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거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거리는 파라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MuV)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이다. 기원전 410년경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1960년대에 백신이 개발되어 예방이 가능해졌다. 주요 증상으로는 귀밑샘(이하선)의 부종과 통증이 있으며, 합병증으로 무균성 수막염, 고환염, 난청 등이 나타날 수 있다. MMR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하며, 감염 시에는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요법을 시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거리 - 볼거리 백신
볼거리 백신은 20세기 중반 군인들에게 문제가 되었던 볼거리를 예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1967년 멈프스박스라는 최초의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된 후 MMR 백신에 포함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볼거리 - 고환염
고환염은 세균 감염이나 바이러스로 인해 고환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혈정액, 혈뇨, 심한 통증, 고환 부종 등의 증상을 보이며, 혈액, 소변, 초음파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원인에 따라 항생제나 통증 완화제로 치료한다. - 바이러스성 질병 - 천연두
천연두는 두창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천연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발열과 발진 증상을 보이며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 가능했으나 현재는 백신 접종이 중단되었다. - 바이러스성 질병 - 홍역
홍역은 홍역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 코플릭 반점, 홍반 반점구진성 발진 등의 증상을 보이며, 폐렴, 중이염, 뇌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MMR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이며 반백신 운동으로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질병 - 장티푸스
장티푸스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세로바르 티피균에 의해 발생하는 수인성 전염병으로, 고열, 두통,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하고 개인 위생과 환경 위생을 통해 예방한다. -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질병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볼거리 | |
---|---|
질병 개요 | |
이름 | 볼거리 |
동의어 | 유행성 이하선염 |
분야 | 감염병 |
영어 이름 | Mumps |
일본어 이름 | 流行性耳下腺炎 (Ryūkōsei jikasen'en) |
발병 시기 | 노출 후 7–25일 |
지속 기간 | 보통 2주 미만 |
원인 | 볼거리 바이러스 |
위험 요인 | 볼거리에 걸린 사람에게 노출 |
진단 방법 | 항체 검사, 바이러스 배양, 역전사 중합 효소 연쇄 반응 |
치료 | 지지적 |
약물 | 진통제, 정맥 면역글로불린 |
예후 | 일반적으로 우수함; 치사율은 10,000명당 1.6–3.8명 |
빈도 | 예방 접종을 하지 않는 국가와 어린이에게서 가장 흔함 |
증상 | |
주요 증상 | 이하선염 |
기타 증상 | 발열 두통 권태감 근육통 식욕 부진 |
합병증 | |
합병증 종류 | 난청 고환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 난소염 췌장염 드물게 불임 |
예방 | |
예방 방법 | 예방 접종 |
2. 역사
기원전 410년경, 그리스 의사 히포크라테스가 타소스 섬에서 발생한 유행성 이하선염 발병 사례를 최초로 기록하였다.[13][6] 1790년, 영국의 의사 로버트 해밀턴이 이 질병을 과학적으로 기술하였다.[7]
1934년, 클로드 D. 존슨과 어니스트 윌리엄 굿패스처가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MuV)를 발견하고, 원숭이 실험을 통해 바이러스성 질병임을 입증하였다.[13][6] 1945년, 볼거리 바이러스가 처음으로 분리되었고, 1948년에는 불활성화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단기적인 면역만 제공하여 중단되었다.[32][6]
1967년, 모리스 힐먼이 자신의 딸 제릴 린의 이름을 딴 Jeryl Lynn 균주를 사용한 생백신(Mumpsvax)을 개발하였다. Mumpsvax는 1977년에 사용이 권장되었다.[32][6] 1971년, 힐먼은 홍역, 풍진 백신과 결합된 MMR 백신을 개발하였다.[32]
1990년대, MMR 백신과 자폐 스펙트럼(ASD) 장애 및 염증성 장 질환과 연관성이 있다는 논란이 있었으나, 이는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18][20][6]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신 접종률 감소로 이어져, 홍역, 볼거리, 풍진이 다시 나타나는 원인이 되었다.
