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네시아 국민영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네시아 국민영웅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국가에 공헌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칭호이다. 이 칭호는 초대 대통령 수카르노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국가 독립 영웅, 국민영웅, 독립선언 영웅, 혁명 영웅 등 4가지 유형이 있다. 국민영웅은 이미 사망한 인도네시아 국민으로, 국가를 위해 헌신하고 국민에게 큰 영향을 미친 인물에게 수여되며, 시장, 주지사, 사회부, 선정위원회를 거쳐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인증한다. 2009년까지 143명이 국민영웅으로 선정되었으며, 칭호 수여에 정치적인 이유가 개입되거나, 독재 정권의 인물이 포함되어 논란이 일기도 한다.

2. 선정 과정

인도네시아의 국민영웅 선정은 초대 대통령수카르노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최초로 국민영웅으로 선정된 인물은 1959년 8월 30일에 선정된 압둘 무이스이다.[5]

국민영웅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이 있다.[6]

유형설명
국가 독립 영웅수카르노 시대에 사용된 칭호.
국민영웅수하르토 시대 초기부터 현재까지 사용되는 일반적인 칭호.
독립선언 영웅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선언한 수카르노모하맛 하타에게 주어진 칭호.
혁명 영웅1965년 9월 30일 사건의 희생자들에게 주어진 칭호.



국가 영웅으로 인정된 사람의 유족에게는 연금, 의료, 주택 수당 등이 지급된다.[3]

2. 1. 선정 조건

인도네시아 사회부는 국민 영웅의 인정 조건으로 다음 7가지 조건을 규정하고 있다.[1]

# 이미 사망한 인도네시아 국민으로, 평생 국가를 위해 무력 투쟁을 지휘하거나 국가의 이익이 되는 개념·제품을 발명했다.

# 생애 동안 국민이 수행해야 할 의무를 넘어 투쟁을 지속했다.

# 행동으로 인해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 높은 애국심을 갖추고 있었다.

# 인격적·도덕적으로 뛰어났다.

# 적에게 항복한 적이 없었다.

# 스스로 구축한 유산을 훼손하는 일이 없었다.

2. 2. 선정 절차

인도네시아의 국민영웅 선정은 다음 4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 일반 시민이 시장 또는 시 정부 기관에 후보자를 제안한다.

# 시장이 주지사에게 후보자를 추천한다.

# 각 주의 후보자 명단을 사회부와 선정위원회에서 협의한다.

#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인증한다.[4]

선정위원회는 학자 2명, 군 관계자 2명, 훈장 또는 칭호를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 3명 등 총 7명으로 구성된다.[4] 대통령은 자카르타에서 개최되는 수여식에서 선정위원장을 맡으며, 선정된 국민영웅에게 칭호를 수여한다.[4] 2000년 이후 수여식은 영웅의 날에 맞춰 11월 초에 거행되고 있다.[4]

인증 과정에는 정치적인 이유가 개입되는 경우도 있다. 수카르노와 모하마드 하타의 경우, 위원회와의 협의 없이 사회부 단독 추천으로 인증이 이루어졌다는 지적이 있다.[4] 또한, 독재 정권을 펼쳤던 수하르토의 인증에 대해서는 찬반 양론이 존재하며, 아직 인증되지 못했다.[4]

3. 국민영웅의 유형

인도네시아의 국민영웅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6]

유형설명최초 수여자비고
국가 독립 영웅수카르노 시대에 사용된 칭호압둘 무이스1959년 8월 30일 최초 수여
국민영웅수하르토 시대 초기부터 현재까지 사용되는 일반적인 칭호
독립선언 영웅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선언한 수카르노모하맛 하타에게 주어진 칭호수카르노, 모하맛 하타
혁명 영웅1965년 9월 30일 사건의 희생자들에게 주어진 칭호


4. 국민영웅 목록

1958년에 시행된 대통령령 제241호에 따라 독립 국가 영웅 제도가 제정되었고, 1959년 8월 30일에 수여된 압둘 무이스가 최초의 수여자가 되었다.[7] 수하르토가 정권을 장악한 1960년대에 "독립 국가 영웅"에서 "국가 영웅"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국가 영웅에는 여러 등급이 있으며, 9.30 사건의 희생자에게 수여된 "혁명 영웅",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을 낭독한 수카르노와 모하마드 하타에게 수여된 "독립 선언 영웅"의 칭호가 있다.[7] 국가 영웅으로 인정된 자의 유족에게는 연금, 의료, 주택 수당 등이 지급된다.[3]

국가 영웅으로 인정된 자는 동쪽으로는 파푸아주에서 서쪽으로는 아체주까지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선발되었으며, 인종(인도네시아 민족, 화교, 유라시안)과 직종(정치가, 왕족, 혁명가, 군인, 주교, 작가, 저널리스트) 또한 다종다양한 인물이 선발되고 있다.

