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민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민해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기 동독의 해군으로, 1960년 독립 부대로 창설되었다. 소련의 지원을 받아 해안경비함, 어뢰정 등을 도입하고,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과 함께 해안 국경 경찰 여단을 흡수했다. 1970년대 18,000명 규모로 성장했으며, 1988년 폴란드 해군과 분쟁을 겪기도 했다. 독일 재통일 이후 1990년 해체되었고, 일부는 독일 해군에 통합, 나머지는 폐기되거나 매각되었다. 주요 임무는 발트해에서 NATO에 대항하는 것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독 - 울브리히트 독트린
  • 동독 - 인민경찰
    인민경찰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동독에서 설립된 중앙 경찰 조직으로, 초기 어려움을 겪었으나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당원 비율이 높아졌고, 일반 경찰 업무 외 국경 보호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다 1990년 독일 통일과 함께 해체되어 독일 연방경찰과 주 경찰에 의해 기능이 계승되었다.
  • 해군 - 싱가포르군
    싱가포르군은 1965년 독립 후 창설되어 징병제를 통해 병력을 충원하며, 육군, 해군, 공군, 디지털 및 정보통신군으로 구성된 동남아시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군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해군 - 대제독
    대제독은 여러 국가 해군의 최고 계급 중 하나로, 국가별 역사, 임명 기준, 역할이 다양하며, 독일 해군에서는 해군 원수에 상당하는 계급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대중 문화 속 픽션 작품에도 등장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인민해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인민 해군 문장
인민 해군 문장
명칭인민 해군
독일어 명칭Volksmarine
약칭VM
영어 명칭People's Navy
창설1956년 3월 1일
해체1990년 10월 2일
국가동독
상위 부대국가인민군
군종해군
역할연안 방어
규모27,000명 (최대)
본부로스토크
군가"Präsentiermarsch der Volksmarine" (인민 해군 행진곡)
인민 해군 군함 깃발 (1960–1990)
인민 해군 군함 깃발 (1960–1990)
인민 해군 보조함 깃발 (1960-1990)
인민 해군 보조함 깃발 (1960-1990)
독일 민주 공화국 깃발
군대 깃발 (1960–1990)
지휘관
사령관펠릭스 셰플러 (1956)
발데마르 베르너 (1957–1959)
빌헬름 엠 (1959–1961, 1963–1987)
하인츠 노이키르헨 (1961–1963)
테오도어 호프만 (1987–1989)
헨드릭 보른 (1989–1990)
역사
주요 전투냉전
기타 전투프라하의 봄
추가 정보
흡수독일 해군(구 서독, 연방 해군)에 흡수됨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와 냉전이 시작되면서, 소련은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의 재무장을 주도했고, 해군 부대도 창설되었다.[2][3] 1950년 초, 소련 해군 장교들의 도움으로 해양경찰 중앙관리본부(Hauptverwaltung Seepolizei)가 창설되었고, 1952년 7월 1일에 인민해양경찰(Volkspolizei–See)로 개칭되었다.[2] 1952년, 인민해양경찰은 1946년에 창설된 독일 국경 경찰 소속 국경 해양 경찰과 통합 및 재조직되어 8,000여 명의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1956년 3월 1일, 국가인민군 창설과 함께 인민해양경찰은 국가인민군 해양 부대로 확대 개편되었고, 당시 병력은 10,000명이었다. 1960년 11월, 해양 부대는 '''인민해군'''으로 명명되어 독립 부대가 되었다.[2] 1961년, 인민해군은 소련으로부터 해안경비함, 어뢰정 등을, 폴란드로부터 헬리콥터와 보조항공기 등 항공전력을 도입하여 함대를 구성했다.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 건설과 함께 해안 국경 경찰 여단(GBK)이 인민해군에 흡수되었다.[2] 1965년, 인민해군은 재편성을 통해 공격 부대와 어뢰정들을 통합한 독립 소함대(제6 소함대)를 창설하고 뤼겐 섬에 기지를 두었다. 1970년대에 인민해군은 18,000명 규모로 성장했고, 1980년대에는 일부 함정이 소련제 전폭기로 대체되었다.

