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케시타 노보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케시타 노보루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1924년 시마네현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 상학부를 졸업했다. 그는 시마네현 의회 의원을 거쳐 1958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고, 사토 내각, 다나카 내각 등에서 내각관방 부장관, 내각관방 장관 등을 역임했다. 1979년 대장대신, 1986년 자유민주당 간사장을 지냈으며, 1987년 자유민주당 총재가 되어 제74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취임했다. 총리 재임 중 소비세를 도입했으나, 리크루트 사건으로 인해 1989년 사임했다. 이후 경세회(다케시타파)를 이끌었으며, 2000년 호흡 부전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마네현립 마쓰에키타 고등학교 동문 - 와카쓰키 레이지로
와카쓰키 레이지로는 재정 전문가로서 명성을 쌓고 재무대신과 내무대신을 거쳐 두 차례 일본 총리를 지낸 정치가로, 남자 보통선거법 제정과 치안유지법 제정에 동시에 관여했으며 런던 해군 군축 회의 수석 전권 대표로 활동했고 만주사변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다는 비판을 받았으나 종전을 위해 노력하고 평화주의적 입장을 견지했다. - 시마네현립 마쓰에키타 고등학교 동문 - 호소다 기치조
일본 시마네현 출신의 정치인 호소다 기치조는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중의원 의원을 10선 지냈으며, 운수대신, 방위청 장관, 행정관리청 장관, 자유민주당 총무회장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 아베 신타로 - 아베 신조
아베 신조는 1993년 중의원 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두 차례 일본 총리를 역임하며 아베노믹스를 추진하고 보수적인 정책을 펼쳤으며, 2022년 유세 중 총격을 받아 사망했다. - 아베 신타로 - 후쿠다 다케오
후쿠다 다케오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중의원 의원, 농림대신, 대장상, 외상을 역임하고 제67대 일본의 총리가 되어 중일평화우호조약을 체결했으며, 후쿠다 독트린을 발표했다. - 운난시의 역사 - 니타군
니타군은 일본 시마네현의 군으로, 오쿠이즈모정을 포함하는 지역을 관할했으며 율령제 시대부터 존재했고, 여러 합병과 개편을 거쳐 현재는 지역 명칭과 역사적 의미만 남았다. - 운난시의 역사 - 이시군
이시군은 일본 시마네현에 존재했던 군으로, 고대부터 메이지 시대, 그리고 2005년 폐지될 때까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현재는 운난시와 이이나미정에 속해 있다.
다케시타 노보루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24년 2월 26일 |
출생지 | 일본 제국 시마네현 운난시 가케야마 |
사망일 | 2000년 6월 19일 |
사망지 | 일본 도쿄도 미나토구 |
서명 | TakeshitaN kao.png |
정당 | 자유민주당 |
배우자 | 다케시타 마사에 (1944년 결혼, 1945년 사망) 다케시타 나오코 (1946년 결혼) |
학력 | 와세다대학교 |
친척 | 다케시타 와타루 (동생) 에이키 에이키 (손녀) DAIGO (손자) |
수상 및 훈장 | |
칭호 | 정2위 |
훈장 | 대훈위국화대수장 |
학위 | 상학사 (와세다대학교, 1947년) 명예박사 (중국인민대학교, 1994년) |
정치 경력 | |
직업 | 섬네현 의회 의원 (1951년 ~ 1958년) 일본 중의원 의원 (1958년 5월 22일 ~ 2000년 6월 2일) |
소속 정당 | 자유민주당 |
파벌 | 사토파 → 다나카파 → 오부치파 |
지역구 | 시마네현 전현구 (1958년 ~ 1996년) 시마네 2구 (1996년 ~ 2000년) |
당선 횟수 | 일본 중의원 14회 시마네현 의회 2회 |
총리 재임 정보 | |
직책 | 일본 내각총리대신 |
대수 | 제74대 |
내각 | 다케시타 내각 / 다케시타 개조내각 |
재임 기간 | 1987년 11월 6일 ~ 1989년 6월 3일 |
국왕 | 쇼와 천황 / 상황 (아키히토) |
부총리 | 미야자와 기이치 |
전임자 | 나카소네 야스히로 |
후임자 | 우노 소스케 |
주요 직책 | |
직책 | 자유민주당 총재 |
재임 기간 | 1987년 10월 31일 ~ 1989년 6월 2일 |
전임자 | 나카소네 야스히로 |
후임자 | 우노 소스케 |
각료 재임 정보 | |
직책 | 대장대신 |
내각 | 제2차 오히라 내각, 제1차 나카소네 내각,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2차 나카소네 제1차 개조 내각, 제2차 나카소네 제2차 개조 내각, 다케시타 내각 |