······················ Z



이 구스티 응우라 라이


군복을 입고 앞을 바라보는 남자
아드난 카파우 가니


주교 복장을 하고 앞을 바라보는 남자
알베르투스 수기야프라나타


군복을 입고 생생하게 말하는 남자
수토모


앞을 보고 미소짓는 여자
파트마와티


삼 라툴랑이


케바야를 입고 오른쪽을 바라보는 여자
카르티니


안경을 쓰고 앞을 바라보는 남자
모하마드 하타


군복을 입고 오른쪽을 바라보는 남자
파쿠부워노 10세


페치를 쓰고 앞을 바라보는 남자
수디르만


페치를 쓰고 오른쪽을 바라보는 남자
수카르노


왼쪽을 바라보는 남자
탄 말라카


인도네시아의 울라마이자 나흐다툴 울라마의 공동 창립자
아사드 샴술 아리핀

4. 1. A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압둘 할림 마잘렝카188719622008독립 운동가이자 이슬람 학자, BPUPK 위원
압둘 하리스 나수티온191820002002육군의 장군, 육군 참모총장 두 번 임명
압둘 카디르177118751999멜라위 출신 귀족, 경제 개발 촉진, 식민지 네덜란드에 대항
압둘 카하르 무자키르190719632019BPUPK 위원, 인도네시아 이슬람 대학교 초대 총장
압둘 말리크 카림 암룰라190819812011이슬람 학자이자 작가
압둘 무이스188319591959정치인, 이후 작가
압둘 라흐만 살레190919471974공군 초기 인물, 네덜란드군에 의해 격추된 의료 비행 중 사망
압둘 와합 하스불라188819712014나흐다툴 울라마 창립, 친독립 조직 설립
압두라흐만 바스웨단190819862018독립 전쟁 중 아랍계 인도네시아인 통합에 기여한 언론인
아흐마드 사누시188919502022이슬람 학자, BPUPK 위원[2]
아흐마드 수바르조189619782009독립 운동가, 정부 장관
아담 말리크 바투바라191719841998언론인, 독립 운동가, 제3대 인도네시아 부통령
아드난 카파우 가니190519682007독립 운동가, 국민 혁명 지원 무기 밀수
니 아젱 세랑175218281974자바 게릴라 지도자, 네덜란드 식민주의자 공격 지휘
아구스 살림188419541961미낭 이슬람 지도자, 정치인, 독립 운동가
아구스티누스 아디수치프토191619471974공군 초기 인물, 네덜란드군 격추 의료 비행 중 사망
아흐마드 달란186819341961자바 이슬람 지도자, 무함마디야 설립, 시티 왈리다 남편
아흐마드 리파이178618702004반 네덜란드 성향 이슬람 사상가, 작가
아흐마드 야니192219651965육군 지도자, 9.30 사건으로 사망
알렉산더 안드리에스 마라미스189719772019BPUPK 위원, 정부 장관
알리민188919641964독립 옹호자, 정치인, 인도네시아 공산당 인물
안디 압둘라 바우 마세페191819472005부기스 귀족, 국민 혁명 중 네덜란드군 공격, 안디 마파뉴키 아들
안디 제마190119652002독립 운동가, 국민 혁명 중 네덜란드군 공격 지휘
안디 마파뉴키188519672004부기스 귀족, 네덜란드군 공격 지휘, 안디 압둘라 바우 마세페 아버지
안타사리180918621968반자르마신 전쟁에서 네덜란드 식민군과 싸움
아리에 프레데릭 라수트191819491969네덜란드에 의해 처형된 지질학자, 교육자
아르놀두스 아이작 자카리아스 모노누투189619832020정보부 장관
아사드 샴술 아리핀189719902016이슬람 지도자, 나흐다툴 울라마 공동 창립자


