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유민주당 부총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민주당 부총재는 자유민주당의 부총재 직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역대 부총재의 명단과 재임 기간, 출신 파벌, 총재 정보를 표로 정리하고 있으며, 최장/최단 재임 기간, 최연소/최고령 취임 기록 등 부총재 관련 기록을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민주당 부총재 - 시나 에쓰사부로
    시나 에쓰사부로는 일본의 관료, 사업가, 정치인으로, 상공성 근무와 만주국 산업 개발 기여, 전시 경제 정책 수립, 자유민주당 부총재 역임, 한일 기본조약 체결, 중의원 의원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자유민주당 부총재 - 아소 다로
    아소 다로는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아소 시멘트 사장을 역임하고 1979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여러 요직을 거쳐 제92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며 현재 자유민주당 부총재 및 최고 고문이다.
  • 자유민주당 (일본) - 55년 체제
    1955년 체제는 1955년 자유민주당과 일본사회당의 양대 정당 체제로, 장기 집권의 폐해와 정치 개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 자유민주당 (일본) - 오히라 마사요시
    오히라 마사요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제68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외무대신 시절 한일 및 중일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총리 재임 중 환태평양 연대 구상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총선 직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자유민주당 부총재
기본 정보
직책자유민주당 부총재
원어명(자유민주당 부총재)
소속 정당자유민주당
임명자자유민주당 총재 (이시바 시게루)
임기1기 1년 (최대 3기 3년)
창설1955년
초대 부총재오노 반보쿠
기장
자유민주당 당장
자유민주당 당장
현직
현직 부총재스가 요시히데 (제18대)
취임일2024년 9월 30일
조직
부서자유민주당
공식 웹사이트
웹사이트자유민주당

2. 역대 자유민주당 부총재

자유민주당 부총재는 총재를 보좌하고 총재 유고시 그 직무를 대행하는 직책이다. 1956년 4월부터 1957년 7월까지는 부총재직이 공석이었다. 역대 부총재에 대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2. 1. 역대 부총재 목록

대수이름재임 기간출신 파벌총재
-rowspan=2 colspan=4 |하토야마 이치로
이시바시 단잔
초대
오노 반보쿠1957년 7월 ~ 1960년 7월오노파기시 노부스케
-colspan=4 |이케다 하야토
2대오노 반보쿠1961년 7월 ~ 1964년 5월오노파
3대
가와시마 쇼지로1964년 7월 ~ 1966년 12월가와시마파
4대사토 에이사쿠
-colspan=4 |
5대가와시마 쇼지로1967년 11월 ~ 1970년 11월가와시마파
-colspan=4 |
6대
시나 에쓰사부로1972년 8월 ~ 1976년 12월시나파다나카 가쿠에이
7대미키 다케오
-colspan=4 |후쿠다 다케오
8대
후나다 나카1977년 11월 ~ 1978년 12월후나다파
9대
니시무라 에이이치1979년 1월 ~ 1980년 11월다나카파오히라 마사요시
10대스즈키 젠코
-rowspan=2 colspan=4 |
나카소네 야스히로
11대
니카이도 스스무1984년 4월 ~ 1986년 7월다나카파
-rowspan=3 colspan=4 |다케시타 노보루
우노 소스케
가이후 도시키
12대
가네마루 신1992년 1월 ~ 1992년 8월다케시타파미야자와 기이치
-rowspan=2 colspan=4 |
고노 요헤이
13대
오부치 게이조1994년 7월 ~ 1995년 10월오부치파
-rowspan=4 colspan=4 |하시모토 류타로
오부치 게이조
모리 요시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14대
야마사키 다쿠2003년 9월 ~ 2003년 11월야마사키파
-rowspan=5 colspan=4 |
아베 신조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다니가키 사다카즈
15대
오시마 다다모리2010년 9월 9일 ~ 2012년 9월 28일고무라파
16대
고무라 마사히코2012년 9월 28일 ~ 2018년 10월 2일아소파아베 신조
-rowspan=2 colspan=4 |
스가 요시히데
17대
아소 다로2021년 10월 1일 ~ 2024년 9월 30일아소파기시다 후미오
18대
스가 요시히데2024년 9월 30일 ~파벌 없음이시바 시게루