21세기 들어, 백신 접종률 감소와 면역력 저하 등의 원인으로 유행성 이하선염이 재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13년 중국에서 30만 건 이상,[21] 2004~2005년 영국과 웨일스에서 56,000건 이상의 발병 사례가 보고되었다.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1981년부터 국산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이 임의 예방 접종으로 사용되고 있다. 1988년부터 1993년까지 약 5년간 MMR 백신 접종이 실시되었으나, 이후 다시 단독 백신 임의 접종으로 변경되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유행성 이하선염 백신 접종에 대한 공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학교보건안전법상 학교 감염증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감염 시 출석 정지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2015년도 감염증 유행 예측 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약 70~85%가 접종 이력이 불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32]
3. 원인
파라믹소바이러스과 오르토루불라바이러스속에 속하는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MuV, 학명: *유행성이하선염 오르토루불라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비말 감염 및 접촉 감염으로 감염된다.[27] 인간은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의 유일한 자연 숙주이다.[13][28][29]
MuV의 유전체는 RNA로 구성되어 있으며, 9개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7개의 유전자를 포함한다. MuV 입자 내에서 유전체는 나선형 캡시드로 둘러싸여 있고, 캡시드는 표면에서 돌출된 스파이크가 있는 바이러스 외피로 둘러싸여 있다. MuV 입자는 다형성이며, 직경은 100nm~600nm이다.
MuV에는 A부터 N까지(E와 M 제외) 12개의 유전자형이 있으며, 지역에 따라 빈도가 다르다. 예를 들어, C, D, H, J 유전자형은 서반구에서 더 흔하며, F, G, I 유전자형은 아시아에서 더 흔하지만, G 유전자형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형으로 간주된다. A와 B 유전자형은 1990년대 이후 야생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MuV는 하나의 혈청형만을 가지므로, 한 유전자형에 대한 항체는 모든 유전자형에 대해 작용한다.[17] MuV는 비교적 안정적인 바이러스이며, 새로운 변종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항원 변이를 겪을 가능성은 낮다.[10]
볼거리는 2세에서 12세 사이의 어린이에게 감염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른 연령대에서도 감염될 수 있다. 보통 이하선이 관련되지만, 위 연령층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이 감염된 경우, 이하선, 고환, 난소, 중추 신경계, 췌장, 전립선, 가슴 등, 다른 기관도 관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완치 후에도 생식 기능에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잠복기는 12-25일이며, 보통 16-18일이다.
4. 전파
볼거리 바이러스는 주로 호흡기 비말(침방울)이나 분비물과의 흡입 또는 구강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13] 실험적으로 볼거리는 구강 또는 코를 통한 접종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하선염(볼거리)이 없는 호흡기 질환의 경우에도 코 검체에서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MuV)가 검출되고 밀접 접촉자 간 전파가 일어난다는 사실은 호흡기 전파를 뒷받침한다.[13] MuV는 증상이 나타나기 약 1주일 전부터 증상이 발생한 후 8일까지 타액에서 배출되며,[9] 이하선염이 시작될 때 최고조에 달하지만,[12] 무증상 환자의 타액에서도 확인되었다.[13]
모체-태아 감염도 다양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비인간 영장류에서는 태반 감염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산모의 볼거리 감염 중 자연 유산 및 계획 유산된 태아에서 MuV가 분리된 것으로 뒷받침된다. 또한 어머니가 감염된 신생아에게서도 MuV가 분리되었다. MuV가 모유에서 검출되었지만, 모유를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13]
기타 전파 방식으로는 감염된 비말이나 타액과의 직접적인 접촉, 타액에 오염된 매개물, 그리고 소변이 있을 수 있다.[12][18][20] 대부분의 전파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과 증상 발생 후 5일까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12] 취약한 집단에서 한 명의 감염자는 최대 12명의 새로운 감염자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염 기간은 증상이 나타나기 2일 전부터 증상이 멈춘 후 9일까지이다. 볼거리 바이러스의 무증상 보균자도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18] 이러한 요인들이 볼거리의 확산을 제어하기 어려운 이유로 여겨진다.[13]
자연 감염이나 백신 접종 후에도 재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17] 평생 면역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22] 백신 접종을 받은 감염자는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사람보다 전염력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12] 잠복기는 감염 시작부터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으로, 약 7~25일이며,[9][10] 평균 16~18일이다.[11]
5. 증상
잠복기는 감염 시작부터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으로, 약 7~25일이며,[9][10] 평균 16~18일이다.[11] 감염의 20~40%[12]는 무증상이거나 가벼운 호흡기 증상, 때로는 발열로 제한된다.[13][14] 전구기는 미열, 두통, 권태감, 근육통, 식욕 부진, 인후통과 같은 비특이적이고 가벼운 증상을 보인다.[13][15][16]
이하선염은 이하선(귀밑샘)의 염증으로, 볼거리의 가장 흔한 증상이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의 약 90%[17], 전체 감염의 60~70%에서 발생한다.[18] 보통 왼쪽과 오른쪽 이하선 모두 통증을 동반한 부종이 나타나지만,[18] 한쪽만 붓는 경우도 있다.[14] 이하선염은 바이러스 노출 후 2~3주 후, 증상 발생 2일 이내에 나타나며, 보통 2~3일 동안 지속되지만 1주일 이상 지속될 수도 있다.[13][15] 이하선염의 90%에서 양쪽 부종이 동시에 나타나기보다는 한쪽 부종이 지연되어 나타난다.[18] 이하선관은 붉어지고 부어오르며 액체로 채워질 수 있다. 이하선염은 보통 국소 압통과 때로는 귀의 통증을 동반한다.[10][19] 턱밑샘과 혀밑샘도 부어오를 수 있다.