4. 2. B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scope="row" |15832020테르나테 술탄국의 통치자
바깅도 아지즈찬191019472005파당 시장, 국민 혁명 중 네덜란드군에 저항[7]
바수키 라흐마트192119691969장군, 수퍼세마르의 증인[7]
바타하 산티아고162216752023네덜란드 식민군과 싸운 상기헤 제도의 망가니투 왕국의 세 번째 왕[1]
베르나르 빌헬름 라피안189219772015민족주의자, 교회 지도자, 술라웨시의 두 번째 주지사


4. 3. C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틍쿠 칙 디 티로183618911973아체 이슬람 인물이자 게릴라 지도자, 네덜란드 식민군과 싸움[7]
칠리크 리우트191819871998군인이자 정치인, 중부 칼리만탄의 경제 및 문화 발전 촉진[7]
칩토 망운쿠수모188619431964자바 정치인, 수카르노의 멘토[7]
초크로아미노토188319341961정치인, 사레캇 이슬람 지도자, 수카르노의 멘토[7]
춧 냑 딘185019081964아체 게릴라 지도자, 네덜란드 식민군과 싸움; 트쿠 우마르의 아내[7]
춧 냑 므티아18701910아체 전쟁에서 네덜란드군과 싸우다 죽음[7]


4. 4. D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에르너스트 다우어스 데커르187919501961인도네시아 독립을 옹호한 인도인 언론인이자 정치인[7]
데파티 아미르180518692018방카 출신 독립 투사[7]
안디 데푸190719852018서술라웨시 출신으로 독립을 위해 싸운 투사들을 이끈 여성[7]
데위 사르티카188419471966국내 최초의 여자 학교를 설립한 교육자[7]
춧 냑 딘185019081964아체인 게릴라 지도자로, 네덜란드 식민군과 싸웠으며 트쿠 우마르의 아내[7]
디포네고로178518551973욕야카르타 술탄의 아들로, 네덜란드 식민군과 5년 전쟁을 치름[7]
도날트 이자퀴스 판자이탄192519651965인도네시아 육군 장군, 9.30 사건으로 사망[7]


4. 5. F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파크루딘189019291964인도네시아 하지 순례자 보호를 협상한 이슬람 지도자[1]
파트마와티192319802000수카르노의 부인이자 사회 운동가. 최초의 국기를 직접 만듬.[2]
페르디난드 룸반토빙189919621962강제 노동자의 권리를 위해 싸운 의사이자 정치인[3]
프란스 카이시포192119791993파푸아 획득에 기여한 파푸아인 민족주의자[4]



4. 6. G

이름출생사망비고
가톳 망쿠프라자1896년1968년독립 운동가이자 정치인, 향토방위의용군(郷土防衛義勇軍|교도보에이기유군일본어, Pembela Tanah Airid)의 결성을 제안.
가톳 수브로토1907년1962년장군, 인도네시아 육군 참모차장.


4. 7. H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할림 프르다나 쿠수마192219471975인도네시아 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말레이시아 페락에서 비행기 사고로 사망.[7]
하멩쿠부워노 9세191219881990하멩쿠부워노 술탄가의 9대 군주이자 욕야카르타 술탄.[7]
하룬 토히르194719681968콘프론타시 기간 중 병사.[7]
마스 티르토다르모 하료노1924196519659월 30일 사건에서 사망한 장군.[7]
하산 바스리192319842001[7]
고와의 하사누딘163116701973고와 술탄국의 군주.[7]
하심 아시아리187519471964나들라툴 울라마 창립자.[7]
모하맛 하타190219801986전 총리, 전 부통령.[7]
하자이린190619751999전 내무부 장관.[7]
헤르만 요하너스191219922009가자마다 대학교 교수, 학자, 정치인.[7]


