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유녕은 1816년 경기도 영평군 일동면에서 태어난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1879년 이문학관에 제수되었으며, 이후 비변사 낭청, 부사맹, 통정대부, 돈녕부 도정 등을 역임했다. 1887년 가상존호도감 문진관에 임명되었다. 1890년 사망했으며, 아들 이재정의 현달로 가선대부 내부협판에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역가 - 이봉녕 (1793년)
이봉녕은 1793년에 태어나 1871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청나라 사행단의 수행원으로 두 차례 다녀왔으며 지방관과 형방도사를 역임했고, 저서로 《분서집》과 《분서고》를 남겼다. - 번역가 - 이응준 (조선)
이응준은 조선 후기의 역관으로, 1850년 역과에 급제하여 외교 문서를 처리하고 태극기를 제작했으며, 강화도 조약 및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에 참여했다. - 조선의 언어학자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조선의 언어학자 - 황윤석
황윤석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기론 관련 저서 『理藪新編』과 『頤齋遺稿』, 『頤齋亂藁』 등 다수의 저술을 남겼으며, 관직에서 물러난 후 학문 연구에 전념했고, 그의 저서들은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특히 『頤齋亂藁』는 시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포천시 출신 - 최익현
최익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고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병을 일으켰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바탕으로 외세 침략에 저항하다 대마도에서 순국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포천시 출신 - 강창성
강창성은 육군 보안사령관, 국회의원 등을 역임하고 하나회 연루로 삼청교육대에 투옥되기도 했으며, 2006년 사망한 인물이다.
| 이유녕 | |
|---|---|
| 기본 정보 | |
| 출생 | 1472년 |
| 사망 | 1533년 |
| 본관 | 전주 이씨 |
| 자 | 순지(舜之) |
| 묘소 |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능평리 |
| 가족 | |
| 부 | 성종 |
| 모 | 숙용 권씨 |
| 형제자매 | 휘령군, 경명군, 운천군, 무산군, 익양군, 봉안군, 견성군, 양원군, 정중옹주 |
| 부인 | 풍천군부인 풍천 임씨 |
| 자녀 | 이수정, 이수량, 이수경 |
| 관력 | |
| 작위 | 익양군 |
2. 생애
이유녕은 1816년(순조 16년) 6월 13일 경기도 영평군 일동면 유동리(현, 포천 일동면 유동리) 원통 부락에서 태어났다. 형제로는 형 이우녕과 청주 양씨 양수학(楊壽鶴), 양봉소(楊鳳巢)에게 각각 출가한 누이 2명이 있었다. 형 이우녕은 28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연주 현씨 현봉조(玄鳳朝)의 딸과 결혼하였으나 일찍 사별하였고, 밀양 박씨 박종영(朴鐘榮)의 딸과 재혼하였으나 역시 일찍 사별하여 청주 한씨 한복유(韓福裕)의 딸과 재혼하였다.
그는 경기도 영평군 일동면 유동리(후일의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유동리)에서 한성부 중부 수은동(후일의 경성부 종로구 수은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은동)으로 이주해 왔다. 이후 그의 자손들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은동, 팔판동, 삼청동 주변에서 생활하였다.
1890년 6월 23일에 한성부 수은동 자택에서 사망했다.
2. 1. 가계
아버지는 증 정삼품 통정대부 비서원승(贈 正三品 通政大夫 祕書院丞)에 추증된 이현송(李顯松)이고, 어머니는 여산 송씨로 송숙(宋王+肅)의 딸이다. 증 통훈대부 장례원 장례에 추증된 이한종(李漢宗)의 손자이며, 증조부는 노인직으로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한 이원석(李元錫)이다. 순조 때의 통역관 태화 이현상(李顯相)의 7촌 조카가 된다.고조부 이상우(李商雨)는 본래 의관 이희헌(李希憲)의 증손자였으나, 족숙 이영구의 양자가 되어 경기도 광주군에서 영평군 이동면 장암리 배산골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할아버지 이한종은 청주 양씨 양성신(楊聖臣)의 딸과 결혼했다가 사후 다시 재양부정 이간(載陽副正 李侃)의 8대손 이명혁의 딸 전주 이씨와 재혼하였다.