2. 2. 기록

대수이름재임 기간출신 파벌총재
-rowspan=2 colspan=4 |하토야마 이치로
이시바시 단잔
초대오노 반보쿠1957년 7월~1960년 7월오노파기시 노부스케
-colspan=4 |이케다 하야토
2대오노 반보쿠1961년 7월~1964년 5월오노파
3대가와시마 쇼지로1964년 7월~1966년 12월가와시마파
4대사토 에이사쿠
-colspan=4 |
5대가와시마 쇼지로1967년 11월~1970년 11월가와시마파
-colspan=4 |
6대시나 에쓰사부로1972년 8월~1976년 12월시나파다나카 가쿠에이
7대미키 다케오
-colspan=4 |후쿠다 다케오
8대후나다 나카1977년 11월~1978년 12월후나다파
9대rowspan=2 |니시무라 에이이치1979년 1월~1980년 11월다나카파오히라 마사요시
10대스즈키 젠코
-rowspan=2 colspan=4 |
나카소네 야스히로
11대니카이도 스스무1984년 4월~1986년 7월다나카파
-rowspan=3 colspan=4 |다케시타 노보루
우노 소스케
가이후 도시키
12대가네마루 신1992년 1월~1992년 8월다케시타파미야자와 기이치
-rowspan=2 colspan=4 |
고노 요헤이
13대오부치 게이조1994년 7월~1995년 10월오부치파
-rowspan=4 colspan=4 |하시모토 류타로
오부치 게이조
모리 요시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14대야마사키 다쿠2003년 9월~2003년 11월야마사키파
-rowspan=5 colspan=4 |
아베 신조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다니가키 사다카즈
15대오시마 다다모리2010년 9월 9일 ~ 2012년 9월 28일고무라파
16대고무라 마사히코2012년 9월 28일 ~ 2018년 10월 2일아소파아베 신조
-rowspan=2 colspan=4 |
스가 요시히데
17대아소 다로2021년 10월 1일 ~ 2024년 9월 30일아소파기시다 후미오
18대스가 요시히데2024년 9월 30일 ~파벌 없음이시바 시게루



번호총재사진취임퇴임
-직무 공석1956년 4월1957년 7월
1오노 반보쿠1957년 7월1960년 7월
-직무 공석1960년 7월1961년 7월
2오노 반보쿠1961년 7월1964년 5월
3가와시마 쇼지로1964년 7월1966년 12월
-직무 공석1966년 12월1967년 11월
4가와시마 쇼지로1967년 11월1970년 11월
-직무 공석1970년 11월1972년 8월
5시나 에쓰사부로
시나 에쓰사부로
1972년 8월1976년 12월
-직무 공석1976년 12월1977년 11월
6후나다 나카1977년 11월1978년 12월
7니시무라 에이이치1979년 1월1980년 11월
-직무 공석1980년 11월1984년 4월
8니카이도 스스무1984년 4월1986년 7월
-직무 공석1986년 7월1992년 1월
9가네마루 신1992년 1월1992년 8월
-직무 공석1992년 8월1994년 7월
10오부치 게이조
오부치 게이조
1994년 7월1995년 10월
-직무 공석1995년 10월2003년 9월
11야마사키 다쿠2003년 9월2003년 11월
-직무 공석2003년 11월2010년 9월
12오시마 다다모리2010년 9월2012년 9월
13고무라 마사히코2012년 9월2018년 10월
-직무 공석2018년 10월2021년 10월 8일
14아소 다로2021년 10월 8일2024년 9월 27일
15스가 요시히데2024년 9월 30일현직

3. 부총재의 역할과 권한

자유민주당 당규에 따르면, 부총재는 총재를 보좌하고 당무회의와 선거대책본부에 참석할 수 있다.[5] 긴급 상황 시 총재 대행을 제외하면, 명시적인 권한은 제한적이다. 실질적으로는 자유민주당 간사장이 선거, 국회 운영, 당무 전반을 총괄하기 때문에 부총재의 직무 범위는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5]

그러나 역대 부총재는 당내 원로들이 맡아왔기 때문에, 단순한 명예직을 넘어 당 의사결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예를 들어, 1974년 다나카 가쿠에이가 총재를 사임했을 때, 부총재 시이나 에쓰사부로가 이른바 “시이나 재정”을 내려 미키 다케오를 후계 총재로 지명했다.[5]

1991년 미야자와 내각은 국제연합 평화유지활동 등에 대한 협력에 관한 법률(PKO법)안 국회 심의 등에 난항을 겪자, 1992년 원로이자 정권의 버팀목이며 야당에도 인맥을 가진 가네마루 신을 부총재로 맞이하여 정권을 안정시켰다.[6][7]

2003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재 아래서 부총재가 된 야마자키 다쿠는 스캔들 보도 속에서 “야마자키 간사장으로는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이길 수 없다”는 이유로 승격되었으나, 낙선 후 곧 사임했다.[5]

2010년 다니가키 사다카즈 총재 아래서 간사장을 역임했던 오시마 다카모리는 제22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승리 공적과 당 집행부의 균형을 위해 부총재로 승격되어,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당과의 실질적인 협상에 참여하는 경우도 많았다.[8][9]

2012년 아베 신조 총재는 다카무라 마사히코를 부총재로 기용했는데, 이는 아소 다로와 협력하여 아베의 당선에 힘쓴 다카무라를 후견인으로 하는 의미가 강했다. 다카무라는 센카쿠 열도 문제 등으로 악화된 일중 관계 개선에 기여하고, 평화안전법제 법안 작성 및 천황 퇴위 관련 여야 조정 등을 주도하는 등 내정·외교에서 실무적인 활동을 했다.[5]

2021년 기시다 후미오 총재 아래서 부총재가 된 아소 다로는 장기 재임한 니카이 도시히로의 간사장 임기 제한 문제와 맞물려, 제2파벌 영수로서의 처우를 고려하여 기용되었다. 총리·총재 경험자의 부총재 취임은 처음이다.[10]

4. 부총재 인선 경향

초기 자유민주당 부총재는 당내 조정을 위해 중간 파벌의 영수가 주로 선출되었다. 오노 반보쿠, 가와시마 쇼지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오히라 마사요시 총재 이후에는 총재 선거의 당락을 좌우하는 최대 파벌에서 부총재를 배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다나카파 출신의 니시무라 에이이치니카이도 스스무, 다케시타파가네마루 신 등이 그 예이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재 이후에는 파벌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다시 중간 파벌의 영수나 간부가 부총재로 기용되는 사례가 늘었다. 야마사키 다쿠, 오시마 다다모리 등이 이러한 경향을 보여준다.