볼거리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고환염, 유선염, 난소염, 무균 수막염, 췌장염, 뇌염, 수막뇌염, 신염, 관절염, 타액선염,[10] 난청,[17] 심근염, 심낭염, 수두증,[13][23] 제1형 당뇨병[26] 등 다양한 염증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46]
5. 1. 주요 증상
볼거리의 가장 흔한 증상은 이하선염(귀밑샘염)으로, 귀밑샘(이하선)이 붓고 통증이 발생한다.[17] 턱밑샘(악하선) 및 혀밑샘(설하선)의 염증도 발생할 수 있다.[13] 보통 양쪽 귀밑샘에 통증을 동반한 부종이 나타나지만,[18] 한쪽만 붓는 경우도 있다.[14] 이하선염은 바이러스 노출 후 2~3주 후에, 증상 발생 2일 이내에 나타나며, 보통 2~3일 동안 지속되지만 1주일 이상 지속될 수도 있다.[13][15]38~39℃의 발열이 3~5일간 지속될 수 있으며,[46] 발열이 없는 경우도 있다.[46] 두통, 인후통, 관자놀이 및 턱의 종창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42] 약 30%의 환자에서는 턱의 종창이 나타나지 않는다.[42]
5. 2. 합병증
볼거리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무균성 수막염으로, 10명 중 1명꼴로 발생한다.[47] 사춘기 이후 남성의 약 20%에서는 고환염이나 부고환염이 나타나며, 드물게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51] 사춘기 이후 여성의 5~10%에서는 난소염이 발생한다. 췌장염은 약 4%에서 발생하며, 상복부 통증, 압통, 구토 등을 유발한다. 난청은 드물게(1/15,000 ~ 1/184) 발생하지만, 영구적인 난청을 유발할 수 있다.[48] 뇌염/수막뇌염은 매우 드물지만(0.5% 미만)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기타 합병증으로는 유선염, 신염, 관절염, 심근염, 심낭염, 수두증, 갑상선염, 간염, 망막염 등이 있다.6. 진단
유행성이하선염은 임상 증상, 특히 이하선염(귀밑샘의 염증)과 유행성이하선염 환자와의 접촉력을 바탕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하선염은 유행성이하선염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 뺨과 턱밑이 부어오르고 통증을 동반한다.[17]
실험실 검사를 통해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MuV) 감염을 확진할 수 있다. 주요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항체 검사: 혈액 또는 구강 체액 검체를 통해 유행성이하선염 특이 IgM 항체를 검출한다. IgM 항체는 감염 초기(증상 발생 후 최대 8일)에 최고조에 달하며,[17] 효소 결합 면역 흡착 검사(ELISA)로 측정할 수 있다.[19] 다만, 이전에 감염되었거나 예방 접종을 받은 사람에게서는 위음성이 나타날 수 있다.[15]
-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RT-PCR): 실시간 역전사 중합 효소 연쇄 반응(rRT-PCR)을 통해 타액, 혈액, 소변 등에서 바이러스 RNA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증상 초기부터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데 유용하며,[17] 타액 검체의 경우 이하선염 발생 2~3일 전부터 4~5일 후까지 약 70%의 민감도를 보인다.[25]
- 바이러스 배양: 타액, 혈액, 뇌척수액(CSF) 등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세포 배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17]
- 뇌척수액(CSF) 검사: 수막염이 의심되는 경우, 요추 천자를 통해 뇌척수액을 채취하여 검사한다. 뇌척수액에서는 백혈구 수 증가, 림프구 수 증가, 단백질 수치 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다.[23]
유행성이하선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알레르기 반응, 유양돌기염, 홍역, 소아 HIV 감염, 풍진 등)과의 감별 진단이 필요할 수 있다.[10]
7. 치료
