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민경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민경찰(Volkspolizei)은 1945년 소련군 점령 하 독일에서 창설되어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의 경찰 조직으로 운영되었다. 내무부 산하에서 형사, 철도, 교통, 순찰, 소방 등의 다양한 부서를 관할했으며, 준군사조직인 주둔 인민경찰과 인민경찰 기동대도 포함했다. 인민경찰은 동독의 핵심 무장 기관으로, 슈타지와 국가인민군의 모태가 되었으며, 1990년 독일 통일 과정에서 해체되었다. 인민경찰은 동독의 치안 유지와 범죄 수사를 담당했으며,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에도 참여했다. 인민경찰은 10년의 교육과 정치적 충성심을 요구했으며, 다양한 계급과 복장을 갖추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찰 - 물대포
    물대포는 화재 진압 및 시위 진압에 사용되는 장비로, 독일에서 처음 등장하여 현재는 원격 조작이 가능하며, 분사 압력과 거리에 따라 효과가 다르며, 과도한 사용은 부상을 초래할 수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 경찰 - 현행범
    현행범은 범죄 실행 중이거나 직후인 사람을 뜻하며, 대한민국 형사소송법상 일반인도 영장 없이 체포 가능하나, 체포 필요성과 긴급성이 요구되고 경미한 범죄는 주거불명 또는 도주 우려가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 동독 - 울브리히트 독트린
  • 동독 - 굿바이 레닌
    《굿바이 레닌!》은 동독 붕괴 후 사회주의 신념을 가진 어머니를 위해 아들이 가짜 동독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인민경찰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독일 인민경찰
현지어 명칭Deutsche Volkspolizei
별칭인민경찰, die Grünen
약칭DVP
창설일1945년 10월 31일
해산일1990년
전신질서경찰
후신연방경찰/ 주 경찰 작센, 튀링겐, 작센안할트, 브란덴부르크, 메클렌부르크-포어폼메른, 베를린
본부동베를린
소속 기관내무부
직원 수257,500명
경찰관90,000명 (상근)
자원 봉사자177,500명
모토노동자-농민 권력 보호를 위하여
경찰 여부
지방 여부
차량트라반트, 모스크비치 408, 바르트부르크 353, 라다, Gaz-24, Gaz-21, ZAZ
인민경찰 휘장
인민경찰 휘장
인민경찰 깃발
인민경찰 깃발
기타

2. 역사

인민경찰(Volkspolizei)은 1945년 6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 군정청(SVAG)이 점령한 나치 독일 지역에 중앙 경찰 부대를 설립하면서 사실상 창설되었다.[1]

1945년 10월 31일, SVAG는 지역 경찰의 무장을 승인했다. 1946년에는 인민경찰이 약 2만 2천 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었으나, 비무장화된 부대였다.[1] 당시 경찰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었다. 비전문 인력의 비율이 65~95%에 달해 전문성이 훼손되었고, 초기에는 인력의 이직률이 50%나 될 정도로 높아 인력 안정성에 영향을 미쳤다.[2] 1948년에는 인민경찰의 인원이 약 6만 5천 명으로 증가했지만, 여전히 정치적 신뢰성 부족과 전문성 부족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1949년에 1만 명이 경찰에서 숙청되었고, 그 결과 인민경찰 구성원의 86%가 집권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당원이 되었다.[2]

1949년 5월부터는 공식적으로 독일 인민경찰(Deutsche Volkspolizei)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동독(GDR) 건국 3개월 전이었다.[1]

국가인민군과 인민경찰은 1961년베를린 장벽을 건설했다. 지도부는 “이 장벽이 서독나토 사회에 만연한 부정적인 요소, 특히 파시스트(Fascist)라 불리는 것들로부터 국가를 방어하고 노동자들에게 범죄 없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선언했다.

1990년 독일 통일 과정에서 인민경찰은 해체되었고, 연방경찰(Bundespolizei)과 재건된 연방주인 작센주, 튀링겐주, 작센안할트주, 브란덴부르크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베를린의 (Landespolizei)로 대체되었다.

