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하르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하르토는 1921년 자바섬에서 태어나 네덜란드 식민지 군과 일본군에서 복무했다. 인도네시아 독립 후 군인으로 활동하며, 1965년 9.30 사건 이후 수카르노 대통령을 축출하고 1967년 대통령 권한대행, 1968년 정식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는 '신질서'를 표방하며 장기 집권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권위주의 통치와 인권 탄압, 부정부패로 비판받았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퇴진 압박을 받아 1998년 사임했으며, 200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반공주의자 - 프라보워 수비안토
    프라보워 수비안토는 인도네시아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2024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제8대 대통령이 되었으며, 군 복무, 사업가 활동, 국방부 장관 역임 등 다양한 경력을 거쳐 인권 침해 등의 논란에도 휩싸였다.
  • 인도네시아의 반공주의자 - 판차실라 청년단
    빤짜실라 청년단은 1959년 창설된 인도네시아의 청년 단체로, 인도네시아 현대사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나 폭력적인 행태와 부패 문제로 비판을 받으며 과거 행적과 관련된 부정적인 이미지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욕야카르타 출신 - 디타 (가수)
    디타는 2NE1의 무대를 보고 가수의 꿈을 키워 미국에서 뮤지컬 연기를 공부한 후 바인엔터테인먼트 오디션에 합격, 시크릿넘버로 2020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욕야카르타 출신 - 하멩쿠부워노 10세
    하멩쿠부워노 10세는 1989년 족자카르타 술탄으로 즉위하여 족자카르타 특별주의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일부다처제 폐지 등 여성 권리 확대를 추진했다.
수하르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3년 수하르토 공식 초상화
공식 초상화, 1993년
이름하지 무함마드 수하르토
출생일1921년 6월 8일
출생지반툴, 네덜란드령 동인도
사망일2008년 1월 27일
사망지자카르타, 인도네시아
안장 장소아스타나 기리방운
168cm
배우자시티 하르티나 (1947년 12월 26일 결혼, 1996년 4월 28일 사망)
자녀투투트 수하르토
티티에크
토미 등 6명
아버지케르토수디로
어머니수키라
출신 학교KNIL 카데츠쿨
직업정치인
군인
별명파크 하르토
미소 짓는 장군
소속네덜란드령 동인도
일본 제국
인도네시아
군사 지부네덜란드령 동인도군
향토방위대
인도네시아 육군
복무 기간1940년 – 1974년
계급육군 대장
소속 부대보병 (코스트라드)
중앙 등록 번호10684
대통령 직위
2대
직위인도네시아 대통령
임기 시작1967년 3월 12일
임기 종료1998년 5월 21일
부통령하멩쿠부워노 9세 (1973–1978)
아담 말리크 (1978–1983)
우마르 위라하디쿠수마 (1983–1988)
수다르모노 (1988–1993)
트리 수트리스노 (1993–1998)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 (1998)
이전 대통령수카르노
다음 대통령바하루딘 유숩 하비비
기타 직위
임기 시작1966년 7월 25일
임기 종료1967년 10월 17일
대통령수카르노
이전 직위수카르노 (인도네시아 총리)
다음 직위직위 폐지
임기 시작1992년 9월 7일
임기 종료1995년 10월 20일
이전 의장도브리차 초시치
다음 의장에르네스토 삼페르
임기 시작1966년 3월 28일
임기 종료1971년 9월 9일
대통령수카르노
다음 장관마라덴 팡가베안
임기 시작1974년 1월 28일
임기 종료1978년 4월 17일
대통령본인
이전 사령관수미트로 사스트로디하르조 장군
다음 사령관수도모 제독
임기 시작1965년 10월 5일
임기 종료1969년 11월 19일
대통령수카르노
이전 사령관직위 신설
다음 사령관마라덴 팡가베안 장군
임기 시작1968년 6월 6일
임기 종료1973년 3월 28일
대통령본인
이전 사령관아브둘 하리스 나수티온 장군 (1966년)
다음 사령관마라덴 팡가베안 장군
임기 시작1965년 10월 16일
임기 종료1968년 5월 1일
대통령수카르노
이전 참모총장아흐마드 야니 중장, 프라노토 렉소사무드로 소장 (대행)
다음 참모총장마라덴 팡가베안 장군
임기 시작1961년 3월 6일
임기 종료1965년 12월 2일
대통령수카르노
이전 사령관직위 신설
다음 사령관우마르 위라하디쿠수마 소장
군사 경력
지휘코다 IV/디포네고로
코스트라드/카두아드
인도네시아 육군
코프캄팁
인도네시아 국군
전투인도네시아 국민 혁명
코타바루 전투
암바라와 전투
오퍼레이션 프로덕트
마디운 사태
오퍼레이션 크라아이
3월 공세
다룰 이슬람 반란
426 대대 반란
마카사르 봉기
PRRI 반란
페르메스타 반란
서뉴기니 분쟁
오퍼레이션 트리카라
오퍼레이션 드위코라
9월 30일 운동
인도네시아 대량 학살
정당
소속 정당골카르
수상 내역
훈장수상 목록
기타
서명

2. 생애

수하르토는 1921년 6월 8일,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일부였던 자와섬 요굥야카르타(Yogyakarta)에서 서쪽으로 15km 떨어진 케무숙(Kemusuk) 마을에서 태어났다.[21] 그의 아버지 케르토수디로(Kertosudiro)는 마을 관개 시설 관리원이었고, 어머니 수키라(Sukirah)는 하멩쿠부워노 5세와 먼 친척 관계였다.[22] 수하르토가 태어난 지 5주 후, 어머니는 신경쇠약을 겪었고, 그는 외숙모의 보살핌을 받게 되었다. 수하르토의 부모는 어린 시절 초기에 이혼했고, 그는 외숙모, 어머니, 아버지, 누이 사이를 오가며 성장했다.

세 살 때 수하르토는 어머니에게 돌아갔고, 어머니는 지역 농부와 재혼하여 수하르토는 논에서 어머니를 도왔다. 1929년, 수하르토의 아버지는 그를 그의 누이에게 데려갔는데, 그녀는 농업 감독관인 프라위로위하르조(Prawirowihardjo)와 원오기리(Wonogiri) 근처의 우르얀토로(Wuryantoro) 마을에서 결혼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 후 2년 동안 그는 계부에 의해 케무숙에 있는 어머니에게 돌아왔다가 아버지에 의해 다시 우르얀토로로 돌아왔다.

프라위로위하르조는 수하르토를 자신의 아들처럼 키웠고, 이는 수하르토에게 아버지와 같은 존재와 안정된 가정을 제공했다. 1931년, 그는 초등학교에 다니기 위해 원오기리 마을로 이사했고, 처음에는 프라위로하르조의 아들 술라르디(Sulardi)와 함께 살다가 나중에는 아버지의 친척인 하르조위조노(Hardjowijono)와 함께 살았다. 하르조위조노와 함께 살면서 수하르토는 자바 신비주의 예술과 영적 치유의 dukunid("샤먼")인 다르잣모(Darjatmo)를 알게 되었다. 원오기리에서 교육비를 지불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다시 케무숙에 있는 아버지에게 돌아갔고, 1938년까지 요굥야카르타(Yogyakarta) 시의 샤켈 무하마디야(Muhammadiyah) 중학교에서 계속 공부했다.

수하르토의 성장 배경은 수카르노와 같은 주요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자들의 성장 배경과 대조되는데, 그는 반식민주의나 그의 즉각적인 주변 환경을 넘어서는 정치적 관심에 거의 관심이 없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수카르노와 그의 주변 사람들과 달리 수하르토는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과 거의 또는 전혀 접촉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그는 젊었을 때 네덜란드어나 다른 유럽 언어를 배우지 못했다. 그는 1940년 네덜란드 군대에 입대하고 나서 네덜란드어를 배우게 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군 복무

수하르토는 1921년 6월 8일 자와섬 케무수 아르가물자에서 태어났으며, 당시에는 네덜란드령 동인도라 불렸다.[21] 대부분의 자바인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성 없이 이름만을 사용했다. 그의 아버지 케르토수디로(Kertosudiro)는 마을 관개 시설 관리였고, 어머니 수키라(Sukirah)는 하멩쿠부워노 5세와 먼 친척 관계였다.[22] 수하르토의 부모는 어린 시절 초기에 이혼했고, 그는 외숙모, 어머니, 아버지, 누이 사이를 오가며 성장했다.

수하르토는 원오기리(Wonogiri)에서 초등학교 교육을 받았고, 요굥야카르타(Yogyakarta) 시의 샤켈 무하마디야(Muhammadiyah) 중학교에서 공부했다.[21] 그는 반식민주의나 정치적 관심보다는 자바 신비주의 예술과 영적 치유에 더 관심을 가졌다.[21] 18세에 중학교를 졸업한 후, 우르얀타로(Wuryantaro)의 한 은행에서 일하다가 자전거 사고로 사직했다.

1940년 6월, 실업 상태였던 수하르토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왕립 육군(KNIL)에 입대하여 곰봉(Gombong)에서 기초 훈련을 받았다. 람팔(Rampal)의 제13대대에서 단기 훈련 과정을 수료하고 상사가 되었으며, 치사루아(Cisarua)에 있는 KNIL 예비 대대에 배치되었다. 1942년 3월 네덜란드가 일본군에 항복한 후, 수하르토는 우르얀타로로 돌아갔다가 요크야카르타 경찰에 합류했다.

1943년 10월, 수하르토는 일본이 후원하는 민병대인 Pembela Tanah Air (PETA)로 전출되어 shodanchoja-Latn (소대장) 계급으로 훈련을 받았다. 이 훈련은 반네덜란드적, 친국가주의적 사상을 고취했고, 수하르토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와테스(Wates)에 있는 PETA 해안 방어 대대에 배치되었고, 1944년 4월부터 8월까지 보고르(Bogor)에서 chudanchoja-Latn (중대장) 훈련을 받았다. 중대장으로서 수라카르타, 자카르타, 마디운에서 신병 훈련을 실시했다. 1945년 8월 일본 항복 당시 수하르토는 브레베그(Brebeg) 지역에 배치되어 있었다.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이후, 수하르토는 1945년 9월 조직된 정규군에 참가하여 부대장으로 선출되었고, 이듬해 10월 공화국군 대대장으로 임명되었다.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동안 야전 지휘관으로서의 평가를 높였다. 1947년, 수하르토는 시티 하르티나와 결혼했다.

2. 2.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과 군 경력

수하르토는 1921년 6월 8일 자와섬 케무수 아르가물자에서 태어났으며, 당시에는 네덜란드령 동인도라 불렸다. 대부분의 자바인들과 마찬가지로 성 없이 이름만을 사용한다. 고등학교 졸업 후 네덜란드 식민지군에 입대하여 부사관이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이 인도네시아를 점령하자 일본군이 조직한 방위군(PETA)에 재입대하여 장교로 임관한다.

소령 수하르토,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항복한 이틀 후, 독립 지도자 수카르노와 핫타는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언하고 각각 신생 공화국의 대통령과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수하르토는 일본군 지휘부의 명령에 따라 자신의 연대를 해산하고 족자카르타로 돌아왔고, 인도네시아 독립을 주장하는 공화파 세력이 부상하자 새로이 편성된 인도네시아군의 새로운 부대에 합류했다. PETA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1945년 10월 공화국군이 공식적으로 조직되자 대대장이 되었다. 수하르토는 마겔랑과 세마랑 주변에서 연합군과 싸웠고, 현장 지휘관으로서 존경을 얻으며 중령으로 승진하여 여단장으로 임명되었다. 전쟁 초기, 그는 지역 무장 세력을 제1연대 제X대대로 조직했고, 소령으로 승진하여 제X대대장이 되었다.

1946년 5월 17일, 수하르토는 네덜란드군 T("호랑이")여단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제X사단 병력을 이끌었다. 1946년 8월까지 수하르토는 족자카르타에 주둔한 제3사단(디포네고로 사단)의 제22연대장이었다. 1948년 9월 수하르토는 마디운에서 발생한 공산주의 봉기의 평화적인 화해를 위한 시도로 인도네시아 공산당(PKI) 의장 무소를 만나러 갔지만 실패했다.

수하르토와 시티 하르티나, 날짜 미상


1948년 12월, 네덜란드는 "크라이 작전"을 시작하여 수카르노와 핫타를 체포하고 수도 족자카르타를 점령했다. 수하르토는 두 개의 대대로 구성된 ''Wehrkreise III''를 이끌도록 임명되었고, 족자카르타 남쪽 언덕에서 네덜란드군에 대해 게릴라전을 벌였다. 1949년 3월 1일 새벽 기습 공격에서 수하르토의 부대와 지역 민병대는 도시를 탈환하여 정오까지 점령했다. 압둘 나수션 장군은 수하르토가 "총공세"(인도네시아어: ''Serangan Umum'')를 준비하는 데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고 말했다. 국제적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네덜란드에 군사 공세 중단과 협상 재개를 압력을 가했고, 이는 결국 1949년 6월 족자카르타 지역에서 네덜란드군 철수와 1949년 12월 완전한 주권 이양으로 이어졌다. 수하르토는 1949년 6월 철수하는 네덜란드군으로부터 족자카르타 시를 장악하는 책임을 맡았다.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기간 중인 1947년, 수하르토는 수라카르타 하급 귀족 출신인 시티 하르티나(틴 여사)와 결혼했다. 정략결혼이었지만 1996년 틴 여사가 사망할 때까지 지속되는 굳건하고 서로 지지하는 관계였다. 두 사람 사이에는 시티 하르디얀티 루크마나(투투트), 시깃 하르조주단토, 밤방 트리하트모조, 시티 헤디아티 하리아디(티티크), 후토모 만달라 푸트라(토미), 시티 후타미 엔당 아디닝시(마미엑) 등 여섯 명의 자녀가 있었다.

수하르토와 그의 아내, 여섯 자녀 (1967년경)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수하르토는 주로 자와섬에서 인도네시아 국군에서 복무했다. 1950년 대령으로서 가루다 여단을 이끌고 동인도네시아와 그 연방 단체인 인도네시아 합중국을 지지하는 전직 식민지 군인들의 반란인 마카사르 반란을 진압했다. 마카사르에서 근무하는 동안 이웃인 B.J. 하비비 가족과 친분을 쌓았는데, B.J. 하비비는 나중에 수하르토의 부통령이 되었고 그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되었다. 1951년부터 1952년까지 수하르토는 그의 부대를 이끌고 중앙 자와섬의 클라텐 지역에서 이슬람 성향의 426대대 반란을 진압했다. 1953년 초 네 개 대대의 지휘를 맡은 그는 중앙 자와섬 북서부에서 다룰 이슬람 반군과 싸우는 것과 메라피산 지역에서 반도적 작전에 참여하도록 부대를 조직했다.

