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색전선전사동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적색전선전사동맹(RFB)은 1924년 7월 18일 창설된 독일 공산당(KPD)의 준군사 조직이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사민당의 국기단, 우익 철모단 등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되었으며, 공산당의 활동을 경호하고, 반대 세력의 집회를 방해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에른스트 텔레만이 초대 대장을 맡았으며, 1920년대 후반에는 10만 명 이상의 대원을 보유했다. 나치당의 돌격대(SA)와 유사하게 폭력적인 투쟁을 벌였으며, 특히 1929년 '피의 메이데이 사건' 이후 여러 차례 금지되었다. 1933년 나치 정권 수립 후 불법화되었으며, 회원들은 탄압을 받았다. 일부는 스페인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좌익 무장 단체 - 흑적금 국기단
흑적금 국기단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사회민주당을 중심으로 나치즘과 공산주의로부터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창설된 독일의 준군사 조직으로, 철의 전선 결성 등의 활동을 펼쳤으나 나치 정권에 의해 금지되었고 현재는 정치 및 역사 교육 협회로 재결성되어 활동 중이다. - 독일의 좌익 무장 단체 - 붉은 조라
붉은 조라는 1980년대 서독의 극좌 테러 조직으로, 낙태 반대 법안 항의, 쿠르드족 지원, 사회 문제 저항 등을 목표로 테러를 감행했으며, 1995년 활동을 중단했다. - 독일의 반파시즘 - 흑적금 국기단
흑적금 국기단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사회민주당을 중심으로 나치즘과 공산주의로부터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창설된 독일의 준군사 조직으로, 철의 전선 결성 등의 활동을 펼쳤으나 나치 정권에 의해 금지되었고 현재는 정치 및 역사 교육 협회로 재결성되어 활동 중이다. - 독일의 반파시즘 - 반나치법안
반나치 법안은 독일 형법 제86조와 제86a조에 따라 헌법에 위배되는 단체의 선전 도구 유포 및 상징 사용을 금지하며, 시민 계몽, 예술, 과학 등의 목적에는 예외를 둔다. - 독일 공산당 - 독일 공산당 (1919년)
독일 공산당(KPD)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사회민주당 내 좌파 반대파인 스파르타쿠스단을 기반으로 1918년 12월 창당되어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강력한 반대 세력이었으나, 나치 정권에 의해 금지된 후 동서독으로 나뉘어 활동하다가 서독에서는 금지, 동독에서는 사회주의통일당으로 합병되었으며 현재 여러 후계 정당들이 존재한다. - 독일 공산당 - 스파르타쿠스 동맹
스파르타쿠스 동맹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카를 리프크네히트 주도로 스파르타쿠스단을 재건하여 독일에서 결성된 혁명적 좌익 정치 조직으로, 군부로부터 권력을 장악하고 소비에트 공화국 건설을 목표로 독일 공산당 창당 후 스파르타쿠스 봉기 진압 과정에서 해체되었으며 독일 혁명과 좌익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적색전선전사동맹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적색전선전사동맹 |
| 로마자 표기 | Roter Frontkämpferbund |
| 약칭 | RFB |
| 지도자 | 에른스트 텔만 |
| 활동 기간 | 1924년 7월 – 1929년 5월 14일 |
| 국가 | 독일 |
| 소속 | 독일 공산당 |
| 이념 |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
| 산하 단체 | 로테 융프론트 |
| 정치 성향 | 극좌 |
| 규모 | 130,000명 (1929년 ) |
| 상태 | 해산 |
| 구호 (영어) | Red Front! |
| 주요 활동 | |
| 주요 활동 | 바이마르 공화국 정치 투쟁 |
| 관련 인물 | |
| 적대 세력 | |
| 적대 세력 | 국기단 돌격대 무쇠전선 |
| 이미지 | |
![]() | |
![]() | |
2. 역사
독일 공산당(KPD)은 1923년까지 집회와 시위 보호를 위해 프로레타리아 백인대(Proletarische Hundertschaften)에 의존했지만, 이 조직은 금지되었다. 1924년 4월, 독일 공산당 제9차 전국대회는 새로운 방어 조직을 결성하기로 결정했고, 비공산주의 노동자들도 끌어들이기 위해 적색전선전사동맹(Roter Frontkämpfer-Bund, RFB)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924년 5월 11일, 할레(Halle)에서 경찰이 시위대에 발포하여 8명의 노동자가 사망하고 16명이 중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독일 공산당은 각 지역 지부에 RFB 결성을 발표했고, 곧 첫 번째 지역 RFB 그룹이 결성되었다. 이들은 주로 공업 도시, 항구 도시 등 노동 계급의 핵심 지역에 위치했다. 공식 설립일은 1924년 7월 18일이다.