4. 8. I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압둘 하리스 나수티온1918년2000년2002인도네시아 독립전쟁의 지도자[7]
압둘 할림1911년1988년중앙 인도네시아 국가 위원회의 위원이자 인도네시아의 네 번째 총리.[7]
압둘 무이스1883년1959년1959작가, 저널리스트[7]
압둘 카디르 라덴 투믕궁 스티아 팔라완1771년1875년1999보르네오섬에서 네덜란드 식민주의자들과 싸운 인물.[7]
압둘라만 살레1909년1947년1974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 자신의 비행기에서 죽은 인물.[7]
악맛 리파이[7]
악맛 수바르조1896년1978년2009전 외무부 장관.[7]
아담 말릭1917년1984년1998부통령, 전 국제 연합 총회 의장.[7]
아드난 카파우 가니1905년2007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 네덜란드군과 싸운 인물.[7]
아긍 티르타야사1631년1683년반튼 술탄국술탄이자 네덜란드의 반튼 무역을 저지한 인물. 감옥에서 사망.[7]
아구스 살림1884년1954년1961공화국 초기의 정치인.[7]
아구스티누스 아디수칩토1916년1947년1974인도네시아 독립전쟁 기간 중의 인도네시아 공군 참모총장.[7]
아맛 달란1868년1934년1961모스크의 설교자.[7]
아맛 야니1922년1965년19659월 30일 사건에서 죽은 장군.[7]
알리민 빈 프라위로디르조1889년1964년1964부디 우토모, 인도네시아 제헌의회 등에서 활동한 정치인.[7]
아미르 함자1911년1946년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 살해된 시인.[7]
이다 아낙 아궁 그데 아궁1921년1999년정치인이자 전 장관. 네덜란드-인도네시아 원탁회의의 대표.[7]
안디 압둘라 바우 마세프1918년1947년2005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 싸운 인물이며 술라웨시섬에서 처형됨.[7]
안디 제마1901년1965년2002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 싸운 인물.[7]
안디 마파뉴키1885년1967년2004네덜란드에 협력을 거부하여 퇴위된 인물.[7]
안디 술탄 다엥 라자1894년1957년인도네시아 독립 준비 조사 위원회의 위원.[8]
안타사리 왕자1809년1892년1968보르네오섬 반자르 술탄국의 왕족으로 반 네덜란드 투쟁을 이끈 인물.[7]
아리 프레데릭 라숫1918년1949년1969지질학자이며 인도네시아 광업 활동에 대한 세부 정보를 밝히길 거부하여 네덜란드에 의해 사살됨.[7]
바긴도 아지즈한1910년1947년2005파당의 시장. 네덜란드에 대항해서 싸움.[7]
바수키 라맛1921년1968년1969[7]
틍쿠 칙 디 티로1836년1891년1973아체 전쟁에 참가하여 네덜란드에 대항해 싸움.[7]
춧 냑 딘1850년1908년1964남편 트쿠 우마르가 죽은 후에도 아체 전쟁에서 계속하여 네덜란드에 대항함.[7]
춧 냑 므티아1870년1910년아체 전쟁에서 네덜란드군과 싸우다 죽음.[7]
데위 사르티카1884년1947년1966동인도 지역의 여성 교육 발전에 힘쓴 인물.[7]
디파느가라 왕자1785년1855년1973디파느가라 전쟁을 이끈 욕야카르타 술탄국의 왕자.[7]
자티쿠수모1917년1992년인도네시아 독립전쟁 기간에 전투에 참가한 인물.[7]
주안다 카르타위자야1911년1963년인도네시아 공화국 혁명정부 기간 인도네시아의 총리.[7]
에르너스트 다우어스 데커르1879년1950년1961동인도계 네덜란드인. 저널리스트이자 독립운동가.[7]
파크루딘1890년1929년1964동인도 순례자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메카로 보내진 인물.[7]
파트마와티1923년1980년2000수카르노의 부인.[7]
페르디난트 룸반토빙1899년1962년1962의사. 게릴라. 전 장관.[7]
프란스 카이시포1921년1979년1993서뉴기니 지역에 이리안(Irian)이라는 명칭을 제안한 인물.[7]
가톳 수브로토1907년1962년1962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 싸운 인물.[7]
가톳 망쿠프라자1898년1968년20041929년 네덜란드에 의해 옥살이를 함. 나중에 인도네시아 육군이 된 인도네시아 향토방위의용군(郷土防衛義勇軍|교도보에이기유군일본어, Pembela Tanah Airid) 창설을 제안한 인물.[7]
할림 프르다나 쿠수마1922년1947년1975인도네시아 공군 창설에 일조한 인물. 비행기 사고로 사망.[7]
하멩쿠부워노 9세1912년1988년1990하멩쿠부워노 술탄가의 9대 군주. 욕야카르타의 술탄.[7]
하룬 토히르1947년1968년1968콘프론타시 기간의 병사.[7]
마스 티르토다르모 하료노1924년1965년19659월 30일 사건에서 죽은 장군.[7]
하산 바스리1923년1984년2001[7]
고와의 하사누딘1631년1670년1973고와 술탄국의 군주.[7]
하심 아시아리1875년1947년1964나들라툴 울라마의 창립자.[7]
모하맛 하타1902년1980년전 총리, 전 부통령.[7]
하자이린1906년1975년전 내무부 장관.[7]
헤르만 요하너스1912년1992년가자마다 대학교의 교수, 학자, 정치인.[7]
슬라멧 리야디1927년1951년인도네시아를 점령한 일본 제국과 네덜란드 양쪽에 대항해 싸운 인물.[7]
일랴스 야쿱1903년1958년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는 기사를 씀. 식민 정부에 의해 투옥 및 추방당함.[7]
투안쿠 이맘 본졸1772년1864년1973네덜란드에 항거한 수마트라섬의 종교 지도자.[7]
이스칸다르 무다1593년1636년아체 술탄국의 전성기 술탄.[7]
이스마일 마르주키1914년1958년2004음악가.[7]
이스와휴디1918년1947년인도네시아 공군으로 무기를 밀수하려다 사살됨.[7]
이와 쿠수마수만트리1899년1971년네덜란드령 동인도 식민에 비판적인 신문 《마타하리 인도네시아》를 창간함.[7]
이작 후루 도코1913년1985년인도네시아 합중국 창설에 반대함.[7]
존 리1911년1998년인도네시아 독립전쟁 기간의 해군 장교.[7]