1956년부터 1959년까지 중앙 자와섬과 족자카르타 주를 관할하는 세마랑에 본부를 둔 디포네고로 사단 사령관이라는 중요한 직책을 맡았다. 1959년 밀수 사건에 수하르토가 연루되었다는 군의 부패 방지 조사 결과가 나왔고, 그의 직책에서 해임된 그는 반둥시의 육군 참모 및 사령학교(Seskoad)로 전출되었다.

전략 준비군 사령관으로서의 수하르토 (1963년경)


반둥에 있는 동안 준장으로 승진했고, 1960년 말에는 육군 참모차장으로 승진했다. 1961년 3월 6일, 자카르타에 본부를 둔 신속 대응 기동 부대인 육군의 새로운 전략 준비군(KOSTRAD) 사령관이라는 추가적인 지휘권을 부여받았다. 1962년 1월, 중장으로 승진하여 마카사르에 본부를 둔 육군-해군-공군 합동사령부인 만달라 작전을 지휘하도록 임명되었다. 이는 자체 독립을 준비하고 인도네시아와 별도로 분리될 예정이었던 네덜란드로부터 서뉴기니를 탈환하기 위한 작전의 군사적 측면을 형성했다. 1963년에 육군 전략 예비군 사령관에 취임했다. 1965년 수하르토는 수카르노의 반말레이시아 대결 작전의 작전 지휘를 맡았다.

2. 3. 9.30 사건과 권력 장악

1965년 인도네시아에서는 군부와 공산당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24] 수카르노는 중국 등 공산 국가들과 반제국주의 동맹을 맺으려 했으며, 군부의 간섭을 경고했다.[24] 경제는 악화되었고, 빈곤과 기아가 만연했으며, 외채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였다.[24] 인도네시아 공산당 (PKI)은 300만 명의 당원을 확보하며 급성장했고, 군부, 민족주의자, 이슬람 단체들은 이에 위협을 느꼈다.[24]

1965년 9월 30일, 대통령 경호원, 디포네고로 및 브라위자야 사단 소속 병사들이 여섯 명의 육군 장군을 납치하고 처형했다. 운퉁 빈 샴수리는 라디오를 통해 "9월 30일 운동"이 CIA의 지원을 받은 장군들의 쿠데타 시도를 막았다고 발표했다. 수하르토는 코스트라드와 RPKAD(현 코파수스) 특수 부대를 동원하여 자카르타 중심부를 장악하고, 9월 30일 운동이 수카르노를 전복하려 했다고 발표했다. 10월 2일, 수하르토는 할림 공군 기지를 점령하고 군부를 완전히 장악했다.

1965년 10월 5일 암살된 장군들의 장례식에 참석한 수하르토(오른쪽 전경)


쿠데타 시도의 배후 세력과 목적에 대한 논쟁은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 군부와 신질서 정권은 인니 공산당의 책임을 주장했다. 군부는 대량 학살 캠페인을 벌여 인도네시아 사회, 정부, 군대에서 인도네시아 공산당과 좌익 조직들을 제거했다. 이 학살로 최소 50만 명에서 100만 명 이상이 살해되었고, CIA는 이를 "20세기 최악의 대량 학살 중 하나"라고 묘사했다.

수하르토는 1966년 1월, 가미(KAMI)라는 이름으로 결성된 대학생들이 수카르노 정부에 맞서 시위를 시작했다. 1966년 3월 11일, 수카르노는 수하르토에게 안보 유지를 위한 모든 권한을 부여하는 대통령령(수퍼세마르)에 서명했다. 수하르토는 「수퍼세마르」를 이용하여 PKI를 금지하고, 의회, 정부, 군에서 수카르노 지지 세력을 숙청했다. 군은 15명의 각료를 체포하고 수카르노에게 수하르토 지지자들로 구성된 새로운 내각을 임명하도록 강요했다. 1966년 6월, 숙청된 의회는 마르크스-레닌주의 금지, 「수퍼세마르」 비준, 수카르노의 종신 대통령직 박탈 등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1967년 2월, MPRS는 수하르토를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했다. 수카르노는 보고르 궁전에서 가택 연금되었고, 1970년 6월 사망했다. 1968년 3월, MPRS는 수하르토를 정식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2. 4. 대통령 취임과 신질서 체제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한 신생 인도네시아 국가에 참여한 수하르토는 군인으로 복무하였다. 1965년 공산주의자들의 쿠데타를 진압한 후, 1967년 수카르노를 축출하고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이후 7번의 대통령 선거를 통해 장기 집권했다.

수카르토는 수카르노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고려하여 쿠데타를 일으킨 것처럼 보이지 않도록 주의했다. 930사건 진압 이후 18개월 동안 학생 시위, 의회 장악, 언론 선전, 군사적 위협 등 복잡한 정치적 책략을 통해 수카르노를 압박했다. 1966년 1월, 가미(KAMI) 소속 대학생들은 수카르노 정부에 맞서 PKI 해산과 인플레이션 통제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수카르노 지지 학생들과 수하르토 지지 학생들 간의 충돌에서 군의 지원을 받은 수하르토 지지 학생들이 승리했다.

1966년 2월, 수카르토는 중장으로 승진했고(이후 대장으로 승진), 학생 시위대의 사망과 수카르노의 가미(KAMI) 해산 명령은 대통령에 대한 여론을 악화시켰다. 1966년 3월 11일, 내각 회의 중 메르데카 궁전 주변에 신원 불명의 군인들이 나타나자 수카르노는 보고르 궁전으로 피신했다. 수하르토를 지지하는 세 명의 장군이 보고르로 가서 수카르노를 설득하여 안보 유지를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을 수하르토에게 부여하는 대통령령(수퍼세마르)을 받아냈다. 수하르토는 「수퍼세마르」를 이용하여 PKI를 금지하고, 의회, 정부, 군에서 수카르노 지지 세력을 숙청했다.

군은 15명의 각료를 체포하고 수카르토 지지자들로 구성된 새로운 내각을 임명하도록 강요했다. MPRS(의회)의 수카르노 지지 및 친공산주의자들을 체포했고, 수하르토는 해군, 공군, 경찰청장을 자신의 지지자들로 교체했으며, 이들은 각 부서 내에서 광범위한 숙청을 시작했다. 1966년 6월, 숙청된 의회는 마르크스-레닌주의 금지, 「수퍼세마르」 비준, 수카르노의 종신 대통령직 박탈 등 24개의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수카르노가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수퍼세마르」 소지자인 수하르토가 대통령 권한대행이 된다는 결의도 포함되었다. 수카르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말레이시아와의 ''콘프론타시''를 종식하고 유엔에 재가입했다.[26] 수하르토는 군 내 일부 세력의 지지를 여전히 받고 있는 수카르노를 완전히 축출하려 하지 않았다. 1967년 1월까지 수하르토는 군 내 수카르노에 대한 중요한 지지 기반을 모두 제거했다고 확신했다. MPRS는 수카르노가 직무를 태만히 했다고 결론짓고 탄핵을 위한 회의를 열기로 결정했다. 1967년 2월 20일, 수카르노는 대통령직에서 사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MPRS는 3월 12일 그의 남은 권력을 박탈하고 수하르토를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했다. 수카르노는 보고르 궁전에서 가택 연금되었고, 1970년 6월 사망했다. 1968년 3월 27일, MPRS는 수하르토를 5년 임기의 정식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대통령 취임 후, 수하르토는 친미·친말레이시아·반공(=반중국) 노선으로 외교 정책을 전환하고, 인도네시아를 유엔에 복귀시켰다. 1967년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을 창설하고, 사무국을 자카르타로 유치하는 등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1974년 카네이션 혁명으로 탄생한 포르투갈의 좌파 정권이 해외 영토 포기를 선언하자, 포르투갈령이었던 동티모르에서 내전이 발생했다.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이 독립을 선언하자, 수하르토 정권은 무력 개입하여 동티모르를 인도네시아에 병합했다. 수마트라섬 북서부의 아체 독립 운동에 대해서도 군대를 투입하여 강경하게 대응했다.

수하르토는 9·30사건으로 인한 국민들의 공포심을 바탕으로 군부와 기능 집단인 골카르를 지지 기반으로 삼았다. 측근 군인들을 중앙·지방 행정 기관의 요직에 임명하고, 선거에서 강압적인 개입과 규제를 통해 골카르의 압승을 연출했다. 1990년대부터는 이슬람 세력에도 접근하여 지지 기반을 강화했다.

국내 독립 운동 탄압, 민주화 운동가 납치·고문, 학살 사건, 언론 탄압 등 인권 침해에 대해 해외에서도 강한 비판을 받았다.

국내 독립 운동을 탄압하는 한편, 「Taman Mini Indonesia Indah」(아름다운 미니 인도네시아 공원)를 건설하여 인도네시아 각지의 소수 민족 가옥을 재현하여 전시하고, 소수 민족 문화를 기록·전시함으로써 민족 단결과 국민 통합을 도모했다.

친족, 측근, 친분이 있는 상인 등에게 특혜를 제공하는 “KKN(부정부패·유착·연고주의)”이라는 약어가 생겨날 정도로 정권의 부패가 문제시되었다. 그의 아내 티엔은 ‘마담 티엔 퍼센트’라고 불리며, 일본 정부의 공적 개발 원조(ODA)가 수하르토 일가의 특혜 배분에 이용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수하르토 정권의 혜택을 받은 화교 재벌들은 이후 시민들의 폭동으로 박해의 대상이 되었다.[78]

3. 신질서(Orde Baru) 통치 (1967-1998)

수하르토수카르노의 "구체제"와 대비되는 자신의 "신질서"(Orde Baru)를 판차실라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한 사회로 홍보했다. 처음에는 판차실라가 준종교적 사교(cult)로 발전할 것을 우려한 이슬람 학자들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으려고 주의를 기울였지만, 1983년 모든 인도네시아 단체가 판차실라를 기본 원칙으로 준수하도록 의무화하는 의회 결의를 확보했다.[28] 그는 또한 초등학생부터 직장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인도네시아인을 위한 필수적인 판차실라 교육 프로그램을 제정했다. 그러나 실제로 판차실라는 모호하여 수하르토 정부는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반대자들을 "반판차실라"로 규탄하는 데 악용했다.[28] 신질서는 또한 군이 인도네시아 정부, 경제 및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드위풍시''("이중 기능") 정책을 시행했다.

1970년에 부패에 항의하는 대규모 학생 시위가 발생하자 수하르토는 학생 시위를 법으로 금지시켰고, 1978년에는 대통령의 임기 제한을 철폐해버렸다.[80] 같은 해 1월부터 3월까지는 반정부 대학생들에 대항하기 위해 군대를 보내 반둥 공과대학교 캠퍼스를 점거한 후 학업과 관련없는 캠퍼스 내 정치 활동을 전면 금지시켰다.[80] 1984년에 수하르토 정부는 모든 미디어가 정보부에 의해 언제든지 취소될 수 있는 언론 운영 면허(Surat Izin Usaha Penerbitan Pers, SIUP)를 소유하도록 하는 법을 발표함으로써 언론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했다.[80]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도 '외국인'의 동화를 명분으로 집권 초반부터 인도네시아식으로 들리는 이름을 강제하며 공공 장소에서 중국어 사용, 종교 표현, 중국 문화와 문학을 향유하는 것을 금지했고, 중국어 간행물도 군이 통제하는 신문 1종만 허용했으며, 중국어 학교는 단계적으로 폐쇄되었다.[80] 1978년부터는 중국인들의 대학 입학과 공무원 지원, 여권 등록, 심지어 결혼 등은 시민권 증명서를 보유해야만 가능하게 했다.[80] 화교의 정치적 권리는 제한되고 유교의 존재는 인정되지 않았다.[80]

1982년에 수하르토는 경찰과 인도네시아군에 범죄율을 효과적으로 줄일 근절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했고, 이에 따라 1983년~1985년에 범죄율을 낮춰야 한다며 '신비로운 저격수'라는 뜻의 인도네시아어 'penembak misterius'를 변형한 이름을 붙인, 인도네시아판 엄타인 '페트루스(Petrus) 작전'을 실시했다.[80] 그런데 이 과정에서 공식 수치로만 713명의 사망자가 나올 정도로 보안군에 의한 과도한 초법적 살인이 발생했고, 대중들을 공포에 떨게 하기 위해 대놓고 이들의 시신을 공공장소에 놓는 등 방식이 지나치게 가혹했다.[80] 이 작전은 특히 자카르타와 중부 자바에서 자주 행해졌다.[80]

수하르토는 취임 기간 중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고 인도네시아공업 국가로 이끌었다.[80] 신질서를 유지하고 장기적인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수하르토 정부는 대부분 미국에서 교육받은 인도네시아 경제학자들로 구성된, "버클리 마피아"로 불리는 집단을 고용하여 경제 정책에 중대한 변화를 도입했다. 보조금 삭감, 정부 부채 감소, 환율제도 개혁을 통해 1966년 660%에 달했던 인플레이션율을 1969년 19%로 낮추었다. 1967년부터 1968년까지 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쌀 원조가 유입되면서 기근의 위협도 완화되었다.

경제 성장에 필요한 국내 자본이 부족했던 신질서는 수카르노의 경제 자급자족 정책을 뒤집고, 1967년 외국인 투자법을 통해 특정 경제 부문을 외국인 투자에 개방했다. 수하르토는 서유럽과 일본을 방문하여 인도네시아 투자를 유치했다. 인도네시아에 재진출한 최초의 외국 투자자들 중에는 광산업체인 프리포트 설퍼 컴퍼니/인터내셔널 니켈 컴퍼니가 포함되었다. 정부 규제 체계에 따라 국내 기업가들(대부분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이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에 아스트라 그룹과 살림 그룹과 같은 수입 대체 경공업 부문에 등장했다.

1967년부터 정부는 인도네시아 정부 간 그룹(IGGI)에 속한 10개국으로부터 저금리 외국 원조를 확보하여 재정 적자를 메웠다. IGGI 자금과 나중에 발생한 1973년 석유 위기로 인한 석유 수출 수익 증가를 통해 정부는 1969년부터 1998년까지 REPELITA(Rencana Pembangunan Lima Tahun) I부터 VI까지 5개년 계획에 따라 사회기반시설에 투자했다.