RFB는 경찰, 나치당의 돌격대(SA), 그리고 다른 정치적 경쟁자들과 격렬한 거리 싸움에 참여했다. 특히 1929년 베를린에서 발생한 '피의 5월(Blutmai)' 사건은 RFB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이 사건으로 RFB는 금지되고 자산을 몰수당했지만, 많은 회원들은 불법적으로 활동을 계속하거나 Kampfbund gegen den Faschismus|파시즘에 맞선 투쟁 동맹de과 같은 지역 후신 단체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초대 대장은 후에 독일 공산당 당수가 된 에른스트 텔레만이었고, 빌리 레오(Willy Leow)가 참모장을 맡았다. RFB는 독일 공산당의 준군사조직으로서, 나치당의 돌격대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공산당원의 활동을 경호하고, 적대 정당의 집회를 방해하며, 거리에서 무력 충돌을 벌였다. RFB는 독일 사회민주당(SPD)의 국기단과는 달리, 공산당의 전략 목표에 따라 움직였다는 점에서 돌격대와 더 유사했다.
1928년 가을 코민테른 제6차 대회에서 극좌 전술이 채택되면서 공산당은 더욱 과격해졌고, RFB의 활동도 더욱 격렬해졌다. 바이마르 공화국의 경찰과도 격렬한 투쟁을 벌였으며, 1929년 5월 1일 메이데이 집회에서는 경찰과 충돌하여 33명의 사망자를 낸 피의 메이데이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1933년 나치가 집권한 후, 전직 RFB 회원들은 가장 먼저 체포되어 나치 강제수용소에 수감되었고, 많은 RFB 회원들이 수용소에서 사망했다.[27] 스페인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살아남은 RFB 회원들은 국제여단이나 소련 붉은 군대에 합류하여 나치 독일에 대항해 싸웠다. 전후 독일민주공화국(동독)에서는 에리히 호네커[30], 에리히 밀케[31] 등 전직 RFB 간부들이 경찰 및 군 조직 건설에 참여하며 RFB의 유산을 이어갔다.[32][33][34][35]
2. 1. 창설 배경
1920년대 초 독일 사회는 극심한 혼란과 갈등을 겪고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패배와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정치적 불안정은 극우 및 극좌 세력의 성장을 야기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일 공산당(KPD)은 당의 활동을 보호하고, 노동자 계급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자체적인 방어 조직의 필요성을 느꼈다.독일 공산당은 집회와 시위를 보호하기 위해 프로레타리아 백인대(Proletarische Hundertschaften)에 의존했지만, 1923년 이 조직은 금지되었다.[51] 이로 인해 독일 공산당의 정치 활동은 경찰과 극우 준군사 조직, 예컨대 국가주의 단체인 강철투구단과 나치 돌격대의 공격에 노출되었다.
1924년 4월 독일 공산당 제9차 전국대회는 새로운 방어 조직을 결성하기로 결정했다.[51] 이 조직은 비공산주의 노동자들도 끌어들이려는 의도로 적색전선전사동맹(Roter Frontkämpfer-Bund)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1924년 5월 11일 할레(Halle)에서 경찰이 시위대에 발포하여 노동자 8명이 사망하고 16명이 중상을 입었다. 독일 공산당은 모든 지역 지부에 적색전선전사동맹(RFB) 결성을 발표했고, 곧 첫 번째 지역 적색전선전사동맹(RFB) 그룹이 결성되었다. 이러한 최초의 적색전선전사동맹(RFB) 부대는 대부분 공업 도시, 항구 도시 및 기타 전통적인 노동 계급의 핵심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2. 2. 발전
초기 적색전선전사동맹(RFB)은 주로 산업 도시와 항구 도시 등 노동 계급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RFB는 경찰, 나치당의 돌격대(SA), 그리고 다른 정치적 경쟁자들과 격렬한 거리 충돌에 자주 연루되었다. 특히 1929년 베를린에서 발생한 '피의 5월(Blutmai)' 사건은 RFB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이 사건은 RFB가 5월 1일 베를린에서 금지된 시위에 참여했다가 경찰의 발포로 3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이었다.[21][22] [23]이 사건 이후 RFB는 공식적으로 금지되고 자산을 몰수당했지만,[24][25] 많은 회원들은 불법적으로 활동을 계속하거나, Kampfbund gegen den Faschismus|반파시즘 투쟁 연맹de과 같은 지역 후신 단체에서 활동을 이어갔다.[26] 일부는 정치 활동을 그만두기도 했다.[26] RFB는 금지 당시 약 13만 명의 회원을 보유할 정도로 성장했다.