볼거리에 대한 특별한 항바이러스 치료법은 없으며, 증상을 완화하는 대증 요법을 시행한다.[16][18]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관리법으로는 침상 안정, 목과 음낭에 얼음이나 온열 팩 사용, 수분 섭취 증가, 부드러운 음식 섭취, 따뜻한 소금물 가글 등이 있다.[16][18] 아세트아미노펜이나 이부프로펜과 같은 진통제를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21] 발열 시 해열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21] 어린이에게 아스피린을 투여하면 라이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16]
췌장염으로 인해 심한 메스꺼움이나 구토가 발생하면 수액을 투여한다.[19] 발작이 나타나는 경우 항경련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면 호흡을 돕기 위해 인공호흡기를 사용할 수 있다.[19]
8. 예방
볼거리는 MMR 백신(홍역, 볼거리, 풍진 혼합 백신)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 MMR 백신은 1회보다 2회 접종했을 때 예방 효과가 더 높으며(79~95%),[22] 백신 접종을 시행한 국가에서는 볼거리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했다.[17] 그러나 백신 접종 후에도 면역력이 약해지거나,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유전자형에 감염될 수 있다.[32]
한국에서는 MMR 백신이 국가 필수 예방 접종에 포함되지 않아 임의 접종으로 시행되고 있다.
감염자나 감염이 의심되는 사람은 격리하여 전파를 막아야 한다.[11][37] 학교, 보육 시설, 직장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는 격리가 필요하다. 의료 환경에서는 의료진이 감염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예방 조치를 취하고, 볼거리가 발생하면 업무를 중단해야 한다.
2006년 미국에서는 백신 2회 접종률이 높은 상황에서도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규모 유행이 발생했다. 이는 2회 접종으로도 예방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57]
8. 1. 백신
현재 사용되는 볼거리 백신은 약독화된 생 바이러스를 사용한다.[10] 대부분의 국가에서 예방 접종 프로그램에 볼거리 예방 접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홍역과 풍진으로부터도 보호하는 MMR 백신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볼거리 백신이다.[17] 볼거리 백신은 단독으로[36] 또는 MMRV 백신의 일부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MMRV 백신은 홍역, 풍진, 수두, 대상포진에 대한 예방 효과도 제공한다.백신 | 균주 | MMR(V) |
---|---|---|
MMR II | Jeryl Lynn | MMR |
Morupar | Urabe AM9 | MMR |
Priorix | Jeryl Lynn RIT 4385 | MMR |
Trimovax | Urabe AM9 | MMR |
Triviraten | Rubini | MMR |
Priorix-Tetra | Jeryl Lynn RIT 4385 | MMRV |
ProQuad | Jeryl Lynn | MMRV |
다양한 바이러스 균주가 볼거리 백신에 사용되어 왔는데, Jeryl Lynn (JL), Leningrad-3, Leningrad-3-Zagreb (L-Zagreb), Rubini, Urabe AM9 균주 등이 있다. 일부 다른 덜 두드러진 균주도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개별 국가에 국한되어 있다.[9][38]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은 백신 균주에 따라 다르다.[9][38]
- Rubini는 안전하지만, 발병 시 효능이 낮아 사용이 중단되었다.
- JL은 비교적 안전하고 효능이 비교적 높다. 그러나, 발병 시 효능이 현저히 낮다. JL 백신의 변형 버전은 RIT 4385이며, 이 또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
- Urabe와 Leningrad-3는 둘 다 JL만큼 효과적이지만, 안전성이 떨어진다.
