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현 (기업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재현은 삼성 창업주 이병철의 장손이자 CJ그룹 명예회장 이맹희의 장남으로, CJ그룹 회장과 CJ ENM 총괄 회장을 맡고 있는 기업인이다. 고려대학교 법대를 졸업하고 시티은행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으며, 제일제당에 입사하여 CJ그룹을 이끌며 식품, 바이오, 신유통, 엔터테인먼트&미디어 등 4대 사업군을 구축하여 대한민국 13위의 대기업으로 성장시켰다. 2013년 횡령, 배임, 탈세 혐의로 기소되어 징역 4년을 선고받았으나, 2016년 특별 사면되었다. 2021년에는 포브스에 의해 13억 4천만 달러의 순자산을 기록하며 대한민국 37번째 부자로 추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CJ가 - 이맹희
이맹희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의 장남이자 CJ그룹 명예회장으로, 삼성그룹 후계자 수업을 받았으나 사카린 밀수 사건으로 후계 구도에서 밀려난 후 제일비료 회장을 지냈고, 이건희와 상속 재산 관련 법정 다툼을 벌이다 폐암으로 별세했다. - CJ가 - 이미경 (1958년)
이미경은 1958년생으로, 삼성전자, CJ제일제당, CJ그룹, CJ ENM에서 활동하며 영화 《기생충》 제작에 참여하고, KCON을 추진하는 등 콘텐츠 사업을 이끌어 온 기업인이다. - 범삼성가 - 이맹희
이맹희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의 장남이자 CJ그룹 명예회장으로, 삼성그룹 후계자 수업을 받았으나 사카린 밀수 사건으로 후계 구도에서 밀려난 후 제일비료 회장을 지냈고, 이건희와 상속 재산 관련 법정 다툼을 벌이다 폐암으로 별세했다. - 범삼성가 - 이병철
대한민국 기업인인 이병철은 삼성그룹의 창업주로, 무역업을 시작으로 제조업, 전자산업, 금융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여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조세 범죄 기결수 - 원유철
원유철은 고려대학교 졸업 후 5선 국회의원,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핵무장을 주장하고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 대한민국의 조세 범죄 기결수 - 이건희
이건희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의 아들로, 삼성 회장으로서 혁신을 주도하여 삼성을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켰으나, 비자금 사건과 상속세 문제 등 논란 또한 남겼다.
이재현 (기업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재현 |
한글 | 이재현 |
한자 | 李在賢 |
로마자 표기 | I Jae-hyeon |
출생일 | 1960년 3월 19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기업인 |
학력 | |
모교 | 경복고등학교 |
학사 |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 |
경력 | |
소속 | CJ그룹 (회장) CJ제일제당 (대표이사 회장) |
주요 활동 | CJ그룹을 재계로 성장 |
가족 관계 | |
배우자 | 김희재 |
자녀 | 딸 이경후, 아들 이선호 |
부모 | 아버지 이맹희, 어머니 손복남 |
친척 | 2남 1녀 중 장남 |
친척 관계 | 이병철 (할아버지) 이건희 (삼촌) 이명희 (고모) 이재용 (사촌) 이부진 (사촌) |
2. 생애
이재현은 1960년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의 장손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이맹희는 이병철의 장남이었으나, 동생인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과의 권력 다툼에서 밀려났다.[1]
경복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법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3] 1983년 씨티은행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으며, 1985년 할아버지의 요청으로 제일제당에 입사하여 가업에 참여했다. 삼성전자에서 잠시 근무한 후, 1990년대 후반 삼성그룹에서 분리된 CJ그룹을 이끌었다.[1]