RFB는 독일 공산당의 준군사조직으로서, 나치당의 돌격대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공산당원의 활동을 경호하고, 적대 정당의 집회를 방해하며, 거리에서 무력 충돌을 벌였다. 공산당원들은 "Heil Moskau!"(하일 모스크바!)라고 외치며 오른손 주먹을 든 경례를 했는데, 이는 나치식 경례와는 주먹을 쥐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54]
RFB는 독일 사회민주당(SPD)의 국기단과는 달리, 공산당의 전략 목표에 따라 움직였다는 점에서 돌격대와 더 유사했다.[55] RFB와 돌격대는 모두 반자본주의적인 젊은 층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두 조직 사이에 인력 이동이 있기도 했다.
RFB는 국기단보다 더 적극적으로 폭력 투쟁을 벌였으며, 돌격대보다도 더 경직된 전술을 사용했기 때문에 당국으로부터 더 큰 위험으로 간주되었다. 이로 인해 여러 차례 금지 명령을 받았지만,[56] 1933년 나치당 정권이 수립될 때까지 불법 조직으로 활동을 계속했다.[57]
1928년 가을 코민테른 제6차 대회에서 극좌 전술이 채택되면서 공산당은 더욱 과격해졌고, RFB의 활동도 더욱 격렬해졌다. 처음에는 사민당의 국기단과의 충돌이 잦았지만, 나중에는 돌격대나 철모단 등 우익 준군사 조직과의 충돌에 집중했다.[52] 바이마르 공화국의 경찰과도 격렬한 투쟁을 벌였으며, 1929년 5월 1일 메이데이 집회에서는 경찰과 충돌하여 33명의 사망자를 낸 피의 메이데이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53]
RFB는 1925년부터 매년 성령강림절에 "적색 성령강림절 집회"라는 이름으로 베를린에서 행진을 했는데, 이는 공산당의 세력 확대에 큰 도움이 되었다.[52]
2. 3. 나치 정권 하의 탄압
1933년 나치가 집권한 후, 전직 적색전선전사동맹(RFB) 회원들은 가장 먼저 체포되어 나치 강제수용소에 수감되었다. 나치는 과거의 적들에게 보복했고, 많은 RFB 회원들이 수용소에서 사망했다.[27]2. 4. 제2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스페인 내전 당시 생존한 적색전선전사동맹(RFB) 회원들 중 일부는 국제여단 소속으로 참전하여 프랑코 군대에 맞서 싸웠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소련 붉은 군대에 합류하여 나치 독일에 대항했다. 전후 독일민주공화국(동독)에서는 에리히 호네커[30], 에리히 밀케[31] 등 전직 RFB 간부들이 경찰 및 군 조직 건설에 참여하며 RFB의 유산을 이어갔다.[32][33][34][35] 노동계급 투쟁 집단과 국가인민군은 RFB의 전통을 계승했다고 주장한 반면, 독일연방공화국(서독)에서는 1929년 금지령을 시행하고 RFB 활동을 인정한 전 적색전선 전사들을 기소했다.3. 조직
RFB의 많은 단체가 독일 공산당 당원들에 의해 이끌어졌지만, 대부분의 적색전선 전투원들은 당원이 아니었다. 일부는 심지어 독일 사회민주당이나 다른 정치 조직의 당원이기도 했다. RFB의 조직 구조는 상명하복식으로, 지역 단위 조직, 지역 위원회, 연방 위원회 순으로 구성되었다.
3. 1. 구성원

적색전선전사동맹(RFB) 구성원 대다수는 노동 계급 출신이었으며, 고등 교육을 받은 회원은 소수였다. 많은 회원이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였고, 일부는 1918년 11월 혁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RFB 회원의 다수는 독일 공산당(KPD) 당원이 아니었으며, 일부는 독일 사회민주당(SPD) 등 다른 정당 소속이었다.
