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의 상용한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상용한자는 일본 정부가 일상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한 한자의 사용 기준을 정한 것이다. 1981년 처음 제정된 상용한자표는 1,945자를 포함했으며, 2010년에 196자가 추가되고 5자가 삭제되어 총 2,136자로 개정되었다. 일본 법령에서는 원칙적으로 상용한자만을 사용하며, 법령 외 공용 문서에서도 이를 따르도록 권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1년 작품 - 6 시그마
    6 시그마는 1986년 모토로라에서 시작된 품질 향상 및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경영 혁신 기법으로,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제품 및 서비스 결함 감소와 고객 만족도 향상을 추구하며, DMAIC, DMADV 방법론과 숙련도에 따른 벨트 종류를 가진다.
  • 일본의 언어 정책 - 당용한자
    당용한자는 일본에서 제정된 한자 제한 정책에 따라 선정된 1,850자의 한자 목록으로, 일본어 간소화와 교육 효율성 증진을 위해 공적 영역에서 한자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으며, 상용한자표로 대체되었지만 일본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언어 정책 - 역사적 가나 표기법
    역사적 가나 표기법은 가마쿠라 시대 후지와라노 데이카의 가나 사용법에서 시작되어 에도 시대 국학자들의 연구로 체계화된 일본어 표기 체계였으나, 현대 가나 표기법 등장 후 "구 가나 표기법"으로 불리며 현재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일본의 상용한자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제정된 당용한자(当用漢字|도요칸지일본어)는 고등 교육 수준의 표준 한자 1,850자로 구성되었다. 1981년 10월 1일 《1981년 '''내각훈령 제1호'''(昭和56年内閣訓令第1号일본어)》에 따라 1,945자로 구성된 《상용한자표(常用漢字表일본어)》가 최초 고시되면서, 당용한자는 일부 개편되어 상용한자로 대체되었다.

2010년에는 한 차례 개정이 이루어져, 5자가 삭제되고 196자가 추가된 2,136자로 구성된 《상용한자표》가 2010년 11월 30일에 《2010년 '''내각고시 제2호'''(平成22年内閣告示第2号일본어)》로 고시되었다.[1]

2005년 2월 문화심의회(文化審議会일본어) 국어분과회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상용한자 본연의 모습을 검토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에 나카야마 문부과학대신은 《상용한자표(常用漢字表일본어)》 재검토에 관해 문화심의회에 문의했고, 같은 해 9월부터 문화심의회 국어분과회의 한자소위원회(漢字小委員会일본어)가 상용한자 재검토 심의에 들어갔다.[1]

2008년 1월 9일, 일본 47개 도도부현 명칭에 사용되는 한자 중 상용한자에 포함되지 않았던 11자(阪, 鹿, 奈, 岡, 熊, 梨, 阜, 埼, 茨, 栃, 媛)를 상용한자에 포함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고유명사는 상용한자표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 원칙을 유지하되, 공공성이 높은 도도부현명에 대해서는 예외를 인정한 것이다. 이후 韓, 畿가 추가 후보에 포함되었다.[1]

2009년 10월 23일 제37회 한자소위원회 및 11월 10일 제42회 국어 분과회에서 승인된 수정안에서는 9자(柿, 哺, 楷, 睦, 釜, 錮, 賂, 勾, 毀)가 추가되고, 4자(聘, 憚, 哨, 諜)가 제외되어 추가 후보는 196자가 되었다.[1]

2010년 6월 7일, 제51차 문화심의회(文化審議会일본어) 총회에서 최종 개정된 총 2,136자 구성의 《상용한자표》를 답신했다.[1]

2. 1. 1923년 ~ 1946년: 초기 상용한자 제정 시도

1923년 (다이쇼 12년), 문부성 임시 국어 조사회는 상용한자표를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한자 1,962자와 그 약자 154자가 포함되었다. 일부 자료에서는 약자 때문에 2개의 글자가 동일하게 취급되어 1,960자로 되어 있기도 하다. 같은 해 9월 1일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간토 대지진으로 인해 무산되었다.[9]

1931년 (쇼와 6년), "상용한자표 및 가나 사용법 개정안에 관한 수정"에 따라 기존 상용한자표에서 147자를 줄이고 45자를 추가하여 1,858자로 수정하였다.[9]

1942년 (쇼와 17년), 국어심의회가 작성한 표준 한자표 2,528자 중 상용한자는 1,134자였다.[9] 그 외에 준상용한자 1,320자, 특별 한자 74자가 있었다. 간이체자(약자)의 본체 78자, 허용 64자가 있었다.[9]