1985년 10월 1일, "발토프스 '85" 훈련에 참가한 NATO 함정을 관찰하는 코니급 프리깃함 "베를린-동독의 수도"


1988년, 동독과 폴란드 간 해상 분쟁으로 폴란드 인민공화국 해군과 적대적인 대치를 하기도 했으나, 후속 협상에서 분쟁 해역의 3분의 2가 동독에 할양되었다.[2][3]

1990년 10월 2일, 독일 재통일에 따라 인민해군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2] 일부 인원은 독일 해양경찰에 흡수되었고, 대부분의 함선과 항공기는 폐기되거나 판매되었다.[2] 활동이 허가된 함정은 연방 해군이 구 인민해군 사령부에 설치한 로스토크 해군 사령부(Marinekommando Rostock) 휘하의 소함대로 통합되었다. 장교를 제외한 일부 병사는 연방 해군에 잔류하는 것이 허용되었으며, 제6 국경 연안 여단의 병사도 연방 국경 경비대에 잔류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주력이었던 파르힘급 코르벳 16척과 14척, 9척, 총 39척의 소형 함정은 인도네시아 해군에 매각되었다. 1990년 11월 14일에는 독일 연방 공화국이 비준한 독일-폴란드 국경 조약에 의해 독일-폴란드 간의 국경이 재획정되었다.

2. 1. 창설 배경 (1945-1960)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와 냉전이 시작되면서, 소련은 독일 민주 공화국 (GDR)의 재무장을 시작했다. 1950년 소비에트 해군 장교들은 해양경찰 중앙관리본부(Hauptverwaltung Seepolizei) 창설을 도왔고, 1952년 7월 1일에 인민해양경찰(Volkspolizei–See)로 개칭되었다.[2] 1946년에 창설된 독일 국경 경찰 소속 국경 해양 경찰과 인민해양경찰이 통합 및 재조직되면서 1952년에 8000여명의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2]

1956년 3월 1일, 국가인민군이 창설되면서 인민해양경찰은 국가인민군 해양 부대로 확대 개편되어, 창설 당시 100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1960년 11월, 해양 부대는 '''인민해군'''으로 확대되면서 본격적인 독립부대가 되었다.[2] 다음해인 1961년에 인민해군은 함선들을 보유하게 되었는데 해안경비함,일티스급 어뢰정들이 소련에 의해 조달되었고 헬리곱터와 보조항공기와 같은 항공전력은 폴란드에서 구매했다.[2]

2. 2. 발전과 재편 (1961-1989)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냉전이 시작되면서, 소련은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의 재무장을 주도했고, 해군 부대도 창설되었다.[2][3] 1950년 초, 소련 해군 장교들의 도움으로 해양경찰 중앙관리본부(Hauptverwaltung Seepolizei)가 창설되었고, 1952년 7월 1일에 인민해양경찰(Volkspolizei–See)로 개칭되었다.[2] 1952년, 인민해양경찰은 1946년에 창설된 독일 국경 경찰 소속 국경 해양 경찰과 통합 및 재조직되어 8,000여 명의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1956년 3월 1일, 국가인민군 창설과 함께 인민해양경찰은 국가인민군 해양 부대로 확대 개편되었고, 당시 병력은 10,000명이었다. 1960년 11월, 해양 부대는 '''인민해군'''으로 명명되어 독립 부대가 되었다.[2] 1961년, 인민해군은 소련으로부터 해안경비함, 어뢰정 등을, 폴란드로부터 헬리콥터와 보조항공기 등 항공전력을 도입하여 함대를 구성했다.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 건설과 함께 해안 국경 경찰 여단(GBK)이 인민해군에 흡수되었다.[2] 1965년, 인민해군은 재편성을 통해 공격 부대와 어뢰정들을 통합한 독립 소함대(제6 소함대)를 창설하고 뤼겐 섬에 기지를 두었다. 1970년대에 인민해군은 18,000명 규모로 성장했고, 1980년대에는 일부 함정이 소련제 전폭기로 대체되었다.