재임 기간 | 1979년 11월 9일 ~ 1980년 7월 17일, 1982년 11월 27일 ~ 1986년 7월 22일, 1988년 12월 9일 ~ 1988년 12월 24일 (총리 겸임) |
전임자 | 가네코 잇페이, 와타나베 미치오, 미야자와 기이치 |
후임자 | 와타나베 미치오, 미야자와 기이치, 무라야마 다쓰오 |
직책 | 건설대신 |
내각 | 미키 내각 |
재임 기간 | 1976년 1월 19일 ~ 1976년 9월 15일 |
전임자 | 미키 다케오 |
후임자 | 주만 다쓰이 |
직책 | 내각관방장관 |
내각 | 제3차 사토 개조 내각,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제2차 개조 내각 |
재임 기간 | 1971년 7월 5일 ~ 1972년 7월 7일, 1974년 11월 11일 ~ 1974년 12월 9일 |
전임자 | 호리 시게루, 니카이도 스스무 |
후임자 | 니카이도 스스무, 이데 이치타로 |
직책 | 내각관방부장관 (정무 담당) |
내각 | 제1차 사토 내각, 제1차 사토 제1차 개조 내각 |
재임 기간 | 1964년 11월 9일 ~ 1966년 8월 7일 |
전임자 | 사이토 구니키치 |
후임자 | 기무라 도시오 |
당직 경력 | |
직책 | 자유민주당 간사장 |
재임 기간 | 1986년 7월 ~ 1987년 10월 |
소속 정당 총재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직책 | 자유민주당 최고고문 |
재임 기간 | 1991년 ~ 1993년 |
소속 정당 총재 | 미야자와 기이치 |
2. 생애
다케시타 노보루는 1924년 2월 26일 시마네현 우난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대대로 사케 양조업을 해왔으며, 다케시타는 다케시타 양조 가문의 20대 당주였다.[5] 와세다대학을 졸업한 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교관으로 복무했다.[1] 전쟁이 끝난 후 영어 교사로 일하며 고등학교 유도부를 지도하다가 1951년 정계에 입문했다.[1][3]
1951년부터 시마네현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다가, 1958년 일본 중의원 의석을 확보하여 자유민주당의 다나카 가쿠에이 파벌에 합류했다.[3] 가네마루 신과 함께 정계에 입문하여 긴밀한 동맹 관계를 유지했다. 다케시타는 다나카의 주요 자금 조달자 역할을 맡아 자민당의 재정 지원을 확보했다.[3]
1971년부터 1974년까지 내각관방장관을, 1976년에는 건설상을 역임했다. 1979년부터 1980년까지, 그리고 1982년부터 1986년까지 재무대신을 역임하며 플라자 합의를 이끌어 일본의 금융 강국으로서의 지위를 강화했다.[8] 그러나 이는 1980년대 일본 자산 가격 버블을 초래하기도 했다.[1]
1986년 자민당 사무총장을 거쳐 1987년 자민당 총재가 되어 나카소네 야스히로를 대신하여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으로 선출되었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침략국이었다는 것을 인정했다.[2] 또한 아세안과의 관계 강화, 소비세 도입, 미국과의 쇠고기 및 감귤류 시장 자유화 협상 타결 등의 업적을 남겼다.[1][3]
그러나 리쿠르트 사건으로 인해 1989년 사임했다.[15] 이후에도 자민당의 막후 실력자로 남아 우노 소스케, 가이후 도시키, 오부치 게이조 등 후임 총리들을 지도했다. 2000년 6월, 1년 이상 입원 치료를 받던 중 호흡 부전으로 사망했다.[1]
2. 1. 정계 입문 전
1924년 2월 26일, 일본 시마네현 운난시에서 주조업자의 아들로 태어났다.[7] 와세다 대학 상학부를 졸업하고, 고향에서 중학교 영어 교사로 재직했다.[7]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교관으로 복무했다.[1] 종전 후에는 영어 교사로 복직하여 고등학교 유도부를 지도했다.[1][3]
2. 2. 정계 입문 후
1951년 시마네현 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하였다. 1958년 중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자유민주당 다나카 가쿠에이 파벌에 합류했다. 가네마루 신과 동시에 당선되었고, 정치 경력 내내 긴밀한 동맹 관계를 유지했다.[3] 다케시타는 다나카의 주요 자금 조달자 역할을 맡아 전국을 돌며 자민당의 재정 지원을 확보했다.[3]1964년부터 1966년까지 사토 에이사쿠 내각에서 내각관방부장관(제1차 사토 내각)을 역임하였다. 1971년부터 1972년까지 제3차 사토 내각에서, 1974년에는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에서 내각관방장관(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을 지냈다. 1976년 미키 내각에서 건설대신을 역임하였다.