회원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1929년 금지 당시에는 13만 명에 육박했다. 1929년 금지 당시 RFB 회원 중 독일 공산당(KPD) 당원은 30%에 불과했고, 70%는 비당원이거나 다른 당원이었다.
| 시기 | 지역 단체 수 | 회원 수 | 비당원 비율 |
|---|---|---|---|
| 1925년 4월 | 558개 | 40,450명 | 49% |
| 1925년 6월 | 826개 | 51,630명 | 53% |
| 1926년 2월 | 1,120개 | 68,392명 | 55% |
3. 2. 하부 조직
적색전선전사동맹(RFB) 산하에는 16세에서 21세 사이의 젊은 구성원들을 위한 적색 청년 전선(RJ)(Rote Jungfront|로테 융𝔭론트de)이 있었다. 1925년에 결성되었으며, 원래 명칭은 Roter Jungsturm|로터 융슈투름de()이었으나 나치의 Jungsturmde과의 유사성을 피하고 통일전선이라는 목표를 강조하기 위해 현재 이름으로 개칭되었다.[36] 지역 RFB 단체의 40%가 RJ 부서를 두었다.1918년 11월 혁명에서 독일 제국 해군 선원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1925년 5월 RFB는 주요 항구 도시에 지부를 둔 Rote Marine|로테 마리네de(RM)()을 설립했다. RM은 엘리트 부대로도 여겨졌다.
1925년부터 여성 구성원들은 Roter Frauen und Mädchen Bund|로터 𝔭라우엔 운트 메트헨 분트de(RFMB)()에 소속되었다.[37][38] 클라라 체트킨[39]과 헬레네 오버라흐[40]가 연방 지도자를 맡았다. 1929년 금지 당시 RFMB는 약 4,0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3. 3. 조직 구조
RFB의 조직 구조는 상명하복식이었다. 지역 단위 조직이 지역 위원회를 선출하고, 지역 위원회가 연방 위원회를 선출하였다.RFB의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다.
- 1. Bundesführung|분데스퓌룽|연방 위원회de
- 2. Gauführung|가우퓌룽|지역 위원회de
- 3. Ortsgruppe|오르츠그루페de (X Abteilungen|압타일룽겐de, 지역 단위 조직 (지역 단위 조직의 회원 수에 따라 여러 개의 대대 포함))
: 3.1. Abteilung|압타일룽de (X Kameradschaften|카메라트샤프텐de, X개의 "동지회"로 구성된 대대)
: 3.2. Kameradschaft|카메라트샤프트de (3 Züge|취게de, 약 100명, 3개 소대, 약 100명으로 구성된 동지회)
: 3.3. Zug|추크de (4 Gruppen|그루펜de, 약 35명 + 1 Zugführer|추크퓌러de, 4개 분대, 약 35명 + 1명의 소대장으로 구성된 소대)
: 3.4. Gruppe|그루페de (8명 + 1 Gruppenführer|그루펜퓌러de, 8명 + 1명의 분대장으로 구성된 분대)
4. 활동
적색전선전사동맹(RFB)은 독일 공산당(KPD) 등 다른 프롤레타리아 단체들의 정치 선전 활동을 지원하고, 행사 경호를 맡았다. 열악한 노동 환경에서 단련된 대원들은 집회를 방해하는 경찰 및 정치적 라이벌들에게 폭력을 행사했다.[1]
경찰과 적색전선전사동맹 간의 격렬한 충돌로 양측 모두 부상자가 속출했고, 일부는 사망하기도 했다. 체포된 대원들은 적색원조로부터 법률 지원을 받았고, 징역형을 선고받은 경우에는 가족의 생계를 위한 재정적 지원도 받았다.[1] 돌격대(SA), 강철투구단(Stahlhelm) 등과의 폭력적인 대립은 끊임없이 격화되었으며, 특히 노동자 계급 지역에서 돌격대와의 충돌이 자주 발생했다. 적색전선전사동맹 대원들은 집주인들의 세입자 퇴거를 막는 투쟁에도 참여했다.[1]
RFB는 정관에서 반군국주의적 조직으로 규정되어 독일의 재군비에 반대했다. 이들은 구축함 건조에 사용되는 막대한 자금을 빈곤 구제에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 RFB는 바이마르 정부와 독일 재벌들과의 유착에 반대하며 평화 유지를 요구하고 새로운 전쟁 계획을 규탄했다. 또한 소비에트식 공산주의를 지지하여 "국가의 적"으로 간주되어, 발표된 시위와 집회가 여러 차례 금지되었다.[1] RFB는 빈곤한 농민과 농업 노동자들을 규합하기 위한 농촌 지역 선전 행진도 진행했다.[1]
4. 1. 정치적 경호 및 선전
적색전선전사동맹(RFB) 활동의 상당 부분은 독일 공산당(KPD), 적색원조(Rote Hilfe) 등 다른 프롤레타리아 단체들의 정치 선전 활동을 지원하는 데 집중되었다. 이들은 주로 다양한 행사의 경호를 맡았지만, 적극적인 선동에도 참여했다. 열악한 노동 환경 속에서 단련된 적색전선전사동맹 대원들은 집회를 방해하려는 경찰 및 정치적 라이벌들에게 폭력을 행사했다.