수하르토 정부는 30년 동안 지속적인 사회경제적 발전을 통해 지지를 확보했다. 1996년 인도네시아의 빈곤율은 1970년 45%에서 11%로 감소했다. 1966년부터 1997년까지 인도네시아는 연평균 5.03%의 실질 GDP 성장률을 기록하며, 1인당 실질 GDP를 806달러에서 4,114달러로 끌어올렸다. 1966년 제조업 부문은 GDP의 10% 미만을 차지했는데(대부분 석유 및 농업 관련 산업), 1997년에는 GDP의 25%로 증가했고, 수출의 53%가 제조품이었다. 정부는 대규모 인프라 개발에 투자했으며(특히 일련의 팔라파 통신위성 발사), 그 결과 1990년대 중반 인도네시아의 인프라는 중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여겨졌다. 수하르토는 이러한 업적을 이용하여 자신의 대통령직을 정당화하려 했고, 1983년 3월 9일 의회(MPR)는 그에게 "개발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수하르토 정부의 의료 프로그램(예: ''푸스케스마스'' 프로그램)으로 기대수명은 1966년 47세에서 1997년 67세로 증가했고, 영아 사망률은 60% 이상 감소했다. 1973년에 시작된 정부의 ''인프레스'' 프로그램으로 1983년까지 초등학교 취학률이 90%에 달했고 남녀 간 교육 격차는 거의 사라졌다. 농업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으로 인도네시아는 1984년에 쌀 자급자족을 달성했으며, 이는 전례 없는 성과로 1985년 11월 수하르토는 FAO로부터 금메달을 받았다. 1980년대 초 수하르토 정부는 1980년대 석유 과잉 공급으로 인한 석유 수출 감소에 대응하여 인도네시아의 저임금과 일련의 환율 평가절하를 통해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수출 지향적 노동 집약적 제조업으로 경제 기반을 성공적으로 전환했다. 산업화는 주로 화교 인도네시아인 기업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 기업들은 국가 경제를 지배하는 대기업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대기업 중 가장 큰 기업은 살림 그룹(리엠 시오 렁(수도노 살림)가 이끌었음), 시나르 마스 그룹(오이 엑 쫑(에카 팁타 위드자야)가 이끌었음), 아스트라 그룹(치아 한 푼(윌리엄 수리아드자야)가 이끌었음), 립포 그룹(리에 모 티에(목타르 리아디)가 이끌었음), 바리토 퍼시픽 그룹(팡 쥔 펜(프라조고 팡게스투)가 이끌었음), 그리고 누삼바 그룹(밥 하산이 이끌었음)이었다. 수하르토는 소수의 화교 인도네시아인 대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소수 민족이기 때문에 정치적 도전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며, 자신의 경험을 통해 그들이 국가의 실질적인 성장에 필요한 기술과 자본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수하르토의 후원에 대한 대가로, 이러한 대기업들은 그의 "정권 유지" 활동에 중요한 자금을 제공했다.

1980년대 후반 수하르토 정부는 저축을 장려하고 성장에 필요한 국내 자금 조달을 제공하기 위해 금융 부문을 규제 완화하기로 결정했다. 수하르토는 은행 설립 및 신용 확대 요건을 완화한 "1988년 10월 패키지"(PAKTO 88)를 공포했으며, 그 결과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은행 수가 50% 증가했다. 저축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는 국민에게 ''타바나스''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1977년 재개장한 자카르타 증권거래소는 1990년 규제 완화 이후 국내 IPO의 급증과 외국 자금 유입으로 인해 "강세장"을 기록했다. 신용의 갑작스러운 증가는 1990년대 초 경제 성장을 촉진했지만, 금융 부문의 취약한 규제 환경은 1997년의 치명적인 위기의 씨앗을 뿌렸고, 결국 수하르토 대통령직의 종말로 이어졌다.[38] 그러나 독재통치로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했다. 수하르토 집권 기간에는 자녀들과 친인척으로 이루어진 막강한 경제 권력도 구축했고, 수많은 사람을 투옥하거나 처형하는 철권통치를 했으며, 350억 달러에 달하는 부정 축재 문제로 국제 투명성 기구(Tranparency International, TI)는 "20세기에서 가장 부패한 정치인"으로 꼽기도 했다.[80]

집권 후 수하르토 정부는 냉전에서 중립 정책을 채택했지만, 인도네시아 경제 회복을 위한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서방 진영(일본대한민국 포함)과 은밀히 연합했다. 수하르토의 강력한 반공주의적 입장에 깊은 인상을 받은 서방 국가들은 신속하게 지원을 제공했다. 중국과의 외교 관계는 1967년 10월 9·30사건에 중국이 개입했다는 의혹으로 중단되었고(1990년에야 복원됨), 수하르토에 의한 PKI의 파괴로 소련은 인도네시아에 대한 군사 물자 판매를 금지했다. 그러나 1967년부터 1970년까지 아담 말릭 외무장관은 수카르노가 소련과 다른 동유럽 공산 국가들로부터 떠안았던 막대한 부채를 구조 조정하기 위한 여러 협정을 체결했다. 지역적으로는 1966년 8월 말레이시아와의 대립을 종식시킨 인도네시아는 1967년 8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 이 기구는 베트남 전쟁과 같은 갈등으로부터 자유로운 동남아시아 국가들 간의 평화로운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1974년, 이웃 식민지인 포르투갈령 동티모르는 카네이션 혁명 이후 포르투갈 당국의 철수로 동티모르 내전에 빠져들었고, 좌익 대중주의 정당인 프레틸린()이 승리했다. 미국 대통령 제럴드 포드와 호주 총리 고프 휘틀럼이 인도네시아를 방문했을 때 서방 국가들(포함)의 승인을 얻은 수하르토는 개입을 결정했다. 그는 공산 국가의 수립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동티모르 단체 UDT와 APODETI에 대한 은밀한 지원 시도가 실패한 후, 수하르토는 1975년 12월 7일 식민지에 대한 전면적인 동티모르 침공을 승인했고, 1976년 7월 인도네시아의 27번째 주인 동티모르로 공식적으로 병합했다. 1977년부터 1979년까지의 "포위 및 섬멸" 작전은 프레틸린의 내륙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무너뜨렸지만, 계속되는 게릴라 저항으로 인해 정부는 1999년까지 반도에 강력한 군대를 유지해야 했다. 인도네시아 통치(1974~1999) 기간 동안 동티모르에서 갈등 관련 사망자는 최소 90,800명에서 최대 213,600명에 달했다. 즉, 살해된 사람은 17,600~19,600명이고, 굶주림과 질병으로 인한 '과잉' 사망자는 73,200~194,000명이다. 인도네시아군은 폭력적인 사망의 약 70%를 차지했다.[36]

수하르토 대통령 시절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침공과 동티모르 점령으로 최소 10만 명이 사망했다.[37]

누적된 문제들이 1997년 금융 위기로 터지자 반정부 시위와 폭동으로 이어진다. 이에 수하르토는 군부를 동원하여 시위 진압을 하고자 했으나 그들은 진압을 거부했고, 결국 시위에 이기지 못해 1998년에 결국 물러났다.[80]

수하르토는 하야한 후에도 질병을 이유로 기소받지 않았다. 이후 은둔 생활을 하였고, 콩팥과 폐 기능의 이상 등으로 2008년 1월 27일 8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80]

3. 1. 정치적 안정과 권위주의 통치

수하르토수카르노의 "구체제"와 대비되는 자신의 "신질서"를 판차실라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한 사회로 홍보했다. 처음에는 판차실라가 준종교적 사교(cult)로 발전할 것을 우려한 이슬람 학자들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으려고 주의를 기울였지만, 1983년 모든 인도네시아 단체가 판차실라를 기본 원칙으로 준수하도록 의무화하는 의회 결의를 확보했다.[28] 그는 또한 초등학생부터 직장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인도네시아인을 위한 필수적인 판차실라 교육 프로그램을 제정했다. 그러나 실제로 판차실라는 모호하여 수하르토 정부는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반대자들을 "반판차실라"로 규탄하는 데 악용했다.[28] 신질서는 또한 군이 인도네시아 정부, 경제 및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드위풍시''("이중 기능") 정책을 시행했다.

1970년에 부패에 항의하는 대규모 학생 시위가 발생하자 수하르토는 학생 시위를 법으로 금지시켰고, 1978년에는 대통령의 임기 제한을 철폐해버렸다.[80] 같은 해 1월부터 3월까지는 반정부 대학생들에 대항하기 위해 군대를 보내 반둥 공과대학교 캠퍼스를 점거한 후 학업과 관련없는 캠퍼스 내 정치 활동을 전면 금지시켰다.[80] 1984년에 수하르토 정부는 모든 미디어가 정보부에 의해 언제든지 취소될 수 있는 언론 운영 면허(Surat Izin Usaha Penerbitan Pers, SIUP)를 소유하도록 하는 법을 발표함으로써 언론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했다.[80]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도 '외국인'의 동화를 명분으로 집권 초반부터 인도네시아식으로 들리는 이름을 강제하며 공공 장소에서 중국어 사용, 종교 표현, 중국 문화와 문학을 향유하는 것을 금지했고, 중국어 간행물도 군이 통제하는 신문 1종만 허용했으며, 중국어 학교는 단계적으로 폐쇄되었다.[80] 1978년부터는 중국인들의 대학 입학과 공무원 지원, 여권 등록, 심지어 결혼 등은 시민권 증명서를 보유해야만 가능하게 했다.[80] 화교의 정치적 권리는 제한되고 유교의 존재는 인정되지 않았다.[80]

1982년에 수하르토는 경찰과 인도네시아군에 범죄율을 효과적으로 줄일 근절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했고, 이에 따라 1983년~1985년에 범죄율을 낮춰야 한다며 '신비로운 저격수'라는 뜻의 인도네시아어 'penembak misterius'를 변형한 이름을 붙인, 인도네시아판 엄타인 '페트루스(Petrus) 작전'을 실시했다.[80] 그런데 이 과정에서 공식 수치로만 713명의 사망자가 나올 정도로 보안군에 의한 과도한 초법적 살인이 발생했고, 대중들을 공포에 떨게 하기 위해 대놓고 이들의 시신을 공공장소에 놓는 등 방식이 지나치게 가혹했다.[80] 이 작전은 특히 자카르타와 중부 자바에서 자주 행해졌다.[80]

3. 1. 1. 판차실라 이데올로기 강요

수하르토수카르노의 "구체제"와 대비되는 자신의 "신질서"를 판차실라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한 사회로 홍보했다. 처음에는 판차실라가 준종교적 사교(cult)로 발전할 것을 우려한 이슬람 학자들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으려고 주의를 기울였지만, 1983년 모든 인도네시아 단체가 판차실라를 기본 원칙으로 준수하도록 의무화하는 의회 결의를 확보했다.[28] 그는 또한 초등학생부터 직장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인도네시아인을 위한 필수적인 판차실라 교육 프로그램을 제정했다. 그러나 실제로 판차실라는 모호하여 수하르토 정부는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반대자들을 "반판차실라"로 규탄하는 데 악용했다.[28] 신질서는 또한 군이 인도네시아 정부, 경제 및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드위풍시''("이중 기능") 정책을 시행했다.

3. 1. 2. 드위풍시(Dwifungsi) 정책

1970년에 부패에 항의하는 대규모 학생 시위가 발생하자 수하르토는 학생 시위를 법으로 금지시켰고, 1978년에는 대통령의 임기 제한을 철폐해버렸다.[80] 같은 해 1월부터 3월까지는 반정부 대학생들에 대항하기 위해 군대를 보내 반둥 공과대학교 캠퍼스를 점거한 후 학업과 관련없는 캠퍼스 내 정치 활동을 전면 금지시켰다.[80] 1984년에 수하르토 정부는 모든 미디어가 정보부에 의해 언제든지 취소될 수 있는 언론 운영 면허(Surat Izin Usaha Penerbitan Pers, SIUP)를 소유하도록 하는 법을 발표함으로써 언론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했다.[80]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도 '외국인'의 동화를 명분으로 집권 초반부터 인도네시아식으로 들리는 이름을 강제하며 공공 장소에서 중국어 사용, 종교 표현, 중국 문화와 문학을 향유하는 것을 금지했고, 중국어 간행물도 군이 통제하는 신문 1종만 허용했으며, 중국어 학교는 단계적으로 폐쇄되었다.[80] 1978년부터는 중국인들의 대학 입학과 공무원 지원, 여권 등록, 심지어 결혼 등은 시민권 증명서를 보유해야만 가능하게 했다.[80] 화교의 정치적 권리는 제한되고 유교의 존재는 인정되지 않았다.[80]

1982년에 수하르토는 경찰과 인도네시아군에 범죄율을 효과적으로 줄일 근절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했고, 이에 따라 1983년~1985년에 범죄율을 낮춰야 한다며 '신비로운 저격수'라는 뜻의 인도네시아어 'penembak misterius'를 변형한 이름을 붙인, 인도네시아판 엄타인 '페트루스(Petrus) 작전'을 실시했다.[80] 그런데 이 과정에서 공식 수치로만 713명의 사망자가 나올 정도로 보안군에 의한 과도한 초법적 살인이 발생했고, 대중들을 공포에 떨게 하기 위해 대놓고 이들의 시신을 공공장소에 놓는 등 방식이 지나치게 가혹했다.[80] 이 작전은 특히 자카르타와 중부 자바에서 자주 행해졌다.[80]

3. 1. 3. 학생 운동 탄압

1970년에 부패에 항의하는 대규모 학생 시위가 발생하자 수하르토는 학생 시위를 법으로 금지시켰다.[80] 1978년에는 대통령의 임기 제한을 철폐했으며, 같은 해 1월부터 3월까지는 반정부 대학생들에 대항하기 위해 군대를 보내 반둥 공과대학교 캠퍼스를 점거한 후 학업과 관련없는 캠퍼스 내 정치 활동을 전면 금지시켰다.[80]

3. 2. 경제 개발과 성과

수하르토는 취임 기간 중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고 인도네시아공업 국가로 이끌었다.[80] 신질서를 유지하고 장기적인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수하르토 정부는 대부분 미국에서 교육받은 인도네시아 경제학자들로 구성된, "버클리 마피아"로 불리는 집단을 고용하여 경제 정책에 중대한 변화를 도입했다. 보조금 삭감, 정부 부채 감소, 환율제도 개혁을 통해 1966년 660%에 달했던 인플레이션율을 1969년 19%로 낮추었다. 1967년부터 1968년까지 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쌀 원조가 유입되면서 기근의 위협도 완화되었다.[32] 경제 성장에 필요한 국내 자본이 부족했던 신질서는 수카르노의 경제 자급자족 정책을 뒤집고, 1967년 외국인 투자법을 통해 특정 경제 부문을 외국인 투자에 개방했다. 수하르토는 서유럽과 일본을 방문하여 인도네시아 투자를 유치했다. 인도네시아에 재진출한 최초의 외국 투자자들 중에는 광산업체인 프리포트 설퍼 컴퍼니/인터내셔널 니켈 컴퍼니가 포함되었다. 정부 규제 체계에 따라 국내 기업가들(대부분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이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에 아스트라 그룹과 살림 그룹과 같은 수입 대체 경공업 부문에 등장했다.[33]

1967년부터 정부는 인도네시아 정부 간 그룹(IGGI)에 속한 10개국으로부터 저금리 외국 원조를 확보하여 재정 적자를 메웠다. IGGI 자금과 나중에 발생한 1973년 석유 위기로 인한 석유 수출 수익 증가를 통해 정부는 1969년부터 1998년까지 REPELITA(Rencana Pembangunan Lima Tahun) I부터 VI까지 5개년 계획에 따라 사회기반시설에 투자했다. 공식 경제 밖에서 수하르토는 군부와 그의 가족 구성원이 운영하는 자선 단체("yayasan") 네트워크를 만들어 국내외 기업으로부터 "기부금"을 받고 정부 지원과 허가를 제공했다. 일부 수익은 자선 사업에 사용되었지만, 상당 부분은 정치적 동맹자들에게 보상하고 신질서에 대한 지지를 유지하기 위한 비자금으로 재활용되었다. 1975년 국영 석유 회사인 페르타미나는 수하르토의 측근인 이브누 스토워의 지휘 아래 관리 부실과 부패로 인해 외채를 상환하지 못했다. 정부의 구제 금융으로 국가 부채가 거의 두 배로 증가했다.