1979년부터 1980년까지 오히라 마사요시 내각에서 대장대신을 지냈다. 1982년부터 1986년까지 나카소네 야스히로 내각에서 대장대신을 역임하며, 플라자 합의를 이끌어낸 일본 측 협상가로 두각을 나타냈다.[8] 다케시타가 재무대신으로 있던 기간 동안 엔화 가치가 상승하여(엔고, 円高일본어) 일본의 금융 강국으로서의 지위가 강화되었고[9], 1980년대 일본 자산 가격 버블을 초래했다.[1]
1986년 자유민주당 간사장을 역임하였다. 1987년 7월 4일에는 자유민주당 내 최대 파벌인 경세회(게이세이카이, 経世会일본어), 통칭 '''다케시타파'''(竹下派일본어)를 창설하여 일본 정부와 여당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1987년 11월 6일,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지명으로 자유민주당 총재로 선출되어 제74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하였다.
2. 3. 총리 재임 시절 (1987년 11월 ~ 1989년 6월)
1987년 11월,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중재로 아베 신타로, 미야자와 기이치를 제치고 제12대 자유민주당 총재 및 제74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했다. 다케시타는 쇼와 시대의 마지막 총리이자 헤이세 시대의 첫 번째 총리이기도 했다.다케시타 내각은 "총주류파 체제"를 표방하며, 총재 선거에서 경쟁했던 아베를 간사장, 미야자와를 부총리 겸 재무상으로 기용하는 등 각 파벌에서 비교적 고르게 인재를 기용했다.[30] 정권의 슬로건은 '''배려 조정'''이었다.
주요 정책으로는 1988년부터 1989년에 걸쳐 전국의 시정촌에 일률적으로 1억 엔을 지급하는 '''고향 창생 사업'''을 실시했다. 또한, 야당과 여론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세제개혁 관련 법안을 강행 처리하여 일본 최초의 부가가치세인 '''소비세'''를 도입했다. 미국과의 무역 마찰 현안 중 하나였던 '''소고기'''·'''오렌지'''에 대해 미·일 간 협의에서 수입 자유화에 합의했다.

대한민국과의 외교 관계에서는 노태우 대통령 취임식 및 서울 올림픽 개회식에 참석차 한국을 방문하는 등 관계 개선에 앞장섰다.
그러나 1988년에 발각된 '''리크루트 사건'''으로 인해 다케시타 자신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어 내각 지지율이 급락했다. 1989년 4월 25일, 다케시타는 내각 총사퇴를 표명했고, 다음 날 그의 비서 아오키 이헤이가 자살했다. 결국 1989년 6월 3일 내각은 총사퇴했다.