2021년 포브스(Forbes)는 그의 순자산을 13.4억달러로 추정했으며, 이는 대한민국 37위에 해당한다.[7]
2. 1. CJ그룹 경영
이미경과 달리 대외활동을 거의 하지 않아 '은둔의 경영자'로 불려왔다. 고려대 법대를 졸업한 후 씨티은행에서 사회 생활을 시작했는데, 이는 삼성그룹과 무관한 곳에서 경영수업을 쌓으려는 의도였다고 한다.[11]1993년 삼성그룹에서 제일제당이 계열 분리될 때, 어머니 손복남으로부터 제일제당 주식을 증여받아 최대 주주가 되었다. 이재현은 설탕으로 시작한 기업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일제당'에서 'CJ'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식품&식품서비스(CJ제일제당, CJ푸드빌, CJ프레시웨이), ▲바이오(CJ제일제당 바이오부문, CJ헬스케어), ▲신유통(CJ오쇼핑, CJ대한통운, CJ올리브영), ▲엔터테인먼트&미디어(CJ E&M, CJ CGV, CJ헬로비전) 등 4대 사업군으로 사업 영역을 구성했다.[12]
1995년 스티븐 스필버그 등이 설립한 美 드림웍스 투자, 1996년 국내 최초 멀티플렉스 극장 ‘CGV’ 설립, 2000년 39쇼핑 (현 CJ오쇼핑)인수, 2011년 CJ미디어, 온미디어, CJ인터넷, 엠넷미디어, CJ엔터테인먼트를 합병한 CJ E&M의 출범과 물류업계 1위 대한통운 인수 등을 통해 2014년 12월 기준 총자산 24.121조원, 계열사 73개사로 재계 14위, 시가 총액 7위를 기록했다.[13]
2013년 7월 횡령, 배임, 탈세 등의 혐의로 구속되었으나 2014년 9월 2심에서 재판부는 비자금 조성 경위나 사용 용도 등을 고려할 때 개인적으로 착복할 의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횡령 혐의는 대부분 무죄로 판단해 징역 3년의 실형과 벌금 252억원을 선고했다. 징역 4년이 선고됐던 1심 때보다 1년 감형됐다.[14]
2016년 8월 12일, 박근혜 정부의 광복 71주년 특별사면으로 잔형을 면제받았다. 당시 이재현은 만성신부전증 악화로 서울대병원에서 신장이식 수술을 받고 투병 중이었으며, 대법원 판결이 남아있는 상태였다.[5][6]
2. 2. 횡령 배임 사건 및 사면
2013년 7월, 이재현은 1,000억원대 조세 포탈, 횡령 및 배임 혐의로 구속 기소되었다.[16] 2014년 1월 14일, 검찰은 징역 6년과 벌금 1,100억원을 구형했고,[16] 같은 해 2월 14일, 1심에서 징역 4년과 벌금 260억원이 선고되었으나, 도주 우려가 없어 법정 구속은 면했다.[17]2014년 9월, 2심 재판부는 비자금 조성 경위나 사용 용도 등을 고려할 때 개인적으로 착복할 의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횡령 혐의는 대부분 무죄로 판단, 징역 3년과 벌금 252억원을 선고했다.(1심보다 1년 감형)[14]
2015년 9월, 대법원은 배임 혐의 관련 이득액을 구체적으로 산정할 수 없어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아닌 '형법상 배임죄'를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파기환송했다.[23] 2015년 12월 15일, 파기환송심에서는 징역 2년 6월에 벌금 252억원이 선고되었다.[23]
이재현은 만성신부전증 악화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신장 이식 수술을 받고 투병 중이었으나, 2016년 7월 19일 재상고를 포기하고 정부에 사면을 요청했다.[24] 2016년 8월 15일, 박근혜 정부는 광복 71주년 특별사면으로 이재현의 잔형을 면제하고 복권시켰다.[5][6]
이재현 회장의 사건 관련 주요 일지는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2013년 7월 | 1,000억원대 조세포탈, 횡령 및 배임 혐의로 구속 기소[16] |
2014년 1월 14일 | 검찰, 징역 6년과 벌금 1,100억원 구형[16] |
2014년 2월 14일 | 1심 선고공판, 징역 4년과 벌금 260억원 선고 (법정 구속 면함)[17] |
2014년 5월 22일 | 항소심 2차 공판[18] |
2014년 6월 12일 | 항소심 3차 공판[19] |
2014년 7월 10일 | 항소심 4차 공판[20] |
2014년 7월 24일 | 항소심 5차 공판 |
2014년 9월 30일 | 대법원, 사건을 대법원 2부에 배당, 김창석 대법관을 주심으로 지정 |
2014년 11월 17일 | 김앤장 법률사무소의 임치용·류용호 변호사(전관) 추가 선임[21][22] |
2015년 9월 | 대법원,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파기환송[23] |
2015년 12월 15일 | 파기환송심 선고 공판, 징역 2년 6월에 벌금 252억원 선고[23] |