3. 조직

인민경찰은 중앙 집권적 조직으로 내무부 산하에 있었다. 주요 부서로는 형사과, 철도경찰과, 등록과, 교통경찰과, 경찰 순찰대, 소방과가 있었다.[1] 이 외에도 준군사조직인 주둔 인민경찰이 있었으며, 1956년 국민군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1] 이후 인민경찰 준비대가 주요 준군사 진압 및 반란 진압 부대 역할을 담당했다.

인민경찰의 지역별 조직은 다음과 같았다.


  • 베를린 인민경찰 본부
  • 8개의 경찰 감찰국
  • 수상 경찰 감찰국
  • 14개의 지역 사령부 - 동독 지역별로 하나씩 설치되었으나, 카를-마르크스-슈타트는 제외되었다.
  • 비스무트 AG의 국영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카를-마르크스-슈타트(현재 켐니츠)의 인민경찰 지역 사령부


인민경찰은 국가경찰로서, 내무부 직할이었다. 서독 경찰과 달리 공공봉사에 종속되지 않았고, 인민경찰 경찰관들은 국가와 개인 계약을 체결했으며, 평균 소득 이상의 월급을 받았다.

인민경찰의 주요 부서는 다음과 같다:

  • 형사경찰부
  • 일반경찰부
  • 철도경찰부
  • 교통경찰부
  • 등록관리부


동독 내무부에는 내무부군에 해당하는 군사 부서로서 '''병영부대'''가 편성되었으며, 인민경찰의 신속대응부대인 인민경찰 기동대가 그 주력을 담당했다.

인민경찰 간부위원회 및 지구 사령부는 다음과 같다.

  • 인민경찰 간부위원회 - 베를린
  • 인민경찰 총감부
  • 하천경찰 총감부
  • 지구 사령부 - 칼-마르크스-슈타트를 제외한 동독 14개 행정구
  • 지구 사령부 - 칼-마르크스-슈타트

3. 1. 지휘부

직함이름재임 기간비고
Minister des Innern|내무부 장관de카를 스타인호프1949년–1952년
빌리 슈토프1952년–1955년
Chef der deutschen Volkspolizei|독일 인민경찰 국장de쿠르트 피셔1949년–1950년[2]
카를 마론1950년–1955년[2]
Minister des Innern und Chef der deutschen Volkspolizei|내무부 장관 겸 독일 인민경찰 국장de카를 마론1955년–1963년1955년, 내무부 장관직과 인민경찰 국장직 통합
프리드리히 디켈1963년–1989년최장수 재임
로타르 아렌트1989년


4. 기능 및 역할

인민경찰은 절도나 살인과 같은 범죄 수사, 교통 정리 등 일반적인 치안 유지 업무를 수행했다. 또한 국경 경비, 여권 및 신분 확인, 수송 통제, 중요 건물 및 지역 보호와 같은 업무도 담당했으며, 각 업무는 전문 부서에서 담당했다.

1952년부터는 지역 기반 경찰 활동이 도입되어, 모든 동독 시민에게는 자신만의 "구역 담당관"(Abschnittsbevollmächtigte|압슈니츠베폴메흐티크테de, ABV)이 배정되었다. ABV는 해당 지역의 부서나 전문 분야에 관계없이 해당 구역의 모든 치안 업무를 담당했다. 초기에는 총 5,000개의 ABV 직책이 설치되어 구역당 평균 4,000명의 주민을 담당했으나, 1953년 동독 봉기 이후 구역과 ABV의 수는 거의 두 배로 증가했다. ABV의 목적은 해당 구역 주민과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여 일반적인 치안 업무를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주의 건설 과정에서 국가 권력을 통해 당이 사회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인민경찰의 기능은 노동계급 전투단(Combat Groups of the Working Class)(Kampfgruppen der Arbeiterklasse|캄프그루펜 데어 아르바이터클라세de, KdA)과 같은 조직을 통해서도 확장되었는데, 이들은 공장과 직장 내에 조직된 약 40만 명의 부대였다.