2. 4. 총리 퇴임 후
1992년 게이세이카이가 분열되었고, 총리 사임 후 한일의원연맹 일본측 회장을 지내는 등 한국을 여러 차례 방문했다.[1] 1999년 4월 변형성 척추증 증세로 북리연구소병원에 입원했지만,[33] 이듬해인 2000년 5월에 입원 도중 병원에서 정계 은퇴를 표명했으며, 6월 19일 호흡 부전으로 향년 76세의 일기로 사망했다.[1][22]다케시타는 내부자거래 및 부패 혐의를 받았지만 기소되지 않았고, 사망 직전까지 의회 의석을 유지했다.[1] 그는 자민당의 막후 실력자로 남아 미래의 총리인 우노 소스케, 가이후 도시키, 오부치 게이조를 지도했다.[1] 하타 쓰토무와 오자와 이치로는 다케시타 파벌을 떠나 일본 혁신당을 결성했다.[16] 오부치 게이조는 파벌의 잔여 세력을 계승하여 하시모토 류타로의 총리 취임을 지지했고,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자신이 총리가 되었다.[16] 그는 2000년 초 뇌졸중으로 사망했고, 하시모토가 파벌의 지배권을 인수했다.[16]
다케시타 자신은 1년 이상 입원 치료를 받던 중 2000년 6월 호흡 부전으로 사망했다.[1] 그는 입원 중에도 자민당과 신진당 간의 연정을 "주도"하고 병상에서 모리 요시로 총리의 선출을 주선한 것으로 알려졌다.[1] 그는 사망 불과 며칠 전에 있었던 2000년 총선에서 의회 은퇴를 계획했었다.[1] ''The Economist''는 그의 죽음을 일본 정계의 "눈부신 재능과 부패의 현기증 나는 혼합"이었던 한 시대의 종말로 묘사했다.[3]
총리 대신 퇴임 후에도 표면적으로는 “묵묵히 일만 하겠다”고 말했지만, 우노 소스케, 카이후 토시키, 미야자와 기이치 등 역대 내각 구성에 관여했고, 카이후 내각 이후에는 자신의 재등판도 거론되는 등[32] 정권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1992년 도쿄 사가와 급편 사건이 발각되었다.
1992년 10월, 도쿄 사가와 급편으로부터 5억 엔 암헌금 사건의 책임을 지고 가네마루 신이 의원직 사퇴, 다케시타파 회장 사퇴로 몰렸다. 후임 회장으로 고부치 게이조를 지지하는 파벌 오너 다케시타와 하다 쓰토무를 지지하는 회장 대행 오자와 이치로의 주도권 다툼은 격렬해졌다. 다케시타는 중립을 지키고 있던 참의원 다케시타파에 대한 다수파 공작 등을 벌여 고부치를 강압적으로 후임 회장에 앉혔다. 이에 반발한 오자와, 하다 등이 신파벌·개혁 포럼 21을 결성하여 다케시타파는 분열했다. 다케시타는 국회에서 황민당 사건에 대해 증인 신문을 받았다.
1999년 4월 5일, 변형성 척추증 때문에 북리연구소병원에 입원했다. 건강 상태는 점차 악화되었고, 2000년 5월 1일, 병상에서 녹음한 다케시타의 은퇴 선언 테이프를 당시 고부치파 최고 간부들이 본인이 없는 자리에서 기자회견에서 발표했다. 거기서 다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33]
제42회 총선거 기간 중인 2000년 6월 19일, 북리연구소병원에서 췌장암(발표에서는 변형성 척추증으로 인한 호흡부전)으로 사망했다.[22] 6월 21일에 츠키지 홍원사에서 비공개 장례식이 거행되었다. 법명은 현정원석등애.