2. 2. 관직 생활
1879년(고종 16년) 승문원의 천거로 이문학관에 임명되었다.[1] 그러나 임무를 수행할 수 없는 임석귀(林錫龜)ㆍ조희면(趙羲冕) 등을 대신한 것이었고, 10월 25일 임명되었다가[1] 10월 27일 해임되었다.[2] 이후 비변사 낭청을 거쳐 10월 29일 병조의 추천으로 부사맹이 되고[3], 이듬해 다시 이문학관이 되었다.1882년(고종 19년) 1월 27일 나이 70세가 넘어 특별히 통정대부로 승진하였다.[4] 같은 날 병조의 추천으로 부호군에 임명되었고,[5] 2월 28일 돈녕부도정에 임명되었다가[6] 같은 날 다시 부호군으로 임명되었다.[7]
1887년(고종 24년) 11월 27일 신정왕후 조대비에게 존호를 올리는 가상존호도감이 설치되자, 초기 문진관(加上尊號都監草記 問進官)에 임명되었다.[9] 이는 도감 문진관에 임명된 다른 이들이 일을 수행할 수 없어서 특별히 임명된 것이었다.
2. 3. 사망과 추증
1900년(광무 3년) 7월 19일 아들 이재정이 현달하여 증 종2품 가선대부 내부협판에 추증되었다.[10][11] 이때 그의 아버지 이현송은 증 정3품 통정대부 비서원승, 조부 이한종은 증 종3품 통훈대부 장례원 장례에 추증되었는데, 이는 전 탁지부 협판 이재정의 고, 조고, 증조고로서 법전에 따라 추증된 것이다.[10] 묘소는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유동리 원통(圓通)부락 마을 뒷산 후록(後麓) 손좌(巽坐)에 있다. 그의 묘 근처에는 일동 칸리조트, 락카드 골프클럽이 있다.3. 가족 관계
| 관계 | 이름 |
|---|---|
| 증조부 | 이상우의 차남 이인수의 여섯째 아들 이원석(李元錫) |
| 조부 | 이한종(李漢宗, 1750년 5월 16일 ~ 1825년 8월 13일) |
| 조모 | 청주 양씨(1750 ~ 1773) |
| 조모 | 전주 이씨(李明赫, 1758 ~ 1808), 재양부정 이간(載陽副正 李侃)의 8대손 이명혁의 딸 |
| 아버지 | 이현송(李顯松, 1783년 12월 12일 ~ 1840년 7월 20일) |
| 어머니 | 여산 송씨(1784년 7월 26일 ~ 1840년 8월 14일), 송숙(宋王+肅)의 딸 |
| 백부 | 이현기 (백부 이한명의 양자로 출계) |
| 백부 | 이현재 (종숙부 이한룡의 양자로 출계) |
| 형 | 이우녕(李祐寧, 1812년 6월 12일 ~1840년 8월 13일) |
| 누이 | 우계 이씨 |
| 매부 | 양수학(楊壽鶴, 청주 양씨, 부: 중혁(重赫)) |
| 누이 | 우계 이씨 |
| 매부 | 양봉소(楊鳳巢, 청주 양씨) |
| 본처 | 연주 현씨(1817년 ~ 1842년 11월 20일), 현봉조(玄鳳朝)의 딸 |
| 후처 | 밀양 박씨(1828년 ~ 1843년 8월 21일), 박종영(朴鐘榮)의 딸 |
| 삼취 부인 | 청주 한씨(1826년 12월 23일 ~ 1855년 12월 9일), 한복유(韓福裕)의 딸 |
| 아들 | 이재정(李在正, 1845 ~ 1921) |
| 아들 | 이재영(李在永) |
참조
[1]
승정원일기
탈이 있는 이문학관 임석귀 등을 개차하고 후임에 유학 이유녕 등을 차출할 것을 청하는 승문원의 계
1879-10-25
[2]
승정원일기
탈이 있는 이문학관 이유녕 등을 개차하고 후임에 유학 윤치상 등을 차출할 것을 청하는 승문원의 계
1879-10-27
[3]
승정원일기
병비의 관원 현황
1879-10-29
[4]
승정원일기
이희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였다
1882-01-27
[5]
승정원일기
병비의 관원 현황
1882-01-27
[6]
승정원일기
이준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였다
1882-02-28
[7]
승정원일기
병비의 관원 현황
1882-02-28
[8]
사료
아들 이재정의 사마방목 입격 기록
[9]
조보
國史編纂委員會所藏古文書 一 (朝報 上), 朝報 八六 KM一八八一六 丁亥 十一月 二十七日자
[10]
승정원일기
학생 민석호에게 종2품 가선대부 내부 협판을 추증하였다
1900-06-23
[11]
관보
"敍任及辭令", 대한제국 관보 1900년 7월 20일(光武四年七月二十日 金曜) 제1631호
1900-07-20
[12]
각사등록
충북관찰사 조한국의 사직 상소에 대한 批答 등을 관보에 실어주기 바람
宮內府來文
[13]
관보
"敍任及辭令"
1901-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