4. 9. J


  • '''주안다 카르타위자야'''(1911년-1963년): 인도네시아 공화국 혁명정부 기간 인도네시아의 총리.[7]
  • '''자티쿠수모'''(1917년-1992년):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기간에 전투에 참가한 인물.[7]

4. 10. K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카렐 삿수잇 투분1923196519659월 30일 사건에서 사망.[9]
키라스 방운185419422005네덜란드령 동인도 식민정부에 대항해 싸움.[7]
카르티니187919041964동인도의 여권운동가.[7]
카탐소 다르모쿠수모1923196519659월 30일 사건에서 죽은 장군.[7]
이 구스티 크툿 즐란틱?18491993발리섬의 독립운동가.[7]
키 하자르 데완타라188919591959교육자. 타만 시스와를 만든 인물.[7]
쿠수마 아트마자189819521965독립 지도자들에게 집의 사용을 허용했으며, 인도네시아 대법원에서 봉직.[7]



4. 11. L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라 마두켈렝[10]17001765술라웨시의 지방 군주로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와 맞섬.
망쿠느가라 1세17251795제3차 자와 전쟁에서 핵심 인물로 활약했으며,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맞선 인물.
마리아 왈란다 마라미스18721924여학교를 많이 설립하여 여성 교육의 확대에 힘씀.
마르타 흐리스티나 티아하후1800181810대 독립 투사.
라덴 에디 마르타디나타19211966인도네시아 독립전쟁 기간의 해군 참모총장.
마르튼 인데이19121986인도네시아 독립 후에도 네덜란드령으로 잔존하였던 서파푸아 지역을 인도네시아로 편입되도록 투쟁한 인물.
마스쿤 수마디르자[7]19071986과거 독립운동가들의 권리를 위해 노력한 인물.
마스 만수르18961946마슈미 당의 공동창립자 중 하나이며 네덜란드 정부에 의해 투옥되어 옥중 사망.
무스토포?1986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 싸운 인물.
모하맛 낫시르19081993중앙 인도네시아 국가 위원회 위원이며 마슈미 당 당원.
무와르디19071948의사, 시민군.


4. 12. M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마스 티르토다르모 하료노1924년1965년1965년9월 30일 사건에서 죽은 장군.[14]
마스쿤 수마디르자1907년1986년과거 독립운동가들의 권리를 위해 노력한 인물.[7]
마스 만수르1896년1946년마슈미 당의 공동 창립자 중 하나이며 네덜란드 정부에 의해 투옥되어 옥중 사망.
망쿠느가라 1세1725년1795년제3차 자와 전쟁의 핵심 인물로 활약했으며,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맞선 인물.
마리아 왈란다 마라미스1872년1924년여학교를 많이 설립하여 여성 교육 확대에 힘씀.
마르타 흐리스티나 티아하후1800년1818년10대 독립 투사.
라덴 에디 마르타디나타1921년1966년인도네시아 독립전쟁 기간의 해군 참모총장.
마르튼 인데이1912년1986년인도네시아 독립 후에도 네덜란드령으로 잔존하였던 서파푸아 지역을 인도네시아로 편입되도록 투쟁한 인물.
마뭇 바다루딘 2세1767년1852년팔렘방 술탄국의 술탄으로 식민주의자들에게 맞섬.
무스토포?1986년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 싸운 인물.
모하맛 낫시르1908년1993년중앙 인도네시아 국가 위원회 위원이며 마슈미 당 당원.
모하마드 하타1902년1980년전 총리, 전 부통령.
모하맛 후스니 탐린1894년1941년네덜란드령 동인도 치하에서 인도네시아라는 명칭의 사용을 위해 투쟁함.
모하맛 야민1903년1962년인도네시아 헌법 제정에 주요한 역할을 한 인물. 작가.
무와르디1907년1948년의사, 시민군.



