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루이 바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루이 바로는 프랑스의 배우, 연출가로, 1910년 르 베지네에서 태어나 1994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그는 샤를 뒬랭의 아틀리에에서 연기를 시작했으며, 코미디 프랑세즈에서 활동하며 폴 클로델의 '비단 구두'를 연출했다. 1946년 아내 마들렌 르노와 함께 르노-바로 극단을 창단하여 마리니 극장에서 공연을 펼쳤고, 이후 오데온 극장 감독을 역임하며 세계 연극에 기여했다. 그는 50편에 가까운 영화에 출연했으며, '천국의 아이들'에서 장-가스파르 드뷔로 역할을 맡은 것으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블린주 출신 - 뤼디빈 사니에
프랑스 배우이자 모델인 뤼디빈 사니에는 프랑수아 오종 감독의 영화들을 통해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약, 2002년에는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 여자연기자상을 수상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 이블린주 출신 - 자크 타티
자크 타티는 프랑스의 영화감독, 배우, 각본가로, 윌로 씨 캐릭터를 통해 현대 사회와 소비주의를 유머러스하게 비판한 《즐거운 축제날》, 《윌로 씨의 휴가》, 《나의 삼촌》, 《플레이타임》 등의 독창적인 코미디 영화들을 연출하며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무언극 배우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무언극 배우 - 마르셀 마르소
프랑스의 마임 아티스트 마르셀 마르소는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비프'라는 대표 캐릭터를 통해 독창적인 마임 예술을 선보이며, 미모드라마 제작, 영화 출연, 마임 교육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며 마임 발전에 기여했다. - 프랑스의 남자 연극 배우 - 앙드레 부르빌
앙드레 부르빌은 프랑스의 배우, 가수, 작곡가로서, 다양한 직업을 거쳐 보드빌리언으로 활동하다 영화에 데뷔, 루이 드 퓨네스와 코미디 명콤비로 인기를 얻고,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과 더불어 다양한 장르의 영화 출연 및 300여 곡의 노래를 작곡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프랑스의 남자 연극 배우 - 닐스 아레스트뤼프
프랑스의 배우이자 연출가인 닐스 아레스트뤼프는 197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영화와 연극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세자르상 남우조연상과 모리에르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뛰어난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2024년 12월 1일에 사망했다.
| 장루이 바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장루이 바로 |
| 출생일 | 1910년 9월 8일 |
| 출생지 | 프랑스 일드프랑스 이블린주 르 베시네 |
| 사망일 | 1994년 1월 22일 |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 배우자 | 마들렌 르노 (1940년 결혼) |
| 직업 | |
| 직업 | 배우, 연출가, 극단 주재 |
| 활동 분야 | 연극, 영화 |
| 주요 작품 | |
| 주요 작품 | 천장 객석의 사람들(1945년) |
2. 생애
장루이 바루는 1910년 프랑스 르 베지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약사였으나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사망했다.[1]:87 1931년 샤를 뒤랑 극단에 들어가 배우 생활을 시작했으며, 에티엔 드크루에게 판토마임을 배우기도 했다. 1936년에는 윌리엄 포크너의 『어머니를 위하여』를 연출하여 이름을 알렸다.
1940년 코미디 프랑세즈에 입단하여 1943년 정단원이 되었고, 폴 클로델의 『비단 구두』를 연출·상연하여 점령기의 쾌거로 기록되었다. 이 시기에 여배우 마들렌 르노와 결혼했다. 1946년 르노와 함께 코미디 프랑세즈를 떠나 '르노-바로 극단'을 창단하고 마리니 극장(Théâtre Marigny)과 10년 계약을 맺었다.
1959년 앙드레 말로 문화부 장관에 의해 오데온 극장이 프랑스 극장(Théâtre de France)으로 개명되고 르노-바로 극단이 운영을 맡게 되었다. 바루는 이곳에서 '제국민 연극제'를 개최하는 등 세계 연극 교류에 힘썼다. 그러나 1968년 5월 혁명 당시 학생들에게 극장 점거를 허용했다는 이유로 극단은 오데온 극장에서 쫓겨났다.