1953년 봉기 이후, 슈타지(Stasi), 인민경찰, 국가인민군 간의 협력이 강화되었다. 세 기관은 국방위원회의 통제하에 당의 지역, 지방 및 중앙 지도부 아래에서 협력했다. 이러한 긴밀한 협력은 1953년부터 1989년까지 동독의 안정 유지에 중요한 요인이었다.

인민경찰은 대부분의 활동을 슈타지(Stasi)라고도 불리는 국가보안부(MfS) 및 부내 국가보안부 협력자에게 보고해야 했다. MfS는 거의 모든 경찰 부대에 첩보원을 파견했으며, 모든 경찰 활동과 수사는 MfS 연락장교(VO)의 감시하에 있었다.

인민경찰은 국가경찰이었으며, 조직적으로는 내무부 직할이었다. 서독 경찰과 달리 공공봉사에 종속되지 않았고, 인민경찰 경찰관들은 각각 국가와 개인 계약을 체결했다.

5. 인력

인민경찰이 되기 위해서는 최소 10년의 교육, 직업 훈련(동독의 교육)을 이수하고 군 복무를 마쳐야 했으며, 정치적 충성심을 보여주는 이력이 필요했다.[1]

입대 후 신병은 인민경찰학교(VP-Schule|인민경찰학교de)에서 5개월 동안 교육을 받았다. 교육 과정에는 정치 교육, 경찰법, 형법 및 절차, 군사식 체력 훈련이 포함되었다. 이후 6개월 동안 현장 실습(인턴십)을 거쳤다.[1]

인민경찰 장교들은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싶은 욕망, 이상주의, 가족 전통, 체제에 대한 믿음, 조국에 봉사하고자 하는 희망 등의 이유로 경찰에 지원했다.[1]

1962년부터 인민경찰은 베를린-비스도르프에 자체 학교를 설립하여 1989년까지 약 3,500명의 장교를 양성했다. 이 외에도 여러 학교들이 존재했다. 막사 부대(Kasernierten Einheiten|막사 부대de)는 자체 훈련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장교들은 처음에는 육군 지상군에서 훈련받았고, 1963년부터는 장교학교에서, 1971년부터는 드레스덴-빌더만의 장교학교에서 훈련을 받았다.[1]

장교 양성 학교는 다음과 같다:

학교명위치비고
Fachschule des MdI "Heinrich Rau"|내무부 "하인리히 라우" 전문학교de라데바울
Fachschule des MdI, "Wilhelm Pieck"|내무부 "빌헬름 피크" 전문학교de아셔슬레벤
Hochschule der VP|인민경찰 대학교de베를린-비스도르프 (체칠리엔슈트라세)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Sektion Kriminalistik|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범죄학과de베를린
Offiziershochschule Bereitschaften "Artur Becker"|대기 부대 장교학교 "아투르 베커"de드레스덴현재 작센 주립 형사청 본부
Schule für Abschnittsbevollmächtigte|구역 대표 학교de볼펜
Schule des Nachrichtenwesens|통신학교de돔미츠
Spezialschule des MdI für Diensthundewesen|내무부 특수견 학교de프레츠 (엘베 강변)
Spezialschule des MdI für medizinische Dienste (im Bezirk Magdeburg)|내무부 의료 서비스 특수학교 (마그데부르크 지역)de마그데부르크
Transportpolizei-Schule|교통경찰학교de할레(잘레)
Verkehrspolizei-Schule "Hans Beimler"|교통경찰학교 "한스 바임러"de마그데부르크
VP-Schule "Ernst Thälmann"|인민경찰학교 "에른스트 텔만"de노이슈트렐리츠1984년부터 중앙 직무 유사 학교



인민경찰은 약 80,000명의 정규 경찰관과 177,500명의 자원봉사자로 구성되었다.[1]

1990년 동독이 서독에 가입하면서 경찰에 대한 권한은 새로 설립된 연방 관할권으로 이관되었고, 인민경찰 직원 중 약 40%가 퇴직했다.[1]

6. 장비

인민경찰이 운행하는 순찰차와 밴은 위쪽은 흰색, 아래쪽은 녹색으로 도색되었고, 측면 및/또는 후드에 인민경찰의 표식이 있었다.