5. 기타

자유민주당 부총재는 당내에서 총재 다음으로 중요한 직책이다. 총재가 지명하고 당 대회의 승인을 받아 임명되지만, 부총재를 반드시 두어야 하는 것은 아니어서 공석일 때도 많다. 당 규정상 여러 명의 부총재를 동시에 임명할 수는 없다. 부총재는 평상시에는 명확한 직무가 없지만, 당의 중요한 의사 결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가 많다.

1974년 다나카 가쿠에이 총재가 사임했을 때, 당시 부총재였던 시이나 에쓰사부로는 이른바 "시이나 재정"을 통해 미키 다케오를 후임 총재로 지명하기도 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는 부총재 경험자를 당 최고 고문으로 예우하기도 했다.[5] 그러나 부총재 직책이 항상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총재가 되어서 당의 원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영향력 있는 원로가 부총재에 임명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명예직이라는 의견도 있다.

초기에는 당내 파벌 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중간 파벌의 리더가 부총재로 선출되었다. 오히라 마사요시 총재 이후에는 가장 큰 파벌에서 부총재를 선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재 이후에는 파벌의 힘이 약해지면서 다시 중간 파벌의 리더나 간부가 부총재로 기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1980년에는 니시무라 에이이치가 오히라 마사요시 총재의 사망으로 잠시 총재 대행을 맡은 적이 있는데, 이는 부총재가 총재 대행을 맡은 유일한 사례이다. 당시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는 이토 마사요시 내각관방장관이 맡았고, 니시무라의 대행은 당무에 한정되었다. 니시무라는 현직 부총재였음에도 불구하고 그해 선거에서 낙선했지만, 스즈키 젠코 총재 취임 후에도 한동안 부총재직을 유지했다.

1992년에는 가네마루 신이 부총재로 임명되어 정권 안정에 기여했다.[6][7] 2003년에는 야마사키 다쿠가 부총재가 되었으나, 스캔들로 인해 낙선하고 곧 사임했다. 니시무라와 야마사키는 현직 부총재로서 낙선한 두 가지 사례이다.

2010년에는 오시마 다다모리가 부총재로 승진했고, 2012년에는 고무라 마사히코가 부총재로 기용되었다. 고무라는 외교와 내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2017년 국회의원직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부총재직을 유지했다.

2021년에는 아소 다로가 부총재가 되었는데, 이는 총리 및 총재 경험자 중 처음 있는 일이었다.[10]

역대 부총재 중에는 오노 반보쿠, 가와시마 쇼지로, 시이나 에쓰사부로, 니카이도 스스무 등이 프로레슬링 커미셔너를 겸임하기도 했다.[11] 아소 다로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사격 경기에 출전한 경력이 있다.

역대 부총재는 당인파 출신이 많은 편이며, 관료 출신으로는 시이나 에쓰사부로, 후나다 나카, 니시무라 에이이치 등이 있다.

더불어민주당 및 대한민국 정치권의 관점에서 보면, 자민당 부총재는 일본 정치의 주요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핵심 인물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한일 관계나 동아시아 정세와 관련된 정책 결정에서 부총재의 역할과 영향력은 주목할 만하다.

참조

[1] 웹사이트 LDP Constitution: Chapter II Executive Bodies https://www.jimin.jp[...] 2023-10-20
[2] 뉴스 The LDP's secretary-general: A combination of CEO and diplomat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23-10-20
[3] 뉴스 LDP power broker Taro Aso's fortunes begin to fade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23-10-20
[4] 문서 党則(2024年10月1日現在) https://storage.jimi[...]
[5] 문서 자유민주당 관련 정보
[6] 웹사이트 宮沢喜一総裁時代 歴代総裁 党のあゆみ 自民党について 自由民主党 https://www.jimin.jp[...] 2021-11-28
[7] 서적 平成政権史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18
[8] 웹사이트 炎と優しさ 仙谷の来た道 特集記事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21-10-08
[9] 웹사이트 与謝野、園田、谷垣、大島ーー菅直人政権の命運を握る仙石由人の「知られざる人脈」(歳川 隆雄) @gendai_biz https://gendai.media[...] 2021-10-08
[10] 문서 총리·총재 취임 전에 부총재가 된 고이즈미 준이치로를 제외하고
[11] 뉴스 横綱審議委員に大島理森前衆院議長 大正製薬の上原茂社長も https://mainichi.jp/[...] 2023-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