수하르토 정권은 30년 동안 지속적인 사회경제적 발전을 통해 지지를 확보했다. 1996년 인도네시아의 빈곤율은 1970년 45%에서 11%로 감소했다. 1966년부터 1997년까지 인도네시아는 연평균 5.03%의 실질 GDP 성장률을 기록하며, 1인당 실질 GDP를 806달러에서 4,114달러로 끌어올렸다. 1966년 제조업 부문은 GDP의 10% 미만을 차지했는데(대부분 석유 및 농업 관련 산업), 1997년에는 GDP의 25%로 증가했고, 수출의 53%가 제조품이었다. 정부는 대규모 인프라 개발에 투자했으며(특히 일련의 팔라파 통신위성 발사), 그 결과 1990년대 중반 인도네시아의 인프라는 중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여겨졌다. 수하르토는 이러한 업적을 이용하여 자신의 대통령직을 정당화하려 했고, 1983년 3월 9일 의회(MPR)는 그에게 "개발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수하르토 정부의 의료 프로그램(예: ''푸스케스마스'' 프로그램)으로 기대수명은 1966년 47세에서 1997년 67세로 증가했고, 영아 사망률은 60% 이상 감소했다. 1973년에 시작된 정부의 ''인프레스'' 프로그램으로 1983년까지 초등학교 취학률이 90%에 달했고 남녀 간 교육 격차는 거의 사라졌다. 농업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으로 인도네시아는 1984년에 쌀 자급자족을 달성했으며, 이는 전례 없는 성과로 1985년 11월 수하르토는 FAO로부터 금메달을 받았다. 1980년대 초 수하르토 정부는 1980년대 석유 과잉 공급으로 인한 석유 수출 감소에 대응하여 인도네시아의 저임금과 일련의 환율 평가절하를 통해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수출 지향적 노동 집약적 제조업으로 경제 기반을 성공적으로 전환했다. 산업화는 주로 화교 인도네시아인 기업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 기업들은 국가 경제를 지배하는 대기업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대기업 중 가장 큰 기업은 살림 그룹(리엠 시오 렁(수도노 살림)가 이끌었음), 시나르 마스 그룹(오이 엑 쫑(에카 팁타 위드자야)가 이끌었음), 아스트라 그룹(치아 한 푼(윌리엄 수리아드자야)가 이끌었음), 립포 그룹(리에 모 티에(목타르 리아디)가 이끌었음), 바리토 퍼시픽 그룹(팡 쥔 펜(프라조고 팡게스투)가 이끌었음), 그리고 누삼바 그룹(밥 하산이 이끌었음)이었다. 수하르토는 소수의 화교 인도네시아인 대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소수 민족이기 때문에 정치적 도전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며, 자신의 경험을 통해 그들이 국가의 실질적인 성장에 필요한 기술과 자본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수하르토의 후원에 대한 대가로, 이러한 대기업들은 그의 "정권 유지" 활동에 중요한 자금을 제공했다.

1980년대 후반 수하르토 정부는 저축을 장려하고 성장에 필요한 국내 자금 조달을 제공하기 위해 금융 부문을 규제 완화하기로 결정했다. 수하르토는 은행 설립 및 신용 확대 요건을 완화한 "1988년 10월 패키지"(PAKTO 88)를 공포했으며, 그 결과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은행 수가 50% 증가했다. 저축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는 국민에게 ''타바나스''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1977년 재개장한 자카르타 증권거래소는 1990년 규제 완화 이후 국내 IPO의 급증과 외국 자금 유입으로 인해 "강세장"을 기록했다. 신용의 갑작스러운 증가는 1990년대 초 경제 성장을 촉진했지만, 금융 부문의 취약한 규제 환경은 1997년의 치명적인 위기의 씨앗을 뿌렸고, 결국 수하르토 대통령직의 종말로 이어졌다.[38] 그러나 독재통치로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했다. 수하르토 집권 기간에는 자녀들과 친인척으로 이루어진 막강한 경제 권력도 구축했고, 수많은 사람을 투옥하거나 처형하는 철권통치를 했으며, 350억 달러에 달하는 부정 축재 문제로 국제 투명성 기구(Tranparency International, TI)는 "20세기에서 가장 부패한 정치인"으로 꼽기도 했다.[80]

3. 2. 1. 쌀 자급자족 달성

수하르토 정부는 농업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한 결과, 인도네시아는 1984년에 쌀 자급자족을 달성하였다. 이는 전례 없는 성과로 1985년 11월 수하르토는 FAO로부터 금메달을 받았다.[80] 1983년 3월 9일 의회(MPR)는 그에게 "개발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3. 2. 2. 산업화 추진

수하르토는 취임 기간 중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고 인도네시아공업 국가로 이끌었다.[80] 1966년부터 1997년까지 인도네시아는 연평균 5.03%의 실질 GDP 성장률을 기록하며, 1인당 실질 GDP를 806달러에서 4,114달러로 끌어올렸다. 1966년 제조업 부문은 GDP의 10% 미만을 차지했는데(대부분 석유 및 농업 관련 산업), 1997년에는 GDP의 25%로 증가했고, 수출의 53%가 제조품이었다. 정부는 대규모 인프라 개발에 투자했으며(특히 일련의 팔라파 통신위성 발사), 그 결과 1990년대 중반 인도네시아의 인프라는 중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여겨졌다. 1983년 3월 9일 의회(MPR)는 그에게 "개발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수하르토 정부의 의료 프로그램으로 기대수명은 1966년 47세에서 1997년 67세로 증가했고, 영아 사망률은 60% 이상 감소했다. 1973년에 시작된 정부의 ''인프레스'' 프로그램으로 1983년까지 초등학교 취학률이 90%에 달했고 남녀 간 교육 격차는 거의 사라졌다. 농업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으로 인도네시아는 1984년에 쌀 자급자족을 달성했으며, 이는 전례 없는 성과로 1985년 11월 수하르토는 FAO로부터 금메달을 받았다. 1980년대 초 수하르토 정부는 1980년대 석유 과잉 공급으로 인한 석유 수출 감소에 대응하여 인도네시아의 저임금과 일련의 환율 평가절하를 통해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수출 지향적 노동 집약적 제조업으로 경제 기반을 성공적으로 전환했다. 산업화는 주로 화교 인도네시아인 기업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 기업들은 국가 경제를 지배하는 대기업으로 발전했다.

가장 큰 대기업은 살림 그룹(리엠 시오 렁(수도노 살림)가 이끌었음), 시나르 마스 그룹(오이 엑 쫑(에카 팁타 위드자야)가 이끌었음), 아스트라 그룹(치아 한 푼(윌리엄 수리아드자야)가 이끌었음), 립포 그룹(리에 모 티에(목타르 리아디)가 이끌었음), 바리토 퍼시픽 그룹(팡 쥔 펜(프라조고 팡게스투)가 이끌었음), 그리고 누삼바 그룹(밥 하산이 이끌었음)이었다. 수하르토는 소수의 화교 인도네시아인 대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소수 민족이기 때문에 정치적 도전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며, 자신의 경험을 통해 그들이 국가의 실질적인 성장에 필요한 기술과 자본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수하르토의 후원에 대한 대가로, 이러한 대기업들은 그의 "정권 유지" 활동에 중요한 자금을 제공했다.

1980년대 후반 수하르토 정부는 저축을 장려하고 성장에 필요한 국내 자금 조달을 제공하기 위해 금융 부문을 규제 완화하기로 결정했다. 수하르토는 은행 설립 및 신용 확대 요건을 완화한 "1988년 10월 패키지"(PAKTO 88)를 공포했으며, 그 결과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은행 수가 50% 증가했다. 저축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는 국민에게 ''타바나스''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1977년 재개장한 자카르타 증권거래소는 1990년 규제 완화 이후 국내 IPO의 급증과 외국 자금 유입으로 인해 "강세장"을 기록했다. 신용의 갑작스러운 증가는 1990년대 초 경제 성장을 촉진했지만, 금융 부문의 취약한 규제 환경은 1997년의 치명적인 위기의 씨앗을 뿌렸고, 결국 수하르토 대통령직의 종말로 이어졌다.[38] 그러나 독재통치로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했다. 수하르토 집권 기간에는 자녀들과 친인척으로 이루어진 막강한 경제 권력도 구축했고, 수많은 사람을 투옥하거나 처형하는 철권통치를 했으며, 350억 달러에 달하는 부정 축재 문제로 국제 투명성 기구(Tranparency International, TI)는 "20세기에서 가장 부패한 정치인"으로 꼽기도 했다.[80]

3. 2. 3. 인프라 확충

수하르토 정부는 30년 동안 지속적인 사회경제적 발전을 통해 지지를 확보했다. 1996년 인도네시아의 빈곤율은 1970년 45%에서 11%로 감소했다. 1966년부터 1997년까지 인도네시아는 연평균 5.03%의 실질 GDP 성장률을 기록하며, 1인당 실질 GDP를 806달러에서 4,114달러로 끌어올렸다. 1966년 제조업 부문은 GDP의 10% 미만을 차지했는데(대부분 석유 및 농업 관련 산업), 1997년에는 GDP의 25%로 증가했고, 수출의 53%가 제조품이었다. 정부는 대규모 인프라 개발에 투자했으며(특히 일련의 팔라파 통신위성 발사), 그 결과 1990년대 중반 인도네시아의 인프라는 중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여겨졌다. 수하르토는 이러한 업적을 이용하여 자신의 대통령직을 정당화하려 했고, 1983년 3월 9일 의회(MPR)는 그에게 "개발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수하르토 정부의 의료 프로그램(예: ''푸스케스마스'' 프로그램)으로 기대수명은 1966년 47세에서 1997년 67세로 증가했고, 영아 사망률은 60% 이상 감소했다. 1973년에 시작된 정부의 ''인프레스'' 프로그램으로 1983년까지 초등학교 취학률이 90%에 달했고 남녀 간 교육 격차는 거의 사라졌다. 농업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으로 인도네시아는 1984년에 쌀 자급자족을 달성했으며, 이는 전례 없는 성과로 1985년 11월 수하르토는 FAO로부터 금메달을 받았다. 1980년대 초 수하르토 정부는 1980년대 석유 과잉 공급으로 인한 석유 수출 감소에 대응하여 인도네시아의 저임금과 일련의 환율 평가절하를 통해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수출 지향적 노동 집약적 제조업으로 경제 기반을 성공적으로 전환했다. 산업화는 주로 화교 인도네시아인 기업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 기업들은 국가 경제를 지배하는 대기업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대기업 중 가장 큰 기업은 살림 그룹(리엠 시오 렁(수도노 살림)가 이끌었음), 시나르 마스 그룹(오이 엑 쫑(에카 팁타 위드자야)가 이끌었음), 아스트라 그룹(치아 한 푼(윌리엄 수리아드자야)가 이끌었음), 립포 그룹(리에 모 티에(목타르 리아디)가 이끌었음), 바리토 퍼시픽 그룹(팡 쥔 펜(프라조고 팡게스투)가 이끌었음), 그리고 누삼바 그룹(밥 하산이 이끌었음)이었다. 수하르토는 소수의 화교 인도네시아인 대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소수 민족이기 때문에 정치적 도전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며, 자신의 경험을 통해 그들이 국가의 실질적인 성장에 필요한 기술과 자본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수하르토의 후원에 대한 대가로, 이러한 대기업들은 그의 "정권 유지" 활동에 중요한 자금을 제공했다.