이후 르노-바로 극단은 여러 극장을 전전하다가 1981년 롱-포앵 극장(Théâtre du Rond-Point)에 정착했다. 르노-바로 극단은 1960년, 1977년, 1979년 세 차례 일본을 방문했다.[8] 바루는 1994년 1월 심근 경색으로 사망하여 파시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장루이 바루는 1910년 프랑스 르 베지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부르고뉴 출신의 약사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사망했다.[1] 그는 1930년까지 샤프탈 고등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이후 루브르 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했다.[1]파리 서쪽 교외 이브린현 르 베지네에서 태어났으며, 파리의 샤프탈 고등학교(Lycée Chaptal)를 졸업했다. 이후 아버지의 뜻을 거스르고 점원, 중학교 자습 감독 등을 거쳐 1931년 샤를 뒤랑 극단에 들어가 벤 존슨의 작품을 슈테판 츠바이크와 쥘 로맹이 각색한 『볼포네』의 단역으로 첫 무대에 섰다.
2. 2. 샤를 뒬랭과의 만남과 연극 입문
1931년부터 1935년까지 바로는 샤를 뒬랭의 '라틀리에'(L'Atelier)에서 공부하고 연기를 했다.[2]:32 그의 첫 공연은 벤 존슨의 ''볼포네''(Volpone)에서 작은 역할이었다. 당시 바로는 집세를 낼 여유가 없었고 뒬랭은 그가 볼포네의 침대에서 극장에서 잠을 자도록 허락했다.[3]:16 그는 '라틀리에'에서 처음으로 에티엔 드크루를 만나 그에게 배웠으며,[4]:41 1931년에는 그와 함께 마임극 ''원시 생활''(La Vie Primitive)을 만들었다.[1]:871935년부터 2년간 아틀리에 극단 배우 학교에서 에티엔 드크루에게 판토마임도 배웠는데, 이 학교에는 마르셀 마르소도 있었다. 1936년 윌리엄 포크너의 『어머니를 위하여』를 아틀리에 극단에서 연출하여 이름을 알렸고, 뒬랭의 친구 루이 쥐베에게도 인정받았다.
2. 3. 에티엔 드크루와 마임
샤를 뒬랭의 ''라틀리에''(L'Atelier)에서 에티엔 드크루는 장루이 바로를 처음 만나 그에게 연기를 가르쳤다.[4]:41 1931년 드크루와 함께 마임극 ''원시 생활''(La Vie Primitive)을 만들었다.[1]:87 1935년부터 2년간 아틀리에 극단 배우 학교에서 에티엔 드크루(Étienne Decroux)에게 판토마임을 배웠는데,[7] 이 학교에는 마르셀 마르소도 있었다.2. 4. 코메디 프랑세즈 시절
1940년 임시 지배인 자크 코포의 초청을 받아 코미디 프랑세즈에 입단했다.[2]:32 1943년에는 정단원이 되어 폴 클로델의 『비단 구두』를 연출·상연하였는데, 이는 점령기의 쾌거로 기록되었다. 이때 같은 극단의 여배우 마들렌 르노와 결혼했다. 1942년부터 1946년까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과 피에르 코르네유의 ''르 시드''에서 주연을 맡았다.[2]:321946년, 개혁 정신에 따라 르노와 함께 코미디 프랑세즈를 떠나 '르노-바로 극단'(la compagnie Renaud-Barrault)을 조직하고 마리니 극장(Théâtre Marigny)과 10년 계약을 맺었다.[5]:161
2. 5. 르노-바로 극단 창단
1946년, 장루이 바로는 배우인 아내 마들렌 르노와 함께 파리의 마리니 극장(Théâtre Marigny)에서 르노-바로 극단(Compagnie Renaud-Barrault)을 결성했다.[5]:161 같은 해, 바로와 르노는 개혁 정신에 동조하여 코미디 프랑세즈를 떠나 르노-바로 극단을 조직하고 마리니 극장과 10년 계약을 맺었다.1956년 계약 만료 후, 극단은 프랑스 지방 도시와 해외 순회 공연을 이어갔다.