3. 평가 및 영향
다케시타 노보루는 내부자거래 및 부패 혐의를 받았지만 기소되지 않았고, 사망 직전까지 의회 의석을 유지했다.[1] 그는 자민당의 막후 실력자로 남아 우노 소스케, 가이후 도시키, 오부치 게이조 등 미래의 총리들을 지도했다. 하타 쓰토무와 오자와 이치로는 다케시타 파벌을 떠나 일본 혁신당을 결성했고, 오부치 게이조는 파벌의 잔여 세력을 계승하여 하시모토 류타로의 총리 취임을 지지했으며,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자신이 총리가 되었다. 그는 2000년 초 뇌졸중으로 사망했고, 하시모토가 파벌을 이끌었다.[16]
다케시타는 1년 이상 입원 치료를 받던 중 2000년 6월 호흡 부전으로 사망했다. 그는 입원 중에도 자민당과 신진당 간의 연정을 주도하고 병상에서 모리 요시로 총리의 선출을 주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사망 불과 며칠 전에 있었던 2000년 총선에서 의회 은퇴를 계획했었다.[1] ''The Economist''는 그의 죽음을 일본 정계의 "눈부신 재능과 부패의 현기증 나는 혼합"이었던 한 시대의 종말로 묘사했다.[3]
하시모토는 자금 조달 스캔들로 인해 2005년 총선에 출마를 거부할 때까지 전 다케시타 파벌을 이끌었고, 그 직후 사망했다. 이때 공식적으로 ''헤이세이 겐큐카이''(헤이세이 연구회)로 알려진 파벌의 잔당은 쓰시마 유지의 지도 아래 활동을 계속했지만, 그는 2009년 총선 전에 사임하고 지도권을 누카가 후쿠시로에게 넘겼다. 1994년에 제정된 선거 개혁과 새로운 선거 자금 규정, 그리고 일본 자산 버블 이후의 지속적인 경기 침체로 인해 1990년대와 2000년대의 파벌 기부금은 1980년대 다나카와 다케시타 시대에 비해 훨씬 적었다. 이는 일본 정계에서 파벌의 힘을 약화시켰다.[16]
- 이름 '登(노보루)'의 유래는 선거에서 고령자에게도 기억하기 쉽고, 잘못 쓰는 일이 없는 한자를 생각해서라고 한다. 또한 "바닥에서부터 기어오르다"라는 의미도 있었다.
- 젊었을 때는 강직한 성격으로, 군사 훈련과 와세다-게이오 대학 경기 일정이 겹쳤을 때는 교관에게 일정 변경을 요청하여, 교관의 철권 제재에도 굴하지 않고 변경을 허가받았다.
- 그의 영향력으로 시마네현을 "'''다케시타 왕국'''"이라고 비웃는 경우가 있다. 다케시타 본인 사후에는 아오키 미키오에 빗대어 "'''아오키 왕국'''"이라고도 한다. 오자와 이치로의 지역인 이와테현이 이른바 "'''오자와 왕국'''"이라고 불리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 입버릇은 "'''~다와나'''"이다. 이것은 출신지 방언(이즈모 방언)의 영향이다.
- 서예를 취미로 했다.
- 혈액형은 B형.
3. 1. 긍정적 평가
다케시타 노보루는 폭넓은 인맥과 뛰어난 협상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정국 운영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0] 특히, 집권 기간 동안 '''고향 창생 사업'''을 통해 전국의 시정촌에 1억 엔을 일률적으로 지급하고, 일본 최초의 부가가치세인 '''소비세'''를 도입하는 등 굵직한 정책들을 추진했다.[30] 또한, 미국과의 무역 마찰 현안이었던 '''소고기'''와 '''오렌지''' 수입 자유화에 합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30]대한민국과의 관계 개선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다케시타 노보루의 정치 스타일은 "땀은 스스로 흘리고, 공은 남에게 주자"라는 말로 요약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공을 내세우기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공을 돌림으로써 정계에서 신뢰를 얻고, 이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강화했다.[30] 스즈키 무네오는 다케시타 노보루에 대해 "인간관계의 명수"라고 평가하며, 그의 세심한 배려와 사전 조율 능력이 정치적 성공의 비결이었다고 언급했다. 나카야마 마사아키는 다케시타 노보루가 주변 사람들에게 "건강에 신경 쓰세요"와 같은 사소한 말 한마디도 잊지 않는 등 상대를 감동시키는 명수였다고 회고했다.[30]
다나카 가쿠에이는 다케시타 노보루를 "장래 자민당을 짊어질 인물"이라고 평가하며, 그의 재정 감각과 정치적 역량을 높이 샀다.[30]
3. 2. 부정적 평가
다케시타 노보루는 금권 정치와 파벌 정치의 전형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리쿠르트 사건으로 인해 그의 도덕성에 큰 흠집이 생겼다.[1] [15]플라자 합의가 일본 경제의 장기 침체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있다. 다케시타가 재무대신 시절 엔화 가치가 상승하는 엔고 현상을 유발하고, 이것이 일본 자산 가격 버블을 초래했다는 것이다.[1] [8] [9]
3. 3. 기타
일본의 가수이자 배우인 DAIGO는 그의 외손자이며, 그의 이복동생인 다케시타 와타루는 현재 그의 지역구를 물려받아 정치인으로 활동 중이다.[1] 그의 손주 중에는 가수 다이고(구 다이고☆스타더스트)[17]와 만화가 에이키 에이키가 있다.[18]그의 이복 남동생인 와타루(1946년생-2021년 사망)는 NHK 기자였으며, 1985년부터 노보루의 보좌관으로 일하기 시작했다.[19] 와타루는 2000년 정계에 입문하여 2018년부터 2021년 9월 사망할 때까지 그의 구 다케시타 파벌(현 헤이세이 겐큐카이 파벌)의 대표를 역임했다.[20] 다케시타에게는 사부로(1948년생)와 사카에라는 이복 남매가 두 명 더 있었다.