1980년대 후반 수하르토 정부는 저축을 장려하고 성장에 필요한 국내 자금 조달을 제공하기 위해 금융 부문을 규제 완화하기로 결정했다. 수하르토는 은행 설립 및 신용 확대 요건을 완화한 "1988년 10월 패키지"(PAKTO 88)를 공포했으며, 그 결과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은행 수가 50% 증가했다. 저축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는 국민에게 ''타바나스''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1977년 재개장한 자카르타 증권거래소는 1990년 규제 완화 이후 국내 IPO의 급증과 외국 자금 유입으로 인해 "강세장"을 기록했다. 신용의 갑작스러운 증가는 1990년대 초 경제 성장을 촉진했지만, 금융 부문의 취약한 규제 환경은 1997년의 치명적인 위기의 씨앗을 뿌렸고, 결국 수하르토 대통령직의 종말로 이어졌다.[38]

3. 3. 사회 정책

수하르토는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고 인도네시아공업 국가로 이끌었으나, 독재통치로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했다.[80] 자녀들과 친인척으로 이루어진 막강한 경제 권력을 구축했고, 수많은 사람을 투옥하거나 처형했으며, 350억 달러에 달하는 부정 축재 문제로 국제 투명성 기구는 "20세기에서 가장 부패한 정치인"으로 꼽았다.[80]

1970년 부패에 항의하는 대규모 학생 시위가 발생하자 수하르토는 학생 시위를 법으로 금지시켰다.[80] 1978년에는 대통령의 임기 제한을 철폐하고, 1월부터 3월까지 반정부 대학생들에 대응하기 위해 군대를 보내 반둥 공과대학교 캠퍼스를 점거한 후 학업과 관련없는 캠퍼스 내 정치 활동을 전면 금지시켰다.[80] 1984년에는 모든 미디어가 정보부에 의해 언제든지 취소될 수 있는 언론 운영 면허(Surat Izin Usaha Penerbitan Pers, SIUP)를 소유하도록 하는 법을 발표해 언론 통제를 강화했다.[80]

수하르토는 집권 초반부터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을 '외국인'으로 규정하고 동화 정책을 펼쳤다. 인도네시아식 이름을 강요하고, 공공장소에서 중국어 사용, 종교 표현, 중국 문화와 문학 향유를 금지했다.[80] 중국어 간행물은 군이 통제하는 신문 1종만 허용되었고, 중국어 학교는 단계적으로 폐쇄되었다.[80] 1978년부터는 중국인들의 대학 입학, 공무원 지원, 여권 등록, 심지어 결혼 등에도 시민권 증명서를 요구했다.[80] 화교의 정치적 권리는 제한되었고 유교는 인정받지 못했다.[80]

1982년 수하르토는 경찰과 인도네시아군에 범죄율을 효과적으로 줄일 근절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했다.[80] 이에 따라 1983년~1985년에 '신비로운 저격수'라는 뜻의 인도네시아어 'penembak misterius'를 변형한 이름을 붙인, 인도네시아판 엄타인 '페트루스(Petrus) 작전'을 실시했다.[80] 이 과정에서 공식 수치로만 713명의 사망자가 나올 정도로 보안군에 의한 과도한 초법적 살인이 발생했고, 대중들을 공포에 떨게 하기 위해 이들의 시신을 공공장소에 놓는 등 지나치게 가혹했다.[80]

누적된 문제들이 1997년 금융 위기로 터지자 반정부 시위와 폭동으로 이어졌다. 수하르토는 군부를 동원하여 시위 진압을 하고자 했으나 군부는 진압을 거부했고, 결국 시위에 이기지 못해 1998년에 물러났다.[80]

수하르토는 하야한 후에도 질병을 이유로 기소받지 않았다. 이후 은둔 생활을 하였고, 콩팥과 폐 기능의 이상 등으로 2008년 1월 27일 8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80]

수하르토는 Kopkamtib(치안 및 질서 회복 작전 사령부)와 BAKIN(국가 정보 조정 기관)이 조직한 군대를 이용하여 국내 치안을 무자비하게 유지했다. 군의 영토 시스템을 마을 단위까지 확장했고, 군 장교들은 군의 ''이중 기능(Dwifungsi)''("이중 기능")이라는 명목하에 지역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1969년까지 인도네시아 주지사의 70% 이상과 지역 수장의 절반 이상이 현역 군 장교였다. 1968년 블리타르 지역에서 게릴라 기지를 조직하려던 PKI 잔당을 소탕한 ''오페라시 트리술라(Operasi Trisula)''를 승인했고, 서칼리만탄(1967~1972)에서 공산주의 PGRS-Paraku 반란을 종식시킨 여러 군사 작전을 명령했다. 하산 디 티로가 이끄는 초기 아체 자유 운동 분리주의자들의 1977년 석유 노동자 공격으로 소규모 특수 부대가 파견되어 이 운동의 구성원들을 사살하거나 해외로 도피시켰다. 특히 1981년 3월 수하르토는 방콕의 돈므앙 국제공항에서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 의한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206편 납치 사건을 종식시키는 특수부대 작전을 승인했다.

1968년 수하르토는 높은 인구 증가율을 억제하고 1인당 소득을 증가시키기 위해 매우 성공적인 가족 계획 프로그램(''켈루아르가 베렌탄자나/KB'')을 시작했다. 이 시대의 지속적인 유산은 1972년 8월 17일 수하르토가 선포한 인도네시아어 철자 개혁이다. 영향력 있는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의 동화를 촉진하기 위해 수하르토 정부는 소위 "중국 문제 해결을 위한 기본 정책"의 일환으로 여러 법률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군이 통제하는 중국어 간행물 하나만 계속 허용되었고, 모든 중국 문화 및 종교적 표현(중국어 표기 포함)은 공공 장소에서 금지되었으며, 중국 학교는 압수되어 인도네시아어 공립학교로 바뀌었고, 중국계 인들은 인도네시아식 이름을 사용하도록 강요받았다. 이는 체계적인 문화적 대량 학살을 초래했다. 1978년 정부는 인도네시아 공화국 시민권 증명서(, 또는 SBKRI)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SBKRI는 법적으로 외국계 시민 모두에게 요구되었지만, 실제로는 일반적으로 중국계에게만 적용되었다. 이는 국립 대학교 입학, 공무원 지원, 군 또는 경찰 입대 시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에게 어려움을 초래했다.[31]

3. 3. 1. 가족계획 정책

(섹션 제목 '가족계획 정책'에 해당하는 내용이 `source`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빈 텍스트 출력)

3. 3. 2. 인도네시아어 철자 개혁

수하르토는 집권 초반부터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을 '외국인'의 동화를 명분으로 인도네시아식으로 들리는 이름을 강제하며 공공 장소에서 중국어 사용, 종교 표현, 중국 문화와 문학을 향유하는 것을 금지했다. 중국어 간행물도 군이 통제하는 신문 1종만 허용했으며, 중국어 학교는 단계적으로 폐쇄되었다. 1978년부터는 중국인들의 대학 입학과 공무원 지원, 여권 등록, 심지어 결혼 등은 시민권 증명서를 보유해야만 가능하게 했다. 물론 화교의 정치적 권리는 제한되고 유교의 존재는 인정되지 않았다.

3. 3. 3.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동화 정책

수하르토는 집권 초반부터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을 '외국인'으로 규정하고 동화 정책을 펼쳤다. 인도네시아식 이름을 강요하고, 공공장소에서 중국어 사용, 종교 표현, 중국 문화와 문학 향유를 금지했다.[80] 중국어 간행물은 군이 통제하는 신문 1종만 허용되었고, 중국어 학교는 단계적으로 폐쇄되었다.[80] 1978년부터는 중국인들의 대학 입학, 공무원 지원, 여권 등록, 심지어 결혼 등에도 시민권 증명서를 요구했다.[80] 화교의 정치적 권리는 제한되었고 유교는 인정받지 못했다.[80]

3. 4. 외교 정책

집권 후 수하르토 정부는 냉전에서 중립 정책을 채택했지만, 인도네시아 경제 회복을 위한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서방 진영(일본대한민국 포함)과 은밀히 연합했다. 수하르토의 강력한 반공주의적 입장에 깊은 인상을 받은 서방 국가들은 신속하게 지원을 제공했다. 중국과의 외교 관계는 1967년 10월 9·30사건에 중국이 개입했다는 의혹으로 중단되었고(1990년에야 복원됨), 수하르토에 의한 PKI의 파괴로 소련은 인도네시아에 대한 군사 물자 판매를 금지했다. 그러나 1967년부터 1970년까지 아담 말릭 외무장관은 수카르노가 소련과 다른 동유럽 공산 국가들로부터 떠안았던 막대한 부채를 구조 조정하기 위한 여러 협정을 체결했다. 지역적으로는 1966년 8월 말레이시아와의 대립을 종식시킨 인도네시아는 1967년 8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 이 기구는 베트남 전쟁과 같은 갈등으로부터 자유로운 동남아시아 국가들 간의 평화로운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1974년, 이웃 식민지인 포르투갈령 동티모르는 카네이션 혁명 이후 포르투갈 당국의 철수로 동티모르 내전에 빠져들었고, 좌익 대중주의 정당인 프레틸린()이 승리했다. 미국 대통령 제럴드 포드와 호주 총리 고프 휘틀럼이 인도네시아를 방문했을 때 서방 국가들(포함)의 승인을 얻은 수하르토는 개입을 결정했다. 그는 공산 국가의 수립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동티모르 단체 UDT와 APODETI에 대한 은밀한 지원 시도가 실패한 후, 수하르토는 1975년 12월 7일 식민지에 대한 전면적인 동티모르 침공을 승인했고, 1976년 7월 인도네시아의 27번째 주인 동티모르로 공식적으로 병합했다. 1977년부터 1979년까지의 "포위 및 섬멸" 작전은 프레틸린의 내륙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무너뜨렸지만, 계속되는 게릴라 저항으로 인해 정부는 1999년까지 반도에 강력한 군대를 유지해야 했다. 인도네시아 통치(1974~1999) 기간 동안 동티모르에서 갈등 관련 사망자는 최소 90,800명에서 최대 213,600명에 달했다. 즉, 살해된 사람은 17,600~19,600명이고, 굶주림과 질병으로 인한 '과잉' 사망자는 73,200~194,000명이다. 인도네시아군은 폭력적인 사망의 약 70%를 차지했다.[36]

수하르토 대통령 시절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침공과 동티모르 점령으로 최소 10만 명이 사망했다.[37] 1962년 뉴욕 협정을 준수하기 위해, 이 협정은 1969년 말까지 서이리안의 인도네시아 통합에 대한 국민투표를 요구했고, 수하르토 정부는 1969년 7월~8월에 예정된 소위 "자유선택 행위"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사르워 에디 위보워 지휘하에 RPKAD 특수부대를 파견하여 1963년 인도네시아 점령 이후 정글에서 활동하던 여러 무리의 전 네덜란드 조직 민병대 (''Papoea Vrijwilligers Korps / PVK'')의 항복을 확보하는 한편, 유수프 와난디 지휘하에 가톨릭 자원 봉사자들을 파견하여 소비재를 배포하여 친인도네시아 감정을 조성했다. 1969년 3월, 물류적 어려움과 주민들의 정치적 무지함을 이유로 국민투표가 1,025명의 부족장을 통해 이루어지기로 합의되었다. 위와 같은 전략을 사용하여 국민투표는 인도네시아와의 통합에 대한 만장일치의 결정을 도출했고, 이는 1969년 11월 유엔 총회에서 적절하게 기록되었다.

3. 4. 1. 반공주의와 친서방 외교

수하르토는 취임 기간 중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고 인도네시아공업 국가로 이끌었지만, 독재통치로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했다.[80] 집권 기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을 투옥하거나 처형하는 철권통치를 했으며, 자녀들과 친인척으로 이루어진 막강한 경제 권력을 구축했다.[80] 국제 투명성 기구는 수하르토를 "20세기에서 가장 부패한 정치인"으로 꼽으며, 부정 축재 규모가 350억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80]

1970년 부패에 항의하는 대규모 학생 시위가 발생하자 수하르토는 학생 시위를 법으로 금지시켰다. 1978년에는 대통령 임기 제한을 철폐하고, 1월부터 3월까지 반정부 대학생들에 대응하기 위해 군대를 보내 반둥 공과대학교 캠퍼스를 점거한 후 학업과 관련없는 캠퍼스 내 정치 활동을 전면 금지시켰다. 1984년에는 모든 미디어가 정보부에 의해 언제든지 취소될 수 있는 언론 운영 면허(Surat Izin Usaha Penerbitan Pers, SIUP)를 소유하도록 하는 법을 발표하여 언론 통제를 강화했다.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은 '외국인' 동화를 명분으로 인도네시아식 이름을 강요받고, 공공 장소에서 중국어 사용, 종교 표현, 중국 문화와 문학 향유가 금지되었다. 중국어 간행물은 군이 통제하는 신문 1종만 허용되었고, 중국어 학교는 단계적으로 폐쇄되었다. 1978년부터 중국인들은 대학 입학, 공무원 지원, 여권 등록, 결혼 등에 시민권 증명서를 소지해야 했으며, 화교의 정치적 권리는 제한되고 유교의 존재는 인정되지 않았다.

1982년 수하르토는 경찰과 인도네시아군에 범죄율을 효과적으로 줄일 근절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1983년~1985년에 '신비로운 저격수'라는 뜻의 인도네시아어 'penembak misterius'를 변형한 이름을 붙인, 인도네시아판 엄타인 '페트루스(Petrus) 작전'이 실시되었다. 이 과정에서 공식 수치로만 713명의 사망자가 나올 정도로 보안군에 의한 과도한 초법적 살인이 발생했고, 대중들을 공포에 떨게 하기 위해 이들의 시신을 공공장소에 놓는 등 가혹한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 작전은 특히 자카르타와 중부 자바에서 자주 행해졌다.

1997년 금융 위기로 누적된 문제들이 터지자 반정부 시위와 폭동이 발생했다. 수하르토는 군부를 동원하여 시위 진압을 시도했으나 군부는 진압을 거부했고, 결국 시위에 굴복하여 1998년에 사임했다. 수하르토는 하야 후 질병을 이유로 기소되지 않았고, 은둔 생활을 하다 2008년 1월 27일 87세의 나이로 콩팥과 폐 기능 이상으로 사망했다.