2016년 7월 19일 | 재상고 포기 및 정부에 사면 요청[24] |
2016년 8월 15일 | 광복절 특별사면 및 복권[5][6] |
2. 2. 1. 삼성 측의 감시 사건
1995년 이재현 회장은 서울 한남동 이건희 회장의 옆집에 살고 있었는데, 그해 3월 삼성은 이건희의 집 3층 옥상에 감시 카메라(CCTV)를 설치하여 이재현의 집 정문을 항상 감시하도록 하였다는 문제가 된 일이 있다.[15] 그 동기는 이재현 회장 집을 드나드는 사람들을 살피려는 목적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삼성 측의 CJ에 대한 뿌리 깊은 견제 의식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15] 이는 창업주 이병철에게서 장남인 이맹희가 아닌 삼남 이건희 회장으로 승계된 그룹 승계부터 뿌리 깊게 자리한 가문 내의 반목으로 알려져 있다.[15]3. 학력
- 1979년 경복고등학교 졸업
- 1983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
4. 경력
연도 | 직책 |
---|---|
1985년 | 제일제당 경리부 평사원 |
1988년 | 제일제당 경리부 과장 |
1989년 | 제일제당 기획관리부 부장 |
1993년 | 삼성전자 전략기획실 이사 |
1993년 ~ 1997년 | 제일제당 상무이사 |
1997년 ~ 1997년 12월 | 제일제당 부사장 |
1998년 1월 ~ 2002년 2월 | 제일제당 대표이사 부회장 |
1999년 | 제일투자신탁증권(현 하이투자증권) 비상임이사 |
2002년 3월 ~ 현재 | CJ그룹 대표이사 회장 |
2005년 | CJ나눔재단 이사장 |
2006년 | CJ문화재단 이사장 |
2011년 3월 ~ 2016년 3월 | CJ제일제당 대표이사 |
현재 | CJ 회장/CJ ENM 총괄 회장 |
5. 수상
연도 | 수상 내용 |
---|---|
1996년 | WEF 선정 올해의 차세대 지도자 |
2012년 | 매경이코노미 선정 올해의 CEO |
6.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할아버지 | 이병철 | 1910년 ~ 1987년 | 삼성그룹, 신세계 (백화점), 신세계조선호텔, 호텔신라, CJ그룹 창업주 |
할머니 | 박두을 | 1907년 ~ 1999년 | |
고모 | 이인희 | 1929년 ~ 2019년 | 한솔그룹 고문 |
고숙 | 조운해 | 1925년 ~ 2019년 | |
아버지 | 이맹희 | 1931년 ~ 2015년 | CJ그룹 명예회장 |
어머니 | 손복남 | 1934년 ~ 2022년 | CJ그룹 고문 |
누나 | 이미경 | 1958년 ~ | CJ그룹 부회장 |
前 매형 | 김석기 | 1957년 ~ | |
배우자 | 김희재 | 1961년 ~ | |
딸 | 이경후 | 1985년 ~ | CJ ENM 브랜드전략담당 브랜드전략실장 부사장(음악콘텐츠사업본부 최고창작책임자), 前 CJ제일제당 경영기획담당, 前 CJ올리브영 경영기획담당, 前 CJ 미국지역본부 통합마케팅팀장 |
사위 | 정종환 | 1980년 ~ | CJ ENM 콘텐츠·글로벌사업 총괄(부사장), 前 CJ 글로벌 인터그레이션(Global Integration) 팀장 겸 미주본사 대표, 前 CJ 미국지역본부 공동본부장 |
아들 | 이선호 | 1990년 ~ | CJ제일제당 부장 |
자부 | 이다희 | 1991년 ~ | skyTV 아나운서 |
동생 | 이재환 | 1962년 ~ | 타임와이즈인베스트먼트 대표 |
조카 | 이소혜 | 1994년 ~ | |
조카 | 이호준 | 2001년 ~ | |
숙부 | 이창희 | 1933년 ~ 1991년 | |
숙부 | 이건희 | 1942년 ~ 2020년 | 삼성그룹 회장, 삼성전자 회장 |
숙모 | 홍라희 | 1945년 ~ |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
고모 | 이명희 | 1943년 ~ | 신세계 회장 |
고숙 | 정재은 | 1937년 ~ | 신세계조선호텔 명예회장, 신세계 명예회장 |
외숙부 | 손경식 | 1939년 ~ | CJ그룹 회장 |
이재현은 1984년 김희재와 결혼하여 아들 이선호와 딸 이경후를 두었으며, 두 자녀 모두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했다.[8][9] 그는 컬럼비아 칼리지에 이씨 일가 장학금을 기부했다.[10]
7. 기타
이재현은 1984년 김희재와 결혼하여 슬하에 아들 이선호와 딸 이경후를 두었으며, 두 자녀 모두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했다.[8][9] 그는 컬럼비아 칼리지에 이씨 일가 장학금을 기부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Lee Jay-hyun turns CJ into conglomerate
https://www.koreatim[...]