다케시타는 두 번 결혼했으며, 세 딸(1954년 출생 한 달 만에 사망한 외아들 리키도를 포함)과 여러 명의 손주들을 남겼다.[3]
- 사토 에이사쿠(佐藤栄作)에게는 초선 당시 정치 자금을 자주 빌리는 등 도움을 받았으며, 사토 사후에는 세금 대책으로 사토 저택을 빌려 살았다.
- “배려, 눈치, 돈으로 총리 자리에 올랐다”라고 불릴 정도로 인간 관계의 달인이었으며, 여야, 재계, 관계에 걸쳐 폭넓은 인맥을 가지고 어디에도 적을 만들지 않는 인물이었다. 다른 파벌의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曽根康弘)를 잘 따랐고, 수상 시대에는 라이벌 파벌인 아베 신타로(安倍晋太郎)와 맹우 관계를 맺었다. 그 외에도 우노 소스케(宇野宗佑), 카이후 도시키(海部俊樹), 후지나미 타카오(藤波孝生),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미즈카 히로시(三塚博), 모리 요시로(森喜朗), 무라무라 마사요시(武村正義) 등과 교류가 있었고, 다른 당에서는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야마구치 쓰루오(山口鶴男), 야노 아야야(矢野絢也), 쓰카모토 사부로(塚本三郎) 등과 교류했다. 공명당(公明党)이 중의원에 처음 진출했을 때는 인사차 온 야노와 타케이리 요시카쓰(竹入義勝)에게 의원회관을 안내하고, 사무실 배정 방식 등을 설명해 주었다.[38] “반경세회(反経世会)”를 내걸었던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와도 대장성 장관-대장성 정무차관으로서 함께 일했고, 나쁜 관계는 아니었다.
- 와세다대학(早稲田大学) OB 친목회인 이네류카이(稲龍会) 명예회장이었으며, 모교를 통한 인맥도 중요했다. 오카다 가쓰야(岡田克也)의 정계 입문 계기는 다케시타가 와세다대 후배로 친분이 있던 오카다 모토야(岡田元也)에게 제안한 것이었다.
- 소우세이카이(創政会) 결성 후에도 니카이도 스스무(二階堂進)와의 사적인 관계는 나쁘지 않았다. 당시 대장성 장관이었던 다케시타가 니카이도의 손녀에게 500JPY 기념주화를 10개 정도 선물한 일도 있었다.[39][40]
- 자사사연립정권(自社さ連立政権)에서 행정 요직 경험 없이 갑자기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한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는 동갑인 다케시타가 당파를 초월하여 “좋은 상담 상대”였다고 말하고 있다.[41] (다케시타는 1924년(다이쇼 13년) 2월 26일생, 무라야마는 같은 해 3월 3일생으로 생일이 일주일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다케시타 또한 무라무라 마사요시(武村正義)와 함께하며 환율 문제 등을 무라야마에게 처음부터 가르쳐준 것을 회고하고 있다.[42]
- 요시노 케이(与謝野馨)는 “다케시타 씨는 ‘포스트 고부치 후보가 가토 고이치(加藤紘一)만으로는 심심하겠네’라며 제 얼굴을 지긋이 보시더라고요. 당신도 제대로 그날을 대비해 두라고 들렸습니다. 99년에 입원하신 후에도 여러 번 휴대전화로 연락을 주셨습니다.”라고 말했고, 요시노는 1998년 총재 선거에서는 카지야마 시즈로쿠(梶山静六)를 지지했지만, 다케시타의 후원으로 고부치 내각(小渕内閣)에서 통상산업대신으로 입각했다.[43]
- 카메이 시즈카(亀井静香)는 “배려심 많은 사람이었다. 파벌은 달랐지만 선거구가 히로시마와 시마네로 중국산지를 사이에 두고 등을 맞대고 있었다. 매년 300만엔을 선거 자금으로 주었다.”라고 말하고 있다.[44]
4. 어록
- "땀은 스스로 흘리고, 공은 남에게 돌리자."