1959년, 당시 문화부 장관 앙드레 말로는 오데온 극장을 코미디 프랑세즈에서 분리하여 프랑스 극장(Théâtre de France)으로 명명하고 르노-바로 극단에 운영을 맡겼다. 바로는 자신의 연극 활동뿐만 아니라 '제국민 연극제'(Théâtre des nations)를 개최하여 미국의 '리빙 시어터'(The Living Theatre)를 초청하는 등 세계 연극에 문호를 개방했다.
1968년 5월 혁명 당시 학생들에게 극장 점거를 허용한 죄로 극단은 오데온 극장에서 쫓겨났다. 그해 말부터 다음 해 봄까지 투우장인 엘리제 몽마르트르(Élysée Montmartre)에서, 1974년부터 1980년까지는 오르세 미술관 내 가설 헛간에서 공연을 했다. 이후 1981년, 당시 문화부 장관 장-필립 르카(Jean-Philippe Lecat)의 주선으로 롱-포앵 극장(Théâtre du Rond-Point)에 정착했다.
르노-바로 극단은 1960년, 1977년, 1979년 세 차례 일본을 방문했다.[8]
2. 6. 프랑스 극장 (오데온 극장) 감독
1959년, 앙드레 말로 문화부 장관은 오데온 극장을 코미디 프랑세즈에서 분리하여 프랑스 극장(Théâtre de France)으로 명명하고 '르노-바로 극단'에 맡겼다. 바로는 1969년까지 프랑스 극장 감독을 맡으며 자신의 연극 활동을 하는 한편, '제국민 연극제'(Théâtre des nations)를 열고 미국의 '리빙 시어터'(The Living Theatre)를 초청하는 등 세계 연극에 문호를 열었다.[1]:87 1968년 5월 혁명 당시 학생들에게 극장 점거를 허용한 죄로 극단은 오데온 극장에서 쫓겨났다.[8]2. 7. 5월 혁명과 오데온 극장 점거
1968년 5월 혁명 당시 학생들에게 오데온 극장 점거를 허용했다는 이유로 극단은 오데온 극장에서 쫓겨났다. 그해 말부터 다음 해 봄까지 투우장인 엘리제 몽마르트르(Élysée Montmartre)에서 공연을 했다.[1]:872. 8. 롱-포앵 극장 정착과 은퇴
1981년, 당시 문화부 장관 장-필립 르카(Jean-Philippe Lecat)의 주선으로 롱-포앵 극장(Théâtre du Rond-Point)에 정착했다.[1]:87 그는 1990년에 극계에서 은퇴했다.[1]:872. 9. 사망
바로는 1994년 1월 22일 파리에서 심근 경색으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87 그는 아내 르노와 함께 파리의 파시 묘지에 묻혔다.3. 주요 작품 활동
장루이 바로는 1935년 마르크 알레그레의 영화 ''Les Beaux Jours''에서 처음 영화배우가 되었다.[1]:87 이후 50편 가까운 영화에 출연했다. 마르셀 카르네의 영화 ''Les Enfants du Paradis''(1945)에서 장 가스파르 드뷔로 역을 맡은 것이 그의 가장 유명한 연기 중 하나이다.[5]:161
주요 출연작은 다음과 같다.