1988년, 동독과 폴란드 간 해상 분쟁으로 폴란드 인민공화국 해군과 적대적인 대치를 하기도 했으나, 후속 협상에서 분쟁 해역의 3분의 2가 동독에 할양되었다.[2][3] 1990년 10월 2일, 인민해군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고, 일부 인원은 독일 해양경찰에 흡수되었으며, 대부분의 함선과 항공기는 폐기되거나 판매되었다.[4]

2. 3. 해체와 독일 통일 (1990)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냉전의 시작으로, 소련은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의 재무장을 주도했다.[2] 1950년 초, 소련 해군 장교들의 도움으로 해양경찰 중앙관리본부(Hauptverwaltung Seepolizei)가 창설되었고, 1952년 7월 1일에 인민해양경찰(Volkspolizei–See)로 개칭되었다.[2] 1952년, 인민해양경찰은 약 8,000여 명의 병력을 보유했다.[2]

1956년 3월 1일, 국가인민군 창설과 함께 인민해양경찰은 국가인민군 해양 부대로 확대 개편되어, 10,000여 명의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1960년 11월, '''인민해군'''으로 명칭이 변경되며 정식 독립 부대가 되었다.[2] 1961년, 인민해군은 소련으로부터 해안경비함과 어뢰정을, 폴란드로부터 헬리콥터와 보조항공기 등의 항공전력을 조달받았다.[2]

베를린 장벽 건설 기간인 1961년 8월 13일, 해안 국경 경찰 여단(GBK)이 인민해군에 흡수되었다.[2] 1965년, 공격 부대와 어뢰정을 통합한 독립 소함대(제6 소함대)가 창설되어 뤼겐 섬에 기지를 두었다. 1970년대에 인민해군은 18,000명, 1980년대에는 소련제 전폭기를 일부 함정에 대체하며 전력을 강화했다.

1988년에는 폴란드 인민공화국 해군과 해상 분쟁으로 대립하기도 했으나, 협상을 통해 분쟁 해역의 3분의 2를 동독에 할양받았다.[2][3]

1990년 10월 2일, 독일 재통일에 따라 인민해군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2] 일부 인원은 독일 해양경찰에 흡수되었고, 대부분의 함선과 항공기는 폐기되거나 판매되었다.[2] 활동이 허가된 함정은 연방 해군이 구 인민해군 사령부에 설치한 로스토크 해군 사령부(Marinekommando Rostock) 휘하의 소함대로 통합되었다. 장교를 제외한 일부 병사는 연방 해군에 잔류하는 것이 허용되었으며, 제6 국경 연안 여단의 병사도 연방 국경 경비대에 잔류하는 것이 허용되었다.[7] 주력이었던 파르힘급 코르벳 16척과 14척, 9척, 총 39척의 소형 함정은 인도네시아 해군에 매각되었다[7]。1990년 11월 14일에는 독일 연방 공화국이 비준한 독일-폴란드 국경 조약에 의해 독일-폴란드 간의 국경이 재획정되었다.

3. 조직 및 편제

로스토크에 사령부가 있었으며, 1985년 당시 로스토크-겔스도르프에 위치한 ''Kommando der Volksmarine'' (국민해군 본부)가 인민해군을 지휘했다.[5] 주요 부대는 다음과 같았다:



300px


인민해군은 오랫동안 3개의 함대(Flottille)만 상시 대기시키는 3함대 체제를 유지했다.[14] 초기에는 제3함대, 제7함대, 제9함대가 존재했다. 해산 당시에는 다음과 같은 부대 및 함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육상 부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 어뢰 기술 지원대대(TTK-18) - 자스니츠 (대잠 어뢰 정비)
  • 해군 헬리콥터 비행단(MHG-18) - 슈트랄준트 인근 파로
  • 해군 항공 비행단(MFG-28) - 라게
  • 해군 공병 대대(MPiB-18) - 자스니츠
  • 해군 특수 부대(KSK-18) - 퀠룽스보른
  • 해안 미사일 연대(지상 지원)(KRR-18) - 슈바르첸포스트
  • 해안 방어 연대(지상 지원)(KVR-18) - 로스토크 (1988년부터)
  • 해군 선전 중대(PRK-18) - 로스토크-바르네뮌데
  • 동독 해양 수로국(SHD) - 로스토크
  • 해군 장교 학교 "카를 리프크네히트" (슈트랄준트) (해군 장교 훈련)
  • 해군 부사관 학교 "발터 슈테펜스(Walter Steffens)" (파로) (부사관 및 수병 해군 훈련)
  • 슈트랄준트 인근 댄홀름 지원 부사관 학교 (부사관 기술 훈련)


1985년경에는 제18어뢰 기술 중대, , , 제18해군 공병 대대, 제18수중 전투 코만도, 제18통신 연대, , 제18연안 방위 연대, 제18해군 선전 중대, 제18무선 전자전 대대, 제18탄약 집적소, 제14탄약 집적소, 제18연료 및 윤활유 집적소, 제18수리 기지, 과학 기술 센터, , 제18독립 보안 소대, 각 교육 훈련 시설등도 활동하고 있었다.

교육 훈련 시설에는 , , 후방 요원 부사관 학교등이 있었다.

4. 주요 임무 및 활동

인민해군의 주된 작전 범위는 발트해였으며, 통상적인 임무는 소해함과 전자정보함으로 광역 정찰 활동을 하는 것이었다. 대 NATO 전쟁 시 발트 연안의 적성국에 상륙하는 소련군을 엄호하는 임무를 맡았다. 바르샤바 조약기구 국가들의 ''연합 발트해 함대''에 작전적으로 통합되어, 전쟁 발발 시 소련 증원을 위해 해상로를 열어두고 발트해의 적대국 해안에 대한 공격 작전에 참여하는 것이 주요 임무였다. 이를 위해 대잠수함함, 고속 어뢰정, 기뢰 제거함과 상륙정을 포함한 경량 전력으로 무장했다.

1961년 11월 1일부터 인민해군에 소속된 제6국경여단(해안)은 동독을 탈출하려는 사람들을 감시하는 주된 임무를 맡았기에 해안을 따라 소형 순찰선과 초소들을 배치했다. 제6 연안 국경 여단은 원래 국경 경비대 내에 편성되었지만, 1961년 11월 1일 이후 인민해군의 지휘를 받았다. 이들은 인민해군과 동일한 계급장을 사용했지만, 견장에는 녹색 파이핑이 덧대어졌으며, 모자 띠의 문자는 "Volksmarine"이 아닌 "Grenzbrigade Küste"로 자수되었다.

5. 장비

인민해군은 다음과 같은 장비를 갖추고 있었다.


  • 상륙정, 상륙함
  • 기뢰 부설 함정 및 소해함
  • 고속 어뢰정 (예: 프로젝트 131 "리벨레") 및 미사일정

동독에서 제작된 프로젝트 131 리벨레급 어뢰정

  • 연안 경비정
  • 대잠 구축함
  • 3척의 코니급 호위함 (''로스토크'' (141), ''베를린-하웁트슈타트 데어 DDR'' (142), ''할레'' (143)) - 1980년대에 소련 해군에서 구매

''코니''급 호위함 ''로스토크''

  • 첩보함

정보함 야스문트

  • 훈련함
  • 각종 지원함

프로쉬-2급 지원함


콘도르급 소해함

  • 항공기
  • * 3개 비행대대의 전투 헬리콥터: 밀 Mi-4MÄ 하운드, 밀 Mi-8 힙, Mi-14PL 헤이즈-A, 밀 Mi-14BT 헤이즈-B
  • * 전투 폭격기: 수호이 Su-22M4 피터-K
  • 개인 장비
  • * 소총 (AK-47 등)
  • * 잠수 장비 일식 - 프로그맨이 장비.