4. 13. N

이름출생사망비고
악맛 리파이[7]17861870반 네덜란드 입장을 보인 이슬람 사상가이자 작가
안디 마파뉴키[7]18851967부기스 귀족, 네덜란드군 공격 지휘, 안디 압둘라 바우 마세페의 아버지
안디 술탄 다엥 라자[8]18941957인도네시아 독립 준비 조사 위원회의 위원
마스쿤 수마디르자[7]19071986과거 독립운동가들의 권리를 위해 노력한 인물
이스마일 마르주키[7]19141958음악가
나니 와르타보네[11]19071986술라웨시섬에서 1942년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언하였으며 일본과 네덜란드 양쪽 모두에게 체포됨
오푸 다엥 리사주[12]18801964술라웨시섬에서의 정치적 활동으로 네덜란드 식민정부에 의해 투옥됨
파종아 다엥 응알레[13]19011958마카사르에서 네덜란드군을 공격한 시민군을 창설하고 이끎
도날트 이자퀴스 판자이탄[14]192519659월 30일 사건에서 죽은 장군
라자 알리 하지[7]18081873언어학자
랑공 다엥 로모[15]19151947술라웨시섬의 시민군 지도자이며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기간에 죽음
실라스 파파레[16]19181978서뉴기니 지역의 인도네시아 합병을 위한 운동을 벌임
수페노[17]19161949네덜란드령 동인도 식민정부에 대항한 게릴라 투사


4. 14. O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오푸 다엥 리사주188019642006술라웨시섬에서의 정치적 활동으로 네덜란드 식민정부에 의해 투옥됨.[12]
오토 이스칸다르 디 나타189719451973부디 우토모의 회원이자 인도네시아 육군 창설에 기여한 인물.[7]
파종아 다엥 응알레190119582006마카사르에서 네덜란드군을 공격한 시민군을 창설하고 이끎.[13]
파쿠부워노 4세180718492011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항복하는 것을 거부한 자와의 군주.[7]
파티무라178318171973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대항한 말루쿠 제도의 기독교도.[7]
도날트 이자퀴스 판자이탄1925196519659월 30일 사건에서 죽은 장군.[14]
피에르 안드레아스 텐데안1939196519659월 30일 사건에서 죽음.[7]
퐁 티쿠184619072005술라웨시섬에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와 싸우다 전사.[7]


4. 15. P

이름출생사망비고출처
파티무라1783년1817년말루쿠 제도의 기독교도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대항함.[7]
도날트 이자퀴스 판자이탄1925년1965년9월 30일 사건에서 사망.[14]
파종아 다엥 응알레1901년1958년마카사르에서 네덜란드군을 공격한 시민군을 창설하고 이끎.[13]
파쿠부워노 4세1807년1849년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항복하는 것을 거부한 자와 군주.
퐁 티쿠1846년1907년술라웨시섬에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와 싸우다 전사.


4. 16. R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라 마두켈렝[10]1700년1765년술라웨시의 지방 군주로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와 맞섰다.
라덴 에디 마르타디나타1921년1966년인도네시아 독립전쟁 기간의 해군 참모총장.
랑공 다엥 로모[15]1915년1947년술라웨시섬의 시민군 지도자이며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기간에 죽음.
라수나 사잇1910년1965년연설가, 여권운동가.
로버르트 볼터르 몽이시디1925년1949년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 적극적으로 싸웠으며 이 기간에 죽었다.
라자 알리 하지[7]1808년1873년언어학자.
라자 하지 피사빌릴라1727년1784년네덜란드 동인도회사 해군의 봉쇄에 11개월 간 저항하였으며 결국 사살되었다.
라딘 인튼 2세1834년1856년수마트라섬에서 네덜란드 식민 정부에 항거했다.