경찰과 적색전선전사동맹 간의 대규모 난투극으로 양측 모두 부상자가 속출했고, 일부는 사망하기도 했다. 체포된 대원들은 적색원조로부터 법률 지원을 받았으며, 징역형을 선고받은 경우에는 가족의 생계를 위한 재정적 지원도 받았다.
적색전선전사동맹이 금지될 때까지 돌격대(SA), 강철투구단(Stahlhelm), 국민방위대(Reichsbanner Schwarz-Rot-Gold)와 같은 폭력적인 조직과의 대립은 끊임없이 격화되었다. 특히 돌격대와의 폭력적인 충돌은 일상다반사였다. 돌격대는 노동자 계급 지역에서 어느 정도 세력을 확보했지만, 이 지역들은 주로 독일 사회민주당(SPD)이나 독일 공산당을 지지했고, 돌격대가 대표하는 "갈색" 나치당은 지지하지 않았다.
적색전선전사동맹 대원들은 집주인들의 세입자 퇴거를 막기 위한 투쟁에도 참여했다.[1]
4. 2. 사회 정의 및 평화를 위한 투쟁
RFB(적색전선전사동맹)는 정관에서 반군국주의적 조직으로 규정되었으며, 따라서 독일의 재군비에 반대했다. 예를 들어, RFB와 다른 단체들은 라이히스마르크 수십억이 구축함에 사용되는 것에 항의하고, 그 돈을 빈곤 구제에 사용해야 한다고 요구했다.[1]RFB의 공개 활동 대부분은 바이마르 정부와 강력한 독일 재벌들과의 유착에 반대하는 것이었다. RFB는 평화 유지를 요구하고 새로운 전쟁 계획을 규탄했다. 또한 대부분의 RFB는 KPD의 소비에트식 공산주의 프로그램을 지지했다. 따라서 RFB는 곧 "국가의 적"으로 간주되어, 발표된 시위와 집회가 여러 차례 일시적으로 금지되었다.[1]
다른 RFB 활동으로는 빈곤한 농민과 농업 노동자들을 규합하기 위한 농촌 지역의 선전 행진이 있었다.[1]
5. 복장 및 상징
적색전선전사동맹(RFB)은 통일된 복장 규정이 있었으나, 지역 및 시대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했다.[58] 예를 들어 베를린식 복장[59]은 상의 양쪽에 주머니가 있고 단추로 여몄지만, 드레스덴식 복장은 상의 주머니가 한쪽에만 있고 끈으로 여몄다. 바지는 상의와 같은 색의 승마 바지나 검정색 또는 감청색 스트레이트 바지를 입었으며, 단체 사진을 보면 군복, 모자, 벨트, 신발 등이 개인별로 다른 경우도 많았다. 공식 벨트는 "주먹 표시"가 있는 삼브라운 벨트였고, 완장은 "빨간색 바탕에 검은색 주먹 표시" 디자인이었으나, 이 역시 다양한 형태가 있었다. 완장은 왼쪽 아래팔에 착용하는 것이 규정이었다.[58]
5. 1. 복장
적색전선전사동맹의 복장과 장비는 지역과 시대에 따라 매우 다양했다.[58] 예를 들어, 베를린식 복장[59]은 상의 양쪽에 주머니가 있고 단추로 여몄지만, 드레스덴식 복장은 상의 주머니가 한쪽에만 있고 끈으로 여몄다. 바지는 상의와 같은 색의 승마 바지나 검정색 또는 감청색 스트레이트 바지를 입었으며, 단체 사진을 보면 군복, 모자, 벨트, 신발 등이 개인별로 다른 경우도 많았다.공식적으로 벨트는 "주먹 표시"가 있는 상자형 버클의 삼브라운 벨트였지만, 당시 사진에서는 버클 형태나 가죽 띠 유무 등 다양한 형태가 혼용되었다.