1946년 (쇼와 21년), 국어심의회는 표준 한자표의 상용한자에서 88자를 줄이고 249자를 추가한 상용한자표 1,295자 안을 제시했다. 이 안은 채택되지 않았고, 같은 해에 이를 수정하여 1,850자를 '''당용 한자'''로 공포하였다.[1]

2. 2. 1981년: 상용한자 제정 (당용한자와의 차이점)

1981년 10월 1일, 《내각훈령 제1호(内閣訓令第1号일본어)》로 기존의 '''당용한자'''(当用漢字|도요칸지일본어)에 95자를 새로 추가하고 1자를 변경하여 총 1,945자의 "'''상용한자표'''(常用漢字表|조요칸지효일본어)''가 고시되었다.[1] 상용한자는 당용한자를 대체하며, 일반적인 한자 사용의 기준이 되었다.

상용한자와 당용한자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95자 추가: 당용한자에 없던 95자가 상용한자에 새로 추가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추가된 글자' 참조)
  • 1자 형태 변경: '燈' 자가 '灯' 자로 변경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글자체를 고친 글자' 참조)
  • 음훈 추가 및 삭제: 일부 한자의 음훈(音訓)이 추가되거나 삭제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음훈이 더해진 글자', '음훈이 삭제된 글자' 참조)

2. 2. 1. 추가된 글자 (95자)






























































































































































































2. 2. 2. 글자체를 고친 글자

당용한자 글자체 표의 '燈'이 '灯'으로 고쳐졌다.[1]

2. 2. 3. 음훈이 더해진 글자

1981년 10월 1일 《내각훈령 제1호(内閣訓令第1号일본어)》로 고시된 "상용한자표"에서 다음과 같은 한자의 음훈이 추가되었다.[1]

  • 栄(は·える)
  • 憩(いこ·う)
  • 香(かお·る)
  • 愁(うれ·える)
  • 謡(うた·う)
  • 露(ロウ)
  • 和(オ)

2. 2. 4. 음훈이 삭제된 글자

1981년 10월 1일 《내각훈령 제1호(内閣訓令第1号일본어)》로 고시된 "상용한자표"에서는 膚(はだ), 盲(めくら)의 음훈이 삭제되었다.[20]

2. 3. 2010년: 상용한자 개정

2005년 2월 문화심의회(文化審議会일본어)의 국어분과회가 "정보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용한자 본연의 모습을 검토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제출하면서 상용한자 재검토 논의가 시작되었다.[1] 2010년 6월 7일, 문화심의회는 개정 상용한자표(2,136자)를 답신하였고, 같은 해 11월 30일에 내각 고시 제2호로 고시되었다. 이로써 1981년 상용한자표는 폐지되었다.[1]

개정 상용한자표에는 196자가 추가되고 5자가 삭제되어 총 2,136자가 되었다. 28개 한자의 음독이 추가되었고, 3개 한자의 음독이 삭제되었으며, 1개 한자의 훈독이 변경되었다.[3]

2008년 1월 9일에는 일본 47개 도도부현 명칭에 사용되는 한자 중 상용한자에 포함되지 않았던 11자(阪, 鹿, 奈, 岡, 熊, 梨, 阜, 埼, 茨, 栃, 媛)를 포함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고유명사는 상용한자표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 원칙을 유지하되, 공공성이 높은 도도부현명에 대해서는 예외를 인정한 것이다. 이후 韓, 畿가 추가 후보에 포함되었는데, 이는 도도부현명에 준하는 한자로서의 자리매김이었다.[1]

2009년 10월 23일 제37회 한자소위원회 및 같은 해 11월 10일 제42회 국어 분과회에서 승인된 수정안에서는 9자(柿, 哺, 楷, 睦, 釜, 錮, 賂, 勾, 毀)가 추가되고, 4자(聘, 憚, 哨, 諜)가 제외되어 추가 후보는 196자가 되었다.[1]

2. 3. 1. 추가된 한자 (196자)