6. 역대 사령관

인민해군 사령관기


1956년 해상 전력이 설립되었을 당시에는 "해상 전력 사령관"(Chef der Seestreitkräfte)이라고 불렸다. 1960년11월 3일 해상 전력이 인민해군으로 개명됨에 따라 "인민해군 사령관"(Chef der Volksmarine)으로 개명되었다. 1972년12월 1일부터 인민해군 사령관은 국방 부(副) 장관을 겸임하게 되었고, 정식 직함은 "부(副) 장관인 인민해군 사령관"(Stellvertreter des Ministers und Chef der Volksmarine)이 되었다. 1989년12월 11일에는 다시 직함이 "인민해군 사령관"으로 변경되었으며, 이 명칭 그대로 인민해군 해산을 맞이했다.

인민해군 및 그 전신 조직의 역사상 37명의 제독이 있었다.

성명, 계급임기비고
펠릭스 셰플러 소장1956년 3월 1일 - 1956년 12월 31일
발데마르 베르너 중장1957년 1월 1일 - 1959년 7월 31일
빌헬름 엠 소장1959년 8월 1일 - 1961년 7월 31일
하인츠 노이키르헨 소장1961년 8월 1일 - 1963년 2월 24일
빌헬름 엠 대장1963년 2월 25일 - 1987년 11월 30일
테오도어 호프만 중장1987년 12월 1일 - 1989년 11월 17일
헨드릭 본 중장1989년 12월 11일 - 1990년 10월 2일


7. 문화

인민해군 군악대는 다수의 특별 작곡된 음악 작품을 연주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곡은 루트비히 슈미트가 의식 행사에 사용하기 위해 작곡한 "''인민해군 열병 행진곡''"이다. "''우리 인민해군''" 또한 열병식에 사용하기 위해 작곡되었으며, ''"크론슈타트의 선원들"''은 1926년 소련 해군가 ''"전진, 붉은 해병대"'의 동독식 편곡이었다. 인민해군de을 위해 작곡된 기악곡들은 독일 재통일 이후 사용되지 않았으며, 현대 독일 해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참조

[1] 간행물 Arrangement concerning the carrying of flags, pennants and standards on ships and boats of the People's Navy - Flag array 'of 12 July 1979 , § 2 (3).
[2] 논문 The Border controversy between the Polish People’s Republic and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in the Pomeranian Bay https://iz.poznan.pl[...] 2008
[3] 문서 NRD kontra PRL http://www.polska191[...] 2005
[4] 웹사이트 Indonesia buying 42 East German warships, adding two naval bases https://www.upi.com/[...] 2022-04-15
[5] 웹사이트 Die Nationale Volksarmee und die Grenztruppen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Ende 1988 http://www.relikte.c[...] Alterfritz 2017-02-05
[6] 서적 „Das letzte Kommando“ 1993
[7] 뉴스 „Deutschland an vorderster Front“ http://www.zeit.de/1[...] 1993-03-12
[8] 서적 Fahnenflucht zur See – Die Volksmarine im Visier des MfS Homilius, Berlin 2008
[9] 간행물 Flucht und „Meuterei“, Die Seegrenze der DDR im August 1961 2006-10
[10] 간행물 Begegnungen von Bundesmarine und Volksmarine auf See – Erlebnisberichte von sechs Offizieren der Deutschen Marine 2006-01
[11] 간행물 „Alibaba und die 40 Räuber“ – Die vereitelte Gruppenfahnenflucht mit Entführung des U-Jagdschiffes „474“ der Volksmarine 1967 2003-03
[12] 간행물 Im Visier des MfS: Fahnenfluchten von VM-Angehörigen 2005-06
[13] 간행물 Fahnenfluchtversuch mit U-Jagdschiff der NVA-Volksmarine 2002-06
[14] 서적 Die Generale und Admirale der NVA. Ein biographisches Handbuch. Ch. Links, Berlin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