완장은 "빨간색 바탕에 검은색 주먹 표시" 디자인이었으나, 수놓은 것과 인쇄된 것 등 다양한 변형이 있었다. 완장은 왼쪽 아래팔(팔꿈치 관절 아래, 일반적인 위팔 부분이 아님)에 착용하는 것이 규정이었으며, 당시 사진에서 예외는 확인되지 않는다.
5. 2. 상징
완장은 빨간색 바탕에 검은색 주먹 표시가 있는 디자인이었지만, 표시가 수놓아진 것과 인쇄된 것 등 다양한 변형이 존재했다.[58] 완장은 왼쪽 아래팔 부분(팔꿈치 관절보다 아래)에 착용하는 것이 규정이었으며, 당시 사진에서 예외는 확인되지 않는다.벨트는 "주먹 표시"가 있는 상자형 버클의 삼브라운 벨트가 공식적인 것이었지만, 당시 사진에서는 버클의 형태나 가죽 띠의 유무 등 다양한 형태가 혼용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조
[1]
뉴스
Der rote Hitlerjunge
https://www.sueddeut[...]
2017-11-21
[2]
뉴스
Rotes Hamburg: Wo das Weihnachtsfest als bürgerlicher Blödsinn galt
https://www.welt.de/[...]
2015-12-24
[3]
서적
Der rote Frontkämpferbund 1924–1929
Droste Verlag
1975
[4]
웹사이트
Der Rote Frontkämpferbund
https://www.dhm.de/l[...]
[5]
뉴스
Drittes Reich: Hamburgs Roter Osten
https://www.spiegel.[...]
2015-09-05
[6]
뉴스
Thälmanns Truppe
https://www.zeit.de/[...]
1976-04-02
[7]
웹사이트
Der Mann, den sie "Teddy" nannten – Thälmann im Porträt {{!}} MDR.DE
https://www.mdr.de/z[...]
[8]
웹사이트
May Day, Bloody May Day
https://jacobinmag.c[...]
[9]
웹사이트
Roter Frontkämpferbund, 1924–1929 – Historisches Lexikon Bayerns
https://www.historis[...]
[10]
웹사이트
Ernst-Thälmann-Park
https://www.pankow-w[...]
[11]
웹사이트
Gerade auf LeMO gesehen: LeMO Kapitel: Weimarer Republik
https://www.dhm.de/l[...]
[12]
웹사이트
Spartakus, Rote Front, Antifa
http://www.klaus-j-b[...]
[13]
서적
Creating German Communism, 1890–1990: From Popular Protests to Socialist Stat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14]
웹사이트
Georg Elser und der Rote Frontkämpferbund
http://www.mythosels[...]
[15]
웹사이트
Die Bedeutung der Reichsexekution in der Weimarer Reichsverfassung und ihre Anwendung 1923 in Sachsen und Thüringen
https://www.bundesta[...]
2006
[16]
뉴스
"Deutscher Oktober" 1923 an der Alster: ein blutiger Reinfall – Unbekannte Briefe und Berichte zum Putschversuch der Hamburger Kommunisten: Aufstand an der Waterkant
https://www.zeit.de/[...]
1993-10-22
[17]
서적
Beating the Fascists: The German Communists and Political Violence 1929–193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08-25
[18]
뉴스
Thälmanns Truppe
https://www.zeit.de/[...]
1976-04-02
[19]
웹사이트
Spartakus, Rote Front, Antifa
http://www.klaus-j-b[...]
[20]
서적
Gesamtausgabe
https://books.google[...]
C.F. Müller Verlag
1992
[21]
웹사이트
1. Mai: Feiertag und Symbol
https://www.demokrat[...]
2019-05-01
[22]
웹사이트
Roter Frontkämpferbund, 1924–1929
https://www.historis[...]