4. 17. S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비고출처
사하르조1909년1963년전 법무부 장관.[7]
삼 라툴랑이1890년1949년술라웨시섬의 미나하사인(Minahasa人) 정치가.[7]
사만후디1878년1956년사레캇 이슬람의 전신을 만든 인물.[7]
실라스 파파레1918년1978년서뉴기니 지역의 인도네시아 합병을 위한 운동을 벌임.[16]
시싱아망아라자 12세1849년1907년바탁인들의 왕이며 수마트라섬에서 네덜란드 식민 정부에 항거함.[7]
시티 하르티나1923년1996년수하르토의 배우자.[7]
슬라멧 리야디1927년1951년인도네시아를 점령한 일본 제국과 네덜란드 양쪽에 대항해 싸운 인물.[7]
수로소1893년1981년사레캇 이슬람의 활동가, 전 장관.[7]
수료프라노토1871년1959년노동자의 권리를 위해 헌신한 인물.[7]
수포모1903년1958년인도네시아 헌법의 제정에 주요한 기여를 함.[7]
수프랍토1920년1965년9월 30일 사건에서 죽은 장군.[7]
수디르만1916년1950년인도네시아 독립전쟁 기간의 육군 사령관.[7]
수기오노1926년1965년9월 30일 사건에서 죽음.[7]
알베르투스 수기야프라나타1896년1963년최초의 인도네시아인 대주교.[7]
수하르소1912년1971년의사, 장애인 권리 운동가.[7]
수카르조 위료프라노토1903년1962년저널리스트. 동인도인들의 정치적 권리를 위해 싸움.[7]
수카르노1901년1970년초대 대통령.[7]
술탄 아궁1591년1645년마타람 술탄국의 술탄.[7]
샤립 카심 2세1893년1968년동인도 식민 정부에 항거한 시악의 술탄이며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을 정신적, 물적으로 후원함.[7]
마뭇 바다루딘 2세1767년1852년팔렘방 술탄국의 술탄으로 식민주의자들에게 맞섬.[7]
수페노1916년1949년네덜란드령 동인도 식민정부에 대항한 게릴라 투사.[17]
수프리야디1923년1945년?블리타르에서 일본 제국의 동인도 점령에 항거해 반란을 일으킴.[7]
아리오 수료1895년1948년수라바야 전투에 참가함.[7]
수탄 샤리르1909년1966년민족주의자, 전 총리.[7]
수토요 시스워미하르조1922년1965년9월 30일 사건에서 죽은 장군.[7]
수토모 (의사)1888년1938년부디 우토모의 창건에 기여.[7]
수토모1920년1981년수라바야 전투에 참가한 혁명군 지도자.[7]
셱 유숩 타줄 할와티1626년1699년이슬람 교사이며 반튼의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항거하여 스리랑카로 추방됨.[7]


4. 18. T

이름출생사망비고
틍쿠 칙 디 티로1836년1891년아체 전쟁에 참가하여 네덜란드에 대항해 싸움.[7]
춧 냑 딘1850년1908년남편 트쿠 우마르가 죽은 후에도 아체 전쟁에서 계속하여 네덜란드에 대항함.[7]
춧 냑 므티아1870년1910년아체 전쟁에서 네덜란드군과 싸우다 죽음.[7]
타하 샤이푸딘1816년1904년수마트라의 잠비에서 네덜란드 식민 정부에 대항해 싸움.[7]
모하맛 후스니 탐린1894년1941년네덜란드령 동인도 치하에서 인도네시아라는 명칭의 사용을 위해 투쟁함.[7]
칩토 망운쿠수모1886년1943년수카르노의 정치적 스승이자 민족 독립 지도자.[7]
초크로아미노토1883년1934년사레캇 이슬람의 지도자.[7]
투안쿠 탐부사이1784년1882년파드리 전쟁에서 싸움.[7]
트쿠 우마르1854년1899년아체 전쟁에서 네덜란드군에 대항해 싸움.[7]
운퉁 수라파티1660년1706년반 동인도회사 활동가.[7]
우립 수모하르조1893년1948년인도네시아 육군의 창립자 중 한 명.[7]
우스만 자나틴1943년1968년콘프론타시 기간의 군사적 영웅.[7]
루돌프 수프라트만1903년1938년인도네시아의 국가 작곡가.[7]
와힛 하심1914년1953년마슈미 당의 창립자 중 하나이며 나들라툴 울라마를 이끎.[7]
와히딘 수디로후소도1852년1917년부디 우토모의 주요 인물 중 하나.[7]
모하맛 야민1903년1962년인도네시아 헌법 제정에 주요한 역할을 한 인물. 작가.[7]
요스 수다르소1925년1962년해군 참모차장을 역임.[7]
자이날 무스타파1907년1944년일본 제국 점령기 노무자(勞務者, 로무샤)의 권리를 위해 싸움.[7]
자이눌 아리핀1909년1963년시민군 지도자.[7]