- Leningrad-3의 변형 버전인 L-Zagreb는 발병 시를 포함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MMR 백신으로부터의 볼거리 예방 효과는 1회 접종보다 2회 접종 후에 더 높으며[39] 79%에서 95% 사이로 추정된다.[22]
백신 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가벼운 부작용으로는 열과 발진 등이 있다.[15] 무균성 수막염도 다양한 비율로 발생한다.[9][38] 다른 드문 부작용으로는 뇌수막염, 이하선염, 내이 손상으로 인한 난청, 고환염, 췌장염이 있다.[25]
9. 역학
볼거리는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질병이다.[10] 백신 도입 전에는 매년 인구 10만 명당 100~1,000건(0.1~1.0%)이 발생했으며, 2~5년 주기로 유행했다.[17] 특히 5~9세 어린이에게서 발병률이 가장 높았다.[21] 예방 접종을 받지 않은 인구 집단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이 볼거리에 감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9][13] 백신 도입 이전에는 수막염 사례의 10%, 뇌염 사례의 약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흔했으며,[15] 전 세계적으로 침샘 염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었다.[14]
백신 접종 시작 후, 볼거리 발생률은 극적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백신 접종률이 낮은 지역이나, 백신 접종 후 시간이 지나 면역력이 떨어진 경우에는 집단 발병이 발생하기도 한다. 볼거리는 온대 기후 지역에서는 겨울과 봄에, 열대 지역에서는 연중 발생한다.[33] 온도와 습도가 증가할수록 볼거리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9]
9.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유행성 이하선염이 학교보건안전법상 학교 감염증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10] 감염 시에는 출석 정지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5류 감염증 정점 파악 질환으로 지정되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Mumps
https://www.who.int/[...]
2024-05-10
[2]
웹사이트
Mumps - Complications
https://www.nhs.uk/c[...]
2024-02-09
[3]
웹사이트
Mumps {{!}} Vaccination {{!}} CDC
https://www.cdc.gov/[...]
CDC
2024-02-09
[4]
논문
Mumps resurgences in the United States: A historical perspective on unexpected elements
Elsevier BV
2009-10-19
[5]
웹사이트
mumps (n.)
https://www.etymonli[...]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20-10-30
[6]
웹사이트
Tracing the story of mumps: a timeline
https://www.pharmace[...]
Pharamaceutical Technology
2020-10-30
[7]
논문
IX. ''An'' Account of a Distemper, ''by the common People in England vulgarly called the MUMPS''
1790
[8]
웹사이트
Diseases in World War I
https://www.worldwar[...]
United States Foundation for the Commemoration of the World Wars
2020-10-30
[9]
논문
Current Status of Mumps Virus Infection: Epidemiology, Pathogenesis, and Vaccine
2020-03-05
[10]
논문
Mumps
https://www.ncbi.nlm[...]
StatPearls
2020-10-30
[11]
논문
Vaccine-Preventable Diseases In Pediatric Patients: A Review Of Measles, Mumps, Rubella, And Varicella
https://www.ebmedici[...]
2020-10-30
[12]
논문
Guidance for isolation precautions for mumps in the United States: a review of the scientific basis for policy change
2010-06-15
[13]
논문
Molecular biology, pathogenesis and pathology of mumps virus
2015-01
[14]
논문
Review of the Major and Minor Salivary Glands, Part 1: Anatomy, Infectious, and Inflammatory Processes
2018-11-15
[15]
웹사이트
Mumps
https://www.cdc.gov/[...]
CDC
2020-10-30
[16]
웹사이트
Mumps
http://www.ncbi.nlm.[...]
A.D.A.M. Medical Encyclopedia
2020-10-30
[17]
논문
Mumps virus nomenclature update: 2012
https://iris.who.int[...]
2020-10-30
[18]
논문
The increasing incidence of mumps orchitis: a comprehensive review
2010-04
[19]
논문
Mumps and the UK epidemic 2005
2005-05-14
[20]
논문
Mumps orchitis
2006-11
[21]
논문
Chinese medicinal herbs for mumps
2015-04-18
[22]
논문
Remembering mumps
2015-05-07
[23]
서적
Manson's tropical diseases
https://books.google[...]
Elsevier/Saunders
2013
[24]
논문
Complementary findings in clinical and epidemiologic features of mumps and mumps meningoencephalitis in children without mumps vaccination
2004-12
[25]
논문
Mumps: a resurgent disease with protean manifestations
https://www.mja.com.[...]