- "조직하면서 선거하고, 선거하면서 조직한다." (선거학의 요체를 나타내는 표어)
- "인내, 인내, 영원한 인내"
- "가수 1년, 총리 2년의 일회용"
- "내각 하나에 한 가지 일"
- "엔화는 오르고, 다케시타는 내린다."
- "나의 길을 간다." (생가의 청주 상표에도 사용됨)
- "참의원을 비웃는 자는 참의원에 운다."
- 국회 답변 등에서 명료하게 발언하지만 문장 전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없다는 “언어 명료·의미 불명료”라고 불린 다케시타식 어투를 구사하여, 야당에 약점을 잡히지 않았다. 아오키 미키오에게도 이러한 경향이 있었다고 한다.
- 입버릇은 "'''~다와나'''"였다. 이것은 출신지 방언(이즈모 방언)의 영향이다.
- 손자인 카게키 에이키, DAIGO와 아내 나오코에 따르면, 총리에 취임하여 귀가했을 때의 한마디는 “아이엠 쏘리, 복 쏘리”였고, 이 대사를 좋아했다고 한다.[48]
참조
[1]
뉴스
Noboru Takeshita; Last 'Shadow Shogun'
https://www.latimes.[...]
2000-06-19
[2]
뉴스
Takeshita Now Admits World War II Aggression
https://www.nytimes.[...]
1989-03-07
[3]
뉴스
Noboru Takeshita
http://www.economist[...]
2000-06-22
[4]
서적
Keibatsu : tokken kaikyū no seisui no keifu
https://www.worldcat[...]
Kadokawa Shoten
2002
[5]
웹사이트
株式会社竹下本店 {{!}} 島根県酒造組合 {{!}} 日本酒発祥の地『島根』
https://shimane-sake[...]
2018-02-14
[6]
서적
Ware banshi ni ataisu : Dokyumento takeshita noboru
https://www.worldcat[...]
新潮社
2002
[7]
뉴스
Noboru Takeshita
https://www.telegrap[...]
2000-06-20
[8]
뉴스
U.S. and 4 Allies Plan Move to Cut Value of Dollar
https://www.nytimes.[...]
1985-09-23
[9]
뉴스
International Report: a Year After Plaza Accord, Currency Issues Remain Divisive; Impact on Japanese is Wide; American Hopes Unfulfilled
https://www.nytimes.[...]
1986-09-22
[10]
뉴스
Ailing, Hurt by Scandal, Japan's Tanaka Faces a New Struggle in Party
https://www.latimes.[...]
1985-05-18
[11]
뉴스
Conviction of Former Japanese Leader Tanaka Upheld
https://www.latimes.[...]
1987-07-29
[12]
뉴스
自民党田中派「秘書軍団」が集結した師走の夜
http://sankei.jp.msn[...]
2011-12-23
[13]
학술지
From Fukuda to Takeshita: A Decade of Japan-ASEAN Relations
https://www.jstor.or[...]
1988
[14]
학술지
Japan in 1988: At the End of an Era
https://online.ucpre[...]
1989-01-01
[15]
뉴스
Japan Sand in a Well-Oiled Machine
https://web.archive.[...]
1989-05-08
[16]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Japanese Polit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7]
웹사이트
Musician Daigo an Y85 million man for a day
http://www.japantoda[...]
[18]
문서
影木栄貴
[19]
뉴스
Japan ruling LDP faction chief Wataru Takeshita dies at 74
https://asia.nikkei.[...]
2021-09-18
[20]
뉴스
Japan ruling party faction boss Wataru Takeshita dies at 74
https://english.kyod[...]
2021-09-18
[21]
웹사이트
Recipient of the Golden Pheasant Award of the Scout Association of Japan
http://reinanzaka-sc[...]