4. 19. U

4. 20. W

Waskita Karyaid는 삭제한다.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와힛 하심1914년1953년1964[7]마슈미 당의 창립자 중 하나이며 나들라툴 울라마를 이끎.
와히딘 수디로후소도1852년1917년1961[7]부디 우토모의 주요 인물 중 하나.
빌헬뮈스 자카리아 요하너스1895년1952년1968[7]인도네시아 최초의 방사선 전문의.
모하맛 야민1903년1962년1973[7]인도네시아 헌법 제정에 주요한 역할을 한 인물. 작가
요스 수다르소1925년1962년1973[7]해군 참모차장을 역임.
자이날 무스타파1907년1944년1972[7]일본 제국 점령기 노무자(勞務者, 로무샤)의 권리를 위해 싸움.
자이눌 아리핀1909년1963년1963[7]시민군 지도자.


4. 21. Y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모하맛 야민19031962인도네시아 헌법 제정에 주요한 역할을 한 작가이다.[7]
요스 수다르소19251962해군 참모차장을 역임했다.[7]
자이날 무스타파19071944일본 제국 점령기 노무자(勞務者, 로무샤)의 권리를 위해 싸웠다.[7]
자이눌 아리핀19091963시민군 지도자였다.[7]


4. 22. Z

wikitext

인도네시아 국민 영웅
이름출생사망추서비고출처
자이날 아리핀190919471963정치인[3]
자이날 무스타파189919441972이슬람 지도자, 네덜란드와 일본 제국에 대항하여 싸움[4]


5. 비판 및 논란

인도네시아의 국가 영웅 인증에는 정치적인 이유가 개입되는 경우가 있으며, 수카르노, 모하마드 하타의 인증 시에는 위원회와의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사회부 단독의 추천이었다는 지적이 있다[4]。 또한, 독재 정권을 펼쳤던 수하르토의 인증에 대해서는 인증을 지지하는 세력과 독재를 이유로 반대하는 세력이 존재하여 찬반 양론이 있으며[4], 인증에는 이르지 못했다.

참조

[1] 웹사이트 Jokowi Resmi Beri Gelar Pahlawan Nasional ke 6 Tokoh https://news.detik.c[...] Detik 2023-11-10
[2] 웹사이트 President Jokowi Bestows National Hero Titles to Five Figures https://setkab.go.id[...] 2022-11-07
[3] 웹사이트 独立の偉人ら尊ぶ 国民の統一を重視 英雄の日 https://jakartashimb[...] じゃかるた新聞 2014-11-11
[4] 웹사이트 建国の父「国家英雄」にスカルノ、ハッタを認定 ユドヨノ大統領 「汚名を返上」 http://www.jakartash[...] じゃかるた新聞 2012-11-08
[5] 서적
[6] 서적
[7] 뉴스 Composer, freedom fighters declared heroes The Jakarta Post 2004-11-11
[8] 문서 댕 라자일 수도 있음.
[9] 문서 카럴 삿쉿 투분일 수도 있음.
[10] 문서 라 마두클릉 또는 마두켈릉일 수도 있음.
[11] 문서 와르타보느일 수 있음.
[12] 문서 오푸 댕 리사주일 수 있음.
[13] 문서 첫 이름은 '파용아'일 수 있고, 둘째 이름은 '댕'일 수 있으며, 셋째 이름은 '응알르' 또는 '응알리'일 수 있음.
[14] 문서 판야이탄일 수 있음.
[15] 문서 가운데 이름이 '댕'일 수 있음.
[16] 문서 파파르일 수 있음.
[17] 문서 수프노일 수 있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