回 https://prizesworld.[...] 2019-07-02
[41] 웹사이트 菊池寛賞受賞者一覧 https://www.bunshun.[...] 2019-07-02
[42] 웹사이트 半藤一利が語る「昭和史」 https://web.archive.[...] 2019-07-02
[43] 웹사이트 히스토리채널오리지널 제작 프로그램 과거 방송분 https://archive.toda[...] 2019-07-02
[44] 웹사이트 NHK넷클럽 방송 상세 SWITCH인터뷰 달인달(たち)「미야자키하야오×반도 가즈토시」 https://archive.toda[...] 2019-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