挨|아이일본어 曖|애일본어 宛|완일본어 嵐|람일본어 畏|외일본어 萎|위일본어 椅|의일본어 彙|휘일본어 茨|자일본어 咽|인일본어 淫|음일본어 唄|패일본어 鬱|울일본어 怨|원일본어 媛|원일본어 艶|염일본어 旺|왕일본어 岡|강일본어 臆|억일본어 俺|엄일본어 苛|가일본어 牙|아일본어 瓦|와일본어 楷|해일본어 潰|궤일본어 諧|해일본어 崖|애일본어 蓋|개일본어 骸|해일본어 柿|시일본어 顎|악일본어 葛|갈일본어 釜|부일본어 鎌|겸일본어 韓|한일본어 玩|완일본어 伎|기일본어 亀|귀일본어 毀|훼일본어 畿|기일본어 臼|구일본어 嗅|후일본어 巾|건일본어 僅|근일본어 錦|금일본어 惧|구일본어 串|관일본어 窟|굴일본어 熊|웅일본어 詣|예일본어 憬|경일본어 稽|계일본어 隙|극일본어 桁|항일본어 拳|권일본어 鍵|건일본어 舷|현일본어 股|고일본어 虎|호일본어 錮|고일본어 勾|구일본어 梗|경일본어 喉|후일본어 乞|걸일본어 傲|오일본어 駒|구일본어 頃|경일본어 痕|흔일본어 沙|사일본어 挫|좌일본어 采|채일본어 塞|새일본어 埼|기일본어[10] 柵|책일본어 刹|찰일본어 拶|찰일본어 斬|참일본어 恣|자일본어 摯|지일본어 餌|이일본어 鹿|록일본어 𠮟|질일본어 嫉|질일본어 腫|종일본어 呪|주일본어 袖|수일본어 羞|수일본어 蹴|축일본어 憧|동일본어 拭|식일본어 尻|고일본어 芯|심일본어 腎|신일본어 須|수일본어 裾|거일본어 凄|처일본어 醒|성일본어 脊|척일본어 戚|척일본어 煎|전일본어 羨|선일본어 腺|선일본어 詮|전일본어 箋|전일본어 膳|선일본어 狙|저일본어 遡|소일본어 曽|증일본어 爽|상일본어 痩|수일본어 踪|종일본어 捉|착일본어 遜|손일본어 汰|태일본어 唾|타일본어 堆|퇴일본어 戴|대일본어 誰|수일본어 旦|단일본어 綻|탄일본어 緻|치일본어 酎|주일본어 貼|첩일본어 嘲|조일본어 捗|보일본어 椎|추일본어 爪|조일본어 鶴|학일본어 諦|체일본어 溺|익일본어 塡|전일본어 妬|투일본어 賭|도일본어 藤|등일본어 瞳|동일본어 栃|치일본어 頓|돈일본어 貪|탐일본어 丼|정일본어 那|나일본어 奈|내일본어 梨|리일본어 謎|미일본어 鍋|과일본어 匂|뇨일본어 虹|홍일본어 捻|념일본어 罵|매일본어 剝|박일본어 箸|저일본어 氾|범일본어 汎|범일본어 阪|판일본어 斑|반일본어 眉|미일본어 膝|슬일본어 肘|주일본어 訃|부일본어 阜|부일본어 蔽|폐일본어 餅|병일본어 璧|벽일본어 蔑|멸일본어 哺|포일본어 蜂|봉일본어 貌|모일본어 頰|협일본어 睦|목일본어 勃|발일본어 昧|매일본어 枕|침일본어 蜜|밀일본어 冥|명일본어 麺|면일본어 冶|야일본어 弥|미일본어 闇|암일본어 喩|유일본어 湧|용일본어 妖|요일본어 瘍|양일본어 沃|옥일본어 拉|랍일본어 辣|랄일본어 藍|람일본어 璃|리일본어 慄|률일본어 侶|려일본어 瞭|료일본어 瑠|류일본어 呂|려일본어 賂|뢰일본어 弄|롱일본어 籠|롱일본어 麓|록일본어 脇|협일본어

2. 3. 2. 삭제된 한자 (5자)

2010년 11월 30일 내각 고시 제2호 "상용한자표"에서 삭제된 한자는 다음과 같다.[10]

  • 勺, 錘, 銑, 脹, 匁


이 다섯 자는 삭제되었으나, 동시에 개정된 인명용 한자에는 포함되어 인명에는 계속 사용할 수 있다.

2. 3. 3. 음훈의 변동


  • 음훈 추가

:* 委(ゆだねる), 育(はぐくむ), 応(こたえる), 滑(コツ), 関(かかわる), 館(やかた), 鑑(かんがみる), 混(こむ), 私(わたし), 臭(におう), 旬(シュン), 伸(のべる), 振(ふれる), 粋(いき), 逝(いく), 拙(つたない), 全(すべて), 創(つくる), 速(はやまる), 他(ほか), 中(ジュウ), 描(かく), 放(ほうる), 務(つとまる), 癒(いえる・いやす), 要(かなめ), 絡(からめる), 類(たぐい)

  • 음훈 변경

:* 훈: 側(がわ)

  • 음훈 삭제

:* 음: 浦(ホ)

:* 훈: 畝(せ), 疲(つか·らす)

3. 법령에서의 사용

일본 법령에서는 상용한자만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20] 상용한자 외의 글자는 단어 자체를 바꾸거나, 히라가나로 쓰거나, 처음 나오는 한자에만 후리가나를 표기하는 방식을 쓴다.