| 개봉 연도 | 한국어 제목 원제 | 배역명 | 비고 |
|---|---|---|---|
| 1936 | 제니의 집 Jenny | ||
| 1937 | 왕관의 진주 Les Perles de la couronne | 장 마르탱, 프랑수아 1세, 폴 바라스, 나폴레옹 3세 | 사샤 기트리 감독 시네 클럽 상영 |
| 1941 | 데지레 Le Destin fabuleux de Désirée Clary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 사샤 기트리 감독 |
| 1945 | 천국의 아이들 Les enfants du paradis | 장 바티스트 / 가스파르 드뷔로 | |
| 1950 | 원무 La ronde | 로베르토 (시인) | |
| 1954 | 베르사유 이야기 'Si Versailles mtait conté... | 페넬롱 | 사샤 기트리 감독 영화제 상영 |
| 1962 | 지상 최대의 작전 The Longest Day | 루이 루랑 신부 | |
| 1982 | 바렌의 밤 La Nuit de Varennes | 레티프 드 라 브르톤 | 에토레 스콜라 감독 영화제 상영 |
3. 1. 연극
장루이 바로는 샤를 뒬랭의 ''라틀리에''에서 1931년부터 1935년까지, 코메디 프랑세즈에서 1942년부터 1946년까지 배우로 활동했다.[2]:32 1946년에는 아내 마들렌 르노와 함께 르노-바로 극단을 창단했고,[5]:161 1959년부터 1969년까지 프랑스 극장, 1971년에는 국립극장(Théâtre des Nations)의 감독을 역임했다.[1]:87 1990년에 은퇴했다.[1]:87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3. 1. 1. 아틀리에 극단 시절
샤를 뒬랭의 '라틀리에'(L'Atelier)에서 1931년부터 1935년까지 바로는 공부하고 연기를 했다.[2]:32 벤 존슨의 ''볼포네''(Volpone)에서 작은 역할로 첫 공연을 했다. 당시 집세 낼 돈이 없었던 바로를 위해 뒬랭은 그가 볼포네의 침대에서 극장 잠을 자도록 허락했다.[3]:16 '라틀리에'에서 에티엔 드크루를 처음 만나 그에게 배웠으며,[4]:41 1931년에는 그와 함께 마임극 ''원시 생활''(La Vie Primitive)을 만들었다.[1]:87그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을 연출했다.
3. 1. 2. 코메디 프랑세즈 시절
바로는 1942년부터 1946년까지 코미디 프랑세즈의 단원이었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과 피에르 코르네유의 ''르 시드''에서 주연을 맡았다.[2]:32 1946년에는 배우인 아내 마들렌 르노와 함께 파리의 마리니 극장(Théâtre Marigny)에서 르노-바로 극단(Compagnie Renaud-Barrault)을 결성했다.[5]:161| 연도 | 작품 | 작가 | 역할 |
|---|---|---|---|
| 1940년 | 르 시드 | 코르네유 | 연출 |
| 1940년 | 페드르 | 라신 | 연출 |
| 1941년 | 햄릿 | 셰익스피어 | 출연 |
| 1941년 | 탄원하는 여인들 | 아이스킬로스 | 예술 감독 (스타드 롤랑 가로스에서 상연) |
| 1943년 | 비단 구두 | 폴 클로델 | 연출 |
| 1945년 |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 | 셰익스피어 | 연출 |
| 1945년 | 칼리굴라 | 알베르 카뮈 | 연출 |
| 1945년 | 사랑받지 못한 사람들(Les Mal-Aimés) | 프랑수아 모리아크 | 연출 |
3. 1. 3. 마리니 극장 시절
그는 배우인 아내 마들렌 르노와 함께 1946년 파리의 마리니 극장(Théâtre Marigny)에서 자체 극단인 르노-바로 극단(Compagnie Renaud-Barrault)을 결성했다.[5]:161 1951년에는 회고록 ''연극에 대한 성찰''(Reflections on the Theatre)을 출판했다.[6]마리니 극장 시절 르노-바로 극단의 주요 공연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작품명 | 작가 | 비고 |
|---|---|---|---|
| 1946 | 햄릿 | 셰익스피어 | 연출 |
| 1946 | Les Fausses Confidences|거짓 고백프랑스어 | 마리보 | |
| 1946 | 분노의 밤 | 아르망 살라크루 | |
| 1946 | 심판 | 카프카 | |