2014-05-23
[22]
웹사이트
史上初の大調査 著名人100人が最後に頼った病院 あなたの病院選びは間違っていませんか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1-08-17
[23]
웹사이트
竹下 登
https://kotobank.jp/[...]
DIGITALIO
[24]
뉴스
「竹下派」発足へ 額賀氏が派閥会長を退任表明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8-03-14
[25]
뉴스
(閣僚の横顔)復興 竹下亘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4-09-04
[26]
뉴스
(党幹部の横顔)総務会長 竹下亘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7-08-04
[27]
웹사이트
すっぴんの造り酒屋(出雲誉)竹下本店
http://genki.sanin-n[...]
ティーエム21
[28]
웹사이트
竹下本店 竹下登記念館
http://www.takeshita[...]
[29]
문서
직접적인 후계 학교는 와세다 대학원이지만 현행 학제로 바꾸면 와세다 대학의 교양 과정
[30]
간행물
田中、中曽根、竹下の力の源泉を読み解く
2012-01
[31]
간행물
2012-08-27
[32]
간행물
「竹下再登板」めぐる永田町の力学
1991-06
[33]
Youtube
第74代総理大臣 竹下登【歴代総理列伝】
https://www.youtube.[...]
TBS NEWS
[34]
뉴스
異例国葬、党内に配慮 全額国費、首相は正当性強調: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2-07-15
[35]
웹사이트
http://www.takeshita[...]
2024-10
[36]
웹사이트
竹下登先生の像
https://www.kurotani[...]
2024-10-22
[37]
웹사이트
竹下王国は、崩壊するのか
https://www.nhk.or.j[...]
NHK
2019-03-06
[38]
서적
政治とは何か―竹下登回顧録
[39]
서적
政治とは何か―竹下登回顧録
[40]
문서
후일에 이카이도의 손녀가 "대장대신이 오면 좋아, 돈을 준다"고 주위에 말한 것으로부터 "다케시타가 이카이도가의 생활비를 조달하고 있다"는 풍설이 생기고 있다.
[41]
뉴스
引退議員が政治に喝!
https://web.archive.[...]
東京放送
[42]
서적
政治とは何か―竹下登回顧録
[43]
뉴스
元経済財政相 与謝野馨さん がんと並走した政治人生(5)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2-10-19
[44]
뉴스
<16> 政治とカネ 屈指の「集金力」 派閥運営 生きて 元自民党政調会長 亀井静香さん(1936年~)
https://www.chugoku-[...]
中国新聞
2020-02-27
[45]
서적
後藤田正晴と十二人の総理たち
文藝春秋
2006-06-30
[46]
서적
政治とは何か―竹下登回顧録
[47]
웹사이트
第74代総理大臣 竹下 登【歴代総理列伝】
https://www.youtube.[...]
2021-03-05
[48]
문서
이 에피소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DAIGO가 자주 공개하고 있다
[49]
서적
ドキュメント 昭和が終わった日
文藝春秋
[50]
뉴스
安倍、福田、麻生、鳩山、森ほか平成総理の愚言、恥言、妄言
https://www.news-pos[...]
NEWSポストセブン
2017-07-03
[51]
방송
踊る!さんま御殿
2010-03-09
[52]
웹사이트
出雲南組 日倉山 専正寺
http://www.iishikita[...]
[53]
서적
人事興信録
1928
[54]
서적
新日本人物大観(島根県版)
人事調査通信社
1957
[55]
서적
新日本人物大観(島根県版)
人事調査通信社
1957
[56]
웹사이트
「DAIGO」政治家転身の可能性はあるのか? 地元“竹下王国”の反応
https://www.dailyshi[...]
2019-03-19
[57]
웹사이트
竹下本店 会社概要
http://www.takeshita[...]
[58]
웹사이트
「DAIGO後継説」は、竹下亘氏引退でどうなるか? 「亘氏の実弟」の説明は?
https://www.dailyshi[...]
2021-07-09
[59]
간행물
月刊リベラルタイム
リベラルタイム社
2007-09-03
[60]
서적
(서적 제목 생략)
2002
[61]
웹사이트
デコ・デ・グリーン物語
https://web.archive.[...]
[62]
서적
「天下取り」の人脈・金脈・戦略
[63]
문서
경청자는 이토 타카시, 기쿠치 타카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