2020-10-30
[26]
논문
Viruses and Autoimmunity: A Review on the Potential Interaction and Molecular Mechanisms
2019-08-19
[27]
웹사이트
ICTV Taxonomy history: ''Mumps orthorubulavirus''
https://ictv.global/[...]
ICTV
2020-10-30
[28]
논문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paramyxovirus particles
2017-06
[29]
논문
ICTV Virus Taxonomy Profile: ''Paramyxoviridae''
https://talk.ictvonl[...]
2020-10-30
[30]
논문
Paramyxovirus glycoprotein incorporation, assembly and budding: a three way dance for infectious particle production
2014-08-07
[31]
논문
Paramyxovirus assembly and budding: building particles that transmit infections
2010-09
[32]
논문
Knowledge gaps persist and hinder progress in eliminating mumps
2018-06-18
[33]
논문
Mumps in the Vaccination Age: Global Epidemiology and the Situation in Germany
2018-07-31
[34]
논문
Amylase isoenzymes in mumps
1979-10
[35]
웹사이트
Amylase Test
http://www.labtestso[...]
2020-10-30
[36]
웹사이트
Changes in the Immunization Schedule Recommended by the Japan Pediatric Society
https://www.jpeds.or[...]
2018-08-01
[37]
웹사이트
Mumps Clinical Information – Minnesota Dept. of Health
http://www.health.st[...]
[38]
논문
Mumps outbreaks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time for new thinking on mumps vaccines
2007-08-15
[39]
논문
Vaccines for measles, mumps and rubella in children
2012-02-15
[40]
논문
Combination Measles-Mumps-Rubella-Varicella Vaccine in Healthy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Immunogenicity and Safety
2015-11
[41]
논문
Acupuncture for mumps in children
https://pubmed.ncbi.[...]
2015-02-02
[42]
논문
【原著】成人無菌性髄膜炎の臨床的検討(第2報)―ムンプス髄膜炎13例について―
https://doi.org/10.5[...]
2015
[43]
논문
ムンプス難聴の臨床統計
https://doi.org/10.5[...]
2004
[44]
논문
抗ムンプスIgM抗体陽性の突発難聴
https://doi.org/10.4[...]
2000
[45]
논문
健常者および急性感音難聴患者の抗ムンプスIgM抗体陽性率
https://doi.org/10.4[...]
2003
[46]
웹사이트
おたふくかぜ
https://www.ndgh.jp/[...]
土浦協同病院 なめがた地域医療センター
2020-02-17
[47]
웹사이트
病気とワクチン おたふくかぜ
http://www.daiichisa[...]
北里第一三共ワクチン
[48]
간행물
ムンプス難聴の発生頻度調査
http://hns.reasoning[...]
近畿外来小児科学研究グループ
2004
[49]
간행물
ムンプス難聴と聴覚補償
http://www.nih.go.jp[...]
2013-08
[50]
웹사이트
おたふくかぜで難聴282人に1人 小児科医ら調査
https://digital.asah[...]
朝日新聞
2018-05-28
[51]
웹사이트
流行性耳下腺炎
http://merckmanuals.[...]
メルクマニュアル
[52]
서적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0th EDITION
ELSEVIER
[53]
웹사이트
流行性耳下腺炎(ムンプス、おたふくかぜ)国立感染症研究所
http://idsc.nih.go.j[...]
[54]
웹사이트
おたふくかぜワクチンについて
https://www.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IASR Vol. 37 p.201-202: 2016年10月号)
[55]
웹사이트
近年における「おたふくかぜワクチン」の接種歴調査の結果について―2015年度感染症流行予測調査より
https://www.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IASR Vol. 37 p.198-199: 2016年10月号)
[56]
웹사이트
大人になってからの予防接種について
https://www.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
[57]
논문
おたふくかぜ、ワクチン2回接種でも青年期の発症防げず: 2006年に米国で起こったアウトブレイクの調査結果
https://medical.nikk[...]
日経BP
2008-04-22
[58]
논문
Recent Resurgence of Mumps in the United States
http://content.nejm.[...]
null
2008-04-10
[59]
논문
再感染によるムンプス難聴例
https://doi.org/10.5[...]
2003
[60]
뉴스
イタリア、予防接種を就学の条件に
https://www.afpbb.co[...]
AFP
2017-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