2022-03-08
[2]
웹사이트
Lee Jay-hyun
https://www.forbes.c[...]
2024-12-21
[3]
웹사이트
The Investor
http://www.theinvest[...]
2022-03-08
[4]
웹사이트
CJ to step up global expansion following chairman's release
https://en.yna.co.kr[...]
2022-03-08
[5]
뉴스
South Korea pardons CJ Group chairman, 4,875 others, to mark holiday
https://www.reuters.[...]
2022-03-08
[6]
웹사이트
CJ Group chairman Lee Jay-pardoned
http://www.koreahera[...]
2022-03-08
[7]
웹사이트
Lee Jay-hyun
https://www.forbes.c[...]
2022-03-08
[8]
웹사이트
Lee Sun-ho back to work at CJ CheilJedang
https://koreajoongan[...]
2022-03-08
[9]
웹사이트
CJ heirs promoted amid leadership vacuum
http://www.koreahera[...]
2022-03-08
[10]
웹사이트
Fees, Expenses, and Financial Aid < Columbia College {{!}} Columbia University
https://bulletin.col[...]
2022-03-08
[11]
웹인용
벼랑 끝에 선 비운의 황태자 이재현, 이코노미 인사이트 2013년 7월 1일
https://web.archive.[...]
2015-08-02
[12]
웹사이트
이재현 회장 청바지 차림에 피자 먹으며 E&M 사업 승부수 서울신문 - 2014.11.17
http://www.seoul.co.[...]
[13]
웹사이트
CJ그룹 계열사 500대 기업 내 8개 기업 CEO 경영 데이터 뉴스 - 2014.11.14
http://www.ceoscored[...]
[14]
웹사이트
이재현 CJ 회장 항소심도 실형 경향신문 - 2014.09.12
http://news.khan.co.[...]
[15]
웹사이트
이건희 ‘삼성가 장손’ 이재현 견제 18년, 94년, 최측근 이학수 CJ로, 95년, 조카집 CCTV 감시, 2011년, 대한통운 놓고 싸움
http://www.hani.co.k[...]
[16]
웹사이트
檢,징역 6년 구형 "회사위해 여생 바치게 해달라" 읍소
http://news.mk.co.kr[...]
[17]
웹사이트
징역 4년…법정구속은 면해(종합2보)
https://news.naver.c[...]
2015-09-10
[18]
웹인용
'법인자금 횡령' 공방
https://web.archive.[...]
2014-07-14
[19]
웹인용
"건강 심각"…재차 호소
https://web.archive.[...]
2014-07-14
[20]
웹사이트
법인 및 사적 자금에 대하여 횡령 혐의 적극 소명
http://www.wowtv.co.[...]
[21]
웹인용
이재현 CJ 회장, 전관 변호사 추가 선임 왜?
https://web.archive.[...]
2014-11-18
[22]
웹인용
이재현 CJ 회장, 상고심 앞두고 전관 변호사 영입
http://news1.kr/arti[...]
2014-11-18
[23]
웹인용
'횡령·배임' CJ 이재현 회장, 징역 2년 6월(속보)
http://www.nocutnews[...]
2015-12-15
[24]
웹인용
CJ 경영공백 3년, 이재현 회장 구속에서 사면까지
http://www.zdnet.co.[...]
ZDNet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