단어 자체를 바꾸는 것은 일본 전후 시기 당용한자를 사용할 때 많이 쓰였다. 예를 들면 "포기(抛棄|호키일본어)"라는 단어를 같은 음의 다른 한자 "방기(放棄|호키일본어)"로 바꾸는 것이다. 그 밖에도 "시체(屍体|시타이일본어)"를 "사체(死体|시타이일본어)"로 대체하고 수학의 "함수(函数|간스일본어)"를 "관수(関数|간스일본어)"로 표기하거나 "간첩(間諜|간초일본어)"이란 단어를 "스파이(スパイ일본어)"로 쓰는 것도 이에 포함된다.

히라가나로 쓰는 것은 기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어 왔지만, 동음이의어가 있는 경우와 "주둔지(駐とん地일본어/駐屯地)", "부두(ふ頭일본어/埠頭)"의 예처럼 단어의 일부만 히라가나를 쓰는 (섞어쓰기) 부자연스러움이 있고, 학문적으로는 한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점차 잘 사용되고 있지 않다.

처음 나오는 한자에만 후리가나를 표기하는 방식은 상용한자 사용의 원칙을 따르면서도 자연스러운 표기를 할 수 있어서 법조문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헤이세이 시대로 들어오면서 구어화 된 형법, 민사 소송법 등은 모두 이 방식을 사용한 예이다.

4. 기타


  • (虞|우일본어): 일반적으로 잘 쓰이지 않지만, 상용한자에 포함되어 있다. '오소레'라고 읽으며, '우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朕|침일본어): 과거 천황의 1인칭 대명사였으나,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때문에 상용한자에 포함되었다.
  • (斤|근일본어): 척관법에서 사용되는 무게 단위로, 빵을 세는 단위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용한자에 남아있다.
  • (逓|체일본어)와 (遵|준일본어): 여론조사에서 사용 빈도가 낮다고 응답되었지만, 상용한자에 포함되어 있다.
  • 도도부현 이름에 사용되는 한자: 茨, 媛, 岡, 韓, 畿, 熊, 埼, 鹿, 栃, 奈, 梨, 阪, 阜는 예외적으로 상용한자에 포함되었다.

참조

[1] 서적 A Guide to Reading & Writing Japanese Charles E. Tuttle Co. 1961
[2] 뉴스 Revising the list of kanji http://search.japant[...] Japan Times 2008-11-16
[3] 웹사이트 改定常用漢字表、30日に内閣告示 閣議で正式決定 http://www.nikkei.co[...] Nihon Keizai Shimbun 2015-02-01
[4] 웹사이트 「柿」など9字追加、「鷹」は選外 新常用漢字の修正案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09-10-25
[5] 간행물 https://www.bunka.go[...]
[6] 웹사이트 http://www.japantoda[...]
[7] 문서 常用漢字表(2010年)まえがき
[8] 인터뷰 空揚げ→唐揚げ」 新聞用語のバイブル『記者ハンドブック』改訂の背景とは 共同通信校閲部に聞く https://www.chunichi[...] 2024-09-30
[9] 간행물 標準漢字表、1942年(文化庁ホームページ) http://kokugo.bunka.[...]
[10] 문서 「側」には〈「かわ」とも。〉と注記された。
[11] 간행물 文化審議会国語分科会報告 https://warp.da.ndl.[...]
[12] 웹사이트 第39回文化審議会総会 https://warp.da.ndl.[...]
[13] 간행물 第6回漢字小委員会 http://www.bunka.go.[...]
[14] 간행물 第1次字種候補素案 http://www.bunka.go.[...]
[15] 간행물 第2次字種候補案 http://www.bunka.go.[...]
[16] 간행물 国語分科会提出資料 http://www.bunka.go.[...]
[17] 웹사이트 改定常用漢字表試案への意見(H21.12.11) https://www.city.mit[...] 三鷹市 2010-11-25
[18] 간행물 要望の多かった「玻・碍・鷹」の扱いについて http://www.bunka.go.[...]
[19] 간행물 「改定常用漢字表(答申)」 http://www.bunka.go.[...]
[20] 간행물 法令における漢字使用等について http://www.clb.go.jp[...]
[21] 웹사이트 「公用文作成の考え方」について(建議) https://www.bunka.go[...] 2022-01-07
[22] 웹사이트 文化庁:「常用漢字表の字体・字形に関する指針(報告)」の代表音訓索引 https://www.bunka.go[...]
[23] 웹사이트 常用漢字表 (平成22年内閣告示第2号) https://www.bunka.go[...] 일본 문부과학성 2010-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