| 1947 | 앙피트리옹 | 몰리에르 | |
| 1947 | 벚꽃 동산 | 안톤 체호프 | |
| 1948 | 아멜리에에게 정신 팔린 남자 | 조르주 페이도(Georges Feydeau) | |
| 1948 | L'État de siège|계엄령프랑스어 | 카뮈 | |
| 1948 | Partage de midi|한낮의 분할프랑스어 | 클로델 | |
| 1949 | 스카팽의 간계 | 몰리에르 | 루이 쥐베 연출 |
| 1950 | 리허설 또는 처벌받는 사랑 | 장 아누이(Jean Anouilh) | |
| 1950 | 말라테스타 | 앙리 드 몽테를랑(Henry de Montherlant) | |
| 1951 | 라자르 | 앙드레 오베(André Obey) | |
| 1951 | 바쿠스 | 장 콕토 | |
| 1952 | Siegfried (Giraudoux)|지크프리트프랑스어 | 장 지로두 | |
| 1953 | Pour Lucrèce|루크레스 때문에프랑스어 | 장 지로두 | |
| 1953 | Le Livre de Christophe Colomb|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책프랑스어 | 클로델 | |
| 1954 | 격언의 밤 | 주르주 슈아데(Georges Schehadé) | |
| 1955 | 오레스테이아 | 아이스킬로스 | |
| 1955 | 죄수의 꿈 | 크리스토퍼 프라이(Christopher Fry) | |
| 1956 | 싸우는 남자 | 장 보티에 (Jean Vautier) | |
| 1957 | 바스코의 이야기 | 슈아데 | |
| 1957 | 뤼 블라스 | 빅토르 위고 |
3. 1. 4. 오데온 극장 시절
1959년 장루이 바로는 프랑스 극장(Théâtre de France)의 감독으로 임명되어 1969년까지 재직했다.[1]:87 이후 1971년에는 국립극장(Théâtre des Nations)의 감독으로 다시 임명되었다.[1]:87바로는 프랑스 극장 감독 시절 다양한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
| 연도 | 작품명 | 작가 |
|---|---|---|
| 1959년 | 『황금의 머리』 | 클로델 |
| 1960년 | 『코뿔소』 | 이오네스코 |
| 1961년 | 『유디트』 | 지로두 |
| 1961년 | 『맑은 날에는 그대와 함께 걸을 수 없다』 (Mais, n'te promène donc pas toute nue) | 페도 |
| 1961년 | 『여행』 (Le Voyage) | 조르주 셰아데(Georges Schéhadé) |
| 1961년 | 『루크레티우스의 능욕』 (Le Viol de Lucrèce) | 오베이 |
| 1962년 | 『안드로마케』 | 라신 |
| 1963년 | 『공중 보행자』 | 이오네스코 |
| 1963년 | 『행복한 나날』 (Oh les beaux jours) | 사무엘 베케트 |
| 1964년 | 『구름 속을 통과해야 한다』 (Il faut passer par les nuages) | 프랑수아 비예두(François Billetdoux) |
| 1965년 | 『수풀 속의 나날』 | 마르그리트 뒤라스 |
| 1966년 | 『병풍』 | 장 주네 |
| 1966년 | 『헨리 4세』 | 셰익스피어 |
| 1967년 | 『성 안토니우스의 유혹』 | 플로베르 |
| 1967년 | 『섬세한 균형』 | 에드워드 올비 |
| 1967년 | 『침묵』 (Le Silence) | 나탈리 사로트 |
| 1967년 | 『거짓말』 (le Mensonge) | 사로트 |
3. 1. 5. 롱-포앵 극장 시절
1959년에 그는 프랑스 극장(Théâtre de France)의 감독이 되었고, 1969년까지 그 역할을 맡았다.[1]:87 1971년에는 국립극장(Théâtre des Nations)의 감독으로 재임명되었다.[1]:87 그는 1990년에 극계에서 은퇴했다.[1]:87- 1981년: 아풀레이우스, 라 퐁텐, 몰리에르의 작품을 편집한 바로의 쇼, 『사랑의 사랑』 (L'Amour de l'amour)
- 1982년: 조르주 쿨롱(Georges Coulonges) 작 『슈트라우스 가 사람들』 (Les Strauss)
3. 2. 영화
1935년 마르크 알레그레의 영화 ''Les Beaux Jours''에서 첫 영화 역할을 맡았다.[1]:87 이후 50편에 가까운 영화에 출연했다. 마르셀 카르네의 영화 ''Les Enfants du Paradis''(1945)에서 장 가스파르 드뷔로 역을 맡은 것이 그의 가장 유명한 연기 중 하나이다.[5]:161그의 출연작은 다음과 같다.