집권 후 수하르토 정부는 냉전에서 중립 정책을 채택했지만, 인도네시아 경제 회복을 위한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서방 진영(일본대한민국 포함)과 은밀히 연합했다. 수하르토의 강력한 반공주의적 입장에 깊은 인상을 받은 서방 국가들은 신속하게 지원을 제공했다. 중국과의 외교 관계는 1967년 10월 9·30사건에 중국이 개입했다는 의혹으로 중단되었고(1990년에야 복원됨), 수하르토에 의한 PKI의 파괴로 소련은 인도네시아에 대한 군사 물자 판매를 금지했다. 그러나 1967년부터 1970년까지 아담 말릭 외무장관은 수카르노가 소련과 다른 동유럽 공산 국가들로부터 떠안았던 막대한 부채를 구조 조정하기 위한 여러 협정을 체결했다. 지역적으로는 1966년 8월 말레이시아와의 대립을 종식시킨 인도네시아는 1967년 8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 이 기구는 베트남 전쟁과 같은 갈등으로부터 자유로운 동남아시아 국가들 간의 평화로운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1974년, 이웃 식민지인 포르투갈령 동티모르는 카네이션 혁명 이후 포르투갈 당국의 철수로 동티모르 내전에 빠져들었고, 좌익 대중주의 정당인 프레틸린()이 승리했다. 미국 대통령 제럴드 포드와 호주 총리 고프 휘틀럼이 인도네시아를 방문했을 때 서방 국가들(포함)의 승인을 얻은 수하르토는 개입을 결정했다. 그는 공산 국가의 수립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동티모르 단체 UDT와 APODETI에 대한 은밀한 지원 시도가 실패한 후, 수하르토는 1975년 12월 7일 식민지에 대한 전면적인 동티모르 침공을 승인했고, 1976년 7월 인도네시아의 27번째 주인 동티모르로 공식적으로 병합했다. 1977년부터 1979년까지의 "포위 및 섬멸" 작전은 프레틸린의 내륙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무너뜨렸지만, 계속되는 게릴라 저항으로 인해 정부는 1999년까지 반도에 강력한 군대를 유지해야 했다. 인도네시아 통치(1974~1999) 기간 동안 동티모르에서 갈등 관련 사망자는 최소 90,800명에서 최대 213,600명에 달했다. 즉, 살해된 사람은 17,600~19,600명이고, 굶주림과 질병으로 인한 '과잉' 사망자는 73,200~194,000명이다. 인도네시아군은 폭력적인 사망의 약 70%를 차지했다.[36]

수하르토 대통령 시절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침공과 동티모르 점령으로 최소 10만 명이 사망했다.[37] 1962년 뉴욕 협정을 준수하기 위해, 이 협정은 1969년 말까지 서이리안의 인도네시아 통합에 대한 국민투표를 요구했고, 수하르토 정부는 1969년 7월~8월에 예정된 소위 "자유선택 행위"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사르워 에디 위보워 지휘하에 RPKAD 특수부대를 파견하여 1963년 인도네시아 점령 이후 정글에서 활동하던 여러 무리의 전 네덜란드 조직 민병대 (''Papoea Vrijwilligers Korps / PVK'')의 항복을 확보하는 한편, 유수프 와난디 지휘하에 가톨릭 자원 봉사자들을 파견하여 소비재를 배포하여 친인도네시아 감정을 조성했다. 1969년 3월, 물류적 어려움과 주민들의 정치적 무지함을 이유로 국민투표가 1,025명의 부족장을 통해 이루어지기로 합의되었다. 위와 같은 전략을 사용하여 국민투표는 인도네시아와의 통합에 대한 만장일치의 결정을 도출했고, 이는 1969년 11월 유엔 총회에서 적절하게 기록되었다.

대통령 취임 후, 친미·친말레이시아·반공(=반중국) 노선으로 외교 정책을 전환하고, 인도네시아를 유엔에 복귀시킨 것은 유럽과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환영받았다. 또한, 1967년에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을 창설하고, 사무국을 자카르타로 유치하는 등,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에 힘썼다.

1974년 4월, 안토니우 살라자르 사후 카네이션 혁명으로 탄생한 포르투갈의 좌파 정권이 해외 영토 포기를 선언하자, 포르투갈령이었던 동티모르에서 여러 세력이 정치 활동을 시작하며 무력 충돌이 발생하여 내전 상태에 빠졌다. 완전 독립파인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이 전국을 장악하고, 1975년 11월 28일에 독립 선언을 발표하자, 수하르토 정권은 이에 무력 개입하여 동티모르를 인도네시아에 병합했다. 또한, 수마트라섬 북서부의 아체 독립 운동에 대해서도 자체 권력 기반인 군대를 투입하여 강경한 태도로 대응했다.

9·30사건의 공산주의자 색출로 인한 국민들의 공포심을 배경으로 수하르토는 자신의 출신 배경인 군부와 기능 집단인 골카르를 지지 기반으로 삼았다. 자신의 측근 군인들을 중앙·지방 행정 기관의 요직에 임명하고, 선거에서는 강압적인 개입과 규제를 통해 골카르의 압승을 연출했다. 또한 1990년대부터는 이슬람 세력에도 접근하여 지지 기반을 강화했다.

국내 독립 운동에 대한 탄압, 민주화 운동가들의 납치·고문, 각지에서 드러나는 학살 사건, 체제를 비판하는 언론에 대한 탄압 등의 인권 침해에 대해서는 해외에서도 강한 비판을 받았다.

국내 독립 운동을 탄압하는 한편, 티엔 여사의 주도로 「Taman Mini Indonesia Indah」(아름다운 미니 인도네시아 공원)를 건설하여 인도네시아 각지의 소수 민족 가옥을 재현하여 전시하고, 소수 민족 문화를 목록화하여 민족학적으로 기록·전시함으로써 민족의 단결과 국민 통합을 도모하는 정책도 보였다.

친족, 측근, 친분이 있는 상인 등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 대한 극단적인 특혜 제공에 대해서는 “KKN(부정부패·유착·연고주의)”이라는 약어가 생겨날 정도로 정권의 부패가 문제시되었다. 실제로, 그의 아내 티엔은 중개 수수료 명목으로 약 10%의 리베이트를 요구하는 것을 풍자하여, ‘마담 티엔 퍼센트’라고 불리기도 했다. 또한, 일본 정부가 장기간 인도네시아에 대해 실시한 ODA(공적개발원조)가 수하르토 일가의 특혜 배분에 이용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특히 수하르토 정권의 혜택을 받은 화교 재벌들은 이후 시민들의 폭동으로 박해의 대상이 된다.[78]

3. 4. 2.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창설 주도

집권 후 수하르토 정부는 냉전에서 중립 정책을 채택했지만, 인도네시아 경제 회복을 위한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서방 진영(일본과 대한민국 포함)과 은밀히 연합했다. 수하르토의 강력한 반공주의적 입장에 깊은 인상을 받은 서방 국가들은 신속하게 지원을 제공했다. 중국과의 외교 관계는 1967년 10월 9·30사건에 중국이 개입했다는 의혹으로 중단되었고(1990년에야 복원됨), 수하르토에 의한 PKI의 파괴로 소련은 인도네시아에 대한 군사 물자 판매를 금지했다. 그러나 1967년부터 1970년까지 아담 말릭(Adam Malik) 외무장관은 수카르노가 소련과 다른 동유럽 공산 국가들로부터 떠안았던 막대한 부채를 구조 조정하기 위한 여러 협정을 체결했다. 지역적으로는 1966년 8월 말레이시아와의 대립을 종식시킨 인도네시아는 1967년 8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 이 기구는 현재 진행 중인 베트남 전쟁과 같은 갈등으로부터 자유로운 동남아시아 국가들 간의 평화로운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3. 4. 3. 동티모르 강제 병합

1974년, 이웃 식민지인 포르투갈령 동티모르는 카네이션 혁명 이후 포르투갈 당국의 철수로 동티모르 내전에 빠져들었고, 좌익 대중주의 정당인 프레틸린(''Frente Revolucionária de Timor-Leste Independente'')이 승리했다.[36] 제럴드 포드 미국 대통령과 고프 휘틀럼 호주 총리가 인도네시아를 방문했을 때 서방 국가들(포함)의 승인을 얻은 수하르토는 개입을 결정했다. 그는 공산 국가의 수립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했다.[36] 동티모르 단체 UDT와 APODETI에 대한 은밀한 지원 시도가 실패한 후, 수하르토는 1975년 12월 7일 식민지에 대한 전면적인 동티모르 침공을 승인했고, 1976년 7월 인도네시아의 27번째 주인 동티모르로 공식적으로 병합했다.[36] 1977년부터 1979년까지의 "포위 및 섬멸" 작전은 프레틸린의 내륙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무너뜨렸지만, 계속되는 게릴라 저항으로 인해 정부는 1999년까지 반도에 강력한 군대를 유지해야 했다.[36] 인도네시아 통치(1974~1999) 기간 동안 동티모르에서 갈등 관련 사망자는 최소 90,800명에서 최대 213,600명에 달했다. 즉, 살해된 사람은 17,600~19,600명이고, 굶주림과 질병으로 인한 '과잉' 사망자는 73,200~194,000명이다. 인도네시아군은 폭력적인 사망의 약 70%를 차지했다.[36]

수하르토 대통령 시절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침공과 동티모르 점령으로 최소 10만 명이 사망했다.[37]

3. 4. 4. 서뉴기니(이리안자야) 통합

(섹션 제목과 관련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없음)

4. 부정부패와 인권 탄압

수하르토의 32년간의 장기 집권은 족벌경영의 폐단이 계속해서 누적되는 과정이었으며, 이는 1998년의 IMF 위기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6][39] 경제 성장과 함께 부정부패, 유착, 그리고 친족 중용(Korupsi, Kolusi, dan Nepotisme / KKN)이 만연하였다.[16][39]

수하르토는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는데, 이들은 모두 수하르토의 정치적 영향력으로 인도네시아의 재벌이 되었다. 수하르토 또한 자선재단을 운영하며 막대한 재산을 축적했다. 수하르토 일가는 항공사, 은행, 방송국, 택시회사 등을 소유하며 인도네시아에서 상당한 경제 권력을 쥐게 되었다. 당시 인도네시아에서는 수하르토 대통령과 그의 자식들이 최대 재벌이자 사업가였기 때문에 최상의 사업 파트너를 찾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

수하르토 일가의 사업체는 수백 개에 달하고 총자산 가치는 4백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텔레비전 및 라디오방송, 상업위성방송, 은행업, 제약회사, 화학공장, 제지, 펄프, 해운, 항공, 호텔, 쇼핑몰, 택시운수, 자동차제조 등 돈이 될 만한 사업은 모두 손대어 해외 언론에서 '수하르토 주식회사'라는 비판을 받았다.

수하르토는 집권 기간 동안 국고에서 최대 400억 달러에 달하는 재산을 빼돌린 것으로 추정된다. 1996년 포브스지는 수하르토의 개인 순자산을 160억 달러로 추정하며 세계에서 4번째로 부유한 사람으로 언급했고,[40] 2004년 국제투명성기구(TI)는 수하르토가 재임 기간 동안 350억 달러를 챙긴 것으로 추정하며 세계 최악의 부패 지도자로 꼽았다.[41] 1999년 5월 24일 타임지는 수하르토 일가가 집권 기간 동안 732.4억 달러를 횡령했다고 보도했다.[40] 수하르토 일가는 동티모르의 약 40%를 포함하여 약 36,000km2의 영토를 보유하고,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1,251개의 국내 기업 주식을 무료로 받았으며, 외국 기업들은 수하르토 가족 기업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도록 권장되었다. 수하르토 일가는 매년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수백만 달러의 '기부금'을 받기도 했다.[16][39]

수하르토의 장녀 시티 하르디얀티 루크마나는 고속도로 통행료를 관리했고,[16][39] 차남 밤방 트리핫모조는 코코아, 목재, 호텔, 텔레비전, 자동차, 쇼핑, 보험 등 다양한 업종의 90여 개 회사를 경영했다. 또 다른 아들은 석유 독점 사업을 했다. 수하르토의 부인은 대규모 기업 거래에 개입하여 10%의 수수료를 받아 '10% 부인'이란 별명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재산은 개인적으로 설립한 재단으로 흘러들어 뇌물로 사용되었다.

1980년대 초, 시티 하르디얀티 루크마나("투투트"), 후토모 만달라 푸트라("토미"), 밤방 트리아트모조 등 수하르토의 자녀들은 탐욕스러운 어른으로 성장했다. 그들의 회사는 정부로부터 수익성 높은 계약을 따냈고, 독점을 통해 시장 경쟁으로부터 보호받았다. 투투트가 독점한 유료 고속도로 시장, 밤방과 토미가 독점한 국가 자동차 프로젝트, 수하르토의 사촌 수드위카트모노가 소유한 21 시네플렉스가 독점한 영화 시장 등이 그 예이다. 수하르토 가족은 자카르타의 100,000m²의 최고급 사무 공간을 포함하여 인도네시아에 약 36,000km²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으며, 동티모르 땅의 거의 40%를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수하르토 가족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국내 기업 1,251개(대부분 수하르토의 중국계 친척들이 운영)의 주식을 무상으로 받았고, 외국계 기업들은 수하르토 가족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맺도록 장려되었다.[16][39]

인도네시아 재벌들은 정권의 특혜를 받아 원자재 수출이나 내수 산업에만 집중했고, 대부분의 제조업 수출은 외국계 기업이 담당했다. 인도네시아의 인건비가 상승하자 이들 외국계 기업들은 낮은 인건비와 더 현대적인 사회기반시설이 있는 중국으로 공장을 이전해 인도네시아 경제를 곤경에 빠트렸다.

2004년 초, 독일의 반부패 비정부기구인 국제 투명성 기구는 지난 20년 동안 가장 부를 축적한 10명의 지도자 목록을 발표했는데, 그중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것은 수하르토와 그의 가족으로, 150억~350억 달러를 횡령한 것으로 추정되었다.[41]

4. 1. KKN(부정부패, 결탁, 족벌주의) 만연

수하르토의 32년간의 장기 집권은 족벌경영의 폐단이 계속해서 누적되는 과정이었으며, 이는 1998년의 IMF 위기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6][39] 경제 성장과 함께 부정부패, 유착, 그리고 친족 중용(Korupsi, Kolusi, dan Nepotisme / KKN)이 만연하였다.[16][39]

수하르토는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는데, 이들은 모두 수하르토의 정치적 영향력으로 인도네시아의 재벌이 되었다. 수하르토 또한 자선재단을 운영하며 막대한 재산을 축적했다. 수하르토 일가는 항공사, 은행, 방송국, 택시회사 등을 소유하며 인도네시아에서 상당한 경제 권력을 쥐게 되었다. 당시 인도네시아에서는 수하르토 대통령과 그의 자식들이 최대 재벌이자 사업가였기 때문에 최상의 사업 파트너를 찾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

수하르토 일가의 사업체는 수백 개에 달하고 총자산 가치는 4백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텔레비전 및 라디오방송, 상업위성방송, 은행업, 제약회사, 화학공장, 제지, 펄프, 해운, 항공, 호텔, 쇼핑몰, 택시운수, 자동차제조 등 돈이 될 만한 사업은 모두 손대어 해외 언론에서 '수하르토 주식회사'라는 비판을 받았다.

수하르토는 집권 기간 동안 국고에서 최대 400억 달러에 달하는 재산을 빼돌린 것으로 추정된다. 1996년 포브스지는 수하르토의 개인 순자산을 160억 달러로 추정하며 세계에서 4번째로 부유한 사람으로 언급했고,[40] 2004년 국제투명성기구(TI)는 수하르토가 재임 기간 동안 350억 달러를 챙긴 것으로 추정하며 세계 최악의 부패 지도자로 꼽았다.[41] 1999년 5월 24일 타임지는 수하르토 일가가 집권 기간 동안 732.4억 달러를 횡령했다고 보도했다.[40] 수하르토 일가는 동티모르의 약 40%를 포함하여 약 36,000km2의 영토를 보유하고,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1,251개의 국내 기업 주식을 무료로 받았으며, 외국 기업들은 수하르토 가족 기업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도록 권장되었다. 수하르토 일가는 매년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수백만 달러의 '기부금'을 받기도 했다.[16][39]

수하르토의 장녀 시티 하르디얀티 루크마나는 고속도로 통행료를 관리했고,[16][39] 차남 밤방 트리핫모조는 코코아, 목재, 호텔, 텔레비전, 자동차, 쇼핑, 보험 등 다양한 업종의 90여 개 회사를 경영했다. 또 다른 아들은 석유 독점 사업을 했다. 수하르토의 부인은 대규모 기업 거래에 개입하여 10%의 수수료를 받아 '10% 부인'이란 별명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재산은 개인적으로 설립한 재단으로 흘러들어 뇌물로 사용되었다.