트라반트


모스크비치 408


바르트부르크 353, 라다 1200, 바르카스 (연방경찰 표식)


라다 1500


IFA G5 트럭버스


경찰선


바르카스 B 1000


Garant 30k SK-1

7. 복장

인민경찰의 기본 복장은 회색빛 도는 녹색이었으며, 교통경찰은 감청색을 착용했다. 장교 복장은 일반 사병 복장보다 품질과 질감이 더 좋았다. 인민경찰 복장은 야전복, 근무복, 사복, 연회복 등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었다. 병과별 색상은 초기에는 녹색이었으나 이후 흰색으로 변경되었고, 교통경찰은 파란색을 유지했다. 병영 부대는 녹색 완장을 착용했다.

인민경찰의 복장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류설명특징
야전복 (Felddienstuniformde)기갑인민경찰(Kasernierte Volkspolizeide) 전용국민인민군 근무복과 유사, 야전모/정복모/강철모, 검은색 장화, 가죽 벨트 착용. 겨울에는 누빔 처리된 회색 패딩 수트 착용.
근무복 (Dienstuniformde)장교는 블라우스 재킷 착용 (여름), 셔츠 없이 바지와 모자 착용. 겨울에는 단추 달린 패치 포켓 재킷, 검은색 벨트, 정복모, 승마바지, 셔츠, 넥타이, 벨트, 장화 착용.장교와 부사관 모자에 녹색/은색/금색 파이핑. 겨울에는 긴 벨트 코트 착용.
사복 (Ausgangsuniformde)비번 또는 부대 밖 행사 시 착용정복모, 재킷, 긴 바지, 검은색 로우쿼터 슈즈. 싱글 브레스트 재킷은 벨트 없이 흰색/회색 녹색 셔츠와 녹색 넥타이와 함께 착용. 장교는 흰색 셔츠 착용 가능.
연회복 (Paradeuniformde)장교용, 모든 훈장 착용사복 재킷, 승마바지, 승마 부츠, 강철모/샤코, 흰색 셔츠, 녹색 넥타이, 의식용 단검 (왼쪽 은회색 벨트). 의장대 장교는 사브르 휴대. 겨울에는 외투, 스카프, 장갑 착용.
작업복 (Arbeitsuniformde)계절 및 날씨에 따라 착용야전복, 사복, 겨울용 패딩 군복 등 재생된 의류. 중장비 및 항공 인원 등 하급 계급에서 사용. 기술 부서 장교는 실험실 스타일 스맥 착용.



이 외에도 고위 장교는 흰색 군복이나 흰색 재킷을 착용하기도 했고, 참모 장교에게는 참모 근무복이 제공되었다. 여성 경찰은 재킷, 스커트나 슬랙스, 블라우스, 모자, 부츠나 펌프스 등으로 구성된 자체 군복을 착용했다. 교통경찰, 오토바이 경찰, 장갑차 승무원 등은 특수 의류를 착용했다.

8. 계급

계급 그룹장군/장교고위 장교저위 장교

Volkspolizei|인민경찰de
계급장
(1949–1954)
colspan=2 rowspan=4|
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

Volkspolizei|인민경찰de
계급장
(1954–1990)
--
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
직책
(1949–1957)
Chef der Deutschen Volkspolizei|독일 인민경찰 청장deGeneralinspekteur|총감찰관deChefinspekteur|총경찰감deInspekteur|감찰관deKommandeur|사령관deOberrat|고위 참사관deRat|참사관deHauptkommissar|경찰총감deOberkommissar|고위 경찰deKommissar|경찰deUnterkommissar|저위 경찰de[1]Offiziersschüler|장교 수습생de
직책
(1957–1990)
Armeegeneral der VP|인민경찰 대장de (1984년부터 Chefs der Deutschen Volkspolizei|독일 인민경찰 청장de)[2]Generaloberst der VP|인민경찰 상장deGeneralleutnant der VP|인민경찰 중장deGeneralmajor der VP|인민경찰 소장deOberst der VP|인민경찰 대령deOberstleutnant der VP|인민경찰 중령deMajor der VP|인민경찰 소령deHauptmann der VP|인민경찰 대위deOberleutnant der VP|인민경찰 중위deLeutnant der VP|인민경찰 소위deUnterleutnant der VP|인민경찰 이위deOffiziersschüler|장교 수습생de