| 개봉 연도 | 한국어 제목 원제 | 배역명 | 비고 |
|---|---|---|---|
| 1935 | 녹색 정원 Les beaux jours | 르네 | |
| 1936 | 제니의 집 Jenny | ||
| 아름다운 청춘 Hélène | 피에르 | ||
| Un grand amour de Beethoven프랑스어 Un grand amour de Beethoven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
| 1937 | 왕관의 진주 Les Perles de la couronne | 장 마르탱 프랑수아 1세 폴 바라스 나폴레옹 3세 | 사샤 기트리 감독 시네 클럽 상영 |
| 1941 | 데지레 Le Destin fabuleux de Désirée Clary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 사샤 기트리 감독 |
| 1942 | La Symphonie fantastique프랑스어 La symphonie fantastique | 엑토르 베를리오즈 | |
| 1944 | Lnge de la nuit (film)프랑스어 Lnge de la nuit | 자크 마르탱 | |
| 1945 | 천국의 아이들 Les enfants du paradis | 장 바티스트 / 가스파르 드뷔로 | |
| La Part de lmbre (film, 1945)프랑스어 La part de lmbre | 미셸 크레메르 | ||
| 1950 | 원무 La ronde | 로베르토 (시인) | |
| 1954 | 베르사유 이야기 'Si Versailles mtait conté... | 페넬롱 | 사샤 기트리 감독 영화제 상영 |
| 1958 | 코르들리에 박사의 유언 Le testament du Docteur Cordelier | 코르들리에 박사 | 텔레비전 영화 |
| 1958 | 그레뱅 밀랍 박물관 Musée Grévin | 본인 | 단편 |
| 1962 | 지상 최대의 작전 The Longest Day | 루이 루랑 신부 | |
| 1966 | 차파쿠아 Chappaqua | 브누아 박사 | |
| 1982 | 바렌의 밤 La Nuit de Varennes | 레티프 드 라 브르톤 | 에토레 스콜라 감독 영화제 상영 |
4. 저서
참조
[1]
서적
From the Greek Mimes to Marcel Marceau and Beyond: Mimes, Actors, Pierrots, and Clowns : a Chronicle of the Many Visages of Mime in the Theatr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2-11-19
[2]
서적
Acting: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1-01-01
[3]
논문
The Artaud Experiment
1963-01-01
[4]
서적
Modern and Post-Modern Mime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1989-09-15
[5]
서적
Jacques Lecoq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12-14
[6]
서적
Reflections on the Theatre
Rockcliff
1951-01-01
[7]
웹사이트
프랑스연극사연표 (4) 1887-1949
http://www4.ocn.ne.j[...]
[8]
데이터베이스
早稲田大学現代演劇上演記録データベース
http://enpaku.wase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