1980년대 초, 시티 하르디얀티 루크마나("투투트"), 후토모 만달라 푸트라("토미"), 밤방 트리아트모조 등 수하르토의 자녀들은 탐욕스러운 어른으로 성장했다. 그들의 회사는 정부로부터 수익성 높은 계약을 따냈고, 독점을 통해 시장 경쟁으로부터 보호받았다. 투투트가 독점한 유료 고속도로 시장, 밤방과 토미가 독점한 국가 자동차 프로젝트, 수하르토의 사촌 수드위카트모노가 소유한 21 시네플렉스가 독점한 영화 시장 등이 그 예이다. 수하르토 가족은 자카르타의 100,000m²의 최고급 사무 공간을 포함하여 인도네시아에 약 36,000km²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으며, 동티모르 땅의 거의 40%를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수하르토 가족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국내 기업 1,251개(대부분 수하르토의 중국계 친척들이 운영)의 주식을 무상으로 받았고, 외국계 기업들은 수하르토 가족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맺도록 장려되었다.[16][39]

인도네시아 재벌들은 정권의 특혜를 받아 원자재 수출이나 내수 산업에만 집중했고, 대부분의 제조업 수출은 외국계 기업이 담당했다. 인도네시아의 인건비가 상승하자 이들 외국계 기업들은 낮은 인건비와 더 현대적인 사회기반시설이 있는 중국으로 공장을 이전해 인도네시아 경제를 곤경에 빠트렸다.

2004년 초, 독일의 반부패 비정부기구인 국제 투명성 기구는 지난 20년 동안 가장 부를 축적한 10명의 지도자 목록을 발표했는데, 그중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것은 수하르토와 그의 가족으로, 150억~350억 달러를 횡령한 것으로 추정되었다.[41]

4. 2. 페트루스(Petrus) 작전

4. 3. 탄중프리옥 학살

4. 4. 동티모르와 아체에서의 인권 유린

대통령 취임 후, 안토니우 살라자르 사후 카네이션 혁명으로 탄생한 포르투갈의 좌파 정권이 해외 영토 포기를 선언하자, 포르투갈령이었던 동티모르에서 내전이 발생하였다. 완전 독립파인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이 전국을 장악하고, 1975년 11월 28일에 독립 선언을 발표하자, 수하르토 정권은 이에 무력 개입하여 동티모르를 인도네시아에 병합했다. 또한, 수마트라섬 북서부의 아체 독립 운동에 대해서도 자체 권력 기반인 군대를 투입하여 강경하게 대응했다.

국내 독립 운동에 대한 탄압, 민주화 운동가들의 납치·고문, 각지에서 드러나는 학살 사건, 체제를 비판하는 언론에 대한 탄압 등의 인권 침해에 대해서는 해외에서도 강한 비판을 받았다.[78]

5. 몰락과 퇴진 (1998)

1997년 이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통화 위기(아시아 금융 위기)가 발생했고, 인도네시아에서도 통화 루피아의 급격한 가치 하락[79] 및 IMF 특별 융자 등의 영향으로 주민들의 생활이 큰 타격을 입었다.

수하르토 정권은 상황을 타개하지 못하면서, 정권에 대한 불만이 급속도로 고조되었고, 약 30년간 지속된 장기 집권 기간 동안 잠재되어 있던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한 불만은 전 대통령 수카르노의 장녀 메가와티가 이끄는 투쟁 민주당에 대한 지지로 이어졌다.

국민들의 불만에도 불구하고 1998년 3월 11일, 수하르토는 대통령 7선에 성공했지만, 이때 국민들의 불만은 정점에 달했다. 수도 자카르타에서는 대학생들의 반정부 시위가 일반 시민들까지 끌어들여 거리를 가득 채웠고, 일부는 폭도로 변질되었다. 시위는 지방 도시로까지 확산되었고, 정부 내부에서도 수하르토의 사퇴 요구가 높아졌다. 이러한 압력에 굴복한 수하르토는 5월 21일 대통령직 사퇴를 선언하고, 당시 부통령이었던 하비비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1998년 5월 21일 메르데카 궁전에서 사임 연설을 하는 수하르토. 그의 왼편에는 부통령이자 후임자인 하비비가 서 있다.


이후 "수하르토 정치 청산"이 진행되면서, 수하르토의 셋째 아들 토미와 정치 재벌 밥 하산은 부정부패 혐의로 체포되어 실형을 선고받았다. 수하르토 자신도 기소되었지만, 2006년 5월 고령과 질병을 이유로 재판은 중단되었다. 하지만 2007년 7월 최고 검찰청이 제기한 14억 달러(약 1500억 엔) 상당의 부정 축재 환수 및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민사소송은 수하르토가 사망한 현재까지도 계류 중이다.

1999년 7월 뇌졸중으로 쓰러진 이후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다가, 2008년 1월 4일 건강이 악화되어 재입원했다. 전신 부종과 심 기능 저하 진단을 받고, 약 3주 후인 1월 27일 다장기 부전으로 자카르타 시내 병원에서 사망했다. 라우 산의 아스타나 기리반군에 매장되었다.

5. 1.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인도네시아에 가장 큰 타격을 주었다.[44] 1997년 중반부터 대규모 자본 유출이 발생하여 미국 달러 대비 인도네시아 루피아 환율이 급락했다. 많은 인도네시아 기업들은 부실한 은행 대출 관행으로 인해 미국 달러로 대출을 받았지만, 수입은 주로 인도네시아 루피아로 얻었다. 루피아 가치 하락은 기업들이 달러를 매수하게 만들었고, 인도네시아 루피아 가치는 1998년 초 위기 이전 수준인 2,600루피아에서 약 17,000루피아까지 폭락했다.[44] 그 결과, 많은 기업이 파산했고 경제는 13.7%나 축소되어 전국적으로 실업과 빈곤이 급증했다.[44]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의 루피아 방어 노력은 실패했고, 오히려 국가의 달러 외환 보유고만 고갈시켰다. 1997년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수하르토는 국제통화기금(IMF)과 세 차례의 양해각서(LOI)에 서명하여 경제 개혁을 시작했다.[44] 1998년 1월, 정부는 금융 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긴급 유동성 지원(BLBI)을 제공하고, 은행 예금에 대한 전면적인 보증을 발행하며, 부실 은행의 경영권을 인수하는 인도네시아 은행 구조조정 기관을 설립했다.[44] IMF 권고에 따라 1998년 2월 기준금리를 연 70%까지 인상했지만, 이는 경기 위축을 더욱 악화시켰다.[44]

1997년 12월, 수하르토는 경미한 뇌졸중으로 아세안 정상회의에 처음으로 불참하여 건강과 대통령직의 미래에 대한 추측을 불러일으켰다.[44] 위기가 인도네시아를 휩쓸고 약 1,500억 달러의 자본이 유출되자, 그는 기자 회견에서 국민들에게 정부와 루피아를 신뢰하라고 촉구했다.[44]

그러나 그의 노력은 거의 효과가 없었다. 그의 가족과 측근들은 IMF 개혁의 가장 엄격한 요구 사항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와 그의 리더십에 대한 신뢰를 더욱 약화시켰다.[44] 경제 붕괴와 함께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었다. 시투본도(1996), 타식말라야(1996), 반자르마신(1997), 마카사르(1997)에서 반중 폭동이 발생했고, 1997년 중앙 칼리만탄에서는 다야크족과 마두라족 정착민 사이에 격렬한 종족 충돌이 발생했다.[44] 골카르당은 부정 선거로 치러진 1997년 인도네시아 선거에서 승리했고, 1998년 3월 수하르토는 만장일치로 5년 임기를 더 연임했다. 그는 자신의 측근인 B. J. 하비비를 부통령으로 지명하고, 장녀인 투투트를 사회부 장관으로 임명하는 등 자신의 가족과 사업 관계자들로 제7차 개발 내각을 채웠다. 이러한 임명과 정부의 비현실적인 1998년 예산은 통화 불안정을 야기했고,[45] 소문과 공황으로 상점 매진 사태가 벌어져 물가가 급등했다.[45]

1997년 이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통화 위기(아시아 금융 위기)가 발생했고, 인도네시아에서도 통화 루피아의 급격한 가치 하락[79] 및 IMF 특별 융자 등의 영향으로 주민들의 생활이 큰 타격을 입었다.

5. 2. 민주화 요구 시위 확산

1997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통화 위기가 발생했고, 인도네시아에서도 통화 루피아의 급격한 가치 하락[79] 및 IMF 특별 융자 등의 영향으로 주민들의 생활이 큰 타격을 입었다. 수하르토 정권은 상황을 타개하지 못하면서, 정권에 대한 불만이 급속도로 고조되었고, 약 30년간 지속된 장기 집권 기간 동안 잠재되어 있던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한 불만은 전 대통령 수카르노의 장녀 메가와티가 이끄는 투쟁 민주당에 대한 지지로 이어졌다.

수하르토가 국가의 심각한 경제 및 정치 위기의 원흉으로 여겨짐에 따라, 아미엔 라이를 포함한 저명한 정치인들이 그의 대통령직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고, 1998년 1월에는 대학생들이 전국적인 시위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1998년 3월 11일, 수하르토는 대통령 7선에 성공했지만, 이때 국민들의 불만은 정점에 달했다. 수도 자카르타에서는 대학생들의 반정부 시위가 일반 시민들까지 끌어들여 거리를 가득 채웠고, 일부는 폭도로 변질되었다. 시위는 지방 도시로까지 확산되었고, 정부 내부에서도 수하르토의 사퇴 요구가 높아졌다. 위기는 1998년 5월 12일 수하르토가 이집트를 국빈 방문 중일 때 정점에 달했는데, 당시 보안군이 자카르타 트리스악티 대학교의 시위대 4명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며칠 동안 자카르타와 다른 도시에서 발생한 폭동과 약탈로 수천 개의 건물이 파괴되고 1,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망했다. 폭력 사태에서 특히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과 그들의 사업체가 표적이 되었다. 이 폭력의 원인에 대한 이론으로는, 위란토 장군과 육군 전략사령관 중장 프라보워 수비안토 사이의 경쟁과, 수하르토가 위기를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에게 전가하고 학생 운동을 깎아내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자극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5월 16일, 수만 명의 대학생들이 수하르토의 사임을 요구하며 국회 의사당 건물의 부지와 옥상을 점거했다. 자카르타로 돌아온 수하르토는 2003년 사임하고 내각을 개편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그의 정치 동맹 세력이 제안된 새 내각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이러한 노력은 실패했다. 위란토에 따르면, 5월 18일 수하르토는 치안 유지를 위해 어떤 조치라도 취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법령을 발표했지만, 위란토는 주민과의 갈등을 피하기 위해 이 법령을 시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압력에 굴복한 수하르토는 5월 21일 대통령직 사퇴를 선언하고, 당시 부통령이었던 하비비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미 국무부의 문서에 따르면 클린턴 행정부는 수하르토의 실각 이후 인도네시아 군부와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려고 했다.[46]

이후 "수하르토 정치 청산"이 진행되면서, 수하르토의 셋째 아들 토미와 정치 재벌 밥 하산은 부정부패 혐의로 체포되어 실형을 선고받았다. 수하르토 자신도 기소되었지만, 2006년 5월 고령과 질병을 이유로 재판은 중단되었다. 하지만 2007년 7월 최고 검찰청이 제기한 14억 달러(약 1500억 엔) 상당의 부정 축재 환수 및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민사소송은 수하르토가 사망한 현재까지도 계류 중이다.

5. 3. 1998년 5월 폭동

1998년,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루피아 가치가 급락하고 IMF 특별 융자를 받는 등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79] 수하르토 정권은 상황을 타개하지 못하고, 메가와티가 이끄는 투쟁 민주당에 대한 지지 등 국민들의 불만이 커졌다. 아미엔 라이를 포함한 저명한 정치인들이 수하르토의 대통령직에 반대했고, 1998년 1월부터 대학생들이 전국적인 시위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1998년 3월 11일 수하르토는 7선에 성공했지만, 국민들의 불만은 정점에 달했다. 1998년 5월 12일, 수하르토가 이집트를 국빈 방문 중일 때, 보안군이 자카르타 트리스악티 대학교의 시위대 4명을 살해하면서 위기가 정점에 달했다. 이후 며칠 동안 자카르타와 다른 도시에서 폭동과 약탈이 발생하여 수천 개의 건물이 파괴되고 1,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특히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과 그들의 사업체가 폭력 사태의 표적이 되었다. 이 폭력의 원인에 대한 이론으로는, 위란토 장군과 육군 전략사령관 중장 프라보워 수비안토 사이의 경쟁과, 수하르토가 위기를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에게 전가하고 학생 운동을 깎아내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자극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5월 16일, 수만 명의 대학생들이 수하르토의 사임을 요구하며 국회 의사당 건물을 점거했다. 자카르타로 돌아온 수하르토는 2003년 사임하고 내각을 개편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정치 동맹 세력이 새 내각 참여를 거부하면서 실패했다. 1998년 5월 21일, 수하르토는 사임을 발표했고, 부통령 하비비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46]

이후 "수하르토 정치 청산"이 진행되면서, 수하르토의 셋째 아들 토미와 정치 재벌 밥 하산은 부정부패 혐의로 체포되어 실형을 선고받았다.

5. 4. 수하르토의 사임

1998년 5월 21일, 수하르토는 메르데카 궁전에서 사임 연설을 통해 대통령직 사임을 발표했다. 그의 왼편에는 부통령이자 후임자인 하비비가 서 있었다.