[23]
웹사이트
Gerade auf LeMO gesehen: LeMO Kapitel: Weimarer Republik
https://www.dhm.de/l[...]
[24]
서적
Neighbors and Enemies: The Culture of Radicalism in Berlin, 1929–1933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9-27
[25]
서적
Sitzungen vom Oktober 1929 – Juni 1930 (Abschluß der Beratungen in erster Lesung und der §§ 86 ff. in zweiter Lesung. Gesetzentwurf zum Schutze der Republik und zur Befriedung des politischen Leben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2015-02-06
[26]
웹사이트
Kampfbund gegen den Faschismus, 1930–1933
https://www.historis[...]
[27]
웹사이트
Gegner des NS-Regimes
https://www.g-geschi[...]
2017-04-20
[28]
웹사이트
Der Spanische Bürgerkrieg (1936–1939)
https://www.andalusi[...]
[29]
서적
L'Allemagne de Weimar: 1919–1933
Fayard
2007
[30]
서적
Erich Honecker: Das Leben davor
https://books.google[...]
C.H.Beck
2016-09-26
[31]
뉴스
Stasi: Der Mann, der alle liebte
https://www.zeit.de/[...]
2007-11-14
[32]
웹사이트
Erich Honecker {{!}} Jugendopposition in der DDR
https://www.jugendop[...]
[33]
웹사이트
Erich Honecker
https://www.hdg.de/l[...]
[34]
웹사이트
Erich Honecker
http://www.rheinisch[...]
[35]
뉴스
Stasi: Der Mann, der alle liebte
https://www.zeit.de/[...]
2007-11-14
[36]
서적
Deutschland, Russland, Komintern – Dokumente (1918–1943): Nach der Archivrevolution: Neuerschlossene Quellen zu der Geschichte der KPD und den deutsch-russischen Beziehunge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4-12-17
[37]
웹사이트
Saalbau « Gedenkstätte Neustadt e.V.
http://www.gedenksta[...]
2020-03-06
[38]
서적
Lehrstücke in Solidarität: Briefe und Biographien deutscher Sozialisten 1945–1949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2015-10-29
[39]
웹사이트
Clara Zetkin {{!}} bpb
https://www.bpb.de/g[...]
2020-03-06
[40]
서적
Skandinavische Erfahrungen erwünscht?: Nachexil und Remigration ; die ehemaligen KPD-Emigranten in Skandinavien und ihr weiteres Schicksal in der SBZ/DDR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2000
[41]
웹사이트
Ernst Thälmann and Willy Leow at the Head of a Red Front Fighters' League Demonstration in Berlin (June 1927)
http://ghdi.ghi-dc.o[...]
2019-08-22
[42]
웹사이트
Oelßner, Alfred Franz
https://www.bundesst[...]
2019-08-22
[43]
웹사이트
Schneller, Ernst
https://www.bundesst[...]
2019-08-22
[44]
웹사이트
Jendretzky, Hans
https://www.bundesst[...]
2019-08-22
[45]
웹사이트
Hans Jendretzky – Munzinger Biographie
https://www.munzinge[...]
2019-08-22
[46]
웹사이트
Selbmann, Fritz
https://www.bundesst[...]
2019-08-22
[47]
웹사이트
Jurr, Werner
https://www.bundesst[...]
2019-08-22
[48]
서적
Die KPD und der Spanische Bürgerkrieg 1936–1939
https://books.google[...]
diplom.de
2001-10-25
[49]
웹사이트
Steinbrecher, Curt Alexius
https://www.bundesst[...]
2019-08-22
[50]
웹사이트
Roter Frontkämpferbund, 1924–1929 – Historisches Lexikon Bayerns
https://www.historis[...]
2020-03-06
[51]
문서
フレヒトハイム(1971)、p.181
[52]
문서
フレヒトハイム(1971)、p.182
[53]
웹사이트
Lebendiges Museum Online(LeMO)
[54]
서적
ソヴィエト赤軍興亡史Ⅱ、P58
[55]
문서
桧山(1976)、p.112
[56]
문서
桧山(1976)、p.112
[57]
웹사이트
Lebendiges Museum Online(LeMO)
[58]
문서
Roter Frontkämpferbund 1924–1929
[59]
문서
本項目の写真でテールマンとレオーが着ている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