계급 그룹고위 부사관저위 부사관

Volkspolizei|인민경찰de
colspan=6 rowspan=2|
colspan=3 rowspan=2|
colspan=2 rowspan=2|
Obermeister der VP|인민경찰 고위 정비사deMeister der VP|인민경찰 정비사deHauptwachtmeister der VP|인민경찰 수석 경비대원deOberwachtmeister der VP|인민경찰 고위 경비대원deWachtmeister der VP|인민경찰 경비대원deUnterwachtmeister der VP|인민경찰 저위 경비대원de[3]Anwärter der VP|인민경찰 후보생de


9. 맹세

모든 인민경찰(Volkspolizei) 경관이 선서했던 공식 선서는 다음과 같다.[3]

독일어 원문한국어 번역문
{{lang|de|Ich schwöre, meinem sozialistischen Vaterland,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und ihrer Regierung allzeit treu ergeben zu sein, Dienst- und Staatsgeheimnisse zu wahren und die Gesetze und Weisungen genau einzuhalten.나는 사회주의 조국인 동독과 그 정부에 언제나 충실할 것을, 직무 및 국가 기밀을 지킬 것을, 그리고 법률과 지시사항을 정확히 준수할 것을 맹세합니다.



인민경찰의 모든 경찰관은 국가인민군의 충성 맹세와 마찬가지로 위와 같은 맹세를 했다.[4]

10. 평가 및 비판

인민경찰은 슈타지의 철저한 감시망을 통해 낮은 범죄율을 유지했지만,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급격한 범죄율 증가로 이어졌다. 또한, 낮은 범죄율로 인해 범죄 대응 및 예방에 미숙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예를 들어, 라이프치히에서는 1989년부터 1990년까지 절도 사건이 크게 증가했다.[1]

10. 1. 부정적 평가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에 국가인민군과 함께 참여했다. 지도부는 이 장벽이 서독과 나토 사회에 만연한 부정적인 요소, 특히 파시스트로부터 국가를 방어하고 노동자들에게 범죄 없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선언했다.

슈타지의 철저한 상호 감시망으로 인해 서독에 비해 동독의 범죄율은 매우 낮았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슈타지의 몰락으로 범죄율이 상승했는데, 이는 일당 독재 체제가 붕괴될 때 자주 나타나는 특징이었다.

낮은 범죄율로 인해 인민경찰은 범죄 대응 및 예방에 서툴렀다. 1989년 이후, 서독의 일상적인 범죄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예를 들어 라이프치히에서는 1989년부터 1990년까지 절도 사건이 540%나 증가했다고 한다.

11. 유사 조직


  • 중국 인민경찰: 중국 공안부의 지휘를 받는 중국의 인민경찰은 치안 유지, 범죄 수사, 사회 질서 유지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안전성: 일반적인 경찰 업무 외에도 정치범 수용소 관리, 국경 경비 등 광범위한 업무를 수행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관이다.
  • 러시아 내무군: 준군사적인 성격의 기관으로 대테러 작전, 국가 중요 시설 경비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 이란 이슬람 공화국 법 집행 사령부: 경찰 업무 외에도 국경 통제, 마약 단속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이란의 법 집행 기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ategory:Volkspolizei vehicles - Wikimedia Commons https://commons.wiki[...]
[2] 논문 Policing in East Germany in the wake of the Second World http://chs.revues.or[...] 2013-04-28
[3] 웹사이트 Polizei http://www.ddr-gesch[...] 2011-03-03
[4] 웹사이트 Die Deutsche Volkspolizei (DVP) http://www.ddr-ges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