1997년 동남아시아 통화 위기 이후 인도네시아 루피아 가치가 급락하고 IMF 특별 융자를 받는 등 경제 상황이 악화되자, 수하르토 정권에 대한 불만이 커졌다. 아미엔 라이를 비롯한 저명한 정치인들이 수하르토의 대통령직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고, 1998년 1월부터 대학생들이 전국적인 시위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1998년 5월 12일, 수하르토가 이집트를 국빈 방문 중일 때 보안군이 자카르타 트리스악티 대학교의 시위대 4명을 살해하면서 위기가 정점에 달했다. 이후 며칠 동안 자카르타 등지에서 폭동과 약탈이 발생하여 수천 개의 건물이 파괴되고 1,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특히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과 그들의 사업체가 폭력 사태의 표적이 되었다. 이 폭력의 원인으로는 위란토 장군과 육군 전략사령관 중장 프라보워 수비안토 사이의 경쟁, 그리고 수하르토가 위기를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에게 전가하고 학생 운동을 깎아내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자극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5월 16일, 수만 명의 대학생들이 수하르토의 사임을 요구하며 국회 의사당 건물을 점거했다. 수하르토는 2003년 사임 및 내각 개편을 제안했으나, 정치 동맹 세력이 새 내각 참여를 거부하면서 무산되었다. 1998년 5월 21일, 결국 수하르토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났고, 부통령 하비비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수하르토의 사임 이후, "수하르토 정치 청산"이 진행되어 그의 셋째 아들 토미와 정치 재벌 밥 하산이 부정부패 혐의로 체포되어 실형을 선고받았다. 수하르토 자신도 기소되었지만, 2006년 5월 고령과 질병을 이유로 재판이 중단되었다. 하지만 2007년 7월 최고 검찰청이 제기한 14억 달러 상당의 부정 축재 환수 및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민사소송은 수하르토 사망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1999년 7월 뇌졸중으로 쓰러진 이후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던 수하르토는 2008년 1월 4일 건강 악화로 재입원하여, 1월 27일 다장기 부전으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라우 산의 아스타나 기리반군에 매장되었다.

6. 퇴임 이후

수하르토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뒤 자카르타 멘텐(Menteng) 지역의 가족 소유지에서 군인들의 보호를 받으며 은둔 생활을 했고, 공개 석상에는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47] 1998년 미국 국방장관 윌리엄 코헨과 함께 찍은 사진이 있다.

1998년 수하르토와 당시 미국 국방장관 윌리엄 코헨
수하르토의 가족들은 그의 부패 혐의 조사를 막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47] 1999년 5월, 타임 아시아는 수하르토 일가의 재산을 현금 150억 달러, 주식, 기업 자산, 부동산, 보석 및 미술품 등으로 추정했다.[48] 수하르토는 이 기사에 대해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지만, 인도네시아 대법원은 2007년 9월 10일 수하르토에게 타임 아시아 잡지에 1조 루피아(1억 2,859만 달러)를 지급하라고 판결했다.[48]

국제 투명성 기구는 수하르토가 32년간의 재임 기간 동안 150억~350억 달러를 횡령한 혐의로 부패 지도자 목록에서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고 발표했다.[16][39] 2000년 5월 29일, 인도네시아 당국은 수하르토의 부패 혐의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면서 그를 가택 연금했다.[49] 2000년 7월, 그는 정부 기부금 5억 7,100만 달러를 횡령하여 가족 투자에 사용한 혐의로 기소될 예정이었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재판은 불가능했다.[49] 2008년 3월 26일, 민사 법원은 수하르토에게 부패 혐의는 무죄로 판결했지만, 그의 자선 재단에 1억 1,000만 달러를 지불하도록 명령했다.[49]

수하르토의 아들 토미 수하르토는 2002년 판사 살해 교사 등의 혐의로 1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2006년 가석방되었다.[50] 수하르토의 이복형제 프로보수테조는 2003년 부패 혐의로 4년형을 선고받았으나, 이후 감형되었다가 다시 원상 복구되었다.[51][52][53] 2007년 7월 9일, 인도네시아 검찰은 수하르토를 상대로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54]

수하르토는 퇴임 이후 뇌졸중, 심장 및 장 질환으로 여러 차례 입원했다.[55] 2006년, 법무장관은 그의 건강 상태와 재판 출석 가능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의사 팀을 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5][56] 2008년 1월 4일, 수하르토는 건강 악화로 병원에 후송되었고, 1월 27일 사망했다.[57][58][59][60][61][62]

사망 직후,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은 수하르토를 "최고의 아들" 중 한 명으로 선포하고 전 대통령에게 최고의 존경과 명예를 표할 것을 요청했다.[63] 수하르토의 시신은 중앙 자바의 아스타나 기리방군 묘역에 안장되었으며, 장례식에는 유도요노 대통령을 비롯한 많은 인사들이 참석했다.[64][65] 유도요노 대통령은 수하르토의 사망일부터 1주일간 공식적인 애도 기간을 선포하고, 이 기간 동안 모든 인도네시아 국기를 반기로 게양하도록 지시했다.[66]

7. 가족

수하르토는 시티 하티나와 결혼하여 슬하에 시티 하디얀티 하스투티, 시깃 하르조주단토, 밤방 트리핫모조, 시티 헤디야티 하리야디, 후토모 만달라 푸트라, 시티 후타미 엔당 아디닝시 등 6명의 자녀를 두었다.

8.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98년 선거인도네시아의 대통령2대골카르단독후보무투표1위
25px


참조

[1] 웹사이트 Penasaran Tidak, Berapa Sih Tinggi Badan Semua Presiden Indonesia https://bertuahpos.c[...] 2020-11-24
[2] 웹사이트 Sekondan Soeharto di Pusaran G30S/PKI https://news.detik.c[...] 2019-09-30
[3] 웹사이트 Obituary: Suharto, former Indonesian dictator: 1921–2008 https://www.theguard[...] 2008-01-28
[4] 웹사이트 Is Indonesia's Reformasi a success, 20 years after Suharto? https://www.scmp.com[...] 2018-05-19
[5] 뉴스 Suharto Dies at 86; Indonesian Dictator Brought Order and Bloodshed https://www.nytimes.[...] 2008-01-28
[6] 서적 The Fall of Soeharto C. Hurst and Co. 1998
[7] 웹사이트 Indonesia Again Silences 1965 Massacre Victims https://www.hrw.org/[...] 2017
[8] 서적 Akar saya dari desa (My village roots) 1989
[9] 잡지 Mulls Indonesia Court Ruling http://www.time.com/[...] 2007-09-11
[10] 뉴스 Suharto dead at 86 https://www.theglobe[...] 2008-01-27
[11] 서적 Altering Authoritarianism: Institutional Complexity and Autocratic Agency in Indonesi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2] 학회발표 Does Social Capital Promote Industrialization? Evidence from a Rapid Industrializer 2005-01
[13] 뉴스 No End to Ambition http://www.smh.com.a[...] 2008-01-28
[14] 웹사이트 Ini 7 Julukan Presiden Indonesia, Dari Soekarno Sampai Jokowi : Okezone Edukasi https://edukasi.okez[...] 2022-11-28
[15] 서적 Global Corruption Report 2004: Political Corruption by Transparency International – Issue https://issuu.com/tr[...] Pluto Press 2004
[16] 뉴스 Suharto tops corruption rankings http://news.bbc.co.u[...] 2004-03-25
[17] 웹사이트 Dari 1965 hingga slogan 'piye kabare enak jamanku toh': Suharto dibenci, Suharto dirindukan (In Indonesian) https://www.bbc.com/[...] 2018-05-24
[18] 웹사이트 Revealing the Ultimate 2020 List: The 10 Most Corrupt Politicians in the World – The Sina Times https://www.sinatime[...] 2020-01-03
[19] 웹사이트 Pro Kontra Soeharto Pahlawan Nasional http://www.triaspoli[...] 2016-05-26
[20] 서적 Politics and the Press in Indonesia Psychology Press 2003
[2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U.S. Diplomacy since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7-09-10
[22] 뉴스 Tempo Tempo (Jakarta) 1974-11-11
[23] 웹사이트 Sejarah: Kostrad http://kostrad.mil.i[...]
[24] 서적 The Sukarno file, 1965–1967 : chronology of a defeat Yayasan Obor 2006
[25] 학술지 Unresolved Problems in the Indonesian Killings of 1965–1966 2002
[26] 서적 2002
[27] 서적 2002
[28] 서적 Soeharto's New Order and its Legacy: Essays in honour of Harold Crouch http://epress.anu.ed[...] The Anu E Press 2010
[29] 웹사이트 Beban Sejarah Umat Islam Indonesia http://www.pikiran-r[...]
[30] 이미지 Ford, Kissinger, Indonesian President Suharto - July 5, 1975(Gerald Ford Library)(1553151).pdf
[31] 서적 Tionghoa dalam Cengkeraman SBKRI Visimedia 2008
[32] 학술지 The New Order and the Economy 1967-04
[33] 서적 2018
[34] 뉴스 Farewell to Jakarta's Man of Steel http://www.theaustra[...] 2008-01-28
[35] 웹사이트 How Did Suharto Steal $35 Billion? http://www.slate.com[...] 2004-03-26
[36] 웹사이트 The Profile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Timor-Leste, 1974–1999 http://www.hrdag.org[...] Human Rights Data Analysis Group (HRDAG) 2006-02-09
[37] 웹사이트 The Profile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Timor-Leste, 1974–1999 http://www.hrdag.org[...] Human Rights Data Analysis Group (HRDAG) 2006-02-09
[38] 웹사이트 Bank Indonesia http://www.bi.go.id/[...] Bi.go.id 2014-11-28
[39] 웹사이트 Global Corruption Report http://www.transpare[...]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9-08-06
[40] 서적 Oligarc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41] 보도자료 Plundering politicians and bribing multinationals undermine economic development, says TI http://www.transpare[...]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4-03-25
[42] 서적 Wars Within: The Story of Tempo, an Independent Magazine in Soeharto's Indonesia Equinox Publishing 2005
[43] 서적 Indonesian Politics in Crisis: The Long Fall of Suharto, 1996-1998 NIAS Press 1999
[44] 웹사이트 Indonesia: Country Brief http://web.worldbank[...] The World Bank 2006-09
[45] 문서
[46] 웹사이트 US Promoted Close Ties to Indonesian Military as Suharto's Rule Came to an End in Spring 1998 https://nsarchive.gw[...] National Security Archive 2018-07-24
[47] 웹사이트 Rekaman Habibie-Ghalib http://www.minihub.o[...] Minihub.org 2013-12-06
[48] 뉴스 Suharto wins $128m in damages http://www.news.com.[...] 2007-09-10
[49] 뉴스 Suharto charity told to pay $110 m http://news.bbc.co.u[...] 2008-03-27
[50] 뉴스 Tommy Suharto freed from prison http://news.bbc.co.u[...] 2006-10-30
[51] 뉴스 Suharto's half-brother fined, jailed for four years https://mobile.abc.n[...] 2005-11-29
[52] 뉴스 Probosutedjo dipenjara http://www.bbc.co.uk[...] BBC Indonesia 2005-11-30
[53] 뉴스 Probosutedjo Dijebloskan ke Cipinang https://www.liputan6[...] Liputan6.com 2005-11-30
[54] 뉴스 Civil suit filed against Suharto http://news.bbc.co.u[...] 2007-07-09
[55] 뉴스 Former Indonesian dictator unfit to stand trial— doctor http://www.smh.com.a[...] 2006-04-23
[56] 뉴스 Jakarta makes final attempt to pursue Suharto charges http://news.ft.com/c[...] 2006-04-28
[57] 뉴스 Indonesia's ailing Suharto 'getting worse': doctors http://www.arabtimes[...] 2008-01-05
[58] 뉴스 Suharto condition 'deteriorating' http://news.bbc.co.u[...] 2008-01-08
[59] 뉴스 Suharto's health deteriorates, infection spreads https://www2.irrawad[...] 2008-01-23
[60] 뉴스 Indonesia ex-leader Suharto dies http://news.bbc.co.u[...] 2008-01-27
[61] 웹사이트 Suharto has multiple organ failure https://www.aljazeer[...] 2008-01-14
[62] 웹사이트 Suharto Dies at 86; Indonesian Dictator Brought Order and Bloodshed https://www.nytimes.[...] 2008-01-28
[63] 뉴스 Soeharto Meninggal, SBY Batalkan Kunjungan Ke Bali https://m.tempo.co/r[...] Tempo 2008-01-27
[64] 웹사이트 — Presiden Tiba di Astana Giribangun http://www.tempointe[...] Tempointeraktif.com 2009-08-09
[65] 잡지 Indonesia Bids Farewell to Suharto http://content.time.[...] 2008-01-29
[66] 웹사이트 Geoff Thompson, ''Suharto's body arrives home'', ABC News January 27, 2008 http://www.abc.net.a[...] ABC 2008-01-27
[67] 웹사이트 MPR Cabut Nama Soeharto dari Tap MPR 11/1998 soal KKN, Ini Alasannya https://news.detik.c[...]
[68] 웹사이트 Soeharto ODM https://gmic.co.uk/t[...] 2011-07-10
[69] 웹사이트 Daftar WNI yang Menerima Tanda Kehormatan Republik Indonesia Tahun 1959–sekarang https://cdn.setneg.g[...] Kementerian Sekretariat Negara Republik Indonesia 2020-01-07
[70] 웹사이트 Daftar WNI yang Mendapat Tanda Kehormatan Bintang Mahaputera tahun 1959 s.d. 2003 https://cdn.setneg.g[...]
[71] 웹사이트 Sito web del Quirinale: dettaglio decorato http://www.quirinale[...]
[72] 웹사이트 Elenco dei premiati dell'anno 1997. http://www.v1.sahist[...] 2019-09-19
[73] 웹사이트 Bollettino Ufficiale di Stato https://www.boe.es/b[...]
[74] 웹사이트 Penghargaan – Situs Web Kepustakaan Presiden-Presiden Republik Indonesia https://kepustakaan-[...] 2023-04-13
[75] 웹사이트 Tempat Kelahiran Soeharto Kini Lebih Hidup https://news.okezone[...] 2021-10-12
[76] 웹사이트 Lima Aktor Pemeran Soeharto https://historia.id/[...] 2024-02-27
[77] 서적 じゃかるた新聞 2014
[78] 뉴스 ジャカルタ暴動 「経済を支配」華人標的に https://www.nikkei.c[...] 2017-01-15
[79] 웹사이트 アジア通貨危機の背景とその影響 3. 7~9月のアセアン諸国の為替対策措置 https://www.jri.co.j[...] 1997-10-01
[80] 뉴스 조선일보 2008년 1월 28일 자, " 피의 개발독재… '부패·학살자' 낙인 - ● 사망한 인도네시아 수하르토 前대통령" https://web.archive.[...] 2008-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